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509B1 -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509B1
KR101740509B1 KR1020160162605A KR20160162605A KR101740509B1 KR 101740509 B1 KR101740509 B1 KR 101740509B1 KR 1020160162605 A KR1020160162605 A KR 1020160162605A KR 20160162605 A KR20160162605 A KR 20160162605A KR 101740509 B1 KR101740509 B1 KR 10174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ner
hole
reinforcing plate
corne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6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 E04F19/028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used at protruding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외력이 제거된 후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스너 머리부에 의한 차량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20)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구조물보호판(30); 코너보호대(4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보강판(50); 구조물보호판(3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코너보호대(40)의 상하단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코너보호대(40)를 안내하는 엔드플레이트(60)(62); 코너보호대(4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장공(42); 외측장공(42)과 일치되도록 보강판(50)에 형성되는 내측장공(52); 내측장공(52)을 통해 구조물보호판(30)에 설치되고, 구조물(20)에 고정하기 위한 화스너(22)를 통과시키기 위한 체결구멍(72)이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가이드포스트(70); 가이드포스트(70)의 단부에 형성되어 외측장공(42)에 위치되어 보강판(50)에 걸리는 헤드부(74);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기구(80); 화스너(22)의 머리부(24)와 헤드부(74)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74)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헤드완충링(76);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의 사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플렉시블한 측면커버(90)(9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Construction Corner Guard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건축물의 주차장에 위치된 기둥, 벽 등의 모서리에 설치해서 차량충돌로부터 모서리를 보호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외력이 제거된 후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스너 머리부에 의한 차량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주차장에 위치된 기둥, 벽의 모서리에는 차량의 진출입시 발생할 수 있는 모서리 추돌에 대비하기 위한 코너보호대를 설치해서 기둥, 벽 등의 모서리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의 파손을 경감시키고 있다. 이러한 코너보호대에 관한 종래기술을 하기의 특허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1-0003925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는, 코너보호대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해서 주차장에 위치된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1의 도 2a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표면 상태가 고르지 못하고 박리되기 쉬운 도장막이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에 코너보호대를 직접 부착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상실될 때 코너보호대가 기둥이나 벽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코너보호대가 고무로 성형 된 경우 일직선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착면이 부분적으로 들뜨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214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는, 코너보호대의 내부에 철판을 설치해서 코너보호대의 변형을 방지하고,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나사못을 이용해서 코너보호대를 모서리에 고정함으로써 코너보호대가 기둥이나 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2의 도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는, 내부에 강한 철판이 설치되어 있고 코너보호대의 내부에 완충공간이 없으므로, 충격흡수력이 떨어져 모서리와 차량을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못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못머리에 접촉되면 긁힘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2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0418190호(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는, 코너보호대를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콘크리트못 또는 나사못의 못머리를 포장재로 씌워서 못머리에 의한 차량의 표면 긁힘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3 참조의 도 5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3은, 못머리를 포장재로 완전히 씌웠기 때문에 못을 박을 때 포장재를 제거하지 않고서는 못머리에 직접 타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포장재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못을 박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타격 도중에 포장재가 찢어져 못머리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 3은, 나사못을 이용해서 코너보호대를 설치하는 경우 드라이버 비트와 같은 체결공구를 나사머리에 직접 결합해야만 나사못으로 체결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포장재의 앞부분을 칼로 절단해서 못머리를 노출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여전히 못머리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표면 긁힘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 1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155호(이하, 종래기술 4라 함)는, 코너보호대 몸체의 내부에 쿠션부와 다수의 빈 공간을 두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4의 도 7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4는, 코너보호대 몸체의 내부에 있는 얇은 격벽의 탄성복원력에 의존해서 코너보호대가 외력이 제거된 후 원형으로 복원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 될수록 복원력이 점차 떨어져 압축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여전히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해서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 표면에 직접 부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 침투에 의해 접착부가 박리되면서 코너보호대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4의 