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178B1 -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 Google Patents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178B1
KR100624178B1 KR1020050028119A KR20050028119A KR100624178B1 KR 100624178 B1 KR100624178 B1 KR 100624178B1 KR 1020050028119 A KR1020050028119 A KR 1020050028119A KR 20050028119 A KR20050028119 A KR 20050028119A KR 100624178 B1 KR100624178 B1 KR 10062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ush frame
recei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일
Original Assignee
김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일 filed Critical 김희일
Priority to KR102005002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bstract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가 개시된다. 손 보호구는 도어 및 푸쉬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몸체가 형성된다. 프레임 수용부 저면에서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따라 왕복 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은 탄성 부재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도어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는 고정편에 의해서 도어가 고정된다. 또한, 손 보호구는 외벽에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여 손 보호구의 강도를 보완하며 미관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손 보호구는 도어를 훼손하지 않고도 도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손 보호구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가이드 부재, 푸쉬 프레임, 손 보호구

Description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도 1 은 종래의 손 보호구를 구비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도어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도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보호구 몸체 220:가이드 부재
230:푸쉬 프레임 350:고정 부재
460:보호 커버 471:완충 부재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어 손을 보호하기 위한 손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 또는 다른 구조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도어는 여닫이식, 미닫이식 및 회전식 등이 있다. 도어를 통해서 사람 또는 물건 등이 건물의 내외부로 출입하고, 도어를 닫아 건물의 내외부를 분리시킨다.
하지만,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문틈에 끼는 사고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물건 등이 끼여 물건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잦다. 최근에는 빌딩과 같이 대형 건물의 현관에 강화 유리로 구성된 도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대형 강화 유리는 무겁고 단단하기 때문에 일단 사람의 손이나 신체 일부가 대형 유리 도어가 끼면 손 또는 신체에 심각한 부상을 끼칠 수가 있다.
대형 유리 도어 등의 도어 몸체에 의해서 손가락, 손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발명 및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그 중 등록실용신안 제0180795호인 "손 보호 구조를 구비하는 문"(이하 "문"이라 함)(2000년 5월 15일 공고)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문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손 보호 구조를 갖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기 "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문(100)은 문 본체(110), 문 본체(110)의 전단부에 조립되는 탄성 부재(120), 그리고 탄성 부재(120)를 문 본체(110)에 조립하기 위한 브래킷(130)을 포함한다.
문 본체(110)의 전단부에는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탄성 부재(120) 및 브래킷(13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브래킷(130)은 두 개의 측벽(131), 측벽(131) 중앙에 일체로 연결되는 격벽(132)을 포함하여 H 비임(H-beam) 형상을 갖는다. 양 측벽(131)의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 돌기부(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 돌기부(133)가 문 본체(110)에 형성된 브래킷 홈(112)에 결속됨으로써 브래킷(130)이 문 본체(110)에 고정된다. 체결 돌기부(133)에 대향하여 두 개의 고리부(134)가 양 측벽(131)의 전단으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두 개의 측벽(131)의 전방부, 격벽(132) 및 두 개의 고리부(134)에 의해서 전면의 중앙부가 개방된 수납홈(139)이 제공된다.
이에 탄성 부재(120)는 사각 단면을 갖는 봉 형상의 두부(head;122), 두부(122)의 후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목부(neck;124), 및 목부(124)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어깨부(shoulder;126)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120)의 어깨부(126) 및 목부(124)가 브래킷(130)의 수납홈(139)에 삽입됨으로써, 탄성 부재(120)가 브래킷(130)에 고정된다.
상기 문은 접착제 없이 문에 결합될 수 있는 손 보호 구조를 갖는다. 하지 만, 일단 브래킷(130)을 문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해서 문 본체(110)에 홈을 파서 브래킷 홈(112)을 형성하여야 한다. 한번 홈이 형성되면 문 본체(110)는 다시 원상태로 복구될 수 없기 때문에 고가의 유리문 본체는 영구적으로 훼손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브래킷(130)의 체결 돌기부(133)의 위치와 문 본체(110)의 브래킷 홈(112)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래킷(130)이 문 본체(110)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불필요한 틈새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미숙련자에 의한 경우 체결 돌기부(133) 및 브래킷 홈(112)이 정밀하게 일치되지 않아 치명적인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 대형 유리 몸체와 같은 고가의 자재가 재활용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될 수 있다.
