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39255A1 -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39255A1
WO2019139255A1 PCT/KR2018/015168 KR2018015168W WO2019139255A1 WO 2019139255 A1 WO2019139255 A1 WO 2019139255A1 KR 2018015168 W KR2018015168 W KR 2018015168W WO 2019139255 A1 WO2019139255 A1 WO 20191392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door
side wall
extension panel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1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광
Original Assignee
이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광 filed Critical 이재광
Publication of WO20191392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392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lement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which can be easily accessed by a companion anim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existing sliding door.
  • FIG. 1 shows a general shape of a sliding door installed in a home or the like.
  • the doors are heavy in weight and are opened only when the handle is turned or pushed to the side, so that when a companion wishes to open or move the door, the person has to open or close the door each time I d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comprising: a plate having a flat plate structure having an auxiliary door and having a predetermined uniform thickness; And one or more fastening portions,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one end of the door.
  •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A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And a central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and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has a pair of central connecting portion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plane of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side wall surface from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side wall surfac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plane of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side wall edge, and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door side end portion, and the plate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Structure.
  •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central connecting part and the center connecting part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connecting part becomes larger.
  • the side wall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angential line. Preferably at an angle of 180 DEG or more.
  • a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inwardly at a tangential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may be further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rear extension panel has a structure in which a gap is increased as the door is farther from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not inserted.
  •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has a circular perforated portion, and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ion.
  • a handle coupled to a thread of the perforation; And a packing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 a longitudinal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 shape tightly jo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a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late is fastened; And an elastic membe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and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pace between the plate and the door.
  •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is not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with the door side end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 the depression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ate is pushed and inserted until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side wall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late, so that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side wall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of the front extension panel are the same Plane.
  •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to complete the assembly.
  • auxiliary door for the companion animal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auxiliary door for the companion animal by simply detaching and attaching the existing door without removing or replacing the door of the existing apartment or the house.
  • the existing door can be used as it is, the construction cost is not increased at all,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complicated, so that the unit cost of the product itself can be lower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economical efficiency .
  • FIG. 1 is a view showing a shape of a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fastening the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to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portion changes as the plate and the door are inserted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of a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auxiliary doors.
  • Fig. 2 shows an outline of a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includes a plate 1100, a coupling part 1200, an auxiliary door 1300, and a hermetic member 1400.
  • the plate 1100 may preferabl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crylic, and may be a flat plate structure having a uniform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plate 110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door 1300.
  • the auxiliary door 13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osition and size such that the companion animal 1 can be moved.
  •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auxiliary door 1300 are not limited.
  • the plate 1100 is manufactur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2, which has a vertical height. Since the door frame 2 is generally standardized, the vertical height of the plate 1100 can also be made to meet the standard.
  • the width of the plate 1100 is divided into several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ustom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i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mpanion animal 1 and the size of the space to be constructed.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fastening the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to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astening part 1200 is a means for fastening the plate 1100 to one end of the door 3,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 force. It is preferable to fabricate a synthetic resin rather than a metal.
  • the plate 1100 can be detachably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door 3 by the fastening portion 1200.
  • Such a fastening portion 12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wo or more such that the plate 1100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door 3.
  • the hermetic member 1400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200 of the plate 1100.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astening part 1200.
  • the fastening part 1200 has a structure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astening part 1200 includes a central connection part 1220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lose to the C shape, a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121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0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1230 extending in a generally opposite direction to the rear extension panel 1210.
  •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0 has a pair of central connection part side wall surfaces 1222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plane 1221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is formed into a C-shaped cross section.
  • the pair of central connection part side wall surfaces 1222 are formed so as to be closer to each other as they are away from the center connection surface 1221 in a state where the plate 1100 is not inserted therein.
  •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central surface 1221 and the pair of central connecting portion side wall surfaces 1222 are preferably planar and the angle between each central connecting side wall surface 1222 and the center connecting central surface 1221 is 90 ° And are preferably equal to each other.
  • the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1210 each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side wall 1222,
  • the pair of front extending panels 1210 are distant from each other.