문제점을 한꺼번에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327호(이하, 종래기술 5라 함)는, 주름모양의 충격흡수판을 구비해서 충격흡수율을 향상시키고, 나사못에 의해 기둥이나 벽에 고정되는 끼움부를 이용해서 충격흡수판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5의 도 6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5는, 기둥이나 벽의 표면과 충격흡수판 사이에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얇은 충격흡수판이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로부터 들뜨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5는, 끼움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의 머리가 여전히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차량이 접촉되는 경우 긁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충격흡수판의 상하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흡수판의 빈 공간으로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426호(이하, 종래기술 6이라 함)는, 접착수단을 이용해서 코너보호대 몸체를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에 임시로 고정한 다음 코너보호대 몸체의 양단을 벌려서 경질합성수지판을 노출시킨 후 나사못을 이용해서 경질합성수지판을 모서리에 고정한 다음 벌리고 있던 코너보호대 몸체의 양단을 원형으로 복원시켜서 나사못을 은폐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6의 도 4a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6은, 코너보호대 몸체의 상하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와 코너보호대 몸체 사이에 형성된 쿠션공간으로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사못을 이용해서 경질합성수지판을 모서리에 체결하는 동안 코너보호대 몸체의 단부를 당겨서 벌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만 체결작업에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두 명이 한 조로 작업하거나 양손을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6은 코너보호대 몸체를 벌릴 때 조금만 과도하게 당기면 기둥 또는 벽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던 경질합성수지판이 떨어지거나 코너보호대 몸체와 경질합성수지판의 연결부위가 벌어져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코너보호대 몸체의 양단을 벌리고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복원력이 떨어져 코너보호대 몸체의 양단이 기둥이나 벽으로부터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863215호(이하, 종래기술 7이라 함)는, 모서리 보호대의 상하단에 캡을 끼워서 모서리 보호대의 빈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못머리를 은폐해서 차량의 긁힘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7의 도 6a 및 도 6b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7은, 모서리 보호대를 설치한 다음 캡을 설치해야 하는 순서를 지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정이 많아 작업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으며, 캡에 형성된 돌기를 모서리 보호대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끼워서 결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가 끼워진 부분인 모서리 보호대 상하단의 충격흡수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특히 모서리 보호대의 하단에 위치된 캡이 자중에 의해 모서리 보호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6 및 종래기술 7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0431763호(이하, 종래기술 8라 함)는, 금속판을 절곡해서 만든 고정판을 나사못을 이용해서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에 고정한 다음, 고정판의 양쪽에 형성된 걸림턱에 코너보호대를 걸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8의 도 5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8은, 못머리를 숨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코너보호대를 고정판에 결합할 때 코너보호대의 양쪽을 벌린 다음 강제로 끼워서 결합해야만 하기 때문에 체결작업이 매우 힘들고, 코너보호대의 길이가 폭에 비해 길기 때문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조금씩 끼우면서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코너보호대를 고정판에 결합할 때 고정판의 에지 부분에 고무재질로 된 코너보호대가 걸리는 경우가 많아 고무망치나 주먹을 이용해서 타격하면서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66408호(이하, 종래기술 9라 함)는, "ㄷ"자 모양으로 성형된 주방호판을 이용해서 기둥의 정면과 좌우측면인 3면을 한꺼번에 감싸도록 되어 있으며, 기둥과 주방호판의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해서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9의 도 2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9는, 기둥의 정면과 좌우측면인 3면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와 같이 두 면이 만나는 부위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9는 주방호판이 스프링을 통해 기둥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처짐에 의해 주방호판이 밑으로 처지면서 주방호판이 최초 설치위치를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고, 설치작업이 복잡해서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 압축방향이 대해 직각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스프링이 측방향으로 편중되게 좌굴되면서 고정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92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214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418190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15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327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426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63215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431763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664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추돌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된 후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스너 머리부에 의한 차량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는, 구조물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구조물보호판; 코너보호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보강판; 구조물보호판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코너보호대의 상하단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코너보호대를 안내하는 엔드플레이트; 코너보호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장공; 외측장공과 일치되도록 