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9546A1 - 차량용 도어가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9546A1
WO2020209546A1 PCT/KR2020/004539 KR2020004539W WO2020209546A1 WO 2020209546 A1 WO2020209546 A1 WO 2020209546A1 KR 2020004539 W KR2020004539 W KR 2020004539W WO 2020209546 A1 WO2020209546 A1 WO 20202095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frame
coupling
doo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5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정숙
Original Assignee
김민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2588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20209546(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균 filed Critical 김민균
Publication of WO20202095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95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guard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guard for a vehicle used to prevent a corner portion of a door from being damaged by a parked vehicle or a peripheral wall surface when the vehicle door is opened or closed.
  • the door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Since the door of a car must be opened and closed in order for a driver or occupant to get on and off the car,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t may be in contact with other objects such as a vehicle or a wall. At this time, damage such as scratches or press marks occu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 the paint of the bumped part of the door is peeled off or stamped when hitting an obstacle around the door. do.
  • Prior art docu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6728,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7695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90024,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 0215234 and other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n object thereof to prevent damage by a parked vehicle or a surrounding wall when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vehicle.
  • the door guard for a vehicle in the door guard for a vehicle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vehic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vehicle, is attached to the door of the vehicle, A frame having the open shape and having a rear lower end spaced apart from the door of the vehicle; And a buffer bar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an upper end protrudes, and a rear portion extending longer than a rear portion of the frame.
  • the rear of the buffer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 a flat extension piece is formed in front of the fram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vehicle.
  • extension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frame is formed smoothly, and the upper end of the buffer bar has a gently curved shape so that the front portion corresponds to the boundary portion.
  • the frame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male and female.
  •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or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ar side,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each rear lower end of the divided frame, and grooves at both inner ends of the coupling groove.
  • An additional is formed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pen portion of the frame is formed upwardly,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each front lower end of the divided frame, the first coupling piece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penetr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iece to be inserted into the ball is protruding.
  • a part of the buffer bar is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protect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from external impact.
  • cushioning bar extends longer than the rear of the frame, it is possible to not only protect the edge of the door from the adjacent vehicle or the side when the door is opened, but also to prevent damage to the adjacent vehicle. hav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guar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to 5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rear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to 8 are a state diagram and operation diagram of a vehicle door gu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n impact sens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to 5 ar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7 to 8 is a state diagram and operation of a vehicle door gu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block diagram of an impact sens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oor guard for a vehicle has a characteristic capable of protecting not only a user's vehicle but also an adjacent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caused by opening a door of the vehicle.
  • the vehicle door guard 100 capable of providing such an effect includes a frame 110 and a buffer bar 120 in the vehicle door guard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vehic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do.
  • the frame 110 is installed for each door of the vehicle, and has an insertion groove 111 that is open upward, and a double-sided tap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2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1.
  • the fixing protrusion 112 is formed in plural to fix the buffer bar 1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xing protrusion 112 is not limited to a plurality, and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 the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11 has a "C" shape that is substantially open upward.
  • the frame 110 is attached to the door of the vehicle by the double-sided tape.
  • the frame 110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facilitate storage and handling, and is formed to be male and femal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 the frame 110 includes a front portion 110a, a central portion 110b, and a rear portion 110c.
  • the front part 110a has an extension part 113 extending forward so a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air.
  • the extension piece 113 has a flat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and has a rounded end.
  • the extension piece 113 has a length of approximately 5 cm in a flat portion.
  • extension piece 113 has a shape in which a portion bordered with the front portion 110a is gently bent.
  • a coupling groove 115 is form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front part 110a.
  • Groove portions 115a extending to both sides are form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115, and through holes 115b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 111 upward.
  • the central portion 110b is coupled between the front portion 110a and the rear portion 110c, and may be provided in more than one.
  • a coupling protrusion 116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5 of the front portion 110a is form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110b.
  • the coupling protrusion 116 has a first coupling piece 116a protruding from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groove 115a, and a second coupling piece 116b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5b upwardly do.
  • the through hole 115b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goes upward.