  • each central connecting portion side wall surface 1222 and the inner side surface 1211 of the front extending panel 1210 in the state that the plate 1100 is not inserted therein is 180 degrees or more.
  • the protrusion 1212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each central connecting portion side wall 1222 and the front extending panel 12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protrusion 1212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1200.
  • a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1230 are extended from the positions where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side wall 1222 and the front extension panel 12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spective front extension panels 1210,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1230 is longer than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1210.
  •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1230 pass through the bending extension parts 1232 extending from the respective central connection side wall 1222 and the front extension panel 1210 in the out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bent and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1210.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part as the plate and the door are inserted, respectively.
  • the pair of the front extension panels 121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becomes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0.
  • the inner side surface 1231 of the rear extension panel 1230 be formed with a concavo-convex structure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Or a rubber packing may be attached.
  • the rear extension panel 1230 may have a constant cross-sectional thickness.
  • At least one side of the rear extension panel 1230 may be formed with a circular perforation 1233 preferably.
  •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ion 1233 by cutting.
  • a circular knob 1241 having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of the perforation 1233 may be fitted into the perforation 1233 by being fitted into the perforation 1233.
  • a packing 1242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ner side 1231 of the rear extension panel 1230 of the handle 1241.
  • the packing 1242 may be made of rubber.
  •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1220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ly long depressed portion inside the one side end portion of the door 3.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ear extension panels 123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one end portion of the door 3, the inner side surface 1231 of the rear extension panel 1230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door 3 As shown in Fig.
  • the handle 1241 can be slightly rotated to hold the seat.
  • Two or more fastening portions 1200 are fastened to the door 3 and fixed.
  • the plate 1100 is temporarily pushed in between the front extension panels 1210 of the respective fastening portions 1200. Grasp the plate 1100 and slowly push it into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front extension panels 1210.
  • the plate 110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epression 111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IG. 5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ate 1100 is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1210 and the fastening is completed.
  •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central surface 122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1100 and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ront extending panels 121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late 1100 with respect to the outermost side.
  •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side wall 1222 and the pair of front extension panels 1210 is closer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1100.
  • the angle between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side wall 1222 and the inner side 1211 of the pair of front extending panels 1210 is approximately 180 °.
  • the knob 1241 provided on each fastening part 1200 can be further tightly fixed to the end surface of the door 3 completely.
  • the plate 1100 is completely fixed to one end of the door 3, and the user can freely open or close the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f it were a part of the original door 3.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hermetic member.
  • the hermetic member 1400 includes a vertical beam 1410 having a C-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an elastic member 1420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1410.
  • the inner space of the vertical beam 1410 preferably coincides with the thickness of the plate 1100 and can be pushed and fixed at the side of the plate 1100.
  • the elastic member 142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rubber.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the hermetic member 14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3 is closed with the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fastened to the door 3, sufficient airtightness is secured by the hermetic member 1400.
  • auxiliary door 1300 since the auxiliary door 1300 is present, complete airtightness is not achieved, b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mbient air from flowing freely to some extent, and it can be used in the summer or winter season where air conditioning is required.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oor (3)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oor (3), and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the veranda of the home, the door of the entrance hall, and the like.
  • the sliding do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etachable auxiliary door for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used even if it is not necessarily a sliding door.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auxiliary doors.
  • the auxiliary door 13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1.
  • the auxiliary door 1300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at its upper end so that it can be pushed in or out from below.
  • a hing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s shown in FIG. 8 (b).
  • a known member is separately provided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1 can be clos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auxiliary door 1300 is opened and closed.