보강판에 형성되는 내측장공; 내측장공을 통해 구조물보호판에 설치되고,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화스너를 통과시키기 위한 체결구멍이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가이드포스트; 가이드포스트의 단부에 형성되어 외측장공에 위치되어 보강판에 걸리는 헤드부; 구조물보호판과 보강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기구; 화스너의 머리부와 헤드부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헤드완충링; 구조물보호판과 보강판의 사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플렉시블한 측면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는, 보강판에 설치되고, 구조물보호판으로부터는 이격된 원통형의 완충고무; 완충고무의 내측에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구조물보호판과 보강판 사이에서 반발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고무의 단부에 설치되는 납작한 도넛모양의 윤활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조물보호판에 형성되는 포밍부; 포밍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리벳구멍; 가이드포스트의 단부에 형성되고, 리벳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벳결합부; 구조물보호판에 걸리도록 가이드포스트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물보호판에 형성되는 접시구멍; 접시구멍의 중심과 일치되게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탭구멍; 접시구멍을 통해 탭구멍에 결합되는 접시머리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이드포스트(70)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74)가 외측장공(42)에 위치되어 있고, 가이드포스트(70)는 내측장공(52)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보호대(40)가 충격에 의해 구조물(20)을 향해 움직일 때 헤드부(74)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움직임이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가이드포스트(70)의 안내를 받는 보강판(50)에 의해 코너보호대(40)의 움직임이 보다 부드럽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보강판(50)이 가이드포스트(70)에 설치되어 있고 코너보호대(40)는 보강판(50)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보호대(40)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이 코너보호대(40)에 살짝 접촉될 때 압축스프링(84)이 압축되면서 코너보호대(40)가 밀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보호대(40)의 고무성분이 차량 표면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이 코너보호대(40)에 추돌되면서 코너보호대(4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스프링(84)은 물론 완충고무(82)가 함께 압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충격흡수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짧은 거리에서 압축스프링(84)에 비해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든 구성품을 생산 공장에서 하나의 뭉치 형태로 조립한 다음 건설현장으로 운반해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못 또는 나사못과 같은 화스너(22)를 가이드포스트(70)의 중심에 형성된 체결구멍(72)으로 집어넣은 다음 구조물(20)에 박으면,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시공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코너보호대(4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엔드플레이트(60)(62)는 구조물보호판(30)에 고정된 채 엔드플레이트(60)(62)의 사이에 위치된 코너보호대(40)가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므로, 엔드플레이트(60)(62)로 인한 코너보호대(40)의 부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스너(22)가 콘크리트 못인 경우 중공형으로 되어 있는 헤드완충링(76)의 중심을 통해 펀치와 같은 타격력 전달공구를 화스너(22)의 머리부(24)에 접촉시키고 가격하면 타격력을 화스너(22)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스너(22)가 나사못인 경우에는 드라이버 비트와 같은 공구를 헤드완충링(76)의 중공부를 통해 머리부(24)에 결합해서 체결작업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헤드부(74)에 설치된 헤드완충링(76)에 의해 차량 표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완충고무(82)의 측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때 완충고무(82)의 단부에 설치된 윤활시트(86)에 의해 완충고무(82)가 구조물보호판(30)으로부터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보강판(50)으로부터 완충고무(8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접시머리볼트(65)를 이용해서 엔드플레이트(60)(62)를 구조물보호판(3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엔드플레이트(60)(62)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조물보호판(30)에 형성된 포밍부(32)에 의해 가이드포스트(70)에 형성된 리벳결합부(77)의 후방돌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조물보호판(30)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코너보호대(40)의 상하단에 위치된 엔드플레이트(60)(62)와 코너보호대(40)의 측면에 위치된 측면커버(90)(92)에 의해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으로부터 코너보호대(40)에 작용되던 외력이 제거되면, 코너보호대(40)가 압축스프링(8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복원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압축스프링(84)에 의해 보강판(50)이 구조물보호판(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포스트(70)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74)에 보강판(50)이 걸리면서 멈추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보호대(40)의 복귀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상태로부터 코너보호대에 차량이 추돌되면서 압축스프링이 압축된 것을 보인 평단면도
도 7은 도 6의 E부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더욱 큰 충격이 코너보호대에 작용되면서 완충고무까지 압축된 것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보호대와 보강판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포스트와 측면커버 및 주변구성을 분리해서 보인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포스트와 헤드완충링을 부분 절개해서 보인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완충고무와 압축스프링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플레이트와 구조물보호판을 보인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20)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구조물보호판(30); 코너보호대(4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보강판(50); 구조물보호판(3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코너보호대(40)의 상하단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코너보호대(40)를 안내하는 엔드플레이트(60)(62)를 포함한다.
