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14236A2 -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14236A2
WO2010114236A2 PCT/KR2010/001560 KR2010001560W WO2010114236A2 WO 2010114236 A2 WO2010114236 A2 WO 2010114236A2 KR 2010001560 W KR2010001560 W KR 2010001560W WO 2010114236 A2 WO2010114236 A2 WO 201011423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ngue
groove
flooring
protru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15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14236A3 (ko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Oh Kwang Seo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Oh Kwang Seok filed Critical Oh Kwang Seok
Priority to AU201023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0232115B2/en
Priority to CA2756385A priority patent/CA2756385C/en
Priority to US13/258,734 priority patent/US8528290B2/en
Priority to EP10758961.6A priority patent/EP2415945B1/en
Publication of WO201011423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14236A2/ko
Publication of WO201011423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1423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04F2201/016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with snap action of the edg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3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or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 패널들 사이의 조립이 간단하고 충격을 가할 필요가 없어 파손의 위험도 없으며, 조립 후에도 수평 방향으로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상기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혀부는, 소정 돌출되어 마련되는 혀돌출부와, 상기 혀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와, 상기 혀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혀돌출부가 걸리는 상부립과, 상기 홈부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부립과, 상기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턱부와, 상기 홈부의 내벽을 이루며 상기 혀부가 상기 상부립과 하부립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단턱부와 접촉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른 상기 혀돌출부의 단부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재
본 발명은 바닥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바닥에 장착하는 기계적 결합 요소를 구비한 조립식 바닥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 패널는 건물의 바닥을 치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것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바닥재 패널의 고급화 및 기능화의 수요에 목재를 소재로 하는 바닥재 패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목재를 사용한 바닥재는 바닥재 패널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재 패널의 장변 및 단변의 측면에 체결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양 측면를 조립식으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바닥재에 있어서 두 바닥재 패널의 조립구조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바닥재의 경우, 제1 바닥재 패널(1)의 홈부(10)에 제2 바닥재 패널(2)의 혀부(20)가 수평방향으로 진입하면서 피봇점(A)를 중심으로 혀부(20)를 아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서 홈부(10)에 체결하는 방식이다.
이때 혀부(20)는 홈부(10)를 향해 거의 수평 방향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혀부(20)의 전면돌출부(21)가 홈부(10)의 수용홈(11)에 끼워지면서 피봇점(A)에서 접촉한다.
이때 혀부(20)는 아래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는 걸림부(2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혀부(20)가 홈부(10)에 진입할 때 홈부(10)의 상부립(15)과 혀부(10)의 전면부(25)가 서로 맞닿으면서 피봇점(A)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봇점(A)을 중심으로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B 궤도를 따라 혀부(20)를 회전시키면서 혀부(20)의 걸림부(22)가 홈부(10)의 걸림홈(13)에 안착되도록 하여 조립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혀부(20)를 A 점을 피봇점으로 하여 B궤도를 따라 회전시켜 홈부(10)에 끼우는 체결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에서는 걸림부(22)의 외벽(22a)이 B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삽입될 때 걸림부(22) 외벽(22a)의 회전 이동이 돌출턱(12)의 내벽(12a)의 방해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턱(12)의 내벽(12a) 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C)은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밖에 없는 구성이다.
즉 상기 각(C)을 크게 구성하면 걸림부(22)의 외벽(22a)이 돌출턱(12)의 내벽(12a)을 통과하지 못하여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혹은 혀부(20)를 홈부(10)에 조립할 때 혀부(20)의 걸림부(22)를 홈부(10)의 돌출턱(12)에 억지끼움 되도록 충격을 가해야 하므로 바닥재 패널 파손의 우려도 있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홈부(10)에 혀부(20)를 조립한다고 하더라도 돌출턱(12)의 경사각(C)이 매우 완만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의 체결력이 약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체결 구조는 최근 간단한 시공 방법으로 현장에서 많이 채용되는 발열체(전기 필름 난방, 전기 판넬 난방)에 의한 난방 시스템 하에서는 바닥재 하부에 설치된 난방 시스템의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바닥재를 구성하는 물질이(통상 합판, PB, MDF, HDF 등) 심하게 수축 또는 팽창되어 상기 바닥재의 홈부(10)가 벌어짐으로, 특히 돌출턱(12) 부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1의 상태로 심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걸림부(22)의 외벽(22a)이 돌출턱(12)의 내벽(12a)을 이탈하여 두 바닥재 패널이 벌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재 패널들을 서로 조립함에 있어서 종래의 바닥재 패널 조립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조립 방식에 의한 바닥재를 제공하며, 바닥재 패널들 사이의 조립이 간단하고 충격을 가할 필요가 없어 파손의 위험도 없으며, 조립 후에도 수평 방향으로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상기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혀부는, 소정 돌출되어 마련되는 혀돌출부와, 상기 혀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와, 상기 혀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혀돌출부가 걸리는 상부립과, 상기 홈부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부립과, 상기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턱부와, 상기 홈부의 내벽을 이루며 상기 혀부가 상기 상부립과 하부립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단턱부와 접촉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른 상기 혀돌출부의 단부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상기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는 상부립과, 상기 