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926A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926A
KR20230173926A KR1020220074761A KR20220074761A KR20230173926A KR 20230173926 A KR20230173926 A KR 20230173926A KR 1020220074761 A KR1020220074761 A KR 1020220074761A KR 20220074761 A KR20220074761 A KR 20220074761A KR 20230173926 A KR20230173926 A KR 20230173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chor
road sign
groov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춘
Original Assignee
유근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춘 filed Critical 유근춘
Priority to KR102022007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926A/ko
Publication of KR2023017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5Glued to surface, e.g.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앵커(81)를 따라 연속 구획된 상절개선(82a), 좌절개선(82b) 및 우절개선(82c)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각각 꺾여진 경사꺾쇠(82)에 의해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 속으로 박힐 때 순방향 진입각도를 유지하는 반면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으로부터 빠져나올 경우 역방향 쐐기각도를 발휘토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부딪힘에 의한 이탈현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도로 표지병{ROAD MARKER}
본 발명은 도로지면을 회전톱으로 신속 간단하게 커팅시켜 슬릿라인을 마련한 후 판형앵커로서 바인더와 함께 슬릿라인 속으로 박히도록 하여 회전톱에 의한 슬릿라인의 얇은 폭에 맞추어 판형앵커가 끼워짐으로써 상호간의 긴밀한 고정으로 타이어의 빈번한 부딪힘이나 여름철 및 겨울철 기온차에 의한 헐거워짐을 극복할 수 있어 수명 보장 및 안전성 보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차도, 인도 또는 자전거도로 나아가 공원이나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빛으로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케 한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1498호)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1)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상에 노출되는 사각뿔 형상의 본체(2)와 도로에 박히는 앵커(3)로 구성되며, 본체(1)의 전후측에는 반사부(4)가 상부측에 형성되고, 배출부(5)가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4)는 전후측에 형성된 요입면(41)에 반사판(42)이 삽착되는 것이며, 배출부(5)는 전후측에서 요입된 상태로서 좌우측을 향해 유선형으로 만곡진 요입홈(51)과, 전후 양쪽의 요입홈(51)을 관통하는 수개의 바람통로(5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앵커(3)의 좌우측 돌출부(31)는 길고, 전후측 돌출부(32)는 짧게 돌출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1)은 반사판(42)이 요입면(41)에 삽착될 때 요입면(4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출사되는 방향으로만 반사판(42)의 빛반사를 구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빛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1)은 도로에 박히는 앵커(3)가 좌우측 돌출부(31) 및 전후측 돌출부(32)로 이루어져 차량 주행시 타이어의 전방위 충격에 대한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겨울철 및 여름철의 온도차 또는 사용기간이 길어질 경우 앵커(3)가 도로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는 단점을 안고 있고, 특히 도로로부터 이탈된 앵커(3)는 고속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어 대형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나아가, 도로 표지병(1)을 도로에 매설할 때 도로지면을 드릴로 뚫어 홀을 마련한 후 앵커(3)를 끼우는 타입으로 작업을 하여 앵커(3) 그리고 좌우측 돌출부(31) 및 전후측 