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59Y1 -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59Y1
KR200227959Y1 KR2020010001145U KR20010001145U KR200227959Y1 KR 200227959 Y1 KR200227959 Y1 KR 200227959Y1 KR 2020010001145 U KR2020010001145 U KR 2020010001145U KR 20010001145 U KR20010001145 U KR 20010001145U KR 200227959 Y1 KR200227959 Y1 KR 200227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side
fastened
facility
body portion
mud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10001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59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도 또는 차도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가로등 및 신호등) 또는 가로수 등에 조립 설치하여 주어, 시설물 또는 가로수 등의 수직 기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 또는 가로수의 보호는 물론이고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경관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즉, 연결구(11)를 통해 결합가능하게 절개되어 있되, 외측에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부재(12)를 연결하고 있는 보호캡(10)과;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에는 벌집형 완충부재(22)의 착탈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암,수연결구(24a),(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상,하,좌,우에는 연결돌기(25)가 형성되어 있는 외피(21b)와,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 하단에는 흙받이고정구(2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 상,하,좌,우에는 상기 연결돌기(25)와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홈(27)이 형성되어 있는 내피(21a)로 이루어진 몸체부(20)와; 내,외피(21a),(21b)로 이루어진 몸체부(20) 상단면에 삽입하여 이를 마감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1)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몰딩(30)과; 중앙에는 지지하고자 하는 시설물(1) 또는 가로수(2) 등의 직경에 맞게 절취하여 관통공(41)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취턱(42)이 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흙받이(40)와 보호캡(10)을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쇠(43)가 체결되어 있고, 절취턱(4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구멍(44)이 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흙받이고정구(24)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흙받이(40)와; 별도의 지지대(52)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내피(21b)의 내측면 상단에 체결되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A PROTECT FOR ROAD TREE}
본 고안은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도 또는 차도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가로등 및 신호등) 또는 가로수 등에 조립 설치하여 주어, 시설물 또는 가로수 등의 수직 기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 또는 가로수의 보호는 물론이고 운전자의 안전과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경관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또는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의 시설물(가로등, 신호등)과 가로수 등은 별도의 고정수단 또는 버팀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과 버팀수단을 통해 인도 또는 도로상에 기립상태를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과 가로수 등은 고정수단과 버팀수단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인도 또는 도로의 경관미를 심각하게 저해하는 문제점을 제공하였음은 물론이고, 고정수단 및 버팀수단에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다반사로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률이 높은 인도 또는 도로상에 설치되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장비 및 이를 보호토록 하는 보호장비가 전혀 없어 사고 발생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제공하는 문제를 자주 발생시켰음은 물론이고, 시설물 또는 가로수를 인도 또는 도로상으로 쓰러지도록 하여 제 2의 대형 인사사고 및 교통장애를 초래토록 하는 문제 등을 자주 발생시켰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인도 또는 차도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가로등 및 신호등) 또는 가로수 등에 조립 설치하여 주어, 시설물 또는 가로수 등의 수직 기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 또는 가로수의 보호는 물론이고 운전자의 안전과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경관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에 있어서,
연결구를 통해 결합가능하게 절개되어 있되, 외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보호캡과;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에는 벌집형 완충부재의 착탈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상,하,좌,우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외피와,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 하단에는 흙받이고정구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상,하,좌,우에는 상기 연결돌기와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내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내,외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단면에 삽입하여 이를 마감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몰딩과; 중앙에는 지지하고자 하는 시설물 또는 가로수 등의 직경에 맞게 절취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취턱이 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흙받이와 보호캡을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쇠가 체결되어 있고, 절취턱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구멍이 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흙받이고정구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흙받이와; 별도의 지지대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내피의 내측면 상단에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설물 2 :가로수
10 :보호캡 11 :연결구
12 :보호부재 13 :체결공
20 :몸체부
21a,21b :내,외피 22 :벌집형 완충부재
23 :설치공간부 24a,24b :암,수연결구
25 :연결돌기 26 :흙받이고정구
27 :연결홈 28 :내장재
29 :체결부재 30 :몰딩
31 :가이드홈 32 :반사체
33 :광고판 34 :돌기
35 :미세공 40 :흙받이
41 :관통공 42 :절취턱
43 :고정쇠 44 :물구멍
50 :연결부재 51 :고정홈
52 :지지대
53 :고정공
이하, 본 고안의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에는 벌집형 완충부재(22)의 착탈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암,수연결구(24a),(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상,하,좌,우에는 연결돌기(25)가 형성되어 있는 외피(21b)와,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 하단에는 흙받이고정구(2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상,하,좌,우에는 상기 연결돌기(25)와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홈(27)이 형성되어 있는 내피(21a)로 이루어진 몸체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외피(21a),(21b)로 이루어진 몸체부(20) 상단면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31)을 통해 이를 마감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몰딩(3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2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흙받이고정구(26) 상에는 수직 기립상태를 유지시킬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직경에 맞게 절취하여 관통공(41)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턱(42)이 중앙에 수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흙받이(40)와 보호캡(10)을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쇠(43)가 체결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구멍(44)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흙받이(40)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피(21b)의 내측면 상단에는 별도의 지지대(52)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50)가 수개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조립과 설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벌집형 완충부재(22)를 설치공간부(23) 내에 각각 삽입 설치한 외피(21b)의 내측에 내피(21a)를 고정 조립한다.