홈부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부립과, 상기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위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립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마련되는 혀돌출부와, 상기 혀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와, 상기 혀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할 때 상기 걸림턱이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와 접촉되어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를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혀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상부립의 하단부를 향하여 위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돌출부가 상기 상부립에 걸림으로써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상기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는 상부립과, 상기 홈부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부립과, 상기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위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립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마련되는 혀돌출부와, 상기 혀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와, 상기 혀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홈부에, 상기 혀부가 삽입될 때 상기 혀돌출부가 상기 상부립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단턱부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혀바닥부가 상기 홈부의 바닥부에 인접 또는 접촉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바닥재 패널들을 서로 조립함에 있어서 종래의 바닥재 패널 조립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조립 방식에 의한 바닥재를 제공하며, 바닥재 패널들 사이의 조립이 간단하고 충격을 가할 필요가 없어 파손의 위험도 없으며, 조립 후에도 수평 방향으로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일 바닥재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의 결합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의 결합에 관한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에 대해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에 대해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의 결합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목재, 합판, MDF, HDF, PB, PVC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DF는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간밀도의 파이버보드)를 의미하고, HDF는 High Density Fiberboard (고밀도의 파이버보드)를 의미하며, PB는 Particle Board (파티클보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PVC는 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재 패널이 상호간의 조립을 통해 시공되는데, 하나의 바닥재 패널은 단변 및 장변을 가지고 각 단변 및 장변에는 조립을 위한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바닥재 패널은 다른 바닥재 패널과 단변끼리 조립되고 또 다른 바닥재 패널과는 장변끼리 조립되어 전체 바닥재가 이루어진다.
물론 모든 바닥재 패널의 단변 및 장변에 반드시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단변에만 조립구조가 형성되고 장변에는 아무런 조립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단변에는 조립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장변에만 조립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F)은 그 일측에 제1 조립부(F1)가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 제2 조립부(F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바닥재 패널(F)의 제1 조립부(F1)는 다른 바닥재 패널의 제2 조립부(미도시)와 결합하고, 상기 바닥재 패널(F)의 제2 조립부(F2)는 또 다른 바닥재 패널의 제1 조립부(미도시)와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조립부(F1)에는 홈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부(F2)에는 혀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홈부(100)는 다른 바닥재 패널의 혀부(미도시)가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소정의 공간과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혀부(200)는 또 다른 바닥재 패널의 홈부(미도시)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홈부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홈부(100)와 혀부(200)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각각의 바닥재 패널(F)의 상단부(U) 또는 하단부(L)에 미려한 외관이 나타나도록 장식층이 구비될 수 있고 그 장식층을 보호하거나 바닥재 패널(F) 자체를 보호하도록 보호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바닥재 패널(F)의 상단부(U)와 하단부(L) 모두에 대해 장식층과 보호층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구조와 조립 과정 등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홈부(100)와 혀부(200)를 구비하는데, 도 3에서는 제1 바닥재 패널(1)에 구비되는 홈부(100)와 제2 바닥재 패널(2)에 구비되는 혀부(200)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는 상부립(110), 하부립(120), 공간부(130) 및 단턱부(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립(110)은 제1 바닥재 패널(1)의 상단부(101)로부터 측면으로 소정 돌출되어 구비되며 홈부(100)의 천정부(111)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립(120)은 제1 바닥재 패널(1)의 하단부(102)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상부립(110) 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홈부(100)의 바닥부(131)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립(110)과 하부립(120)은 소정 간격 떨어져서 배치되는데, 상기 공간부(130)은 상기 상부립(110)과 상기 하부립(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혀부(200)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단턱부(140)는 상기 하부립(120)의 단부에 위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혀부(200)가 상기 공간부(130)로 삽입되어 조립될 때 상기 혀부(200)와 수평 방향의 체결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공간부(130)는 상부립(110)에 의해 마련되는 천정부(111)와 하부립(120)에 의해 마련되는 바닥부(131), 그리고 가이드 월(13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월(132)은 홈부(100)의 내벽,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간부(130)의 내벽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 월(132)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립(110)은 천정부(111)와 가이드부(112)를 포함하는데, 상기 천정부(111)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천정부(111)로부터 더 돌출되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혀부(200)가 공간부(130)로 진입할 때 혀부(200)의 진입을 가이드 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200)는 혀돌출부(210), 걸림턱(220), 수용부(2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혀돌출부(210)는 혀부(200)가 홈부(100)에 삽입되어 위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부립(110)의 천정부(111)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마련되는 부분이다.