게다가, 어깨부(126) 및 목부(124)가 수납홈(139)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을 갖게 되는데, 탄성 부재(1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깨부(126) 및 목부(124)의 마찰력에 의해서 수납홈(139)에 탄성 부재(1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없으며, 이를 감안하여 어깨부(126) 및 목부(124)의 단면을 수납홈(139)보다 작게 하면 탄성 부재(120)의 삽입 후 탄성 부재(120)가 브래킷(130)에 헐겁게 고정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헐겁게 고정된 탄성 부재(120)는 사용 도중에 브래킷(130)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어 유지 및 수리가 곤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어 몸체를 훼손하지 않고도 도어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손 보호구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 하게 할 수 있고, 완충 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며, 장착 후 완충 부재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손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 공간 및 도어와 손 보호구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 보호구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손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 보호구는 보호구 몸체, 가이드 부재, 푸쉬 프레임, 탄성 부재, 고정 부재 및 보호 커버를 구비한다.
보호구 몸체는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한다. 도어 수용부는 도어 수용부의 저면에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고정편에 의해서 손 보호구를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의 고정편이 보호구 몸체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 고정 부재로 전달되지 않으며, 충격에 의해서 고정편이 변형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와 직접 맞닿는 고정 부재의 내측에는 미끄러짐 방지돌기를 더 제공하여 도어와 손 보호구간의 결속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 수용부에는 푸쉬 프레임이 왕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푸쉬 프레임의 이동 경로가 되는 가이드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 및 가이드 부의 단부 양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두 개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걸림부는 각각의 판재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가 하나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걸림부는 판재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될 수가 있다.
푸쉬 프레임은 대형 유리 도어 등의 도어 몸체에 의해서 손가락, 손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쉬 프레임의 내부에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푸쉬 프레임이 탄성 부재에 의해서 손 보호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거리를 결정할 수 있는 제2 걸림부가 푸쉬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2 걸림부는 푸쉬 프레임의 내측 양단에서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 는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구(200)가 도어(205)와 결합되어 있다. 손 보호구(200)는 도어(205)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214)와 푸쉬 프레임(2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212)와 함께 보호구 몸체(210)를 이루며,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하여 두 개의 고정편(250)으로 형성되 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도어 수용부(214)의 내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고정편(250)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는 도어(205)와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미끄러짐 방지돌기가 제공된다.
도어 수용부(214)는 도어(205)와 결속되는 부분에 따라 도어 결속부Ⅰ, Ⅱ 및 Ⅲ으로 나눌 수 있다. 도어 결속부Ⅰ 및 Ⅲ은 도어 수용부(214)와 도어(205)의 위아래 양반부에 도어(205)를 감싸는 덮개(207)와 결속되는 부분이며, 도어 결속부Ⅱ는 도어 수용부(214)와 도어(205)가 직접 결속되는 부분이다.
도어 결속부Ⅰ 및 Ⅲ은 도어 수용부(214)가 도어(205)의 위아래 양단부를 감싸는 덮개(207)와 결속되는 부분으로써, 도어(205)의 두께보다 일반적으로 두꺼운 덮개(207)와 직접 맞닿아 결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 수용부(214)의 일부가 절개되며,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으로부터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을 통과하는 나사(216)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서 손 보호구(200)가 도어(205)의 위아래에 제공되는 양단부의 덮개(207)와 체결됨으로써 손 보호구(200)가 도어(205)에 결속된다.
도어 결속부Ⅱ는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에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된 고정편(250)들과 도어(205)가 직접 결속되는 부분이다. 도어(205)에 덮개(20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앙부분은 손 보호구(200)와 도어(205)와의 결속에 있어서 나사(216) 등과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205)와 손 보호구(200)의 결속이 미흡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구(200)는 도어(205)의 중앙 부분의 체결을 고정편(250)들을 사용하여 보완함으로써 나사(216)로 연결할 수 없는 도어(205)의 중앙부분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결속부Ⅰ 및 Ⅲ과 도어 결속부Ⅱ의 고정 부재를 사용한 손 보호구(200)와 도어(205)와의 결속 수단 이외에도 손 보호구(200)와 도어(205)사이에 실리콘 등을 이용한 접착 수단을 통하여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편(250)을 이용한 도어(205)와 손 보호구(200)의 결속은 나사(216) 등의 체결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결속이 부실한 도어(205)의 중앙 부분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장점 외에도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 도어(205)로부터 손 보호구(200)가 헐거워지거나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205)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손 보호구(200)의 외형이 변형되어도 도어(205)와 직접 맞닿아있는 고정편(250)에는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200)의 프레임 수용부(212)에 수용되는 푸쉬 프레임(230)은 내측에 제공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24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탄성 부재(240)는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하여 형성된 가이드 부재(220)사이에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탄성 부재(240)의 위치는 변동될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푸쉬 프레임(230)의 내측면과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에 맞닿아 푸쉬 프레임(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가이드 부재(220)사이에 위치하며, 폭은 가이드 부재(220)의 이격거리 이하로 결정되며, 도어(2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는 탄성 부재(240)의 어느 한 끝은 나사(216)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탄성 부재를 상기와 같이 설명하고 있지만, 탄 성 부재의 형상은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그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부재(240)에 의해서 지지되는 푸쉬 프레임(230)은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220)를 따라 슬라이드 운동을 한다. 푸쉬 프레임(230)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232)는 가이드부(2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24)에 맞물려 푸쉬 프레임(230)의 왕복운동 거리를 제한한다.