  • the auxiliary door 130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1100, or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ther than the lower end or the side end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는 보조 도어가 구비되되, 소정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 구조의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타단이 도어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는 한쌍의 전방연장패널; 한쌍의 후방연장패널; 및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과 상기 한쌍의 후방연장패널을 잇는 중앙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는 반료동물용 보조 도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미닫이 문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도어에 관한 것이다.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은 매우 큰 것이어서, 가족이 핵가족화되고 개인이 파편화되는 현실에 대한 보상심리가 결합되면서 최근 수년간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정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함께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단순한 애완동물이라는 관점이 아니라 점차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학대나 가혹행위에 대해서는 법적인 처벌까지 이루어지는 등 법률적인 보완까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반려동물 용품시장 또한 과거에는 단순히 잠자리나 먹이 정도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면, 최근에는 반려동물이 보다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기호제품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사료보다는 간식에 대한 수요자의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기 시작하다가, 반려동물의 의복의 판매량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반려동물의 거주환경을 보다 적극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캣타워와 같은 용품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으며 심지어 집을 짓거나 인테리어를 할 때 반려동물의 행동반경이나 습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한편, 도 1은 가정 등에 설치된 일반적인 슬라이딩 도어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어는 무게가 무겁고, 손잡이를 돌리거나 옆으로 밀어주는 등의 조작을 해야 열리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문을 열고 나가거나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이 매번 문을 열어주거나 닫아줘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곤 한다.
가정이나 기타 공간 내에서 반려동물이 제약없이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집을 짓거나 인테리어를 할 때 통로를 만들기도 하지만, 이는 매우 큰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실 쉽지 않은 선택옵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려동물들이 드나들 수 있는 보조도어가 구비된 도어가 제작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고가일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사를 다닐 때마다 이를 철거하거나 원상복구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우리나라 환경에서는 섣불리 이와 같은 시공을 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각 방이나 화장실, 베란다 등이 모두 도어로 구분되어 있고, 반드시 이를 열고 닫아야만 반려동물이 구획으로 나눠진 공간을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이동편의를 위한 보조도어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하겠으나, 시공이 복잡하고 고가이거나, 원상복구가 쉽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어 반려동물 애호가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기존의 아파트나 주택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도어를 재시공하지 않고 간단히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의 개발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기존의 도어를 재시공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간단히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보조도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는, 보조 도어가 구비되되, 소정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 구조의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타단이 도어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한쌍의 전방연장패널; 한쌍의 후방연장패널; 및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과 상기 한쌍의 후방연장패널을 잇는 중앙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연결부는 중앙연결부 중앙면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쌍의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이 서로 대향하며 구비됨으로써 ㄷ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한 쌍의 전방연장패널은 상기 중앙연결부 중앙면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 끝단에서부터,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쌍의 후방연장패널은 각각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 끝단에 연결되되,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의 연장방향의 역방향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도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부가 상기 도어 측단부의 함몰된 부위로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전방연장패널 사이 공간으로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은 상기 중앙연결부 중앙면로부터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지되, 상기 전방연장패널은 상기 중앙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간격이 벌어진다.
한편,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과 상기 전방연장패널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은 접선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80°이상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과 상기 전방연장패널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의 접선 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연장패널은 도어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중앙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원형으로 천공된 천공부가 구비되되, 상기 천공부의 내측면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타측면에 구비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밀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의 체결부가 체결되는 부위의 타측 끝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밀착되어 체결되는 ㄷ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세로 빔; 및 상기 세로 빔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도어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와의 사이 공간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기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와 도어의 체결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도어 측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함몰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될 때까지 플레이트를 밀어넣어 체결한다.
상기 플레이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과 상기 전방연장패널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밀착함으로써,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과 상기 전방연장패널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이 동일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과 상기 전방연장패널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이 동일평면을 이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에 내측 방향으로의 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기존 아파트나 주택의 도어를 철거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기존 도어를 그대로 유지한 채 간단히 탈부착하여 반려동물용 보조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사를 가게 된다거나 기타의 사유로 인해 보조도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간단히 원상복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도어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전혀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지 않아 제품 자체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구조인 바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가 도어에 체결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체결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플레이트와 도어가 각각 삽입됨에 따라 체결부의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기밀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가 시공된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보조 도어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 부호의 설명 *
1 : 반려동물 2 : 도어 프레임
3 : 도어
1100 : 플레이트
1110 : 함몰부
1200 : 체결부
1210 : 전방연장패널
1211 : 전방연장패널 내측면
1212 : 돌출부
1220 : 중앙연결부
1221 : 중앙연결부 중앙면
1222 :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
1230 : 후방연장패널
1231 : 후방연장패널 내측면
1232 : 절곡연장부
1233 : 천공부
1240 : 밀착부재
1241 : 손잡이
1242 : 패킹
1300 : 보조 도어
1400 : 기밀부재
1410 : 세로 빔
1420 : 탄성부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의 외형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는 플레이트(1100), 체결부(1200), 보조도어(1300) 및 기밀부재(1400)를 구비한다.