상기 혀돌출부(210)는 상기 홈부(100)의 상부립(110)의 천정부(111)에 대응하는 걸림부(211), 상기 걸림부(2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11)가 상기 천정부(111)에 걸릴 때 상기 가이드부(112)와 대응되는 연장부(212), 그리고 혀돌출부(11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220)은 상기 혀바닥부(213)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혀부(200)가 상기 홈부(100)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상기 홈부(100)의 단턱부(140)에 걸려서 상기 단턱부(140)와 함께 바닥재의 수평방향 체결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30)는 상기 혀부(200)가 상기 홈부(100)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상기 홈부(100)의 단턱부(140)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부분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수평방향 체결력은 단턱부(140)와 걸림턱(220)에 의해 제공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턱부(140)의 내벽부(142)와 걸림턱(220)의 외벽부(223)가 서로 맞닿도록 조립됨으로써 수평방향 체결력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140)의 내벽부(142)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θ1)는 실질적으로 80° ≤ θ1 ≤ 100°의 범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20)의 하단부(221)와 걸림턱(220)의 외벽부(223)가 이루는 각도(θ2)는 실질적으로 80° ≤ θ2 ≤ 100°의 범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부(140)의 내벽부(142)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θ1)는 실질적으로 90°가 되도록 하여 홈부(100)와 혀부(200)의 체결력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즉 단턱부(140)의 내벽부(140)는 거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걸림턱(220)의 외벽부(223)도 거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수평 방향에 대한 체결력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턱부(140)의 높이, 즉 단턱부(140)의 상단부(141)로부터 하단부(102)까지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230)의 천정부(231)로부터 제2 바닥재 패널(2)의 하단부(202)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턱(220)은 수용부(230)의 천정부(231)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혀부(200)의 걸림턱(220) 하단부(221)에서 바닥부(202)까지의 수직방향 길이는 홈부(100)의 단턱부(140) 외벽부(143)의 길이 보다 항상 작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혀부(200)를 홈부(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진입할 때 혀부(200)의 걸림턱(220)의 내벽부(222)가 단턱부(140)의 외벽부(143)에 걸려서 혀부(200)를 홈부(100)로 진입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140)의 상단부(141)와 외벽부(143)가 이루는 각도(θ3)는 실질적으로 80° ≤ θ3 ≤ 100°의 범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즉 거의 수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혀부(200)를 수평방향으로 홈부(100)에 결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혀부(200)를 홈부(100)에 진입시켜 조립하기 위해서는 혀부(200)를 위로 회전시켜 홈부(100)의 공간부(130)로 비스듬하게 삽입시키는 수밖에 없다.
이때 상기 홈부(100)에서 상부립(110)과 단턱부(140) 사이의 거리는 혀부(200)가 비스듬하게 진입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그 거리가 너무 멀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홈부(100)에서 상부립(110)과 단턱부(140) 사이의 거리와 단턱부(140)의 높이 등은 혀부(200)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200)를 홈부(100)에 삽입할 때에는 제2 바닥재 패널(2)을 위로 회전시켜 공간부(130)로 삽입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걸림턱(220) 외벽부(223)가 단턱부(140)의 외벽부(143)에 걸리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혀부(200)를 홈부(100)에 삽입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의 상부립(110)의 단부(도 3에서 보면 가이드부(112)의 단부)와 혀부(200)의 상단 모서리 부분(도 3에서 보면 상단부(201)와 연장부(21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서로 맞닿아 피봇점(P)을 형성하고, 그 피봇점(P)을 기준으로 혀부(20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혀부(200)의 걸림턱(220)이 홈부(100)의 단턱부(140)에 걸리게 된다.
즉 피봇점(P)을 중심으로 혀부(20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C 궤적이 그려진다.