구조물(20)은 예를 들면 건축물에 마련된 주차장의 콘크리트 기둥, 콘크리트 벽, 조적벽이 될 수 있으며, 구조물보호판(3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L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성형할 수 있다.
코너보호대(40)와 엔드플레이트(60)(62)는,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고무로 성형될 수 있고, 평면에서 볼 때 L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엔드플레이트(60)(6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엔드플레이트(60)(6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보호대(40)의 상하단에 각각 위치되도록 두 개가 하나의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코너보호대(40)가 충격을 받을 때 엔드플레이트(60)(62)는 구조물보호판(30)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엔드플레이트(60)(62) 사이에 위치된 코너보호대(40)가 움직인다.
본 발명은 코너보호대(4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장공(42); 외측장공(42)과 일치되도록 보강판(50)에 형성되는 내측장공(52); 내측장공(52)을 통해 구조물보호판(30)에 설치되고, 구조물(20)에 고정하기 위한 화스너(22)를 통과시키기 위한 체결구멍(72)이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가이드포스트(70); 가이드포스트(70)의 단부에 형성되어 외측장공(42)에 위치되어 보강판(50)에 걸리는 헤드부(74)를 포함한다.
코너보호대(40)에 형성된 외측장공(42)과 보강판(50)에 형성된 내측장공(5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며, 코너보호대(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일 때 가이드포스트(70)가 외측장공(42)과 내측장공(52)의 한쪽에 치우쳐 위치되도록 해서 외측장공(42)과 내측장공(52)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화스너(22)는 콘크리트 못 또는 앵커볼트로 구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강판(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L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해서 코너보호대(40)의 내측면에 접착해서 코너보호대(40)가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가이드포스트(70)와 헤드부(74)는 금속 환봉을 이용해서 절삭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가이드포스트(70)는 내측장공(52)에 끼워져서 코너보호대(40)가 충격을 받아 움직일 때 안내하는 작용을 하고, 헤드부(74)는 외측장공(42)에 위치되어 코너보호대(40)와 보강판(50)이 가이드포스트(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기구(80)를 포함하며, 도 3, 도 4,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보강판(50)에 설치되고, 구조물보호판(30)으로부터는 이격된 원통형의 완충고무(82); 완충고무(82)의 내측에 중심에 위치되고,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 사이에서 반발하는 압축스프링(84)을 포함해서 완충기구(80)를 포함해서 구성할 수 있다.
완충고무(82)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고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해서 보강판(50)과 완충고무(82)를 접합할 수 있고, 압축스프링(84)은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성형한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84)의 한쪽 단부는 보강판(50)에 용접되고, 압축스프링(84)의 나머지 단부는 구조물보호판(30)에 접촉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고무(82)의 단부에 납작한 도넛모양의 윤활시트(86)를 설치해서 완충고무(82)가 구조물보호판(30)에 밀착되었을 때 측방향으로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으며, 윤활시트(86)는 예를 들면 테프론시트와 같이 표면 마찰계수가 낮거나 소결 동합금에 오일이 함침된 자기윤활성을 갖는 오일리스 동와셔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스너(22)의 머리부(24)와 헤드부(74)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74)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헤드완충링(76);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의 사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플렉시블한 측면커버(90)(92)를 포함한다.
