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246B1 -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 Google Patents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246B1
KR102372246B1 KR1020210059180A KR20210059180A KR102372246B1 KR 102372246 B1 KR102372246 B1 KR 102372246B1 KR 1020210059180 A KR1020210059180 A KR 1020210059180A KR 20210059180 A KR20210059180 A KR 20210059180A KR 102372246 B1 KR102372246 B1 KR 10237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eight
upper body
coupl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환
Original Assignee
김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환 filed Critical 김평환
Priority to KR102021005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에 관한 것으로,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발에 있어서,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결합되고, 상부 몸체의 상단에 전방으로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이 결합되고,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서브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서브프레임이 결합됨으로써, 가구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걸레받이의 결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본 발명은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설치되어 대상물을 지지하거나 높이를 맞추는데 사용되는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 가구는 여러 가지 물건들을 보관하여 지지하고 보호하는 가구로서, 함체 형상으로 복수의 판재의 결합을 통해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구성하고, 본체의 구성 중 전면은 도어로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납 가구는 수납하고자 하는 여러 가지 물건들에 따라 서랍장, 진열장, 장식장, 옷장으로 사용되며, 수납 가구의 함체 형상의 내부 수용공간은 단일 형태 또는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선반으로 구성하게 된다.
종래의 수납가구는 설치 시에 가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바닥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 가구를 설치하면 가구의 문틀이나 서랍 등이 틀어지게 되며, 문이 잘 닫히지 않거나 이웃하는 가구와의 높낮이가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이나 책 등을 접어서 놓던지 얇은 나무판을 놓던지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 단계 더 나아가서 나사의 회전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발을 장착하는 방법이 있었다.
종래의 나사의 회전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발은 수납가구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절발은 2인 이상의 사람들이 가구를 들어내거나, 앞으로 기울여서 한 사람은 가구를 붙들고 있으면서 다른 한 명은 바닥에 엎드려서 팔을 뻗어서 뒷부분에 장착된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발을 조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조절발을 구비하는 수납가구는 수평을 맞추는데 작업의 애로사항이 많고, 설치 조정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최소 2인 이상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걸레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가구에는 조절발의 설치 및 조절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착탈식 걸레받이의 경우 걸레받이가 쉽게 분리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1225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43634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391906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7045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중량의 가구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가구용 걸레받이의 착탈이 용이하며 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은,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발에 있어서,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전방에 상기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판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 몸체에 형성된 제1 안내공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안내공과 직교되도록 연결된 제2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타측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브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제2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판의 상측에는 상기 제2 안내공에 결합되도록 제2 결합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에는 상기 제1 결합바 및 제2 결합바가 각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장공 및 제2 장공이 형성되어, 위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체결포트가 연장되고, 상기 체결포트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암나사산과 맞물리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에 둘레를 따라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된 회전샤프트;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결합되고, 상부 몸체의 상단에 전방으로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이 결합되고,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서브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서브프레임이 결합됨으로써, 가구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걸레받이의 결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베벨기어에 의해 결합되어 높이 조절됨으로써, 가구와 같은 대상물을 들지 않고도 조절발의 측면을 통해 조절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바 및 제2 결합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의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바 및 제2 결합바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의 결합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은 무거운 가구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조절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100)은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절발에 있어서, 상부 몸체(110), 하부 몸체(120), 회전샤프트(130), 구동샤프트(140), 메인프레임(150) 및 서브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몸체(110)는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된 체결포트(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포트(1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1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10)의 하부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포트(11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몸체(110)는 그 외형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원통 형상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 및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10)의 상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1 안내공(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안내공(113)의 양측 내벽은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면(11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1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안내공(113)과 직교되도록 연결된 제2 안내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안내공에는 상기 제1 안내공과 같이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20)는 상기 상부 몸체(1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몸체(110)와 대응되는 외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12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포트(111)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내주면에 상기 지지포트(111)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120)의 하부 중앙에는 제1 회전공(12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제2 회전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샤프트(130)는 하부가 상기 제1 회전공(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샤프트(130)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포트(112)의 암나사산(112a)과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산(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30)의 중앙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베벨기어(13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샤프트(140)는 상기 제2 회전공(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샤프트(14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132)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샤프트(140)의 타단에는 별도의 공구(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공(1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42)은 별도의 공구인 드라이버나 다각 렌치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140)는 별도의 공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샤프트(140)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샤프트(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나사산(112a)과 수나사산(131)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50)은 메인걸레받이(1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걸레받이(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립된 판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상기 메인걸레받이(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체결공(151a)이 형성되고, 상부에 횡 방향으로 제1 장공(151b)이 형성된 제1 결합판(15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판(151)의 상기 제1 장공(151a)에는 상기 제1 안내공(113)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제1 결합바(152)가 결합된다.
