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082B1 - 도어 보호대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 보호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082B1
KR101161082B1 KR1020100070517A KR20100070517A KR101161082B1 KR 101161082 B1 KR101161082 B1 KR 101161082B1 KR 1020100070517 A KR1020100070517 A KR 1020100070517A KR 20100070517 A KR20100070517 A KR 20100070517A KR 101161082 B1 KR101161082 B1 KR 10116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ty member
frame member
coupling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983A (ko
Inventor
최승수
Original Assignee
최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수 filed Critical 최승수
Priority to KR102010007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0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보호대를 구성하는 안전부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어 보호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 부위에 도어 유리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부위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와, 일측 내부에 자체 탄성을 갖는 연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임부재의 결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안전부재와, 측방향으로 가압이 전달될 경우 안전부재의 측방향 부피 변형이 일어나도록 가이드부 및 연질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 절개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압 절개부가 형성된 안전부재를 파지하여 양측에서 가압하여 프레임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도어 보호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어 보호대 구조체{A DOOR PROTECTOR STRUCTURE}
본 발명은 도어 보호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유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는 도어 보호대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어 보호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출입문의 소재로 사용되는 강화유리문은 상가 밀집지역이나 백화점, 관공서, 학교, 병원 등,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지역의 건축물 등에서 인테리어 및 진열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강화유리문은 유리의 표면층에 압축응력을 잔류시켜 그 강도를 높인 것으로서, 출입구의 양측 문틀 사이에 유리문을 배치하여 각각 상부와 하부 문틀에 힌지로 회전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닫이 형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문은 한 장의 강화유리를 적용하는 단식과, 두 장의 강화유리를 적용하는 복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출입자가 안쪽이나 바깥쪽에서 강화유리문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밀거나 당기면서 출입한 후 놓으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강화유리문은 출입자가 출입한 후 자동으로 닫힐 때, 빠른 속도로 복원됨으로써, 복식인 경우에는 출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손목 또는 손가락 등이 강화유리문과 강화유리문 사이에, 단식인 경우에는 강화유리문과 측면 문틀 사이에 끼어 그 충격으로 손 또는 손가락에 타박상을 입히거나, 심하게는 절단되는 등 특히, 어린이들에게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화유리문 사이나, 강화유리문과 문틀 사이의 벌어진 틈을 통하여 외부의 소음이나, 바람,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방음, 방풍, 단열 등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출입시에 안전사고 예방과 방음 및 단열기능을 위해서 출입문의 단부에 보호대를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할 경우 도어 보호대의 안전부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어 보호대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부위에 도어 유리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부위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와,
일측 내부에 자체 탄성을 갖는 연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임부재의 결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안전부재와,
측방향으로 가압이 전달될 경우 상기 안전부재의 측방향 부피 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가이드부 및 연질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 절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절개부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도어 유리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끼움홈부의 폭이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안전부재의 가이드부가 록킹 결합되도록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한다.
상기 끼움홈부 내에 끼워지는 도어 유리와의 결합시 상기 끼움홈부의 벌어짐에 따른 변형력이 상기 결합홈부를 통해 상기 안전부재 측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끼움홈부와 결합홈부의 경계 부위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차단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어 보호대를 구성하는 안전부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압 절개부가 형성된 안전부재를 파지하여 양측에서 가압하여 프레임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도어 보호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안전부재는 복원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프레임부재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교체시에만 안전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는 차단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 유리와의 결합시 발생되는 힘이 안전부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호대 구조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안전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양측문 타입의 출입문에 적용되는 보호대는, 연질의 안전부재가 단일재로 구성된 것과, 고정부재와 안전부재의 2단 또는 그 이상의 복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구분된다.
안전부재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는 연질 재질을 채용하거나, 혹은 손이 끼이더라도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부상을 예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대는 결합수단을 매개로 도어 유리에 결합되며, 그 결합수단은 일측 부위에 도어 유리의 테두리가 결합되도록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부위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와, 프레임부재의 결합홈부에 끼움 결합되며 안전부재의 타측부위에 일체로 결합된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출입문의 조립순서는 출입문 도어 테두리 부위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보호대를 끼움 결합시킨 후에, 상부와 하부의 도어 프레임에 선 조립된 보호대와 출입문 도어 유리를 결합하고, 그 결합 부위를 실리콘으로 마감하는 조립과정을 갖는다.
이때, 보호대의 안전부재는 연질 소재로 구성된 경우,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손상으로 인한 교체시 보호대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해야 하거나, 보호대를 도어 유리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안전부재를 프레임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시공이 완료된 보호대를 다시 도어 유리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까다롭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가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부재의 손상 혹은 원하는 색상의 안전부재로 다시 교체하고 싶어도 교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안전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어 보호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출입문은 유리문, 나무문, 미닫이문 등의 여러 타입을 채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유리문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호대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도어 유리에 결합되는 프레임부재(200)와, 프레임부재(200)의 타측 부위에 결합되도록 경질의 가이드부(120)를 갖는 안전부재(100)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부재(200)는 일측 부위에 도어 유리의 테두리 부위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부(210)가 형성되고, 타측 부위에 가이드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2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부재(200)는 도어 유리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끼움홈부(210)의 폭이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평면도에서 볼 때 도어 유리(10)의 테두리 부위와 결합되는 끼움홈부(210)가 단부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중앙 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도어 유리(10)의 테두리 부위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안전부재(100)는 일측 내부에 자체 탄성을 갖는 연질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홈부(220)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부(12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연질부(11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형태로 구성되며, 일 예로 고무 소재를 채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또한, 가이드부(120)는 일 예로 프레임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해 다소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재(200)는 끼움홈부(210)와 결합홈부(220)의 경계 부위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차단홈부(230)가 형성된다.
