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374A - 혀 클리너 - Google Patents

혀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374A
KR20210088374A KR1020200001708A KR20200001708A KR20210088374A KR 20210088374 A KR20210088374 A KR 20210088374A KR 1020200001708 A KR1020200001708 A KR 1020200001708A KR 20200001708 A KR20200001708 A KR 20200001708A KR 20210088374 A KR20210088374 A KR 20210088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attachment
attachment part
tongue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증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지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지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지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00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374A/ko
Priority to CN202022283758.4U priority patent/CN213606688U/zh
Publication of KR2021008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rush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혀 클리너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을 갖는 제 1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 1 스크래퍼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스크래퍼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 1-1 부착부와, 상기 제 1-1 부착부와 동일면 상에서 제 1 스크래퍼부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는 제 1-2 부착부를 구비한 제 1 스크래퍼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을 갖는 제 2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 2 스크래퍼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1 부착부와 결합되는 제 2-1 부착부와, 상기 제 2-1 부착부와 동일면 상에서 제 2 스크래퍼부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2 부착부와 결합되는 제 2-2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1 부착부와 제 1-2 부착부 사이의 거리와, 제 2-1 부착부와 제 2-2 부착부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 2 스크래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혀 클리너 {Tongue Cleaner}
본 발명은 혀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혀를 보다 효율적으로 닦아내며 세척 및 건조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혀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양치시에는 칫솔 등에 의해 치아, 잇몸, 혀 등을 닦아내지만, 특히 혀의 경우에는 설태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혀를 긁는 스크레이퍼 방식의 전용 혀 클리너를 많이 사용한다.
스크레이퍼 방식의 혀 클리너(1)는 도 1과 같이 막대상의 손잡이부(10)의 일단에 주걱부(20)를 구비한 형태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제조가 간편하고 휴대성이 우수하며 특히 혀의 전체를 압박함에 따라 헛구역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띠 상의 혀 클리너(도 2 참조)가 각광을 받고 있다.
띠 상의 혀 클리너는 사용후 세척이 간편하며 또한 제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띠 상의 혀 클리너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 제조되며, 띠 양단의 손잡이부(10)를 손으로 잡고 혀 클리너(1)를 구부린 후 띠의 가장자리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부(30)에 의해 혀의 설태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도 3 참조)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띠 상의 혀 클리너는 유연성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후 혀 클리너가 다시 펴진 상태로 돌아오며, 이에 따라 띠의 가장자리 부분이 바닥에 닿게 되어 청결을 유지하기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다.
미국 공개특허 2018/0119911에서는 띠 양단의 손잡이부를 두껍게 하여 가장자리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두꺼워진 손잡이에 의해 휴대성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띠 상 스크래퍼는 설태 제거시 하나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설태 등을 긁어내므로, 마찰을 강하게 일으켜서 혀 표면에 상처를 내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2019-0085346 A, 2019.07.19., 도 2 KR 20-0348211 Y1, 2019.04.29., 도 2 US 2015/0119911 A1, 2015.04.30., 도 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혀의 세정효율이 우수하고, 보관시 오염되지 않으며, 포장 또는 휴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는 혀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혀 클리너는,
본 발명의 혀 클리너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을 갖는 제 1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 1 스크래퍼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부,
상기 제 1 스크래퍼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 1-1 부착부와,
상기 제 1-1 부착부와 동일면 상에서 제 1 스크래퍼부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는 제 1-2 부착부를 구비한 제 1 스크래퍼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을 갖는 제 2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 2 스크래퍼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1 부착부와 결합되는 제 2-1 부착부와,
