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51Y1 -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51Y1
KR200206751Y1 KR2020000016893U KR20000016893U KR200206751Y1 KR 200206751 Y1 KR200206751 Y1 KR 200206751Y1 KR 2020000016893 U KR2020000016893 U KR 2020000016893U KR 20000016893 U KR20000016893 U KR 20000016893U KR 200206751 Y1 KR200206751 Y1 KR 200206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outer frame
frame
facility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00016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51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인도 또는 차도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의 시설물(가로수, 가로등)의 하부 외측에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보호대를 설치함에 따라,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하게되어 시설물을 보호하는 한편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보호대의 외주면에 반사체를 형성하여 야간에 운전자에게 시설물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한 보호대의 내부에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식재함으로서 도심지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즉, 원통형의 부재를 반으로 절개한 형상으로 된 한쌍의 반원형체를 마주보게 결합하여 시설물을 지지하며 감싸지도록 하는 중공부를 가진 내측 프레임(10)과, 이 내측 프레임의 외측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게 구비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 작용과 야간에 운전자에게 시설물의 식별이 용이하게 반사체가 형성된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지지봉과, 상기 반원형체로 된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을 원형으로 마주보게 결합할 때 그 접촉면에 형성되어 체결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및 이에 상응하는 고정홈과,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돌기와,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사이에 각종 식물 또는 화초를 식재할 수 있도록 구비된 수용부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PATRONAGE EQUIPMENT FOR ROAD EQUIPMENT}
본 고안은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인도 또는 차도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의 시설물(가로수, 가로등)의 하부 외측에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보호대를 설치함에 따라,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하게되어 시설물을 보호함과 아울러 한편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보호대의 외주면에 반사체를 형성하여 야간에 운전자에게 시설물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한 보호대의 내부에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식재함으로서 도심지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또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수나 가로등)등의 각종 시설물에는 차량의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보호장치가 전무한 상태이므로 야간 운전시에 충돌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차량의 충돌시에는 시설물의 손상은 물론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승객에 치명상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수(1) 둘레면의 흙이 노출되어 있어 우천시 흙이 유실되어 뿌리 부분이 밖으로 드러나 가로수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가로수 둘레면이 파여지게 됨으로서 인도면과 턱이 생겨 보행자들이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등(2)은 하단부에 플랜지(3)를 형성하여 지면에 볼트로서 고정하는 데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행로나 차도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을 보호하고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심지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체를 절반으로 분할한 한쌍의 반원통체를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시설물을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중공부를 가진 내측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내측 프레임의 외측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 작용을 하는 외측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는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탱하는 지지봉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지지봉은 각 프레임을 연결한 상태에서 출몰식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야간에 운전자에게 시설물의 식별이 용이하게 반사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원체로 된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을 원형으로 마주보게 결합할 때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상호간에 체결작용을 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하부면에는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공간에 흙을 수용되게 하여 각종 식물 또는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외측 프레임의 상부를 판형으로 절곡하여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행중 나무 그늘에서 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도로 시설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의 분리사시도,
도 3a, 도3b 및 도 3c는 본 고안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로수 2 : 가로등
10 : 내측 프레임 11 : 중공부
20 : 외측 프레임 21 : 수용부
30 : 지지봉 40 : 결합돌기
41 : 결합홈 50 : 고정돌기
60 : 반사체
이하, 본 고안의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도3b 및 도 3c는 본 고안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원통체를 절반으로 분할되게 한 한쌍의 반원통체를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시설물(1)(2)을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이 내측 프레임(10)의 외측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하는 외측 프레임(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사이에는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탱하는 지지봉(3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지지봉(30)은 내외측 프레임을 연결한 상태에서 출몰식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프레임(20)의 외주면에는 야간에 운전자에게 시설물의 식별이 용이하게 반사체(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원통체로 된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을 원형으로 마주보게 결합할 때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상호간에 체결작용을 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40)와 