헤드부(74)에 형성된 체결구멍(72)의 구멍모서리를 원추형으로 절삭해서 화스너(22)의 머리부(24)와 밀착되는 원추형면취부(71)를 형성할 수 있다.
헤드부(74)의 모서리에 외측환형턱(73)을 형성하고, 헤드완충링(76)의 구멍 모서리에 내측환형턱(75)을 형성한 다음 외측환형턱(73)을 내측환형턱(75)에 끼워서 헤드완충링(76)을 헤드부(74)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헤드완충링(76)을 헤드부(74)에 조립할 때 서로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헤드완충링(76)과 헤드부(74)를 접착하도록 한다.
측면커버(90)(92)는, 평면에서 볼 때 "ㄷ"자 모양의 단면모양을 갖도록 압출성형되거나 일정한 두께를 갖는 고무판을 이용해서 "ㄷ"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2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조물보호판(30)에 형성되는 포밍부(32); 포밍부(32)의 중심에 형성되는 리벳구멍(34); 가이드포스트(70)의 단부에 형성되고, 리벳구멍(34)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벳결합부(77); 구조물보호판(30)에 걸리도록 가이드포스트(70)에 형성되는 걸림턱(78)을 포함한다.
포밍부(32)는, 도 3,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해서 후방으로 돌출된 리벳결합부(77)에 의해 구조물보호판(30)이 구조물(20)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리벳결합부(77)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부(32)에 형성된 리벳구멍(34)으로 리벳결합부(77)를 삽입한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리벳결합부(77)를 펀치 또는 망치로 가격해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게 변형시킴으로써 가이드포스트(70)를 포밍부(32)에 고정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보호판(30)에 형성되는 접시구멍(36); 접시구멍(36)의 중심과 일치되게 엔드플레이트(60)(62)에 형성되는 탭구멍(64); 접시구멍(36)을 통해 탭구멍(64)에 결합되는 접시머리볼트(65)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60)(62)를 구조물보호판(30)에 고정할 때 접시머리볼트(65)와 접시구멍(36)을 이용해서 고정하기 때문에 접시머리볼트(65)의 머리부 돌출을 방지해서 구조물보호판(30)이 구조물(20)의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엔드플레이트(60)(62)를 구조물보호판(30)에 설치할 때 서로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아무런 외력이 작용 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주차하는 차량이 예를 들면 도 6의 화살표방향으로 코너보호대(40)에 추돌 되면, 압축스프링(84)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도 6의 도면 중 좌측 상부에 위치된 내측장공(52)에 미끄럼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포스트(70)에서는, 가이드포스트(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판(50)이 움직이면서 보강판(50)이 헤드부(74)로부터 이격되고, 도 6의 도면 중 우측 하부에 위치된 내측장공(52)에 미끄럼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포스트(70)에서는, 보강판(50)이 가이드포스트(7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코너보호대(40)에 스치듯 작용되는 작은 충격은 완충고무(82)가 구조물보호판(30)에 밀착되기 전까지 압축스프링(84)에 의해 흡수되는 동시에 코너보호대(40)가 부드럽게 밀리면서 차량의 표면과 구조물(20)을 보호하게 된다.
코너보호대(40)가 움직일 때 코너보호대(40)의 상하단에 위치된 엔드플레이트(60)(62)는 구조물보호판(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보호대(40)만 엔드플레이트(60)(62)의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너보호대(40)가 움직일 때 측면커버(90)(92)의 중간이 "U"자 모양으로 구부러지거나 경사지게 휘면서 코너보호대(40)와 보강판(50)의 움직임에 도움을 주게 된다.