도어(205)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문틈에 끼는 사고 및 물건 등이 끼어 물건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230)이 돌출될 때에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 프레임(230)의 일부를 곡면 처리한다. 푸쉬 프레임(230)의 곡면처리를 통하여 푸쉬 프레임(230)의 왕복운동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손 등이 끼었을 때 경사를 타고 미끄러질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손 보호구(200)는 프레임 수용부(2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230), 푸쉬 프레임(2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220), 가이드부(2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24) 및 가이드 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240)를 포함한다.
푸쉬 프레임(230)은 탄성 부재(240)에 의해서 왕복운동을 한다. 이때 푸쉬 프레임(230)은 가이드 부재(2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가이드 부재(220)는 푸쉬 프레임(230)의 저면에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보게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20)는 가이드부(2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24)를 포함하여 푸쉬 프레임(230)의 제2 걸림부(232)와 맞물림으로써 푸쉬 프레임(230)의 왕복운동 거리를 제한한다.
가이드 부재(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40)는 푸쉬 프레임(230)의 내측 상부와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에 맞닿아 푸쉬 프레임(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가이드 부재(220)사이에 위치하며, 폭은 가이드 부재(220)의 이격거리 이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도어(2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는 탄성 부재(240)의 어느 한 끝은 나사(216)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된다.
다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도4는 외부의 힘에 의해 푸쉬 프레임(230)이 프레임 수용부(212)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이다. 도5는 도어의 일반적인 평소의 상태이므로 개폐에 상관 없이 외부의 힘이나 기타 충격 등이 없을 시의 푸쉬 프레임(230)은 항상 도5의 형태를 유지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보호구(200)는 도어 수용부(214)의 고정편(250)들과 무관하게, 가이드 부재(220)만으로도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의 제1 걸림부(224)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푸쉬 프레임(230)의 제2 걸림부(232)가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도록 내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푸쉬 프레임(230)의 양 측면을 평면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푸쉬 프레임(230)의 양 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푸쉬 프레임(230)은 프레임 수용부(212)의 안내를 받아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의 처음부터 끝까지 프레임 수용부(212)의 내벽에 밀착하기 때 문에 푸쉬 프레임(230)의 흔들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푸쉬 프레임(230) 및 프레임 수용부(212) 간의 사이 공간을 최소로 함으로써,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300)는 도어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314), 푸쉬 프레임(3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312), 프레임 수용부(3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330), 푸쉬 프레임(3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320), 가이드부(3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324) 및 가이드 부재(3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3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340)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300)에서 도어 수용부(314), 프레임 수용부(312), 푸쉬 프레임(330), 및 탄성 부재(340)는 제 1 실시예의 도어 수용부(214), 프레임 수용부(212), 푸쉬 프레임(230) 및 탄성 부재(240)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의 제 1 실시예의 보호구 몸체(210), 푸쉬 프레임(230) 및 탄성 부재(24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수용부(312)내에서 가이드 부재 (3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푸쉬 프레임(330)의 왕복운동에 있어서, 푸쉬 프레임(330)의 왕복운동의 경로를 결정하는 가이드 부재(320)가 하나의 가이드부(322)로 형성된다.
하나의 가이드부(322)로 푸쉬 프레임(3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이드부(322)의 단면에는 푸쉬 프레임(330)의 양단에 제공되는 제2 걸림부(332)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1 걸림부(324)가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다.
다시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프레임 수용부(312)내에서 푸쉬 프레임(330)은 하나의 판재로 제공되는 가이드 부재(320)를 따라 왕복운동하며 가이드부(322)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부(324)에 푸쉬 프레임(33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부(332)가 맞물려 고정된다. 이때 탄성 부재(340)는 제1 걸림부(324)의 단부 상측에 놓이게 되며, 푸쉬 프레임(3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제1 걸림부(324) 단부 상측에는 탄성 부재(3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탄성 부재(34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탄성 부재(340)의 일부는 제1 걸림부(324)의 단부 상측에 형성된 수용부(327)에 고정되는 선재 및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부는 푸쉬 프레임(330)의 내부와 맞닿아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굴절된다.