상기 제1 결합바(152)의 전방에는 상기 제1 장공(151b)에 고정되도록 제1 걸림턱(15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바(152)는 상기 제1 장공(151b)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바(152)는 상기 제1 안내공(113)과 대응되도록 양측에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50)은 상기 상부 몸체(110)가 가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프레임(160)은 서브걸레받이(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서브걸레받이(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립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판(151)과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서브걸레받이(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2 체결공(161a)이 형성되고, 상부에 횡 방향으로 제2 장공(161b)이 형성된 제2 결합판(16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판(161)의 상기 제2 장공(161a)에는 상기 제2 안내공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제2 결합바(162)가 결합된다.
상기 제2 결합바(162)의 전방에는 상기 제2 장공(161b)에 고정되도록 제2 걸림턱(16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바(162)는 상기 제2 장공(161b)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바(162)는 상기 제2 안내공과 대응되도록 양측에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프레임(160)은 상기 상부 몸체(110)가 가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동작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200)은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절발에 있어서, 상부 몸체(210), 하부 몸체(220), 회전샤프트(230) 및 구동샤프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몸체(210)는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된 체결포트(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포트(2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21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210)의 하부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포트(21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몸체(210)는 그 외형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원통 형상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 및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220)는 상기 상부 몸체(2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몸체(210)와 대응되는 외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22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포트(211)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내주면에 상기 지지포트(211)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220)의 하부 중앙에는 제1 회전공(2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이동공(2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공(223)의 내측 상면에는 제1 슬라이드홈(223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2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홈(223a)과 연결되도록 제2 슬라이드홈(223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슬라이드홈(223a)은 상기 이동공(223)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2 슬라이드홈(223b)은 상하 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드홈(223a)의 내측 상면에는 제1 금속판(224)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홈(223a)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자성체(225)가 결합된다.
상기 자성체(225)는 상기 제2 슬라이드홈(223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225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25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금속판(224) 및 후술될 제2 금속판(227)에 자성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동공(223)의 내측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슬라이드홈(223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공(22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226)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226)의 하단에는 상기 제3 슬라이드홈(223c)에 안내되도록 롤러(228)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26)의 상단에는 제2 금속판(227)이 결합되어, 상기 자성체(225)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자성체(225)의 하방 이동 시 상기 자성체(225)와 자성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26)에는 제2 회전공(2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30)는 하부가 상기 제1 회전공(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30)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포트(212)의 암나사산(212a)과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산(2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230)의 중앙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베벨기어(23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샤프트(240)는 상기 제2 회전공(2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샤프트(24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232)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2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샤프트(240)의 타단에는 별도의 공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공(2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242)은 별도의 공구인 드라이버나 다각 렌치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240)는 별도의 공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샤프트(240)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샤프트(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나사산(212a)과 수나사산(231)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2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결합되고, 상부 몸체의 상단에 전방으로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이 결합되고,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서브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서브프레임이 결합됨으로써, 가구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걸레받이의 결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베벨기어에 의해 결합되어 높이 조절됨으로써, 가구와 같은 대상물을 들지 않고도 조절발의 측면을 통해 조절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걸레받이 20: 서브걸레받이