  • the coupling groove 115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6 may each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 a coupling groove 115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central portion 110b in the same manner as the front portion 110a.
  • the rear part 110c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entral part 110b,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114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ar is spaced apart from the door.
  •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4 has a length of approximately 1 cm.
  •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4 is such that the rear is separated from the door so that the rear of the rear portion 110c is not lifted by a protruding portion when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door or a separate rubber packing is installed. It is desirable.
  • a coupling protrusion 116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rear portion 110c in the same manner as the central portion 110b.
  • the frame 110 is preferably formed in which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ront portion 110a, the central portion 110b, and the rear portion 110c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each door.
  • the length of the frame 1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entral portion 110b and the number of the central portions 110b.
  • the frame 11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uffer bar 12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o reduce the impact from an external impact,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of the frame 110 so that the upper end protrudes to the outside.
  • the buffer bar 120 may be formed of a luminous material as well as a rubber material.
  • a fixing groove 12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11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ffer bar 120 and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112.
  • the buffer bar 120 inserted into the front portion 110a of the buffer bar 12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11 and the front of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is the boundary of the extension piece 113 It has a curved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rved portion of the portion to be formed.
  • the rear portion of the buffer bar 120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ear portion 110c is formed to extend in a longer path than the rear portion 110c.
  • a second inclined surface 122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4 in a portion extending longer to the rear of the buffer bar 120.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2 is formed on both rear sides and upper ends of the buffer bar 120 as well as the rear lower end of the buffer bar 120, and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2 has a length of approximately 1 cm.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2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air throug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2 as well as a buffer effect from external shocks gen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You can get the effect that you can.
  • an impact sensing unit 123 is installed inside the buffer bar 120.
  • the impact sensing unit 123 includes an impact sensor 123a, a speaker 123b, and a control unit 123c.
  • the impact sensor 123a is installed inside the buffer bar 120, and generates an impact value by sensing an impact pressed by the buffer bar 120 from the outside.
  • the speaker 123b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mpact sensor 123a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 the control unit 123c receives an impact value sensed from the impact sensor 123a and, when it is greater than a preset impact value, transmits an impact signal to the speaker 123b so that a warning sound sounds.
  • the impact sensor 123a does not detect an impact value for the impact generated from the rear of the rear portion 110c.
  • the impact sensing unit 123 further includes a black box 123d.
  • the black box 123d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ward one side of the frame 110 and photographs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door.
  • the controller 123c transmits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black box 123d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 the black box 123d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r downwar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110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vehicle, and both sides are formed gently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is i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air generated by the black box 123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10.
  • the frame 110 has a double-sided tape attached to its lower surface, and is attached to the door of the vehicle by the double-sided tape.
  • extension piece 113 is formed in a flat shape in order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air during vehicle driving, and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frame 110 is gently bent.
  • the extension piece 113 not only minimizes air resistance, but also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guard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each door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opened and closed.
  • a door guard 100 is installed on each door of the vehicle.
  • extension piece 113 formed in a flat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in front of the frame 110, it is preferable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buffer bar 120 installed in the front door even when the rear door is opened. Do.
  • the door guard 100 can be installed on each of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in a straight line, thereby providing an aesthetic feeling to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nd minimizing air resistance.
  • a part of the buffer bar is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protect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from external impact.
  • cushioning bar extends longer than the rear of the frame, it is possible to not only protect the edge of the door from the adjacent vehicle or the side when the door is opened, but also to prevent damage to the adjacent vehicle. have.
  • 110a front portion 110b: central portion
  • coupling protrusion 116a first coupling piece
  • impact sensing unit 123a impact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가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부착 설치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후방의 하단이 상기 차량의 도어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에 상단이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된 완충바;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프레임에 완충바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량의 외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가드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가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 도어의 모서리 부분이 주차된 차량 또는 주변 벽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외관에서 가장 손상을 입기 쉬운 곳은 그 사용빈도수가 가장 높은 도어라 할 수 있다. 자동차의 도어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 타고 내리기 위해서는 도어의 개폐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 옆의 차량이나 벽면 등의 다른 물체와의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때, 도어의 외측 표면에 흠집이나 누름자국 등의 손상이 발생되게 된다.