상기 제 2-1 부착부와 동일면 상에서 제 2 스크래퍼부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2 부착부와 결합되는 제 2-2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1 부착부와 제 1-2 부착부 사이의 거리와, 제 2-1 부착부와 제 2-2 부착부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 2 스크래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1 부착부와 제 2-1 부착부, 상기 제 1-2 부착부와 제 2-2 부착부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스크래퍼부 또는 제 2 스크래퍼부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1-1, 1-2 부착부 또는 상기 제 2-1, 2-2 부착부는 각각 통공 또는 통공에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혀 클리너는 상기 구성에 따라, 기존의 1개의 스크래퍼부로 이루어진 혀 클리너에 비해 2개의 스크래퍼부로 접촉하기 때문에 혀 부위의 마찰력을 줄여 혀에 상처를 내지 않으며, 한 번에 2 회의 긁어내는 효과를 가지므로 설태 제거 효과 등 세정효율이 우수하고, 보관시 오염되지 않으며, 포장 또는 휴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2,3은 종래의 혀 클리너를 나타낸 도.
도 4,5,6는 본 발명 일 실시예 혀 클리너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 혀 클리너의 사용례를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 혀 클리너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5,6은 본 발명 일 실시예 혀 클리너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혀 클리너(1)는 제 1 스크래퍼(100)와 제 2 스크래퍼(200)로 구분된다.
제 1,2 스크래퍼부(110,210)는 각각 띠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 재질의 유연성 재질로 제작된다.
제 1,2 스크래퍼부(110,210)은 길이방향 양 가장자리에는 돌기부(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는 경우에 따라 일측 가장자리에만 형성되고 다른 가장자리는 매끈한 모서리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0)는 혀를 긁는 역할을 하게 되며, 돌기부가 없는 매끈한 가장자리는 혀에서 긁은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돌기부(30)를 이루는 돌기의 형태나 간격에 따라 긁는 역할과 제거하는 역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 스크래퍼부(110, 210)의 가장자리는 돌기부의 여부와 상관없이 일측은 직선으로, 다른 측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선은 가장자리의 중앙이 볼록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지만, 가장자리의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중앙이 볼록한 경우에는 혀의 중심부를 닦아내기가 편리하고, 오목한 경우에는 혀의 전체를 닦아내기에 편리하다.
제 1 스크래퍼부(110)의 양 끝단에는 손잡이부(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0)는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이 가공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 1 스크래퍼(100)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구부린 후 사용하게 된다. (도 7 참조)
제 1 스크래퍼부(110)의 일 측에는 두 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제 1-1 부착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1 부착부(121)와 동일면 상에서 제 1 스크래퍼부(1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는 제 1-2 부착부(122) 역시 두 개의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스크래퍼부(210)의 일 측에는 상기 제 1-1 부착부(121)의 통공에 끼워질 두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제 2-1 부착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1 부착부(221)와 동일면 상에서 제 2 스크래퍼부(2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는 제 1-2 부착부(122)의 통공에 끼워지는 두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제 2-2 부착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부착부(121)과 제 1-2부착부(122) 사이의 거리 (L1)는 제 2-1 부착부(221)와 제 2-2 부착부(222) 사이의 거리 (L2)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1 부착부(121)과 제 2-1 부착부(221), 제 1-2 부착부(122)와 제 2-2 부착부(222)를 각각 결합시키면, 도 8(a)와 같이 제 1,2 스크래퍼부(110,210)은 서로 굴곡지게 휘게 되어 바닥과 접촉되지 않고 손잡이부(10)만 바닥에 닿게 된다.
따라서, 제 1,2 스크래퍼부(110,210)의 가장자리는 바닥면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된다.
도 8(b)는 L1이 L2보다 짧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도 8(a)는 L1이 L보다 긴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제 2 스크래퍼부(210)가 제 1 스크래퍼부(110) 아래 측에 결합되며, 또한 제 1-1, 1-2 부착부가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제 2-1, 2-2 부착부가 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1과 L2의 길이차이는 긴 것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가 약 5~20%정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1, 1-2, 2-1, 2-2 부착부는 2개의 돌출부 및 통공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돌출부와 통공이 결합하였을 때, 돌출부나 통공 주변의 제 1,2 스크래퍼부(110,210)가 밀착되기만 하면 하나의 돌출부와 통공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제 1-1, 1-2, 2-1, 2-2 부착부는 벨크로 등 공지의 어떠한 탈착 가능한 결합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실시예는 최선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또한 2개의 스크래퍼부(110,210)를 영구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2개의 스크래퍼부(110,21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혀를 보다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고, 또한 2개의 스크래퍼부를 분리하는 경우, 보관 및 포장이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스크래퍼부의 세척이 용이하게 청결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2개의 스크래퍼부(110,210)에 따라 혀에 닿는 부위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상처를 내지 않으며 설태 등의 제거효과는 한번에 두번을 긁어내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1: 혀 클리너 10 : 손잡이부 20 : 주걱부 30 : 돌기부
100 : 제 1 스크래퍼 110 : 제 1 스크래퍼부 121, 122 : 제 1-1. 1-2 부착부
200 : 제 2 스크래퍼 210 : 제 2 스크래퍼부 221, 222 :제 2-1, 2-2 부착부