플레이트(1100)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과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균일한 소정의 두께를 같는 평판의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00)에는, 보조도어(1300)가 구비된다. 보조도어(1300)는 바람직하게는 반려동물(1)이 드나들 수 있는 위치와 크기로 구비된다. 보조도어(1300)의 형상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제약을 두지 아니한다.
한편, 이러한 플레이트(1100)는 세로 높이가 기성의 도어 프레임(2) 내측 높이에 맞춰 제작된다. 도어 프레임(2)은 대체로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1100)의 세로 높이 또한 규격에 맞게끔 제작할 수 있다.
반면, 플레이트(1100)의 가로 폭은 고객의 수요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눠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반려동물(1)의 종류나, 시공될 공간의 크기에 따라 가로 폭을 달리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가 도어에 체결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체결부(1200)는 플레이트(1100)를 도어(3)의 일측 끝단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금속보다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0)에 의해 플레이트(1100)는 도어(3)에 착탈식으로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200)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되어, 플레이트(1100)를 도어(3)의 일측 단부에 체결한다.
한편, 기밀부재(1400)는 플레이트(1100)의 체결부(1200) 반대 측에 구비되는데, 플레이트(1100)가 체결된 상태로 도어(3)를 닫을 때 플레이트(1100)의 타측 단부를 도어 프레임(2)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체결부(120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체결부(1200)는 대체로 일정한 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되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체결부(1200)는 단면이 ㄷ자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중앙연결부(1220)와, 상기 중앙연결부(1220)에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 상기 전방연장패널(1210)과 대체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을 갖는다.
한편, 상기 중앙연결부(1220)는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쌍의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이 서로 대향하며 구비됨으로써 ㄷ자 형상의 단면을 이룬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플레이트(110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은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가까워지는 형상을 갖는다.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과 한쌍의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평면을 이루는데, 각각의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이 이루는 각도는 90°이내이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은 각각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데,
상기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을 중심으로 대체로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만,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의 끝단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한 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은 서로 멀어진다.
즉, 내부에 플레이트(110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전방연장패널(1210)의 내측면(1211)이 이루는 각도는 1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전방연장패널(1210)이 접하는 위치에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2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212)는 체결부(1200)의 세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각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전방연장패널(1210)이 접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각 전방연장패널(1210)의 반대방향으로 한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이 연장되어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후방연장패널(1230)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간 이격거리보다 멀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은 각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전방연장패널(1210)이 접하는 위치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연장되는 절곡연장부(1232)를 지나, 재차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5는 플레이트와 도어가 각각 삽입됨에 따라 체결부의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 사이의 공간으로 플레이트(1100)가 삽입되면,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한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을 내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은, 상기 중앙연결부(1220)로 가까이 갈수록 단면이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면, 후방연장패널(1230)은 도어(3)의 일측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후방연장패널(1230)의 내측면(1231)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구조가 형성되거나 또는 고무패킹이 부착될 수도 있다.
대신, 후방연장패널(1230)은 그 단면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후방연장패널(1230)의 적어도 일측에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천공된 천공부(123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천공부(1233)의 내측면으로는 나사산이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천공부(1233)의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손잡이(1241)가, 상기 천공부(1233)에 돌려끼움되어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241)의, 상기 후방연장패널(1230) 내측면(1231) 방향면에는 바람직하게는 패킹(12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패킹(1242)은 고무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체결부(120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100)를 도어(3)에 체결하는 과정을 부연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의 일측단부가 각 체결부(1200)의 후방연장패널(12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한다. 정확하게는 각 체결부(1200)를 하나씩 잡고서 도어(3)의 일측단부에 밀어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연결부(1220)는 도어(3)의 일측단부 내측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함몰된 부위로 삽입된다. 한편,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1230)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도어(3)의 일측단부의 두께보다 근소하게 크기 때문에 후방연장패널(1230)의 내측면(1231)은 도어(3)의 외측면에 완전히 밀착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손잡이(1241)을 살짝 돌려서 자리를 잡아줄 수도 있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체결부(1200)를 도어(3)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0)를 각 체결부(1200)의 전방연장패널(1210) 사이로 일시에 밀어넣는다. 플레이트(1100)를 잡고서 전방연장패널(121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서서히 밀어준다.