이때 C 궤적은 혀부(200)의 걸림턱(220) 하단부(221)와 외벽부(223)가 만나는 모서리가 회전에 의해 형성하는 궤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상기한 C 궤적이 단턱부(140)의 상단부(141)를 지나도록 홈부(100)와 혀부(200)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부립(110)과 하부립(120), 그리고 단턱부(140)를 구성함에 있어서 혀부(2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봇점(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C 궤적을 이룰 때에는 혀부(200)의 걸림턱(220)의 모서리가 그리는 C 궤적이 단턱부(140)의 상단부(141)를 지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혀부(200)를 홈부(100)에 결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점(P)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는 혀부(200)가 홈부(100)에 결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방식으로는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성 하에서 홈부와 혀부가 다른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100)와 혀부(200)의 조립 과정을 도 3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100)에 혀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혀부(200)를 위로 회전시켜 비스듬하게 한 상태에서 혀부(200)의 모서리(E)가 상부립(110)의 가이드부(112)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혀돌출부(210)와 걸림턱(220)이 공간부(130)로 완전히 진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혀돌출부(210)의 혀바닥부가 홈부(100)의 바닥부(131)와 접촉될 수도 있고 접촉될 정도로 인접될 수도 있다.
즉 혀부(200)가 홈부(100)의 공간부(130)로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혀부(200)의 상단 모서리(E)가 상기 상부립(110)의 천정부(111)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걸림턱(220)이 상기 단턱부(140)의 내벽부(142) 안쪽에 위치된다(도 6 참조).
따라서, 홈부(100)의 공간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혀부(200)의 혀돌출부(210)가 상부립(110) 아래쪽에 위치하고 걸림턱(220)이 단턱부(140)의 내벽부(142) 안쪽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의 바닥부(131)의 너비(ⓐ)는 상기 혀부(200)의 혀돌출부(210)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턱(220)의 하단부(221)와 걸림턱(220)의 외벽부(223)가 만나는 모서리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 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200)가 홈부(100)에 완전히 진입한 경우, 혀돌출부(210)의 단부(S)는 홈부(100)의 가이드 월(132)에 접촉되거나 거의 접촉될 정도로 인접되고, 걸림턱(220)의 외측 모서리(R)는 단턱부(140)의 내벽부(142)에 접촉되거나 거의 접촉될 정도로 인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200)가 홈부(100)의 공간부(130)로 완전히 삽입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돌출부(210) 부분이 위쪽으로 회전하도록 혀부(200)를 회전시킨다.
이때 혀돌출부(210)의 단부(S)는 가이드 월(132)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걸림턱(220)의 외측 모서리(R)는 단턱부(140)의 내벽부(142)를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즉 홈부(100)의 가이드 월(132)은 혀부(200)의 혀돌출부(210)의 단부(S)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단턱부(140)의 내벽부(142)는 걸림턱(22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이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관하여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때 바람직하게는 혀부(200)의 상단 모서리(E)는 상부립(110)의 가이드부(112)를 따라 위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이 진행되면서 혀돌출부(210)의 걸림부(211)가 상부립(110)의 천정부(111)에 맞닿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에 혀부(200)를 결합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에 혀부(200)를 결합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홈부(100)의 바닥부(131), 가이드 월(132), 그리고 혀부(200)의 혀바닥부(213) 등에 의해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에 혀부(200)가 결합 완료되면, 단턱부(140)는 수용부(230)에 수용되는데, 이때 단턱부(140)의 상단부(141)가 수용부(230)의 천정(231)과 맞닿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140) 상단부(141)에서 하단부(102)까지의 길이(ⓔ)를 수용부(230) 천정(231)에서 하단부(202)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턱부(140)의 너비(ⓒ)는 수용부(230)의 너비(ⓓ) 보다 더 작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에 혀부(200)가 결합 완료되면 단턱부(140)가 수용부(230)에 수용되면서 약간의 공간이 남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월(132)의 길이(ⓦ)는 상기 혀돌출부(210)의 걸림부(211)로부터 걸림턱(220)의 하단부(221)까지의 수직방향 길이 보다 더 길게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홈부(100)의 바닥부(131)는 가이드 월(132) 쪽과 단턱부(140) 쪽이 서로 다르게 됨이 바람직하다.
즉 홈부(100)의 바닥부(131)는 상기 단턱부(140)의 내벽부(142)로부터 상기 가이드 월(132)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더 낮아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월(132) 쪽에서 단턱부(140)로 바닥부(131)를 따라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월(132)의 길이(ⓦ)를 길게 하고 홈부(100)의 바닥부(131)를 가이드 월(132) 쪽에서 더 깊게 형성되도록 한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200)가 홈부(100)의 공간부(130)로 삽입되어 혀돌출부(210)가 상부립(110)의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걸림턱(220)이 단턱부(140)의 내벽부(142)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완전히 깊숙이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혀부(200)가 홈부(100)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조립되는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홈부(100)에 혀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혀돌출부(210)를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각각의 단계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200)가 홈부(100)에서 회전할 때 혀돌출부(210)의 단부(S)는 가이드 월(132)에 의해 가이드 되어 위로 이동하고, 걸림턱(220)의 외측 모서리(R)는 단턱부(140)의 내벽부(142)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혀돌출부(210)의 단부(S)가 지나는 지점과 걸림턱(220)의 외측 모서리(R)가 지나는 지점을 도 10에서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P1, P2, ... Pn은 혀부(200)의 걸림턱(220) 외측 모서리(R)가 지나는 점들을 나타낸 것이고, Q1, Q2, ... Qn1, Qn2, Qn3, Qn4는 혀부(200)의 혀돌출부(210)의 단부(S)가 지나는 점들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P1은 Q1과 대응하고, P2는 Q2와 대응하며, Pn은 Qn1, Qn2, Qn3, Qn4 에 각각 대응한다.