돌출부(32) 상호간의 간격이 홀과 밀접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바인더 등을 동원하더라도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특히 홀을 뚫을 때 드릴을 사용하는 이유는 좌우측 돌출부(31) 및 전후측 돌출부(32)가 서로 만나는 중심이 도 1c와 같이 중심살을 지니고 있어 드릴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좌우측 돌출부(31) 및 전후측 돌출부(32) 중 폭이 가장 큰 쪽을 기준으로 드릴의 직경을 맞출 수밖에 없어 결국 직경이 큰 드릴로 뚫은 원형의 큰 홀 속에 얇은 좌우측 돌출부(31) 및 전후측 돌출부(32)가 끼워지게 되어 상호 헐거워진 상태로 홀에 매립되어 타이어의 충격이나 여름철 및 겨울철의 기온차에 의해 쉽게 도로지면으로부터 도로 표지병(1)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149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03898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지면을 회전톱으로 신속 간단하게 커팅시켜 슬릿라인을 마련한 후 판형앵커로서 바인더와 함께 슬릿라인 속으로 박히도록 하여 회전톱에 의한 슬릿라인의 얇은 폭에 맞추어 판형앵커가 끼워짐으로써 상호간의 긴밀한 고정으로 타이어의 빈번한 부딪힘이나 여름철 및 겨울철의 기온차에 의한 헐거워짐을 극복할 수 있어 수명 보장 및 안전성 보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지면에 회전톱으로 상호 크로스 커팅된 종슬릿라인 및 횡슬릿라인 속으로 종판형앵커 및 횡판형앵커가 크로스 박힐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고정은 물론이거니와 타이어의 전방위 부딪힘에 대한 내구력의 극대화 나아가 여름철 및 겨울철의 기온차에 의한 헐거워짐을 더욱 철저히 방지하여 수명 보장 및 안전성 보장을 가능케 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모듈이 탑재되는 지상플레이트와, 상기 지상플레이트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도로지면에 박히는 앵커를 포함하는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지상플레이트는 좌돌출부, 우돌출부, 전돌출부 및 후돌출부에 의해 마련된 센터홈과, 상기 센터홈으로부터 상기 전돌출부를 향한 전방오픈홈을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은 상기 센터홈에 고착된 솔러셀바디에 마련되어 야간에 상향 발광하는 상방향LED와 더불어 상기 전방오픈홈을 통해 전방으로 발광하는 전방향LED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지면을 회전톱으로 신속 간단하게 커팅시켜 슬릿라인을 마련한 후 판형앵커로서 바인더와 함께 슬릿라인 속으로 박히도록 하여 회전톱에 의한 슬릿라인의 얇은 폭에 맞추어 판형앵커가 끼워짐으로써 상호간의 긴밀한 고정으로 타이어의 빈번한 부딪힘이나 여름철 및 겨울철의 기온차에 의한 헐거워짐을 극복할 수 있어 수명 보장 및 안전성 보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로지면에 회전톱으로 상호 크로스 커팅된 종슬릿라인 및 횡슬릿라인 속으로 종판형앵커 및 횡판형앵커가 크로스 박힐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고정은 물론이거니와 타이어의 전방위 부딪힘에 대한 내구력의 극대화 나아가 여름철 및 겨울철의 기온차에 의한 헐거워짐을 더욱 철저히 방지하여 수명 보장 및 안전성 보장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상플레이트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선형홈들을 형성하여 바인더를 통한 도로지면과의 고착력을 극대화시키면서 특히 타이어의 충격 완충 및 여름철 고온에 의한 지상플레이트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톱날로서 도로지면을 커팅할 때 슬릿라인의 양단이 수직으로 커팅되지 되지 않고 경사지게 커팅되더라도 슬릿라인 속으로 판형앵커의 양끝단의 경사부가 도로지면의 파손 없이 맞춤형으로 박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판형앵커를 따라 연속 구획된 상절개선, 좌절개선 및 우절개선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각각 꺾여진 경사꺾쇠에 의해 판형앵커가 슬릿라인 속으로 박힐 때 순방향 진입각도를 유지하는 반면 판형앵커가 슬릿라인으로부터 빠져나올 경우 역방향 쐐기각도를 발휘토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부딪힘에 의한 이탈현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판형앵커의 하측에 마련된 경사꺾쇠가 상측에 마련된 경사꺾쇠보다 판형앵커로부터 더 작은 크기로 꺾일 수 있도록 하여 판형앵커가 슬릿라인 속으로 끼워질 때 슬릿라인의 훼손은 최소화하면서도 타이어의 부딪힘에 의한 이탈현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도로지면 및 회전톱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모듈(60)이 