KR20100011234U -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234U
KR20100011234U KR2020090005597U KR20090005597U KR20100011234U KR 20100011234 U KR20100011234 U KR 20100011234U KR 2020090005597 U KR2020090005597 U KR 2020090005597U KR 20090005597 U KR20090005597 U KR 20090005597U KR 20100011234 U KR20100011234 U KR 201000112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frame
partition frame
lev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 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 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 트레이딩
Priority to KR2020090005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234U/ko
Publication of KR20100011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7Partitions with slotted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칸막이용 프레임을 더욱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인접하는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공(100a)에 체결되어 상기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장치(2)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00a)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수나사부(6)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레버결합부(8)가 형성된 나사축(4)과;
상기 나사축(4)의 수나사부(6)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00a)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6)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부(18)가 형성된 너트부재(12)와;
상기 나사축(4)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00a)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4)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된 부싱부재(20)와;
상기 나사축(4)의 레버결합부(8)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부싱부재(20)의 플랜지부(26)에 밀착되어 편심회전되는 캠부(30)가 형성된 조임레버(28)로 구성되되;
상기 조임레버(28)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축(4)이 당겨져 상기 칸막이용 프레임(100)이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칸막이, 프레임, 연결장치, 레버, 캠

Description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of a partition frame}
본 고안은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칸막이용 프레임을 더욱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칸막이는 주로 사무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무공간을 구획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하거나 업무능률을 높이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사무용 가구이다. 이러한 칸막이는 바깥테두리를 형성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에 마감패널을 결합한 단위 칸막이를 길게 연결하여 설치하는데 이때에 인접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가 도시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장치(102)는 서로 인접하는 칸막이용 프레임(100)에 형성된 연결공(100a)으로 볼트(104)를 관통되게 삽입하여 너트(106)를 조임으로써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결장치(102)는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작업이나 분리작업시 렌치나 스패너와 같은 공구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작업을 실시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공구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너트(106)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106)를 과도하게 조임으로써, 너트(106)의 압력에 의해 칸막이용 프레임(100)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작업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인접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칸막이용 프레임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레버결합부가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너트부재와;
상기 나사축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부싱부재와;
상기 나사축의 레버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부싱부재의 플랜지부에 밀착되어 편심회전되는 캠부가 형성된 조임레버로 구성되되;
상기 조임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축이 당겨져 상기 칸막이용 프레임이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작업이나 분리작업을 공구의 사용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공구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여성들의 경우에도 부담없이 연결작업이나 분리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그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그 결합단면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다 른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장치(2)는 나사축(4), 너트부재(12), 부싱부재(20), 조임레버(28), 보조블럭(38), 스프링(44), 걸림방지링(46)으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축(4)은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공(100a)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수나사부(6)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레버결합부(8)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결합부(8)는 나사축(4)의 외주면을 양쪽으로 절삭하여 형성된 평면(8a)에 레버결합공(10)이 타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12)는 상기 나사축(4)의 수나사부(6)에 결합되어 상기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너트부재(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00a')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6)의 일단에는 플랜지부(18)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너트부재(12)로 팝너트(13)를 사용한 구성이 개시된다. 상기 팝너트(13)는 태핑(Tapping)가공이 되지않은 패널이나 얇은 소재에 결합하여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체결수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위치한 연결공(100a')에 미리 결합하여 사용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팝너트(13)가 상기 연결공(100a')에 고정되어 본 고안의 연결장치(2)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싱부재(20)는 상기 나사축(4)에 끼워져 상기 너트부재(12)의 반대쪽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싱부재(20)의 내주면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00a")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4)의 일단에는 플랜지부(2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조임레버(28)는 상기 나사축(4)의 레버결합부(8)에 결합되어 칸막이용 프레임(100)에 고정력을 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임레버(28)는 캠부(30)와 손잡이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캠부(30)는 양쪽으로 갈라져 상기 레버결합부(8)에 끼워지도록 되어있으며, 힌지축(36)에 의해 상기 레버결합공(10)에 편심회전 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32)는 상기 캠부(30)의 일측면에 일체로 연이어지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보조블럭(38)은 상기 부싱부재(20)의 플랜지부(26)에 부착되어 상기 조임레버(28)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블럭(38)의 일면에는 상기 조임레버(28)의 캠부(30)에 대응되는 형상의 만곡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40)로 인해 캠부(30)와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조임레버(28)가 잘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만곡부(40)에는 걸림돌기(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조임레버(28)의 캠부(30)에 상기 걸림돌기(42)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34)을 형성하여 조임레버(28)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34)은 하나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캠부(30)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걸림홈(3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만곡부(4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부싱부재(20)의 플랜지부(26)에 형성하여 상기 보조블럭(38)과 상기 부싱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4)은 상기 너트부재(12)와 상기 부싱부재(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나사축(4)에 끼워져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44)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스프링(44)의 끝단이 너트부재(12)나 부싱부재(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방지링(4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너트부재(12')의 삽입부(16')와 상기 부싱부재(20')의 삽입부(24')는 사각이나 육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공(100a) 또한 다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임레버(28)를 돌려 나사축(4)을 회전시킬 때에 상기 너트부재(12)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나사축(4), 부싱부재(20), 조임레버(28), 보조블럭(38), 스프링(44), 걸림방지링(46)이 결합된 연결장치(2)를 인접하는 칸막이용 프레임(100) 중 도면상 우측 프레임(100")의 연결공(100a")에 삽입한다. 그 다음, 상기 나사축(4)의 수나사부(6)를 도면상 좌측 프레임(100')의 연결공(100a')에 미리 체결된 너트부재(12) 의 암나사부(14)에 결합한다. 그 다음, 상기 나사축(4)이 회전하도록 조임레버(28)를 돌려 상기 부싱부재(20)의 플랜지부(26)가 상기 우측 프레임(100")에 근접하도록 한다(도 4a참조). 그 다음, 상기 조임레버(28)의 캠부(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축(4)을 당겨 상기 너트부재(12)의 플랜지부(18)와 상기 부싱부재(20)의 플랜지부(26) 사이에 칸막이용 프레임(100)이 밀착고정 되도록 한다(도 4b참조).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그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그 결합단면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나사축 12 ; 너트부재
20 ; 부싱부재 28 ; 조임레버
38 ; 보조블럭 44 ; 스프링
46 ; 걸림방지링 100 ; 칸막이용 프레임