즉 혀부(200)를 회전시킬 때 걸림턱(220) 외측 모서리(R)가 P1의 위치에 올 때 혀돌출부(210)의 단부(S)는 Q1의 위치에 오게 되고, 걸림턱(220) 외측 모서리(R)가 P2의 위치에 올 때 혀돌출부(210)의 단부(S)는 Q2의 위치에 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다가 걸림턱(220) 외측 모서리(R)가 Pn의 위치에 도달할 때부터는 Pn점이 중심점이 되어 혀돌출부(210)의 단부(S)가 Qn1, Qn2, Qn3, Qn4 지점을 따라 회전하면서 걸림부(211)가 천정부(111)에 걸림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즉 처음에 혀부(200)를 홈부(100)의 공간부(130)로 진입시킨 후 회전을 하면, P1과 Q1이 잇는 선과 P2와 Q2가 잇는 선이 서로 만나는 점이 중심점이 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혀돌출부(210)의 단부(S)가 가이드 월(13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걸림턱(220) 외측 모서리(R)도 단턱부(140)의 내벽부(14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걸림턱(220) 외측 모서리(R)가 Pn 지점에 도착하게 되면, 그때부터는 상기 Pn 지점이 회전의 중심점으로서 고정되고 혀돌출부(210)의 단부(S)가 가이드 월(132)을 따라 이동하면서 Qn1, Qn2, Qn3, Qn4 지점들을 지나는 궤적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월(132)의 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에 맞도록 가공되어 혀돌출부(210)의 단부(S)가 그리는 궤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닥재와 동일하고 다만 홈부(100)의 상부립(11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의 상부립(110)은 가이드부(112)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베벨부(113)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베벨부(113)를 형성할 경우, 홈부(100)에 혀부(200)가 조립 완료되면 혀부(200)의 연장부(212)와 함께 실질적으로 "V"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처럼 보이는 효과가 있어 바닥재의 시공 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상기한 베벨부(113)에 관한 사항 이외에 나머지 부분들은 모두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들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와 동일하고, 홈부(100)의 단턱부(140)의 구성 및 혀부(200)의 걸림턱(22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그 차이 나는 부분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부분들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의 단턱부(140)는 내벽부(142)로부터 상단부(141)까지 실질적으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는 홈단차부(144, 145)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혀부(200)의 걸림턱(220)은 외벽부(223)로부터 하단부(221)까지 실질적으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는 혀단차부(224, 225)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홈단차부는 홈단차 바닥부(144)와 홈단차 측벽부(145)를 포함하고, 혀단차부는 혀단차 바닥부(224)와 혀단차 측벽부(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조립 과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3의 (a)는 홈부(100)에 혀부(200)가 진입하기 위해 혀돌출부(210)가 아래로 가도록 바닥재 패널을 위로 비스듬히 회전시켜 진입시키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의 (b)는 홈부(100)의 공간부(130)에 혀부(200)를 완전히 삽입(상부립(110)의 아래쪽에 혀부(200)의 상단 모서리(E)가 위치하고 혀돌출부(210)가 가이드 월(132)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걸림턱(220)이 단턱부(140)의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오도록 위치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3의 (c)는 홈부(100)의 공간부(130) 내부에서 혀부(200)를 회전시키되 혀돌출부(210)가 위쪽으로 이동되도록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d)는 홈부(100)에 혀부(200)가 완전히 조립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조립 과정과 조립 방법 등의 메커니즘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조립 메커니즘과 동일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턱(220)의 혀단차부(224, 225) 및 단턱부(140)의 홈단차부(144, 145)의 구성으로 말미암아 R1과 R2 가 각각 단턱부 내벽부(142) 및 홈단차 측벽부(145)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혀돌출부(210)의 단부(S)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궤적으로 움직인다.