탑재되는 지상플레이트(70)와, 이 지상플레이트(70)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도로지면(D)에 박히는 앵커(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상플레이트(70)는 좌돌출부(71), 우돌출부(72), 전돌출부(73) 및 후돌출부(74)에 의해 마련된 센터홈(75)과, 센터홈(75)으로부터 전돌출부(73)를 향한 전방오픈홈(73a)을 구비하고, 광모듈(60)은 센터홈(75)에 고착된 솔러셀바디(61)에 마련되어 야간에 상향 발광하는 상방향LED(62)와 더불어 전방오픈홈(73a)을 통해 전방으로 발광하는 전방향LED(6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단일의 광모듈(60)의 빛 방향을 한쪽 방향이 아닌 양방향, 즉 단일의 광모듈(60)이지만 시인성이 중요한 도로지면(D)으로부터의 상방향과 더불어 운전자가 접근하는 전방향으로까지 빛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도록 상방향LED(62) 및 전방향LED(63)를 함께 마련하고, 광모듈(60)을 센터홈(75)에 고착시켜 좌돌출부(71), 우돌출부(72), 전돌출부(73) 및 후돌출부(74)로서 안전하게 보호토록 함과 동시에 센터홈(75)에 오픈된 상방향으로 상방향LED(62)의 빛을 조사토록 함과 동시에 전방오픈홈(73a)을 통해 전방향으로 전방향LED(63)의 빛을 조사토록 하여 도로에서의 시인성과 더불어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후돌출부(7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홈(75)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승되어 하부걸침홈(74a)을 구비하고, 솔러셀바디(61)는 하부걸침홈(74a)에 끼워지면서 전측쓰루홀(75a)을 통해 센터홈(75)에 나사(76) 고정되도록 하여, 센터홈(75)에 바인더로 고착된 광모듈(60)이 하부걸침홈(74a)에 간단히 끼워짐과 동시에 전측쓰루홀(75a)을 통한 나사(76) 고정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간소함을 통한 조립성과 더불어 고정력을 통한 안정성까지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후돌출부(74)는 전방으로 돌출된 융기턱(74b)에 의해 형성된 하부걸침홈(74a)을 구비하고, 솔러셀바디(61)는 하부걸침홈(74a)에 끼워지면서 전측쓰루홀(75a)을 통해 센터홈(75)에 나사(76) 고정되도록 하여, 센터홈(75)에 바인더로 고착된 광모듈(60)이 융기턱(74b)에 의한 하부걸침홈(74a)에 간단히 끼워지면서 전측쓰루홀(75a)을 통한 나사(76) 고정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간소함을 통한 조립성과 더불어 고정력을 통한 안정성까지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방오픈홈(73a)은 센터홈(75)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하여 전방향LED(63)의 빛이 운전자에게 더욱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케 한다.
나아가, 센터홈(75)은 상향으로 돌출된 엠보싱(75b)을 구비하고, 이 솔러셀바디(61)는 엠보싱(75b)에 합치되는 끼움홈(61a)을 구비하여, 광모듈(60)을 센터홈(75)에 바인더로 고착시킬 때 엠보싱(75b) 및 끼움홈(61a) 상호간의 합치로고 더욱 견고한 고정을 가능케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도로지면(D) 및 회전톱(H)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에 적용된 앵커(8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지면(D)에 회전톱(H)으로 커팅된 슬릿라인(S) 속으로 박히는 판형앵커(8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지면(D)을 회전톱(H)으로 신속 간단하게 커팅시켜 슬릿라인(S)을 마련한 후 판형앵커(81)로서 바인더와 함께 슬릿라인(S) 속으로 박히도록 하여 회전톱(H)에 의한 슬릿라인(S)의 얇은 폭에 맞추어 판형앵커(81)가 끼워짐으로써 상호간의 긴밀한 고정으로 타이어의 빈번한 부딪힘이나 여름철 및 겨울철의 기온차에 의한 헐거워짐을 극복할 수 있어 수명 보장 및 안전성 보장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슬릿라인(S)은 도로지면(D)에 회전톱(H)으로 상호 크로스 커팅된 종슬릿라인(S1) 및 횡슬릿라인(S2)으로 이루어지고, 판형앵커(81)는 종슬릿라인(S1) 및 횡슬릿라인(S2) 속으로 크로스 박히는 종판형앵커(81a) 및 횡판형앵커(81b)일 수 있다.
도로지면(D)에 회전톱(H)으로 상호 크로스 커팅된 종슬릿라인(S1) 및 횡슬릿라인(S2) 속으로 종판형앵커(81a) 및 횡판형앵커(81b)가 크로스 박힐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고정은 물론이거니와 타이어의 전방위 부딪힘에 대한 내구력의 극대화 나아가 여름철 및 겨울철의 기온차에 의한 헐거워짐을 더욱 철저히 방지하여 수명 보장 및 안전성 보장을 가능케 한다.