한편, 플레이트(1100)에는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212)에 대응하는 형상의 함몰부(1110)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12)가 상기 함몰부(1110)에 삽입될 때까지 밀어넣어 체결한다.
도 5의 (c)는 플레이트(1100)가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어 체결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다.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은 상기 플레이트(1100)의 두께와 거의 같으며, 상기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의 이격거리는 최외측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1100)의 두께보다 더 멀다.
반면,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이 접하는 부위를 기준으로, 이격거리는 상기 플레이트(1100)의 두께보다 더 가깝다.
한편,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0)를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하여 상기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에 밀착시키면,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의 내측면(1211)은 상기 플레이트(11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즉,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의 내측면(1211)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180°가 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1100)를 완전히 밀어넣으면,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와 접하는 상기 중앙연결부(1220)의 부위는 외측방향으로 자연스레 밀려나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이 내측방향으로 힘을 받아 도어(3)의 측단부 외부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체결이 완료되면, 각 체결부(1200)에 구비된 손잡이(1241)을 조금 더 돌려 도어(3) 측단면에 완전히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플레이트(1100)는 도어(3)의 일측 단부에 완전히 고정되며,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가 원래 도어(3)의 일부분인 것처럼 자유롭게 열거나 닫을 수 있다.
한편, 도 6은 기밀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기밀부재(1400)는 ㄷ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세로 빔(1410)과 상기 세로 빔(14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탄성부재(1420)로 이루어진다.
세로 빔(1410)의 내부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1100)의 두께와 일치하며, 플레이트(1100)의 측면에서 밀어넣어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420)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가 시공된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를 도어(3)에 체결한 상태로 도어(3)를 닫으면, 기밀부재(1400)에 의해 충분한 기밀성이 확보된다.
물론, 보조도어(1300)가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한 기밀은 이루어지지 않으나 외기가 자유롭게 유동되는 것은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으며, 냉난방이 필요한 하절기나 동절기에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3)를 닫은 상태에서도 반려동물(1)은 보조도어(130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도어(3)의 설치위치에는 제한이 없어 가정집의 베란다, 현관의 중문을 비롯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에서는 슬라이딩 도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슬라이딩 도어가 아니라고 하여도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은 보조 도어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보조도어(1300)는 반려동물(1)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도어(130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힌지가 구비되어, 아래쪽에서 밀고 나가거나 들어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힌지가 구비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려동물(1)이 보조도어(1300)를 열고 들어오거나 나갔을 때 원래위치로 닫힐 수 있도록 별도로 공지의 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1300)는 플레이트(1100)의 가운데 천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위치 또한 하단이나 측단이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Claims (8)

  1. 보조 도어(1300)가 구비되되, 소정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 구조의 플레이트(1100); 및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1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타단이 도어(2)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1200);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1200)는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 한쌍의 후방연장패널(1230); 및 상기 한쌍의 전방연장패널(1210)과 상기 한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을 잇는 중앙연결부(1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부(1220)는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쌍의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이 서로 대향하며 구비됨으로써 ㄷ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한 쌍의 전방연장패널(1210)은 상기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 끝단에서부터,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은 각각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 끝단에 연결되되,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의 연장방향의 역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1230) 사이의 공간으로 도어(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부(1220)가 상기 도어(2) 측단부의 함몰된 부위로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전방연장패널(1210) 사이 공간으로 플레이트(1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은 상기 중앙연결부 