혀부(200)가 홈부(100)에서 회전할 때, R1이 단턱부 내벽부(142)를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혀돌출부(210)의 단부(S)도 가이드 월(132)을 따라 위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R2도 홈단차 측벽부(145)와 접촉하여 이를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홈부(100)에 혀부(200)가 조립 완료되면, 단턱부(140)의 내벽부(142)는 걸림턱(220)의 내벽부(222)와 맞닿고, 단턱부(140)의 홈단차 바닥부(144)는 걸림턱(220)의 혀단차 바닥부(224)와 맞닿으며, 단턱부(140)의 홈단차 측벽부(145)는 걸림턱(220)의 혀단차 측벽부(225)와 맞닿으면서 단턱부(140)의 상단부(141)가 수용부(230)의 천정(231)에 맞닿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바닥재 패널들을 서로 조립함에 있어서 종래의 바닥재 패널 조립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조립 방식에 의한 바닥재를 제공하며, 바닥재 패널들 사이의 조립이 간단하고 충격을 가할 필요가 없어 파손의 위험도 없으며, 조립 후에도 수평 방향으로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20)

  1.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상기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혀부는,
    소정 돌출되어 마련되는 혀돌출부와, 상기 혀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와, 상기 혀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혀돌출부가 걸리는 상부립과, 상기 홈부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부립과, 상기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턱부와, 상기 홈부의 내벽을 이루며 상기 혀부가 상기 상부립과 하부립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단턱부와 접촉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른 상기 혀돌출부의 단부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월과 상기 하부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로 삽입될 때 상기 혀부의 상단 모서리가 상기 상부립의 아래쪽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단턱부 안쪽으로 위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2.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상기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는 상부립과, 상기 홈부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부립과, 상기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위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립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마련되는 혀돌출부와, 상기 혀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와, 상기 혀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할 때 상기 걸림턱이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와 접촉되어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를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혀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상부립의 하단부를 향하여 위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돌출부가 상기 상부립에 걸림으로써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3.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상기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는 상부립과, 상기 홈부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부립과, 상기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위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립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마련되는 혀돌출부와, 상기 혀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혀바닥부와, 상기 혀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홈부에, 상기 혀부가 삽입될 때 상기 혀돌출부가 상기 상부립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단턱부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혀바닥부가 상기 홈부의 바닥부에 인접 또는 접촉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내벽을 이루어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혀부가 상기 공간부로 진입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와 접촉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혀부의 단부의 궤적을 따라 회전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할 때, 회전의 기준점은 상기 걸림턱과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가 접촉되는 지점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할 때, 상기 걸림턱의 외측 모서리가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을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혀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월을 따라 위쪽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월의 길이는 상기 혀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까지의 수직방향 길이 보다 더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바닥부는,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월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더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는,
    상기 홈부에 조립될 때 상기 걸림턱이 상기 단턱부에 걸림에 따라 상기 단턱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재 패널의 하단부에서 상기 홈부의 단턱부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2 바닥재 패널의 하단부에서 상기 혀부의 수용부 천정까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상부립의 단부와 상기 혀부의 상단 모서리가 서로 맞닿아 형성되는 피봇점을 중심으로 상기 혀부를 회전할 때, 상기 걸림턱의 외측 모서리가 이루는 궤적이 상기 단턱부의 상단부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θ1)는 실질적으로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0° ≤ θ1 ≤ 100°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와 걸림턱의 외벽부가 이루는 각도(θ2)는 실질적으로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0° ≤ θ2 ≤ 100°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바닥부의 너비는 상기 혀부의 혀돌출부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와 걸림턱의 외벽부가 만나는 모서리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 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립은,