이때, 고정 설치는 각각 구비하고 있는 연결돌기(25)와 연결홈(27)을 삽입 연결시켜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립작업이 완료된 분할 몸체부(20)를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양측에 위치시켜 외피(21b)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암,수연결구(24a),(24b)를 이용하여 상호간을 연결 고정한 후 상단면에 몰딩(30)을 삽입 연결시켜 내,외피(21a),(21b)로 이루어진 몸체부(20)를 마감 및 고정한다.
이와 같은 조립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중앙 상부에 고정쇠(43)를 체결하고 있는 흙받이(40)를 몸체부(2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흙받이고정구(26) 상에 체결한다.
여기서, 이러한 조립을 이루기 전에는 상기 흙받이(4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턱(42)을 수직 기립상태를 유지시킬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직경에 맞게 절취하여 관통공(41)을 형성시킨 후 이 관통공(41) 상에 시설물(1) 또는 가로수(2)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런 후 보호부재(12)를 연결 구비하고 있는 보호캡(10)을 상기 고정쇠(43)에 체결하여 관통공(41) 상에 위치되는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하단부를 상기 보호부재(12)로 감싼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내피(21b)의 내측면 상단에 별도의 지지대(52)를 연결 구비하고 있는 연결부재(50)를 수개 연결시켜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특정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또한, 인도 및 도로 상에 다양한 배치를 이루며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1)과 가로수(2)의 형태에 맞게 상기 분할된 몸체부(20)의 개수를 늘리거나 별도의 체결부재(29)를 부가적으로 체결하여 큰 원형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과정을 통해 인도 및 도로상에 설치되는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수직 기립상태를 취하고 있는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이러한 작용 이외에도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보호는 물론이고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부가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충돌 발생시 이중구조를 취하는 몸체부(20)의 내,외피(21a),(21b)와 이 내,외피(21a),(21b) 상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벌집형 완충부재(22)를 통해 1,2차에 걸쳐 충격을 완충 및 흡수시켜 상쇄시켜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속,용이하게 교체를 이룰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보호부재(12)와, 신속,용이하게 관통공(41)의 구경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흙받이(40)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턱(42)에 의해 성장을 하는 가로수(2)와 같은 대상을 지지할 경우 가로수(2)의 성장에 맞게 조절을 신속,용이하게 하며 지지를 취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수분이 함유된 흙과 접하게 되는 금속재질의 시설물(1) 하단을 보호부재(12)를 통해 감싸게 되므로 부식과 같은 원형 회손이 쉽게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시설물(1)의 하단 부위의 상태를 원형 그대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이룰 수 있게 되어 도심의 경관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몸체부(20)의 외측면에 반사체(32) 또는 광고판(33)을 부착하고 있어 야간 시간대에 운행을 하는 운전자가 인도의 식별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작용과, 보행자가 인도 상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시설물(1) 또는 가로수(2) 등의 식별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보행시 부상을 입게되는 문제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20)의 개수를 늘리거나 체결부재(29)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큰 원형체 또는 타원체로 제작을 이룰 수 있으므로 인도 및 도로 상에 다양한 배치를 이루며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1)과 가로수(2)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1b)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간부(23) 상에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섬유재 또는 스폰지재의 내장재(28)를 설치하고, 이 설치공간부(23)와 접하게 되는 내피(21a)의 외측면에 상기 내장재(28)의 설치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돌기(34)와 내,외측을 관통하는 미세공(35)을 구성하여 주어, 충돌 발생시 이중구조를 취하는 몸체부(20)의 내,외피(21a),(21b)와 이 내,외피(21a),(21b) 상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내장재(28)를 통해 1,2차에 걸쳐 충격을 완충 및 흡수시켜 상쇄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1) 또는 가로수(2)의 보호는 물론이고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부(20) 내에 심어진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경우나 우천시 상기 미세공(35)을 통해 내장재(28)가 다량의 수분을 흡수 저장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분공급을 중단한 상태 또는 가뭄시 수분을 서서히 증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재(28)에 의해 몸체부(20) 내에 심어진 식물의 상태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도 또는 차도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가로등 및 신호등) 또는 