100: 조절발 110: 상부 몸체
111: 지지포트 112: 체결포트
112a: 암나사산 113: 제1 안내공
113a: 경사면 120: 하부 몸체
121: 제1 회전공 122: 제2 회전공
130: 회전샤프트 131: 수나사산
132: 제1 베벨기어 140: 구동샤프트
141: 제2 베벨기어 142: 결합공
150: 메인프레임 151: 제1 결합판
151a: 제1 체결공 151b: 제1 장공
152: 제1 결합바 160: 서브프레임
161: 제2 결합판 161a: 제2 체결공
161b: 제2 장공 162: 제2 결합바

Claims (5)

  1. 가구와 같은 대상물의 하단에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발에 있어서,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전방에 상기 메인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판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 몸체에 형성된 제1 안내공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바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안내공과 직교되도록 연결된 제2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타측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브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걸레받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제2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판의 상측에는 상기 제2 안내공에 결합되도록 제2 결합바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에는 상기 제1 결합바 및 제2 결합바가 각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장공 및 제2 장공이 형성되어, 위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9180A 2021-05-07 2021-05-07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KR10237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180A KR102372246B1 (ko) 2021-05-07 2021-05-07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180A KR102372246B1 (ko) 2021-05-07 2021-05-07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246B1 true KR102372246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180A KR102372246B1 (ko) 2021-05-07 2021-05-07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24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762A (ja) * 1994-06-07 1995-12-19 Hakko Hatsujo Seisakusho:Kk 家具の高さ調節装置
JP2002125783A (ja) * 2000-10-27 2002-05-08 Kokuyo Co Ltd 家 具
KR200412250Y1 (ko) 2006-01-02 2006-03-23 임용균 가구의 높낮이 조절발
KR101272194B1 (ko) * 2011-04-06 2013-06-07 권영주 베벨기어 구동식 승강 스테이지
KR101391906B1 (ko) 2013-06-17 2014-05-27 스쿨디자인(유) 가구용 높낮이 조절발
KR101436343B1 (ko) 2014-05-12 2014-09-02 주식회사 동양기업 가구 내외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발을 구비한 수납 가구
KR20160043840A (ko) * 2014-10-14 2016-04-22 김두철 가구용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1704526B1 (ko)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KR101740509B1 (ko) * 2016-12-01 2017-05-3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US20200383475A1 (en) * 2017-12-19 2020-12-10 Justin Bernard MULLIGAN Cabinet leg and adjustment tool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762A (ja) * 1994-06-07 1995-12-19 Hakko Hatsujo Seisakusho:Kk 家具の高さ調節装置
JP2002125783A (ja) * 2000-10-27 2002-05-08 Kokuyo Co Ltd 家 具
KR200412250Y1 (ko) 2006-01-02 2006-03-23 임용균 가구의 높낮이 조절발
KR101272194B1 (ko) * 2011-04-06 2013-06-07 권영주 베벨기어 구동식 승강 스테이지
KR101391906B1 (ko) 2013-06-17 2014-05-27 스쿨디자인(유) 가구용 높낮이 조절발
KR101436343B1 (ko) 2014-05-12 2014-09-02 주식회사 동양기업 가구 내외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발을 구비한 수납 가구
KR20160043840A (ko) * 2014-10-14 2016-04-22 김두철 가구용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1740509B1 (ko) * 2016-12-01 2017-05-3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KR101704526B1 (ko)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US20200383475A1 (en) * 2017-12-19 2020-12-10 Justin Bernard MULLIGAN Cabinet leg and adjustment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3495A1 (en) Top Access Leveler Assembly
US11762420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plurality of monitors having adjustable distance to a viewer
NZ580498A (en) A levell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or defining an extension passage for facilitating adjustment
KR200445789Y1 (ko) 가구의 수평조절장치
US20080116330A1 (en) Apparatus for leveling and method of using same
US5494251A (en) Artist's easel
US20180279772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KR102372246B1 (ko) 걸레받이 결합용 높낮이 조절발
US20170332786A1 (en) Easel
KR101436343B1 (ko) 가구 내외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발을 구비한 수납 가구
KR102286630B1 (ko) 높낮이 조절발
JP4722154B2 (ja) オフセット引戸用ガイド
KR20180096133A (ko) 스탠딩 데스크
KR2019001503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KR20220005375A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US10806270B2 (en) Space saving bed
KR200412250Y1 (ko) 가구의 높낮이 조절발
KR101827676B1 (ko) 높낮이조절 책상
KR200409173Y1 (ko) 헬리컬기어를 이용한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0145432Y1 (ko) 가구의 수평 조절구
TWM344073U (en) Elevation desk
KR20170032765A (ko) 상판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책상
KR200404849Y1 (ko) 승강식 교탁
KR200409308Y1 (ko) 헬리컬기어를 이용한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CN111194995A (zh) 一种办公桌折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