    상기 홈부의 천정을 이루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조립될 때 상기 혀돌출부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천정부와,
    상기 천정부로부터 상기 상부립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위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혀부가 조립을 위해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는,
    상기 혀돌출부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천정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를 갖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상단부와 상기 단턱부의 외벽부가 이루는 각도(θ3)는 실질적으로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0° ≤ θ3 ≤ 100°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단턱부의 내벽부로부터 상기 단턱부의 상단부까지 실질적으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는 홈단차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홈단차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걸림턱 외벽부로부터 상기 걸림턱 하단부까지 실질적으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는 혀단차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립은,
    상기 가이드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베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패널은 목재, 합판, PB, MDF, HDF, PVC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식층 및 보호층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PCT/KR2010/001560 2009-03-31 2010-03-12 바닥재 WO2010114236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0232115A AU2010232115B2 (en) 2009-03-31 2010-03-12 Flooring article
CA2756385A CA2756385C (en) 2009-03-31 2010-03-12 Floorboard
US13/258,734 US8528290B2 (en) 2009-03-31 2010-03-12 Flooring article
EP10758961.6A EP2415945B1 (en) 2009-03-31 2010-03-12 Flooring art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225 2009-03-31
KR1020090027225A KR100958396B1 (ko) 2009-03-31 2009-03-31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4236A2 true WO2010114236A2 (ko) 2010-10-07
WO2010114236A3 WO2010114236A3 (ko) 2010-12-23

Family

ID=4228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1560 WO2010114236A2 (ko) 2009-03-31 2010-03-12 바닥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8290B2 (ko)
EP (1) EP2415945B1 (ko)
KR (1) KR100958396B1 (ko)
AU (1) AU2010232115B2 (ko)
CA (1) CA2756385C (ko)
WO (1) WO2010114236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7527B2 (en) 2009-09-04 2018-08-14 Va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US10287777B2 (en) 2016-09-30 2019-05-14 Va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US10316526B2 (en) 2014-08-29 2019-06-11 Valinge Innovation Ab Vertical joint system for a surface covering panel
US10407919B2 (en) 2013-03-25 2019-09-10 Valinge Innovation Ab Floorboards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US10704269B2 (en) 2010-01-11 2020-07-07 Valinge Innovation Ab Floor covering with interlocking design
EP3708739A1 (de) * 2019-03-12 2020-09-16 Flooring Technologies Ltd. Hartes fussbodenpaneel zur schwimmenden verlegung unter ausbildung eines fussbodenpaneelverbundes
US10808410B2 (en) 2018-01-09 2020-10-20 Va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US10837181B2 (en) 2015-12-17 2020-11-17 Valinge Innovation Ab Method for producing a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panels
US11725395B2 (en) 2009-09-04 2023-08-15 Vä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9415C (en) 2013-03-11 2018-02-07 Trane Int Inc Detection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a HVACR compressor
CN104912296A (zh) * 2015-06-24 2015-09-16 浙江宏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高耐候卡槽地板及其制备方法
CN105387605B (zh) * 2015-12-09 2018-1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
JP2018188820A (ja) * 2017-04-28 2018-11-29 凸版印刷株式会社 床材
RU2022108419A (ru) * 2017-06-27 2022-04-06 Флоринг Индастриз Лимитед, Сарл Стеновая или потолочная панель и стеновой или потолочный узел
EP3489431B1 (de) * 2017-11-24 2022-04-13 Surface Technologies GmbH & Co. KG Paneel
WO2020156954A1 (en) * 2019-01-29 2020-08-06 Vilox Ab Joining system for furniture parts
JP2022548828A (ja) 2019-09-06 2022-11-22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 床パネルおよび床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853Y2 (ja) * 1989-12-12 1995-11-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連結形デッキ材
JPH0748853A (ja) 1991-02-18 1995-02-21 Matsumoto Kokan Kk 土木工事用強化防水シート及びその製造法
SE9500810D0 (sv) * 1995-03-07 1995-03-07 Perstorp Flooring Ab Golvplatta
SE515789C2 (sv) * 1999-02-10 2001-10-08 Perstorp Flooring Ab Golvbeläggningsmaterial innefattande golvelement vilka är avsedda att sammanfogas vertikalt
DE10001076C1 (de) 2000-01-13 2001-10-04 Huelsta Werke Huels Kg Paneelelement
JP2001329680A (ja) * 2000-05-19 2001-11-30 Eidai Co Ltd 板 材
DE10103505B4 (de) * 2001-01-26 2008-06-26 Pergo (Europe) Ab Boden- oder Wandpaneel
SE520084C2 (sv) * 2001-01-31 2003-05-20 Pergo Europ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sammanfogningsprofiler
BE1014259A6 (nl) * 2001-06-21 2003-07-01 Geuens Fran Ois Zwevende plaatsing van een massieve houten plankenvloer (type 3).