특히, 도어의 모서리 영역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주변의 장애물에 부딪칠 경우 도어의 부딪힌 부분의 도색이 벗겨지거나 찍히게 됨은 물론, 도어에 부딪히는 다른 차량의 차체를 찍게 되어 다른 차량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손상부분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672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695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002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21523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도어 개폐 시 주차된 차량 또는 주변 벽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행 또는 주차 중에 차량 또는 주변 벽면과의 가벼운 충돌로부터 차량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부착 설치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후방의 하단이 상기 차량의 도어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에 상단이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된 완충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바의 후방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차량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납작한 형상의 연장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편은 상기 프레임과의 경계부분이 완만하게 형성되고, 상기 완충바의 상단은 전방 부분이 상기 경계부분과 대응되도록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 형성되고, 서로 암수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의 전방 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방 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구획된 상기 프레임의 각 후방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 양단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내측 상방으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구획된 상기 프레임의 각 전방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편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가드에 따르면, 프레임에 완충바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량의 외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완충바가 프레임의 후방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됨에 따라 도어 개방 시 인접하는 차량 또는 측면으로부터 도어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차량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 및 결합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의 사용상태도 및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도어가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 및 결합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의 확대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의 사용상태도 및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부의 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는 차량의 도어 개방에 의한 충돌 발생 시 사용자의 차량은 물론 인접하는 차량까지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100)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프레임(110) 및 완충바(1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차량의 도어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된다.
상기 삽입홈(111)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12)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2)는 다수로 형성되어 후술될 완충바(12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12)는 다수 개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11)의 단면은 대략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도어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 형성되어 서로 암수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10)은 전방부(110a), 중앙부(110b) 및 후방부(110c)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110a)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편(113)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편(113)은 상기 도어에 밀착되도록 납작한 형상을 가지며, 단부가 둥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편(113)은 납작한 부분이 대략 5cm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장편(113)은 상기 전방부(110a)와 경계되는 부분이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방부(110a)의 후방 하단에는 결합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5)의 내측에는 양측으로 연장된 홈부(115a)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방으로 상기 삽입홈(111)과 연통되도록 관통공(115b)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부(110b)는 상기 전방부(110a) 및 후방부(110c)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0b)의 후방 하단에는 상기 전방부(110a)의 결합홈(1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1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16)는 상기 홈부(115a)와 대응되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편(116a)이 형성되고, 상방으로 상기 관통공(115b)에 삽입되는 제2 결합편(116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5b)은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 결합편(116b)이 결합될 때 억지끼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결합홈(115) 및 결합돌기(116)는 각각 자성체로 형성되어 서로 자성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110b)의 후방에는 상기 전방부(110a)와 동일하게 결합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부(110c)는 상기 중앙부(110b)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방의 하단이 상기 도어와 이격되도록 하는 제1 경사면(1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면(114)은 대략 1cm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 경사면(114)은 상기 도어의 테두리에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별도의 고무패킹이 시공되었을 때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후방부(110c)의 후방이 들뜨지 않도록 후방이 상기 도어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경사면(114)을 통해 차량의 도어 형태 및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도어에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상기 후방부(110c)가 상기 도어의 후방에 밀착되도록 부착되어 후술될 완충바(120)의 후방이 상기 도어의 모서리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도어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후방부(110c)의 전방에는 상기 중앙부(110b)와 동일하게 결합돌기(11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은 전방부(110a), 중앙부(110b) 및 후방부(110c) 길이의 합이 상기 각 도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중앙부(110b)의 설치 유무 및 상기 중앙부(110b)의 개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11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차량의 도어 표면이 굴곡졌을 때 설치가 가능 및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완충바(12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0)의 삽입홈(111)에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완충바(120)는 고무재질 뿐만 아니라, 야광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야광재질로 인한 발광으로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완충바(120)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돌기(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1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완충바(120) 중 상기 전방부(110a)에 삽입 결합되는 완충바(120)는 상기 삽입홈(111)에 결합되고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전방이 상기 연장편(113)의 경계되는 부분의 굴곡진 부분과 대응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이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바(120) 중 상기 후방부(110c)에 삽입 결합되는 완충바(120)는 후방이 상기 후방부(110c)보다 더 길에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바(120)의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된 부분은 상기 제1 경사면(114)과 대응되도록 제2 경사면(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경사면(122)은 상기 완충바(120)의 후방 하단 뿐만 아니라, 후방 양측 및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2 경사면(122)은 대략 1cm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면(122)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 시 발생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충작용은 물론, 상기 제2 경사면(122)을 통해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완충바(120)의 내부에는 충격감지부(123)가 설치된다.