한편, 지상플레이트(70)의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선형홈(70a)들을 포함하여 바인더를 통한 도로지면(D)과의 고착력을 극대화시키면서 특히 타이어의 충격 완충 및 여름철 고온에 의한 지상플레이트(70)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판형앵커(81)의 양끝단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81c)를 가지도록 하여 회전톱(H)날로서 도로지면(D)을 커팅할 때 슬릿라인(S)의 양단이 수직으로 커팅되지 되지 않고 경사지게 커팅되더라도 슬릿라인(S) 속으로 판형앵커(81)의 양끝단의 경사부(81c)가 도로지면(D)의 파손 없이 맞춤형으로 박힐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앵커(81)를 따라 연속 구획된 상절개선(82a), 좌절개선(82b) 및 우절개선(82c)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각각 꺾여져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 속으로 박힐 때 순방향 진입각도를 유지하는 반면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으로부터 빠져나올 경우 역방향 쐐기각도를 발휘하는 경사꺾쇠(82)를 포함할 수 있다.
판형앵커(81)를 따라 연속 구획된 상절개선(82a), 좌절개선(82b) 및 우절개선(82c)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각각 꺾여진 경사꺾쇠(82)에 의해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 속으로 박힐 때 순방향 진입각도를 유지하는 반면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으로부터 빠져나올 경우 역방향 쐐기각도를 발휘토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부딪힘에 의한 이탈현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경사꺾쇠(82)는 판형앵커(81)에 상하 다단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하측에 마련된 경사꺾쇠(82)가 상측에 마련된 경사꺾쇠(82)보다 판형앵커(81)로부터 더 작은 크기로 꺾일 수 있도록 하여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 속으로 끼워질 때 슬릿라인(S)의 훼손은 최소화하면서도 타이어의 부딪힘에 의한 이탈현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절개선(82a)은 꼭지점(K)을 이루고, 좌절개선(82b) 및 우절개선(82c)은 상절개선(82a)을 향하여 점점 좁혀지는 각도로 구획되어, 판형앵커(81)가 슬릿라인(S) 속으로 끼워질 때 슬릿라인(S)의 훼손은 최소화하면서도 타이어가 부딪힐 경우 상절개선(82a)의 꼭지점(K)이 슬릿라인(S)의 측면에 박히면서 이탈현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절개선(82a)은 들쭉날쭉 톱니(T)를 구비하여, 타이어가 부딪힐 경우 상절개선(82a)의 톱니(T)가 슬릿라인(S)의 측면에 박히면서 이탈현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차도, 인도 또는 자전거도로 나아가 공원이나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빛으로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표지병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가능하다.
60 : 광모듈 61 : 솔러셀바디
61a : 끼움홈 62 : 상방향LED
63 : 전방향LED 70 : 지상플레이트
70a : 선형홈 71 : 좌돌출부
72 : 우돌출부 73 : 전돌출부
73a : 전방오픈홈 74 : 후돌출부
74a : 하부걸침홈 74b : 융기턱
75 : 센터홈 75a : 전측쓰루홀
75b : 엠보싱 76 : 나사
80 : 앵커 81 : 판형앵커
81a : 종판형앵커 81b : 횡판형앵커
81c : 경사부 82 : 경사꺾쇠
82a : 상절개선 K : 꼭지점
T : 톱니 82b : 좌절개선
82c : 우절개선 H : 회전톱
D : 도로지면 S : 슬릿라인
S1 : 종슬릿라인 S2 : 횡슬릿라인

Claims (13)

  1. 광모듈(60)이 탑재되는 지상플레이트(70)와, 상기 지상플레이트(70)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도로지면(D)에 박히는 앵커(80)를 포함하는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지상플레이트(70)는 좌돌출부(71), 우돌출부(72), 전돌출부(73) 및 후돌출부(74)에 의해 마련된 센터홈(75)과, 상기 센터홈(75)으로부터 상기 전돌출부(73)를 향한 전방오픈홈(73a)을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60)은 상기 센터홈(75)에 고착된 솔러셀바디(61)에 마련되어 야간에 상향 발광하는 상방향LED(62)와 더불어 상기 전방오픈홈(73a)을 통해 전방으로 발광하는 전방향LED(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돌출부(74)는 상기 센터홈(75)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승되어 하부걸침홈(74a)을 구비하고,
    상기 솔러셀바디(61)는 상기 하부걸침홈(74a)에 끼워지면서 전측쓰루홀(75a)을 통해 상기 센터홈(75)에 나사(76)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돌출부(74)는 전방으로 돌출된 융기턱(74b)에 의해 형성된 하부걸침홈(74a)을 구비하고,
    상기 솔러셀바디(61)는 상기 하부걸침홈(74a)에 끼워지면서 전측쓰루홀(75a)을 통해 상기 센터홈(75)에 나사(76)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오픈홈(73a)은 상기 센터홈(75)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홈(75)은 상향으로 돌출된 엠보싱(75b)을 구비하고,
