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249B1 -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249B1
KR102498249B1 KR1020220000444A KR20220000444A KR102498249B1 KR 102498249 B1 KR102498249 B1 KR 102498249B1 KR 1020220000444 A KR1020220000444 A KR 1020220000444A KR 20220000444 A KR20220000444 A KR 20220000444A KR 102498249 B1 KR102498249 B1 KR 10249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body
vehicle
body portion
hard cover
guar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균
Original Assignee
김민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균 filed Critical 김민균
Priority to KR102022000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는,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질 몸체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연질 몸체부가 보유한 강도와 상이한 강도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고분자 소재 및 금속 소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제작되는 경질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A Door guard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 도어의 모서리 부분이 주차된 차량 또는 주변 벽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외관에서 가장 손상을 입기 쉬운 곳은 그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은 도어라 할 수 있다. 자동차의 도어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 타고 내리기 위해서는 도어의 개폐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 옆의 차량이나 벽면 등의 다른 물체와의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때, 도어의 외측 표면에 흠집이나 누름 자국 등의 손상이 발생되게 된다.
특히, 도어의 모서리 영역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주변의 장애물에 부딪칠 경우 도어의 부딪힌 부분의 도색이 벗겨지거나 찍히게 됨은 물론, 도어에 부딪히는 다른 차량의 차체를 찍게 되어 다른 차량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손상부분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외벽에 부착되어 타 차량의 도어와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타 차량에 대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도어가드들이 판매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어가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보호 영역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도어가드가 설치되지 않은 타 차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차량 손상을 방지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15-0171991 A (2016.02.15)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15-0047407 A (2016.10.12)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06-0118051 A (2007.12.21)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20-2000-0026582 A (2000.1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 차량의 도어 개폐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충돌에 의해 사용자의 차량 도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차량 도어 개방 시 발생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는,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질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질 몸체부는, 상기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연질 몸체부가 보유한 강도와 상이한 강도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경질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질 커버부는, 상기 연질 몸체부와 상호 억지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외주면에 연질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경질 커버부는, 연질 몸체부의 체결공과 체결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경질 커버부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경질 커버부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연질 몸체부와 대응되는 수 만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질 커버부는, 상기 경질 커버부의 연장 길이가 상기 연질 몸체부의 연장길이보다 짧거나 같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질 커버부는, 상기 연질 몸체부의 후방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경질 커버부의 후방 단부가 상기 연질 몸체부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질 커버부는, 상기 연질 몸체부의 상부면과 측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질 몸체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질 커버부는, 상기 연질 몸체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경질 커버부의 하단이 상기 차량 도어의 노출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부가 좁아지는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상기 차량 도어와 부착되는 부착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 깊이 형성되며, 차량 도어에 부착되었을 때 소정 용적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충격 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상기 연질 몸체부의 전방 단부에 차량의 도어와 밀착될 수 있도록 저면이 평탄한 형상을 보유하는 연장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상기 연질 몸체부의 후방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상기 연질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차량 도어의 노출면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질 몸체부가 분할되는 지점에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 상에 상기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연질 몸체부 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는,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됨으로써, 종래 도어가드에 비해 현저히 확장된 구역에 대한 보호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적 강도가 서로 다른 소재를 상호 결합시켜 차량에 대한 보호를 진행할 수 있어 강한 충격에 의한 완충 진행 뿐만 아니라, 완충을 진행하는 몸체부의 손상 또한 최소화 할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억지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여 향상된 조립 편의성을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손상된 부위만의 교체가 간편하며, 주행 중 도어가드가 차량 도어로부터 탈락되는 경우에도, 특정 부분만의 탈락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바 형상의 도어가드 전체가 탈락되어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질 몸체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개폐 시, 주변 차량과 상기 도어가드를 구성하는 경질 커버의 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경질 커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경미한 손상까지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그리고, 연질 몸체부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드 조립체가 부착된 차량의 도어 개방 시, 상기 도어가 인접한 다른 차량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다른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또한, 연질 몸체부의 노출면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연질 몸체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질 커버부의 결합 구조를 통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질 몸체부의 변형이 진행되었을 때, 상기 경질 커버부의 하단이 사용자의 차량 도어와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 몸체부가 차량 도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충격 완화부를 통해 소정 용적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층의 형성을 통해 상기 연질 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편의 형성을 통해, 상기 연질 몸체부의 부착면을 확장시킬 수 있어, 보다 향상된 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 형성을 통해, 차량의 도어면과 소정거리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도장면을 보호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보호 필름 등의 시공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그리고,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결합면과 상기 체결부의 형성을 통해, 분할 형성되는 연질 몸체부가 보다 견고하게 차량과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가 차량의 도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연질 몸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연질 몸체부가 분할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연질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가 차량의 도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분할 형성되는 경질 커버부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분할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가 차량의 도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는 연질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보유한 고분자 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쉽게 변형 가능한 연질의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저면에는 소정 면적의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면을 통해 상기 차량 도어와의 접착이 진행된다.