Claims (7)

  1. 인접하는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공(100a)에 체결되어 상기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연결장치(2)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00a)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수나사부(6)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레버결합부(8)가 형성된 나사축(4)과;
    상기 나사축(4)의 수나사부(6)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00a)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6)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부(18)가 형성된 너트부재(12)와;
    상기 나사축(4)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00a)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원통형의 삽입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4)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된 부싱부재(20)와;
    상기 나사축(4)의 레버결합부(8)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부싱부재(20)의 플랜지부(26)에 밀착되어 편심회전되는 캠부(30)가 형성된 조임레버(28)로 구성되되;
    상기 조임레버(28)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축(4)이 당겨져 상기 칸막이용 프레임(100)이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12)는 팝너트(13)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20)의 플랜지부(26)에는 보조블럭(38)이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블럭(38)의 일면에는 상기 조임레버(28)의 캠부(30)가 밀착고정되는 만곡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럭(38)의 만곡부(40)에는 걸림돌기(4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임레버(28)의 캠부(30)에는 걸림홈(34)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레버(28)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12)와 상기 부싱부재(20) 사이에는 상기 나사축(4)에 끼워지는 스프링(44)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4)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스프링(44)의 끝단이 너트부재(12)나 부싱부재(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방지링(46)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00a)과 상기 너트부재(12)의 삽입부(16)와 상기 부싱부재(20)의 삽입부(24)는 사각이나 육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4)을 회전시킬 때에 상기 너트부재(12)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KR2020090005597U 2009-05-08 2009-05-08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KR201000112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97U KR20100011234U (ko) 2009-05-08 2009-05-08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97U KR20100011234U (ko) 2009-05-08 2009-05-08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34U true KR20100011234U (ko) 2010-11-17

Family

ID=4420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597U KR20100011234U (ko) 2009-05-08 2009-05-08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23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54B1 (ko) * 2012-04-04 2012-06-26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고정구
US10196813B2 (en) 2015-04-02 2019-02-05 Intelligent Construction Engineering Solutions Limited Wall system
KR200488929Y1 (ko) * 2017-11-01 2019-04-05 김기옥 높이조절 가능한 샤워용구 홀더유닛
KR102164970B1 (ko) * 2020-01-22 2020-10-13 강준기 칸막이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무실 칸막이
KR102178484B1 (ko) * 2020-06-01 2020-11-13 유연순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파티션 결착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54B1 (ko) * 2012-04-04 2012-06-26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고정구
US10196813B2 (en) 2015-04-02 2019-02-05 Intelligent Construction Engineering Solutions Limited Wall system
KR200488929Y1 (ko) * 2017-11-01 2019-04-05 김기옥 높이조절 가능한 샤워용구 홀더유닛
KR102164970B1 (ko) * 2020-01-22 2020-10-13 강준기 칸막이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무실 칸막이
KR102178484B1 (ko) * 2020-06-01 2020-11-13 유연순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파티션 결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1234U (ko)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JP2006336676A (ja) ボルトに結合されたナットが離脱しないようにしたクランプ
KR20090072909A (ko) 나사 체결 기구 및 이 나사 체결 기구를 사용한 건축용임시 조립 피팅 장치
US20100294087A1 (en) Tool sleeve clamping structure
KR100805306B1 (ko) 편측 죄임용 볼트넛
KR20150005285A (ko) 체결부재
JP7318919B2 (ja) 壁面取付ユニット
US20130276279A1 (en) Removal tool for servo horn with spline-shaft coupling
JP4687040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ための接続装置
KR200356201Y1 (ko) 철근 연결구
KR200473031Y1 (ko) 급수펌프 샤프트용 록킹너트 조임장치
KR100967083B1 (ko) 편측 조임용 볼트넛
EP2837469A1 (en) Removal tool for servo horn with spline-shaft coupling
JP2015108397A (ja) 固定手段のキャップ
KR200280839Y1 (ko) 완철용 접지 클램프
CN217123016U (zh) 能安装至电动工具的输出组件上的套筒
KR20100018672A (ko) 너트
JP3228807U (ja) 型枠用工具
JP4894022B2 (ja) 部材連結装置
KR20140053633A (ko) 체결부재
CN111015563B (zh) 一种套筒扳手
JP7472161B2 (ja) 索体引留金具、くさび着脱治具、及び、引抜治具
KR100882583B1 (ko) 매몰식 앵커
KR20180067399A (ko) 호스 클램프용 토크 컨트롤 캡
JP3100117U (ja) 管状部材の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