가로수 등에 조립 설치하여 주어, 시설물 또는 가로수 등의 수직 기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 또는 가로수의 보호는 물론이고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가꿀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경관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연결구(11)를 통해 결합가능하게 절개되어 있는 보호부재(12)를 연결하고 있는 보호캡(10)과;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에는 벌집형 완충부재(22)의 착탈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암,수연결구(24a),(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상,하,좌,우에는 연결돌기(25)가 형성되어 있는 외피(21b)와, 결합시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 하단에는 흙받이고정구(2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 상,하,좌,우에는 상기 연결돌기(25)와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홈(27)이 형성되어 있는 내피(21a)로 이루어진 몸체부(20)와;
    내,외피(21a),(21b)로 이루어진 몸체부(20) 상단면에 삽입하여 이를 마감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1)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몰딩(30)과;
    중앙에는 지지하고자 하는 시설물(1) 또는 가로수(2) 등의 직경에 맞게 절취하여 관통공(41)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취턱(42)이 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흙받이(40)와 보호캡(10)을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쇠(43)가 체결되어 있고, 절취턱(4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구멍(44)이 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흙받이고정구(26)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흙받이(40)와;
    별도의 지지대(52)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5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내피(21b)의 내측면 상단에 체결되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21b)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간부(23) 상에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섬유재 또는 스폰지재의 내장재(28)를 설치하고, 이 설치공간부(23)와 접하게 되는 내피(21a)의 외측면에 상기 내장재(28)의 설치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돌기(34)와 내,외측을 관통하는 미세공(35)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20010001145U 2001-01-16 2001-01-16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0227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145U KR200227959Y1 (ko) 2001-01-16 2001-01-16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145U KR200227959Y1 (ko) 2001-01-16 2001-01-16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235A Division KR100418655B1 (ko) 2001-11-07 2001-11-07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959Y1 true KR200227959Y1 (ko) 2001-06-15

Family

ID=7309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145U KR200227959Y1 (ko) 2001-01-16 2001-01-16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81B1 (ko) 2006-04-24 2006-12-28 (주)경동기술공사 친환경 도로 안전시설구조
KR102222812B1 (ko) * 2020-10-07 2021-03-05 (주)이도산업 탄성 기둥의 하부 고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81B1 (ko) 2006-04-24 2006-12-28 (주)경동기술공사 친환경 도로 안전시설구조
KR102222812B1 (ko) * 2020-10-07 2021-03-05 (주)이도산업 탄성 기둥의 하부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220B1 (ko)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EP1564079A4 (en) BUMPER FOR PEDESTRIAN PROTECTION
KR100594892B1 (ko) 우수저장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KR100418655B1 (ko)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0227959Y1 (ko)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0206751Y1 (ko) 도로 시설물용 보호대
KR100429715B1 (ko)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102397106B1 (ko) 도로표지병
KR100678376B1 (ko) 식물 식생이 용이한 가드레일
KR200235405Y1 (ko)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200230687Y1 (ko) 도로시설물용 보호장비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200180072Y1 (ko) 도로 시설물을 이용한 조경용 화분
JP2001045887A (ja) 樹木の支持装置
KR20100010224U (ko) 지주에 보호커버 및 반사판이 설치된 휀스
CN213774795U (zh) 一种安全防护栏
KR200230686Y1 (ko) 도로시설물용 보호설비
US3293602A (en) Lighted barricade
JP2523834Y2 (ja) 交通安全反射器
CN212413950U (zh) 一种市政道路树木绿化用的修剪设备
KR200494526Y1 (ko) 내경이 조절되는 가로수 지지 조립체
KR200159344Y1 (ko) 가로수 보호대 및 자전차 보관대
KR200442204Y1 (ko) 화분이 부설 조립된 차선 분리기구
KR200180159Y1 (ko) 조경용 화분
KR20230173926A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