특히,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는 상기 차량 도어로부터 외측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가 돌출형성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질 몸체부(100)가 인접한 차량에 먼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가드 조립체가 부착된 차량의 도어 개폐에 의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질 몸체부(100)가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상태로 상기 차량 도어에 부착될 수 있어, 종래 도어가드에 비해 현저히 확장된 구역에 대한 보호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연질 몸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연질 몸체부가 분할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연질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체결공(110), 충격 완화부(120), 연장편(130), 경사면(140), 결합면(150), 체결부(160) 및 이탈 방지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형성되는 연질 몸체부(100)는 제 1 몸체(100a), 제 2 몸체(100b) 및 제 3 몸체(100c)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몸체(100a)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 도어의 전방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몸체(100b)는 상기 제 1 몸체(100a)의 후단과 결합되면서, 상기 차량 도어에 부착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연장 길이를 확장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몸체(100c)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몸체(100b)의 후단과 결합되면서 상기 차량 도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 3 몸체(100c)의 후방 단부는 상기 차량 도어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도록 상기 차량 도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공(110)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공(110)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경질 커버부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 완화부(120)는, 상기 차량 도어와 부착되는 부착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 깊이 형성되며, 차량 도어에 부착되었을 때 소정 용적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질 몸체부(100)가 차량 도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충격 완화부(120)를 통해 소정 용적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층의 형성을 통해 상기 연질 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격 완화부(120)의 형성을 통해,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부착면의 위치를 소정 범위 회동시킬 수 있어,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차량 도어에도 보다 견고한 부착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편(130)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전방 단부에 차량의 도어와 밀착될 수 있도록 저면이 평탄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장편(130)은 상기 연질 몸체부(100)를 구성하는 제 1 몸체(100a)의 전단에 소정 구역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편(130)의 형성을 통해,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부착면을 확장시킬 수 있어, 보다 향상된 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후방 단부의 면적이 전방 단부의 면적보다 좁도록 형성되며, 상술한 형상을 형상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면(14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경사면(140)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몸체(100c)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40)은, 상기 연질 몸체부의 부착 완료 시, 상기 차량 도어의 노출면과 상기 경사면(140)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경사면(140)의 형성을 통해, 차량의 도어면과 소정거리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도장면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외곽을 따라 시공될 수 있는 보호 필름 등의 시공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면(150)은, 상호 분할 형성되는 제 1 몸체(100a) 내지 제 3 몸체(100c)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질 몸체부(100)가 각각 분할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면(150)은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제 1 몸체(100a)의 후방단부, 제 2 몸체(100b)의 양 단부 및 제 3 몸체(100b)의 전방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150)은 서로 인접한 몸체간에 형성되는 결합면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몸체(100b)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면(150)들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조로 상기 결합면이 형성됨으로써, 임의의 몸체에 대한 이탈을 다른 이웃한 몸체가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결부(160)는, 상기 결합면(150) 상에 상기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몸체들 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는, 체결홈(161) 및 체결돌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161)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몸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는 결합면(150)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62)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몸체(100a, 100b, 100c)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몸체와 이웃한 다른 몸체(100a, 100b, 100c)에 형성되는 