    상기 솔러셀바디(61)는 상기 엠보싱(75b)에 합치되는 끼움홈(6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80)는 상기 도로지면(D)에 회전톱(H)으로 커팅된 슬릿라인(S) 속으로 박히는 판형앵커(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라인(S)은 상기 도로지면(D)에 회전톱(H)으로 상호 크로스 커팅된 종슬릿라인(S1) 및 횡슬릿라인(S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형앵커(81)는 상기 종슬릿라인(S1) 및 횡슬릿라인(S2) 속으로 크로스 박히는 종판형앵커(81a) 및 횡판형앵커(8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플레이트(7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선형홈(70a)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앵커(81)의 양끝단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81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앵커(81)를 따라 연속 구획된 상절개선(82a), 좌절개선(82b) 및 우절개선(82c)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각각 꺾여져 상기 판형앵커(81)가 상기 슬릿라인(S) 속으로 박힐 때 순방향 진입각도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판형앵커(81)가 상기 슬릿라인(S)으로부터 빠져나올 경우 역방향 쐐기각도를 발휘하는 경사꺾쇠(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꺾쇠(82)는 상기 판형앵커(81)에 상하 다단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하측에 마련된 상기 경사꺾쇠(82)가 상측에 마련된 상기 경사꺾쇠(82)보다 상기 판형앵커(81)로부터 더 작은 크기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절개선(82a)은 꼭지점(K)을 이루고,
    상기 좌절개선(82b) 및 우절개선(82c)은 상기 상절개선(82a)을 향하여 점점 좁혀지는 각도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절개선(82a)은 들쭉날쭉 톱니(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KR1020220074761A 2022-06-20 2022-06-20 도로 표지병 KR20230173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61A KR20230173926A (ko) 2022-06-20 2022-06-20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61A KR20230173926A (ko) 2022-06-20 2022-06-20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926A true KR20230173926A (ko) 2023-12-27

Family

ID=8937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761A KR20230173926A (ko) 2022-06-20 2022-06-20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9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498Y1 (ko) 1996-04-06 1998-12-15 권윤노 도로 표지병
KR200389803Y1 (ko) 2005-03-15 2005-07-14 주식회사 성훈다이케스팅 도로 표지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498Y1 (ko) 1996-04-06 1998-12-15 권윤노 도로 표지병
KR200389803Y1 (ko) 2005-03-15 2005-07-14 주식회사 성훈다이케스팅 도로 표지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03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KR200418578Y1 (ko) 금속 보강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도로 경계석
KR20230173926A (ko) 도로 표지병
KR20230173923A (ko) 도로 표지병
JPH10121408A (ja) 視線誘導標識を付した縁石ブロック
JP3634602B2 (ja) 自発光式道路鋲
JP4652209B2 (ja) 防護柵
KR20220163557A (ko)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JP2006299661A (ja) 光再帰性反射標識物
KR200400223Y1 (ko) 노면 부착식 차선 표지구
KR100660127B1 (ko) 도로의 차선 식별력 향상공법 및 도로의 구조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A2353437A1 (e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KR20130132194A (ko) 제설차량에 의한 파손방지형 도로표지병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KR200234898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JP3223345U (ja) 光反射具
KR10125687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227959Y1 (ko)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JPH1121827A (ja) 反射式視線誘導補助標
CN106522119A (zh) 一种凹式反光道标
KR200450436Y1 (ko) 엘이디 라이트를 장착한 난간지주
JP5767598B2 (ja) 車止め用ブロックを基盤に取り付けることを含む方法
KR20230141221A (ko) 도로 분리대
KR100963808B1 (ko) 차로 유도 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