US6823638B2 (en) * 2001-06-27 2004-11-30 Pergo (Europe) Ab High friction joint, and interlocking joints for forming a generally planar surfa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PL191233B1 (pl) * 2002-12-31 2006-04-28 Barlinek Sa Panel podłogowy
US20040250495A1 (en) * 2003-06-11 2004-12-16 Redi-Rock International, Llc Cast concrete paver block
US7886497B2 (en) * 2003-12-02 2011-02-15 Valinge Innovation Ab Floorboar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flooring, and a flooring formed thereof
US7841144B2 (en) 2005-03-30 2010-11-30 Valinge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panel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PT1723291E (pt) * 2004-12-01 2008-05-23 Berry Finance Nv Método de fabrico de um painel de piso
US8215078B2 (en) * 2005-02-15 2012-07-10 Välinge Innovation Belgium BVBA Building panel with compressed edg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94593Y1 (ko) 2005-06-09 2005-09-02 오광석 조립식 바닥재
EP1734202A1 (fr) * 2005-06-14 2006-12-20 Tarkett SAS Panneau pourvu d'un adhésif repositionnable, en particulier pour le revêtement de sols, murs ou plafonds
BE1017232A6 (nl) * 2006-07-19 2008-05-06 Flooring Ind Ltd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vloerpanelen volgens deze werkwijze verkregen en set van gereedschappen hierbij aangewen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415945A4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7527B2 (en) 2009-09-04 2018-08-14 Va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US11725395B2 (en) 2009-09-04 2023-08-15 Vä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US10526793B2 (en) 2009-09-04 2020-01-07 Va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US11795701B2 (en) 2010-01-11 2023-10-24 Välinge Innovation AB Floor covering with interlocking design
US11359387B2 (en) 2010-01-11 2022-06-14 Valinge Innovation Ab Floor covering with interlocking design
US10704269B2 (en) 2010-01-11 2020-07-07 Valinge Innovation Ab Floor covering with interlocking design
US10844612B2 (en) 2013-03-25 2020-11-24 Valinge Innovation Ab Floorboards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US11421426B2 (en) 2013-03-25 2022-08-23 Valinge Innovation Ab Floorboards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US11898356B2 (en) 2013-03-25 2024-02-13 Välinge Innovation AB Floorboards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US10407919B2 (en) 2013-03-25 2019-09-10 Valinge Innovation Ab Floorboards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US10316526B2 (en) 2014-08-29 2019-06-11 Valinge Innovation Ab Vertical joint system for a surface covering panel
US11661749B2 (en) 2014-08-29 2023-05-30 Valinge Innovation Ab Vertical joint system for a surface covering panel
US10865571B2 (en) 2014-08-29 2020-12-15 Valinge Innovation Ab Vertical joint system for a surface covering panel
US10982449B2 (en) 2014-08-29 2021-04-20 Valinge Innovation Ab Vertical joint system for a surface covering panel
US10837181B2 (en) 2015-12-17 2020-11-17 Valinge Innovation Ab Method for producing a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panels
US10851549B2 (en) 2016-09-30 2020-12-01 Va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US10287777B2 (en) 2016-09-30 2019-05-14 Va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US11814850B2 (en) 2016-09-30 2023-11-14 Vä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US11808045B2 (en) 2018-01-09 2023-11-07 Vä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US10808410B2 (en) 2018-01-09 2020-10-20 Va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
WO2020182453A1 (de) * 2019-03-12 2020-09-17 Flooring Technologies Ltd. HARTES FUßBODENPANEEL ZUR SCHWIMMENDEN VERLEGUNG UNTER AUSBILDUNG EINES FUßBODENPANEELVERBUNDES
EP3708739A1 (de) * 2019-03-12 2020-09-16 Flooring Technologies Ltd. Hartes fussbodenpaneel zur schwimmenden verlegung unter ausbildung eines fussbodenpaneelverbundes
US11976470B2 (en) 2019-03-12 2024-05-07 Flooring Technologies Ltd. Hard floor panel for floating installation with the formation of a flooring pane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396B1 (ko) 2010-05-18
AU2010232115A1 (en) 2011-11-24
CA2756385C (en) 2014-05-20
WO2010114236A3 (ko) 2010-12-23
AU2010232115B2 (en) 2013-10-17
EP2415945A4 (en) 2016-11-16
US20120017534A1 (en) 2012-01-26
EP2415945B1 (en) 2018-05-16
EP2415945A2 (en) 2012-02-08
CA2756385A1 (en) 2010-10-07
US8528290B2 (en)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4236A2 (ko) 바닥재
WO2017204453A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WO2011108812A2 (ko)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
WO201609898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025165A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WO2015084019A1 (ko) 조립식 안전도어
WO2014196750A1 (ko)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WO2015133768A1 (ko) 끼움결합부재를 이용한 바닥재
WO2014046496A2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WO2021149873A1 (ko)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WO2019139255A1 (ko)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WO2013048178A1 (ko) 금속 조각의 걸림구조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 구조물
WO2022010236A1 (ko) 건축 마감용 패널
WO2024076082A1 (ko)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WO2012128503A1 (ko) 에어 시일드 윈도우
WO2018110957A2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축조 구조 및 연결 구조체
WO2013154357A1 (ko) 건축용 몰딩장치
WO2023013980A1 (ko) 건축물의 현관 바닥구조
WO2017018780A1 (ko) 조립식 관 및 이의 조립방법
WO201704790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 window
WO2019235677A1 (ko) 건축용 부재
WO201913241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08475A1 (ko) 패널을 이용한 발판
WO2014025166A1 (ko) 외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08907A1 (ko) 패널 및 패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589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258734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756385

Country of ref document: C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589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23211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00312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