결합면(150) 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홈(161) 상에 수용될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몸체(100a)와 결합되는 제 2 몸체(100b)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면(150) 상에 상기 체결홈(1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100a)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면(150) 상에는 상기 체결홈(161)와 체결되는 체결돌기(16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분할 형성되는 몸체들 각각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결합면(150)과 상기 체결부(160)의 형성을 통해, 분할 형성되는 연질 몸체부(100)가 보다 견고하게 차량과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홈(170)은, 후술할 경질 커버부와의 결합 진행 시, 상기 경질 커버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질 몸체부의 양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가 차량의 도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는, 연질 몸체부(100) 및 경질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보유한 고분자 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쉽게 변형 가능한 연질의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가 보유한 강도와 상이한 강도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고분자 소재 및 금속 소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강도가 서로 다른 소재를 상호 결합시켜 차량에 대한 보호를 진행할 수 있어 강한 충격에 의한 완충 진행 뿐만 아니라, 완충을 진행하는 연질 몸체부(100)의 손상 또한 최소화 할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커버부(100)를 일부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연장 길이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연장 길이보다 짧거나 같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경질 커버부(200)가 상기와 같은 연장 길이를 보유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연질 몸체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차량 도어의 개폐 시, 주변 차량과 상기 도어가드를 구성하는 경질 커버의 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경질 커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경미한 손상까지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B측)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후방 단부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도어가드 조립체가 부착된 차량의 도어 개방 시, 상기 도어가 인접한 다른 차량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다른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경질 커버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분할 형성되는 경질 커버부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앞서 설명한 상호 분할 형성되는 연질 몸체부처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대응되는 수 만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제 1 커버(200a), 제 2 커버(200b) 및 제 3 커버(200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버(200a)는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 도어의 전방에 부착되는 제 1 몸체와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 2 커버의 전단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몸체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200b)는 상기 제 2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연장 형성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커버(200b)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 2 커버(20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 2 커버의 후단은 이웃한 다른 하나의 제 2 커버의 전단을 덮도록 상기 제 2 몸체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200c)는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후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3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 3 커버(200c)의 전단은 이웃한 제 2 커버(200b)의 후단에 의해 덮어지도록 상기 제 3 몸체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질 커버부(200)가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분할 형성된 상기 경질 커버부(200) 중, 손상된 경질 커버부만의 교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주행 중 도어가드가 차량 도어로부터 탈락되는 경우에도, 특정 부분만의 탈락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바 형상의 도어가드 전체가 탈락되어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의 결합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분할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의 경질 커버부와 연질 몸체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상부면과 측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체결되며, 상기 경질 커버부(200)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노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연질 몸체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상호 억지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질 커버부(200)와 상기 연질 몸체부(100)가 상호 억지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여 향상된 조립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하단은 상기 차량 도어(D)의 노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h)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의 결합이 진행된다.