Claims (4)

  1.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을 갖는 제 1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 1 스크래퍼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스크래퍼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 1-1 부착부와,
    상기 제 1-1 부착부와 동일면 상에서 제 1 스크래퍼부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는 제 1-2 부착부를 구비한 제 1 스크래퍼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을 갖는 제 2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 2 스크래퍼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1 부착부와 결합되는 제 2-1 부착부와,
    상기 제 2-1 부착부와 동일면 상에서 제 2 스크래퍼부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2 부착부와 결합되는 제 2-2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1 부착부와 제 1-2 부착부 사이의 거리와, 제 2-1 부착부와 제 2-2 부착부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 2 스크래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부착부와 제 2-1 부착부, 상기 제 1-2 부착부와 제 2-2 부착부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래퍼부 또는 제 2 스크래퍼부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1-2 부착부 또는 상기 제 2-1, 2-2 부착부는 각각 통공 또는 통공에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
KR1020200001708A 2020-01-06 2020-01-06 혀 클리너 KR20210088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08A KR20210088374A (ko) 2020-01-06 2020-01-06 혀 클리너
CN202022283758.4U CN213606688U (zh) 2020-01-06 2020-10-14 刮舌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08A KR20210088374A (ko) 2020-01-06 2020-01-06 혀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74A true KR20210088374A (ko) 2021-07-14

Family

ID=7666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708A KR20210088374A (ko) 2020-01-06 2020-01-06 혀 클리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88374A (ko)
CN (1) CN213606688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11Y1 (ko) 2004-01-12 2004-04-29 (주)덴탈 케어 잇몸 맛사지구를 갖는 혀클리너
US20150119911A1 (en) 2013-10-25 2015-04-30 Gladys MCKENZIE Tongue scraper
KR20190085346A (ko) 2018-01-10 2019-07-18 이재광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11Y1 (ko) 2004-01-12 2004-04-29 (주)덴탈 케어 잇몸 맛사지구를 갖는 혀클리너
US20150119911A1 (en) 2013-10-25 2015-04-30 Gladys MCKENZIE Tongue scraper
KR20190085346A (ko) 2018-01-10 2019-07-18 이재광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606688U (zh)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7767C2 (ru) Прибор для гигиены рта
US4582059A (en) Tongue cleaning instrument
US5860182A (en) Hand-held windshield wiper blade cleaner
KR101432074B1 (ko) 보조소제부가 구비된 청소기구
KR20210088374A (ko) 혀 클리너
US20160302641A1 (en) Knife washing station and handheld knife cleaner
US3206784A (en) Combination chamois-sponge
KR200460278Y1 (ko) 이어 클리너
TWM545566U (zh) 牙間刷
GB2182550A (en) Cleaning device
KR200290604Y1 (ko) 설태 제거구조를 갖는 칫솔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JP4335365B2 (ja) トイレ用清掃具
JP2006122623A (ja) クサリを付けた台所用の瓶洗いブラシ。
US1586439A (en) Blackboard wiper
KR100456293B1 (ko)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206545Y1 (ko) 혀크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195359Y1 (ko) 혀긁기 겸용 칫솔
JP2005224303A (ja) 洗浄具
JP4262473B2 (ja) ヘラ付きスポンジたわし
JP2007244555A (ja) ゴムたわし
KR100249475B1 (ko) 혀 청결구
JP3021614U (ja) 表皮及び角質層の清浄具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JP3667010B2 (ja) 指先洗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