상기 충격감지부(123)는 충격센서(123a), 스피커(123b) 및 제어부(123c)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센서(123a)는 상기 완충바(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완충바(120)로 가압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값을 생성한다.
상기 스피커(123b)는 상기 충격센서(123a) 일측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23c)는 상기 충격센서(123a)로부터 감지된 충격값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충격값보다 클 경우 상기 스피커(123b)로 충격신호를 전달하여 경고음이 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충격센서(123a)는 상기 후방부(110c)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대한 충격값은 감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충격을 가했을 때 경고음이 울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충격감지부(123)는 블랙박스(123d)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블랙박스(123d)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차량 도어의 주변을 촬영한다.
상기 제어부(123c)는 상기 충격센서(123a)로부터 감지된 충격값이 기 설정된 충격값보다 클 경우 상기 블랙박스(123d)로 촬영신호를 전달하여 주변을 촬영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블랙박스(123d)는 상기 프레임(110)이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양측이 완만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블랙박스(123d)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하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상기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도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편(113)은 차량 주행 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0)과의 경계부분이 완만하게 굴곡 형성된다.
상기 연장편(113)은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차량의 도어가 개폐될 때 각 도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도어가드(100) 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각 도어에는 도어가드(100)가 설치된다.
하지만, 전방에 위치한 도어에 설치된 완충바(120)의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이 후방에 위치한 도어까지 연장되므로, 전방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후방 도어가 개방될 경우 후방 도어에 설치된 도어가드(100)가 전방 도어에 설치된 완충바(120)의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과 접촉되어 서로 손상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도어와 밀착되도록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장편(113)을 형성함으로써, 후방 도어가 개방되어도 전방 도어에 설치된 완충바(120)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 각각에 도어가드(100)가 일직선상에 설치가 가능하여 차량의 외관에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전방 도어에 설치된 완충바(120)의 후방이 후방 도어에 설치된 연장편(113)까지 연장 배치됨에 따라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가드에 따르면, 프레임에 완충바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량의 외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완충바가 프레임의 후방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됨에 따라 도어 개방 시 인접하는 차량 또는 측면으로부터 도어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차량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부호의 설명 *
100: 도어가드 110: 프레임
110a: 전방부 110b: 중앙부
110c: 후방부 111: 삽입홈
112: 고정돌기 113: 연장편
114: 제1 경사면 115: 결합홈
115a: 홈부 115b: 관통공
116: 결합돌기 116a: 제1 결합편
116b: 제2 결합편 120: 완충바
121: 고정홈 122: 제2 경사면
123: 충격감지부 123a: 충격센서
123b: 스피커 123c: 제어부
123d: 블랙박스

Claims (6)

  1.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부착 설치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후방의 하단이 상기 차량의 도어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에 상단이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된 완충바;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바의 후방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차량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납작한 형상의 연장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은 상기 프레임과의 경계부분이 완만하게 형성되고,
    상기 완충바의 상단은 전방 부분이 상기 경계부분과 대응되도록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 형성되고, 서로 암수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의 전방 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방 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구획된 상기 프레임의 각 후방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 양단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내측 상방으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구획된 상기 프레임의 각 전방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편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PCT/KR2020/004539 2019-04-08 2020-04-03 차량용 도어가드 WO202020954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65 2019-04-08