위와 같은 상기 경질 커버부(200)와 연질 몸체부(100)간의 결합 구조를 통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변형이 진행되었을 때,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하단이 사용자의 차량 도어(D)와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저면에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구(2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구(21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체결공과 체결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경질 커버부의 길이 방향을 향해 상호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구(210)의 단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을 향해 갈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구(210)의 자유단 단부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연질 몸체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상기 경질 커버부(200)와의 결합 이후, 상기 경질 커버부(200)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턱(220)은 상술한 연질 몸체부(100)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이탈 방지홈(17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 방지턱(220)의 형상은 상기 이탈 방지홈(170)과 대응되는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연질 몸체부
100a : 제 1 몸체
100b : 제 2 몸체
100c : 제 3 몸체
110 : 체결공
120 : 충격 완화부
130 : 연장편
140 : 경사면
150 : 결합면
160 : 체결부
161 : 체결홈
162 : 체결돌기
170 : 이탈 방지홈
200 : 경질 커버부
200a : 제 1 커버
200b : 제 2 커버
200c : 제 3 커버
210 : 돌출구
220 : 이탈 방지턱

Claims (15)

  1.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을 보유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연질 몸체부(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상부면과 측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결합되고, 상기 연질 몸체부가 보유한 강도와 상이한 강도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경질 커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질 몸체부가 분할되어, 분할 형성되는 몸체의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결합면(150); 및
    상기 결합면 상에 상기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연질 몸체부 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150)은,
    이웃한 몸체에 형성되는 결합면이 보유한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고분자 소재 및 금속 소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와 상호 억지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외주면에 연질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10);이 형성되며,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연질 몸체부의 체결공과 체결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경질 커버부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구(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대응되는 수 만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연장 길이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연장 길이보다 짧거나 같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경질 커버부의 후방 단부가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커버부(2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경질 커버부(200)의 하단이 상기 차량 도어의 노출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상기 차량 도어와 부착되는 부착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 깊이 형성되며, 차량 도어에 부착되었을 때 소정 용적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충격 완화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전방 단부에 차량의 도어와 밀착될 수 있도록 저면이 평탄한 형상을 보유하는 연장편(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후방 단부의 면적이 전방 단부의 면적보다 좁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상기 연질 몸체부(100)의 후방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몸체부(100)는,
    상기 연질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40)과 상기 차량 도어의 노출면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20220000444A 2022-01-03 2022-01-03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249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444A KR102498249B1 (ko) 2022-01-03 2022-01-03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444A KR102498249B1 (ko) 2022-01-03 2022-01-03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249B1 true KR102498249B1 (ko) 2023-02-08

Family

ID=8522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444A KR102498249B1 (ko) 2022-01-03 2022-01-03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54Y1 (ko) * 2004-08-20 2005-09-02 한창만 주차 시 자동차 측면 손상방지 대
KR20060118051A (ko)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료 콘텐츠 선물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7407A (ko) 2013-10-24 2015-05-04 정민원 일인가구용 욕실장치
KR101995808B1 (ko) * 2019-04-08 2019-07-03 오정숙 차량용 도어가드
KR20190097700A (ko) * 2018-02-13 2019-08-21 엔피씨(주) 랙 포스트 보호대
KR102082577B1 (ko) * 2018-10-05 2020-04-23 김남수 자동차용 도어가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54Y1 (ko) * 2004-08-20 2005-09-02 한창만 주차 시 자동차 측면 손상방지 대
KR20060118051A (ko)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료 콘텐츠 선물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7407A (ko) 2013-10-24 2015-05-04 정민원 일인가구용 욕실장치
KR20190097700A (ko) * 2018-02-13 2019-08-21 엔피씨(주) 랙 포스트 보호대
KR102082577B1 (ko) * 2018-10-05 2020-04-23 김남수 자동차용 도어가드
KR101995808B1 (ko) * 2019-04-08 2019-07-03 오정숙 차량용 도어가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0995B1 (en) Shock-absorbing clip
US20150123412A1 (en) Door guard for vehicle
JP6328476B2 (ja) クリップ
US10632935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20060061062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motorcycle
KR102498249B1 (ko)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0624178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KR102494038B1 (ko) 악세서리 부재가 부가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US5630256A (en) Buffer clip
JP5149571B2 (ja) 車両の車体後部構造
KR102524938B1 (ko) 경고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JP4385814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KR200307511Y1 (ko) 자동차용 출입문 보호대
KR101372231B1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JP2019107985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
CN217864003U (zh) 防护装置和车辆
JP2007203773A (ja) 車体のバンパー装置
JPS604833Y2 (ja) 車両用バンパ−装置
KR200171469Y1 (ko) 자동차 범퍼의 프로텍터 부착구조
JP4704059B2 (ja) ドアハンドル・プロテクタ結合構造
KR102413571B1 (ko)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200440980Y1 (ko) 차문 보호용 패킹
KR100256540B1 (ko) 리어범퍼의 보강재 결합장치
KR10053435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후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