상기 결합돌기(4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하부면에는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돌기(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사이에는 흙을 수용하는 수용부(21)가 형성되어 각종 식물 또는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지면에 설치된 시설물(1)(2)을 중앙에 위치되게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구비된 수용부(21)에 흙을 수용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함으로서 시설물(1)(2)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종 화초 또는 식물을 가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20) 상부를 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하여 간이의자(22)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행중 나무 그늘에서 쉴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20)의 하부에 지면으로 부터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상면에 다수의 돌기(71)가 형성된 원판(70)이 설치되고, 이 원판은 외측 프레임(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80)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수직으로 기립된 시설물(2)이 중공부를 관통하는 내측 프레임(10)은 시설물의 외경에 비례하여 내경이 각각 다른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는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 작용을 함으로서 외부에 노출된 각종 시설물 즉, 가로수 및 가로등 등을 보호하고 각종 화초 및 식물을 가꿀 수 있도록 하여 도로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정정) 원통체를 절반으로 분할되게 한 한쌍의 반원통체를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감싸면서 지지하게 설치된 중공부(11)를 가진 내측 프레임(10)과,
    상기 내측 프레임(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하고야간에 운전자에게 시설물의 식별이 용이하게 반사체(60)가 형성된 외측 프레임(20)과,
    상기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출몰식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지지봉(30)과,
    상기 반원통체로 된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을 원형으로 마주보게 결합할 때 접촉되는 접촉면에 상호간에 체결작용을 하도록 형성된 결합돌기(40)와 이 결합돌기(4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41)과,
    상기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돌기(50)와,
    상기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사이에 형성되어 흙을 수용하여 각종 식물 또는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수용부(21)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2. (삭제)
KR2020000016893U 2000-06-14 2000-06-14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KR200206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893U KR200206751Y1 (ko) 2000-06-14 2000-06-14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893U KR200206751Y1 (ko) 2000-06-14 2000-06-14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51Y1 true KR200206751Y1 (ko) 2000-12-15

Family

ID=7305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893U KR200206751Y1 (ko) 2000-06-14 2000-06-14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5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655B1 (ko) * 2001-11-07 2004-02-11 (주)도원엔지니어링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100429715B1 (ko) * 2002-01-21 2004-05-03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100503500B1 (ko) * 2000-11-16 2005-07-26 김선남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0734220B1 (ko) 2006-10-12 2007-07-02 재 술 나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200468891Y1 (ko) 2011-11-25 2013-09-10 주식회사 리한 엘리먼트 가이드
KR101532249B1 (ko) * 2013-10-23 2015-06-29 지동진 과실수 보호 커버
KR101740509B1 (ko) 2016-12-01 2017-05-3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KR20180082876A (ko) * 2017-01-11 2018-07-19 윤진효 도로 경계용 가로수 지지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500B1 (ko) * 2000-11-16 2005-07-26 김선남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0418655B1 (ko) * 2001-11-07 2004-02-11 (주)도원엔지니어링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100429715B1 (ko) * 2002-01-21 2004-05-03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100734220B1 (ko) 2006-10-12 2007-07-02 재 술 나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WO2008044805A1 (en) * 2006-10-12 2008-04-17 Jae-Sul Na Impact absorption-type protective guard for post structures
KR200468891Y1 (ko) 2011-11-25 2013-09-10 주식회사 리한 엘리먼트 가이드
KR101532249B1 (ko) * 2013-10-23 2015-06-29 지동진 과실수 보호 커버
KR101740509B1 (ko) 2016-12-01 2017-05-3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코너보호대 완충장치
KR20180082876A (ko) * 2017-01-11 2018-07-19 윤진효 도로 경계용 가로수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220B1 (ko)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200206751Y1 (ko)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KR101499459B1 (ko) 조립식 안전 볼라드
KR100940495B1 (ko)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KR200180072Y1 (ko) 도로 시설물을 이용한 조경용 화분
KR100810755B1 (ko) 가로수 보호대
KR101030996B1 (ko) 안전 휀스
US11619015B2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100859852B1 (ko) 조경용 구조물
KR100418655B1 (ko)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100010781U (ko) 소화전 커버
KR100429715B1 (ko)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200235405Y1 (ko)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200227959Y1 (ko)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101083187B1 (ko) 기둥보호용 식생블록
KR100969451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KR101922199B1 (ko) 지주커버
KR200230687Y1 (ko) 도로시설물용 보호장비
KR200361139Y1 (ko) 자전거도로용 안전 가이드 레일
KR100547442B1 (ko) 도로의 가로수 보호대 설치구조
KR100948974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KR200387029Y1 (ko) 조립 탄력봉
KR200159633Y1 (ko) 방호물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