실시예 3
도 8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도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손 보호구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예의 설 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프레임 수용부(312)에 대향하는 도어 수용부(314)의 저면에는 도어(305)와 직접 맞닿아 손 보호구(300)를 결속할 수 있는 고정편(350) 두 개가 입구를 향하여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350)은 약 2°~10°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입구가 좁아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5)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고정편(350)의 내측면에는 도어(305)가 고정편(35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돌기(352)가 형성된다. 도어(305)가 도어 수용부(314)에 결속된 후에는 고정편(350)이 안으로 휘어지려는 힘에 의해서 도어(305)가 고정된다.
도 9 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손 보호구(300)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보호구 몸체(310)의 일부가 변형될 수 있으나, 도어(305)가 고정된 고정편(350)은 도어 수용부(314)의 내벽과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과 무관하게 도어(305)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즉, 손 보호구(300)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과도한 힘을 받아 보호구 몸체(310)가 변형되어도 고정편(350)에 의해서 도어(305) 및 손 보호구(300) 간의 결속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게 미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보호구(300)와 강화 유리가 고정되는 중간의 도어 결속부(II)가 고정편(35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손 보호구(300)가 도어 전체적으로 결속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밀어서 삽입하는 간단한 작업 으로 손 보호구(300)의 설치를 완료할 수가 있다.
또한, 고정편(350)의 결속력으로도 손 보호구(300)를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실리콘 등으로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400)는 도어(405)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414), 푸쉬 프레임(4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412), 프레임 수용부(4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430), 푸쉬 프레임(4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420), 가이드부(4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424) 및 가이드 부재(4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4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400)의 구성요소들은 제 2 실시예의 도어 수용부(314), 프레임 수용부(312), 푸쉬 프레임(330) 및 탄성 부재(340)와 사실상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의 제 2 실시예의 보호구 몸체(310), 푸쉬 프레임(330) 및 탄성 부재(34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보호구 몸체(410)는 알루미늄 등을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내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손 보호구(400)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커버(460)가 더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구(400)에 프레임 수용부(412)의 측면에는 보호 커버(460)와 같은 두께로 만입된 고정 단이 형성되어, 일단은 고정 단에 맞물려 프레임 수용부(412)의 측면과 같은 선상에 놓이며, 타단은 도어 수용부(414)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판재로 제공되는 보호 커버(460)가 더 제공된다.
또한, 푸쉬 프레임(430)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432)에는 다수의 털이 형성된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471)를 더 제공함으로써 푸쉬 프레임(430)이 가이드부(42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이나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471)를 푸쉬 프레임(430)의 제2 걸림부(432)에 제공할 때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제2 걸림부(432)에 외부에서 더 제공되는 완충 부재(47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제2 걸림부(432)에 완충 부재(471)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푸쉬 프레임(430)의 돌출방향으로 다수의 털이 달린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472)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완충 부재(47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완충 부재(472)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손 보호구(400)와 도어(405)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레임 수용부(412)의 외측은 빈 공간이 형성된다. 완충 공간(413)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푸쉬 프레임(430)의 왕복운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보호구 몸체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5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500)는 도어(505)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514), 푸쉬 프레임(5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512), 프레임 수용부(5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530), 푸쉬 프레임(5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520), 가이드부(5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524) 및 가이드 부재(5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5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5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500)의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의 도어 수용부(214), 프레임 수용부(212), 푸쉬 프레임(230) 및 탄성 부재(240)와 사실상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의 제 1 실시예의 보호구 몸체, 푸쉬 프레임(212) 및 탄성 부재(24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구(500)에 일단은 고정 단에 맞물려 프레임 수용부(512)의 측면을 따라 놓이며, 타단은 도어 수용부(514)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판재로 제공되는 보호 커버(560)가 더 제공된다.