도 7과 같이 압축스프링(84)이 압축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코너보호대(40)에 충격이 작용되어 코너보호대(40)가 구조물(20)을 향해 움직이게 되면, 이번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84)과 완충고무(82)가 동시에 압축되면서 더욱 큰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완충고무(82)는 항아리 모양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때 헤드완충링(76)이 외측장공(42)을 통해 측면커버(90)(92)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어 차량에 접촉되는 경우, 헤드완충링(76)은 차량의 표면이 화스너(22)의 머리부(24)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해서 차량의 표면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완충고무(82)의 단부에 설치된 윤활시트(86)는, 코너보호대(40)의 표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거나 여러 방향에서 복합적인 힘이 작용되는 경우 완충고무(82)가 구조물보호판(30)에 접촉되었을 때 완충고무(82)의 한쪽 단부가 구조물보호판(30)의 표면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엔드플레이트(60)(62)와 측면커버(90)(92)는,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코너보호대(40)에 작용되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스프링(8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강판(50)과 코너보호대(4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보강판(50)이 헤드부(74)에 걸리는 순간 멈추면서 복귀위치를 일정한 위치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완충고무(82)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보강판(50)과 코너보호대(40)의 복귀를 돕게 된다.
20 : 구조물 22 : 화스너
24 : 머리부 30 : 구조물보호판
32 : 포밍부 34 : 리벳구멍
36 : 접시구멍 40 : 코너보호대
42 : 외측장공 50 : 보강판
52 : 내측장공 60,62 : 엔드플레이트
64 : 탭구멍 65 : 접시머리볼트
70 : 가이드포스트 71 : 원추형면취부
72 : 체결구멍 73 : 외측환형턱
74 : 헤드부 75 : 내측환형턱
76 : 헤드완충링 77 : 리벳결합부
78 : 걸림턱 80 : 완충기구
82 : 완충고무 84 : 압축스프링
86 : 윤활시트 90,92 : 측면커버

Claims (5)

  1. 구조물(20)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구조물보호판(30);
    코너보호대(4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보강판(50);
    상기 구조물보호판(3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코너보호대(40)의 상하단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상기 코너보호대(40)를 안내하는 엔드플레이트(60)(62);
    상기 코너보호대(4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장공(42);
    상기 외측장공(42)과 일치되도록 상기 보강판(50)에 형성되는 내측장공(52);
    상기 내측장공(52)을 통해 상기 구조물보호판(30)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20)에 고정하기 위한 화스너(22)를 통과시키기 위한 체결구멍(72)이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가이드포스트(70);
    상기 가이드포스트(7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장공(42)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판(50)에 걸리는 헤드부(74);
    상기 구조물보호판(30)과 상기 보강판(50)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기구(80);
    상기 화스너(22)의 머리부(24)와 상기 헤드부(74)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74)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헤드완충링(76);
    상기 구조물보호판(30)과 상기 보강판(50)의 사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플렉시블한 측면커버(90)(92);
    를 포함하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완충기구(80)는,
    상기 보강판(50)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보호판(30)으로부터는 이격된 원통형의 완충고무(82);
    상기 완충고무(82)의 내측에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구조물보호판(30)과 보강판(50) 사이에서 반발하는 압축스프링(84);
    을 포함하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고무(82)의 단부에 설치되는 납작한 도넛모양의 윤활시트(86);
    를 포함하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2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조물보호판(30)에 형성되는 포밍부(32);
    상기 포밍부(32)의 중심에 형성되는 리벳구멍(34);
    상기 가이드포스트(70)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벳구멍(34)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벳결합부(77);
    상기 구조물보호판(30)에 걸리도록 가이드포스트(70)에 형성되는 걸림턱(78);
    을 포함하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보호판(30)에 형성되는 접시구멍(36);
    상기 접시구멍(36)의 중심과 일치되게 상기 엔드플레이트(60)(62)에 형성되는 탭구멍(64);