KR1020190040765A KR101995808B1 (ko) 2019-04-08 2019-04-08 차량용 도어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546A1 true WO2020209546A1 (ko) 2020-10-15

Family

ID=6725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539 WO2020209546A1 (ko) 2019-04-08 2020-04-03 차량용 도어가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5808B1 (ko)
WO (1) WO2020209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08B1 (ko) * 2019-04-08 2019-07-03 오정숙 차량용 도어가드
KR200491500Y1 (ko) 2019-08-28 2020-04-16 진은주 차량용 문콕 방지 가드 조립체
KR102283656B1 (ko) 2020-03-19 2021-07-29 김우진 롤링형 차량용 도어가드
KR20220141539A (ko) 2021-04-13 2022-10-20 최웅재 자동차의 도어가드 장치
KR102494038B1 (ko) * 2022-01-03 2023-01-30 김민균 악세서리 부재가 부가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2498249B1 (ko) * 2022-01-03 2023-02-08 김민균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2524938B1 (ko) * 2022-01-03 2023-04-21 김민균 경고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995A (ko) * 1995-12-30 1997-07-24 한승준 자동차의 도어 사이드 프로텍터
JPH11198737A (ja) * 1998-01-09 1999-07-27 Tokai Kogyo Kk 自動車のサイドプロテクターモ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7511Y1 (ko) * 2002-12-09 2003-03-20 강희연 자동차용 출입문 보호대
KR100839978B1 (ko) * 2007-01-11 2008-06-23 지용희 자동차의 측면보호몰딩
KR101995808B1 (ko) * 2019-04-08 2019-07-03 오정숙 차량용 도어가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991B1 (ko) 1995-11-17 1999-03-20 배순훈 텔레비젼수상기의 시청거리에 따른 osd 온시간조절장치
KR20060118051A (ko)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료 콘텐츠 선물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98245B1 (ko) * 2007-12-24 2009-05-18 황인성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101569967B1 (ko) 2013-10-24 2015-11-18 정민원 일인가구용 욕실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995A (ko) * 1995-12-30 1997-07-24 한승준 자동차의 도어 사이드 프로텍터
JPH11198737A (ja) * 1998-01-09 1999-07-27 Tokai Kogyo Kk 自動車のサイドプロテクターモ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7511Y1 (ko) * 2002-12-09 2003-03-20 강희연 자동차용 출입문 보호대
KR100839978B1 (ko) * 2007-01-11 2008-06-23 지용희 자동차의 측면보호몰딩
KR101995808B1 (ko) * 2019-04-08 2019-07-03 오정숙 차량용 도어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808B1 (ko)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9546A1 (ko) 차량용 도어가드
WO2017094976A1 (ko)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WO2019117526A1 (ko) 통기 구조의 비공 덮개를 갖는 안면 마스크
WO2013154282A1 (en)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WO202113744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pplementary structure
WO2019139255A1 (ko)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WO2013047930A1 (ko)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WO2016140384A1 (ko) 카메라가 구비된 헬멧
WO2014069797A1 (ko)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WO2015111983A1 (ko) 방사선 화상 검출기 및 방사선 화상 검출기용 하우징
WO2014208853A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15093881A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WO2024043534A1 (ko)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WO2024085553A1 (ko) 수분 배출 홀이 형성된 클럽헤드 보호용 필름
WO2022149631A1 (ko) 컴퓨팅 기기용 거치장치
KR101570294B1 (ko) 자동차 찍힘 방지 커버
WO2016072580A1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WO2011053015A2 (en) Buckle hall switch for seat-belt of vehicle
WO2019093550A1 (ko) 비접촉식 전동 스텝 장치
WO2022211356A1 (ko) 자동차용 도어 가드
DK1065770T3 (da) Ledningsföringskanal
WO2022010308A1 (ko) 도어용 바이저
KR20150066788A (ko)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GB2330855A (en) A protective strip for a door edge
WO2018056591A1 (ko) 개폐도어의 비정상 문열림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88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88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