중앙면(1221)로부터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지되, 상기 전방연장패널(1210)은 상기 중앙연결부(1220)로부터 멀어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전방연장패널(1210)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1221)은 접선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전방연장패널(1210)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1221)의 접선 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12)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전방연장패널(1210)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1221)은 상기 플레이트(1100)의 외측면에 밀착함으로써,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전방연장패널(1210)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1221)이 동일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1230) 사이의 공간으로 도어(2) 측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의 내측면(1231)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도어(2)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플레이트(1100)가 삽입되어 상기 중앙연결부 측부 벽면(1222)과 상기 전방연장패널(1210)의 전방연장패널 내측면(1221)이 동일평면을 이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1230)에 내측 방향으로의 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연장패널의 내측면(1231)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도어 (2)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PCT/KR2018/015168 2018-01-10 2018-12-03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WO20191392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61 2018-01-10
KR1020180003361A KR102029224B1 (ko) 2018-01-10 2018-01-10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255A1 true WO2019139255A1 (ko) 2019-07-18

Family

ID=6721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168 WO2019139255A1 (ko) 2018-01-10 2018-12-03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9224B1 (ko)
WO (1) WO2019139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454B1 (ko) * 2019-10-14 2021-06-21 이재광 탈착식 반려동물용 미닫이여닫이겸용 보조도어
KR20210088374A (ko)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코지코퍼레이션 혀 클리너
KR102398106B1 (ko) 2021-06-29 2022-05-17 이정관 방묘문 연결구조
KR102361337B1 (ko) * 2021-11-04 2022-02-14 주식회사 펫스커 애완동물 출입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224A (en) * 1973-06-07 1974-05-21 E Garrison Pet door panel
US5185954A (en) * 1992-06-15 1993-02-16 Waddle Sr Richard L Pet portal device
JPH08135053A (ja) * 1994-11-14 1996-05-28 Taisei Denki Kogyo:Kk 間仕切壁ユニット及びパネル連結用ジョイント
WO2006055664A2 (en) * 2004-11-18 2006-05-26 Patio Pacific, Inc. Pet door
US20100269413A1 (en) * 2009-04-28 2010-10-28 Sullivan Thomas D Pet door module with integral security panel and cassette portal
US9145731B1 (en) * 2014-05-22 2015-09-29 Kim McCoy Window insertable pet do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224A (en) * 1973-06-07 1974-05-21 E Garrison Pet door panel
US5185954A (en) * 1992-06-15 1993-02-16 Waddle Sr Richard L Pet portal device
JPH08135053A (ja) * 1994-11-14 1996-05-28 Taisei Denki Kogyo:Kk 間仕切壁ユニット及びパネル連結用ジョイント
WO2006055664A2 (en) * 2004-11-18 2006-05-26 Patio Pacific, Inc. Pet door
US20100269413A1 (en) * 2009-04-28 2010-10-28 Sullivan Thomas D Pet door module with integral security panel and cassette portal
US9145731B1 (en) * 2014-05-22 2015-09-29 Kim McCoy Window insertable pet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224B1 (ko) 2019-10-07
KR20190085346A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9255A1 (ko)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WO2010114236A2 (ko) 바닥재
WO2014046388A2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WO2012124865A1 (ko)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WO2013069928A1 (ko) 45°의 이음부위를 갖는 창호문 조립구조
WO2020209546A1 (ko) 차량용 도어가드
WO2013015507A1 (ko)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US8627610B1 (en) Privacy enclosure
WO2016039519A1 (ko) 교체용 도어 손잡이
WO2019231079A1 (ko) 손 끼임 방지 안전도어
WO2017095106A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US20090049753A1 (en) Pet Door Having Removable Decorative Frames
WO2010058973A2 (ko) 안전 도어
WO2011096635A2 (ko) 건축용 패널과 보강판
US10709299B2 (en)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WO2020060272A1 (ko)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WO2022080919A1 (ko) 균열감지 모니터링 장치
WO2017026592A1 (en) Opening assistant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WO2024106978A1 (ko)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WO2013169062A1 (ko) 끼임방지 유닛
WO2013111991A1 (ko) 시트 고정용 프레임
WO2017222338A1 (ko) 창문프레임용 틈막이 및 창문틀용 미세먼지망 고정 어셈블리
WO2017057840A1 (ko)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991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91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