    상기 접시구멍(36)을 통해 상기 탭구멍(64)에 결합되는 접시머리볼트(65);
    를 포함하는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KR1020160162605A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KR10174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05A KR101740509B1 (ko)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05A KR101740509B1 (ko)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509B1 true KR101740509B1 (ko) 2017-05-30

Family

ID=5905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605A KR101740509B1 (ko)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5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096A (zh) * 2017-07-28 2017-12-0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悬置橡胶软垫
CN109322404A (zh) * 2018-12-11 2019-02-12 辰信重工(江苏)有限公司 一种钢结构综合大厦用钢结构弯曲连接加固结构
KR20210041294A (ko) 2019-10-07 2021-04-15 김주현 코너 보호대
KR102372246B1 (ko) * 2021-05-07 2022-03-11 김평환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460B2 (ja) 1994-12-28 2000-04-04 株式会社創建 柱等のコーナー保護材
KR200206751Y1 (ko) 2000-06-14 2000-12-15 김봉근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KR200268027Y1 (ko) 2001-11-21 2002-03-15 주식회사 대원기술공사 완충장치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1066408B1 (ko) 2011-03-29 2011-09-21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기둥 보호 구조
KR101667562B1 (ko) 2016-02-15 2016-10-19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이중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460B2 (ja) 1994-12-28 2000-04-04 株式会社創建 柱等のコーナー保護材
KR200206751Y1 (ko) 2000-06-14 2000-12-15 김봉근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KR200268027Y1 (ko) 2001-11-21 2002-03-15 주식회사 대원기술공사 완충장치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1066408B1 (ko) 2011-03-29 2011-09-21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기둥 보호 구조
KR101667562B1 (ko) 2016-02-15 2016-10-19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이중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096A (zh) * 2017-07-28 2017-12-0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悬置橡胶软垫
CN107444096B (zh) * 2017-07-28 2019-05-0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悬置橡胶软垫
CN109322404A (zh) * 2018-12-11 2019-02-12 辰信重工(江苏)有限公司 一种钢结构综合大厦用钢结构弯曲连接加固结构
CN109322404B (zh) * 2018-12-11 2024-03-19 辰信重工(江苏)有限公司 一种钢结构综合大厦用钢结构弯曲连接加固结构
KR20210041294A (ko) 2019-10-07 2021-04-15 김주현 코너 보호대
KR102372246B1 (ko) * 2021-05-07 2022-03-11 김평환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09B1 (ko)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US20080256881A1 (en) Door frame edge protector
US7163244B2 (en) Multi-purpose impact absorbent units
EP1129875A3 (en) Vehicle door
KR200490219Y1 (ko)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100624178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KR20140004305U (ko) 에이치빔용 안전패드
KR200433327Y1 (ko) 건물용 주차 보호대
US20020185891A1 (en) Protective structure for vehicles
EP1382747B1 (en) Impact absorber for road barrier columns
JP2007120208A (ja) ガードパイプ用端部緩衝具
KR102221573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탈방지 가이드 피스
CN209704267U (zh) 一种车门限位结构及汽车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1745301B1 (ko) 창틀 보호재 고정구
WO2010042992A1 (en) A fender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7511Y1 (ko) 자동차용 출입문 보호대
KR200368871Y1 (ko) 모서리용 충격방지 보호대
CN113530941B (zh) 一种门护板防撞卡扣、门护板安装结构及拆卸方法
JPH06248771A (ja) 建物用ガードレール
JP4859563B2 (ja) 遮断機の阻止棒
CN214463395U (zh) 一种限位装置及车辆
US20050252084A1 (en) Garage door sealing member
CN210714355U (zh) 一种隔断门
JP3109222U (ja) 天板付窓枠・開口枠養生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