프레임 수용부(512)의 내부 측면까지 연장되는 보호 커버(560)의 일단부는 푸쉬 프레임(530)의 제2 걸림부(532)가 제1 걸림부(524)에 맞닿아 돌출거리가 제한 될 때, 제2 걸림부(532)와 맞닿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제1 고정편(524)과 함께 푸쉬 프레임(530)의 돌출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푸쉬 프레임(530)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532)에는 다수의 털이 형성된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571)를 더 제공함으로써 푸쉬 프레임(530)이 가이드부(52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이나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571)를 푸쉬 프레임(530)의 제2 걸림부(532)에 제공할 때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제2 걸림부(532)에 외부에서 더 제공되는 완충 부재(57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제2 걸림부(532)에 완충 부재(571)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푸쉬 프레임(530)의 돌출방향으로 다수의 털이 달린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572)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완충 부재(57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완충 부재(572)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손 보호구(500)와 도어(505)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레임 수용부(512)의 외측은 빈 공간이 형성된다. 완충 공간(513)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푸쉬 프레임(530)의 왕복운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보호구 몸체(510)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구는 도어 몸체를 훼손하지 않고도 도어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손 보호구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완충 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며, 장착 후 완충 부재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 보호구의 외측에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의 보호 커버를 더 제공함으로써 강도를 보완하며, 미관상으로도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및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 방향으로 완충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프레임의 돌출방향으로 완충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푸쉬 프레임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5.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소정의 간격을 두어 마주보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각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및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 호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폭은 상기 가이드부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게 제공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푸쉬 프레임의 내부와 맞닿으며, 타단부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은 나사와 같은 결합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9.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및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상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재 또는 선재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상면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13.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
    상기 도어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도어 수용부의 내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고정 부 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푸쉬 프레임; 및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들의 단부는 안쪽을 향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들의 안쪽으로 상기 도어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16.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 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도어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도어 수용부의 내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2 걸림부와 맞닿아 상기 푸쉬 프레임의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도어 수용홈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측면에는 고정 단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 커버의 일단은 상기 고정 단에 맞물려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측면과 같은 선상에 놓이며, 타단은 상기 도어 수용홈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
KR1020050028119A 2005-04-04 2005-04-04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KR10062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19A KR100624178B1 (ko) 2005-04-04 2005-04-04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19A KR100624178B1 (ko) 2005-04-04 2005-04-04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254U Division KR200387129Y1 (ko) 2005-04-04 2005-04-04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178B1 true KR100624178B1 (ko) 2006-09-20

Family

ID=3763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119A KR100624178B1 (ko) 2005-04-04 2005-04-04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1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1705A1 (de) * 2008-04-02 2009-10-08 Claus Weissofner Anordnung einer ganzglastüre mit finger-klemmschutz
KR101146110B1 (ko) * 2009-11-17 2012-05-1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반자동문용 도어 안전장치
KR101181220B1 (ko) 2010-07-29 2012-09-07 길석면 도어 안전사고 방지구
KR101419376B1 (ko) * 2013-11-29 2014-07-15 김영석 단열 도어틀 및 단열 도어
KR20190089261A (ko) 2018-01-22 2019-07-31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KR20190089262A (ko) 2018-01-22 2019-07-31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1705A1 (de) * 2008-04-02 2009-10-08 Claus Weissofner Anordnung einer ganzglastüre mit finger-klemmschutz
KR101146110B1 (ko) * 2009-11-17 2012-05-1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반자동문용 도어 안전장치
KR101181220B1 (ko) 2010-07-29 2012-09-07 길석면 도어 안전사고 방지구
KR101419376B1 (ko) * 2013-11-29 2014-07-15 김영석 단열 도어틀 및 단열 도어
KR20190089261A (ko) 2018-01-22 2019-07-31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KR20190089262A (ko) 2018-01-22 2019-07-31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129Y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KR100624178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KR101499098B1 (ko)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가지는 문짝
KR100862738B1 (ko)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425622Y1 (ko) 도어 안전장치
KR200447014Y1 (ko) 완충기가 설치된 미닫이 창호 장치
KR101740509B1 (ko)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KR200454552Y1 (ko) 도어 손잡이
KR20190002051U (ko)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200483740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KR100959261B1 (ko) 반자동문용 탄성커버부가 구비된 반자동문용 손보호구
KR101581203B1 (ko) 방풍이 가능한 도어용 안전장치
KR101063121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보호대
KR200467838Y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KR100963167B1 (ko) 유선완충쿠션부가 구비된 도어용 손보호구
KR101146110B1 (ko) 반자동문용 도어 안전장치
KR200395339Y1 (ko) 도어의 방풍 겸용 쿠션장치
KR101416325B1 (ko) 안전도어
KR20090070449A (ko) 미서기 창틀용 완충 핸들
KR20140106924A (ko) 기밀성 향상 구조가 결합된 미닫이문
KR101150180B1 (ko) 크린룸 도어
KR101960495B1 (ko) 손끼임 방지구
KR20190029891A (ko) 문틀 청소용구
KR101161082B1 (ko) 도어 보호대 구조체
KR200375516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