이 차단홈부(230)는 끼움홈부(210) 내에 끼워지는 도어 유리(10)와의 결합시 외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끼움홈부(210)의 벌어짐에 따른 변형력이 결합홈부(220)를 통해 안전부재(10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200)는 차단홈부(230)를 형성함으로써, 끼움홈부(210)에 도어 유리(10)의 테두리가 끼워지더라도 결합홈부(220) 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가압 절개부(150)는 연질부(110)와 가이드부(120)의 길이방향 양 단부측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동일한 가로폭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V"자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절개부(150)가 좁아지는 형태인 경우에는, 가로폭이 넓은 부위에 비해 좁은 부위에 더 큰 복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로폭이 넓은 부위에는 부피 변형에 의한 여유 공간부가 넓어지게 되므로, 프레임부재(200)로부터 이탈이 용이하게 된다.
안전부재(100)는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안전부재(100)의 부위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양측에서 가압할 때, 가압 절개부(150)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안전부재(100)가 축소 변형되고, 이후에 양측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지할 경우에는 다시 원래의 부피대로 복원되는 특성을 갖는다.
가압 절개부(150)가 위치하는 부위는 안전부재(100)의 길이방향 상,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안전부재(100)를 파지한 상태로 잡아 당겨 안전부재(100)를 프레임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상의 이유로 인해 안전부재(100)의 길이방향 상,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안전부재(100)의 타측에 배치된 가이드부(120)는 양단부가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양단부에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홈부(220)와의 결합을 위해 끼움돌기(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돌기(125)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끼움돌기(125)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경우에는, 결합홈부(220) 내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끼움돌기(125)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결합홈부(220)의 단부 내측과 직접 록킹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보호대 구조체는, 출입문 도어 테두리 부위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안전부재(100)를 끼움 결합시킨 후에, 상부와 하부의 도어 프레임에 선 조립된 보호대와 출입문 도어 유리(10)를 결합하고, 그 결합 부위를 실리콘으로 마감하는 공지의 조립과정을 갖는다.
이때, 보호대를 구성하는 안전부재(100)는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홈부(220) 내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선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어 유리에 결합된 프레임부재(200)에 안전부재(100)를 끼워서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 유리와 프레임부재(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끼움홈부(210) 내에 도어 유리(10)의 테두리부위가 끼워지더라도 차단홈부(230)로 인해 결합홈부(220) 측에 힘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는 차단홈부(230)가 형성된 프레임부재(200)는 도어 유리와 프레임부재(200)가 결합된 후에 그 결합력이 안전부재(100)와 프레임부재(200)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립과정을 거쳐 조립이 완료된 후에 연질 소재인 안전부재(100)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파손 또는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색이 바래거나 사용자의 원하는 색상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안전부재(100)만을 교체할 수 있다.
안전부재(100)의 교체과정은 사용자는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부위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로 양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공간만큼의 부피가 수축하게 된다.
안전부재(100)가 수축하게 되면,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홈부(220) 내에 결합된 끼움돌기(125)의 록킹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후에, 끼움돌기(125)가 분리된 안전부재(100)를 파지한 상태로 당기면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홈부(220)로부터 이탈되고, 이어서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안전부재(100)의 부위까지 결합홈부(22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끼움돌기(125)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부위에 양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력이 전달되면 부피가 변형되면서 걸림턱(225)과의 록킹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는,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안전부재(100)의 외측에서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면,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공간만큼의 부피가 변형되고, 부피 변형을 인한 여유 공간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부피 변형으로 끼움돌기(125)와 걸림턱(225)과의 록킹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에, 안전부재(100)를 프레임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새로운 안전부재(100)를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홈부(220)에 밀어 넣어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안전부재(100)를 프레임부재(20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단순히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거나,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부위를 양측에서 가압한 상태로 끼움 결합시킬 수도 있다.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안전부재를 가압 방식으로 프레임부재(200)에 결합시킬 경우, 안전부재(100)가 프레임부재(200)에 결합된 후에는 가압 절개부(150)가 형성된 부위는 원래의 부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프레임부재(200)의 결합홈부(2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도어 보호대를 구성하는 안전부재(100)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유리 100 : 안전부재
110 : 연질부 120 : 가이드부
125 : 끼움돌기 200 : 프레임부재
210 : 끼움홈부 220 : 결합홈부
225 : 걸림턱 230 : 차단홈부

Claims (5)

  1. 일측 부위에 도어 유리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부위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와,
    일측 내부에 자체 탄성을 갖는 연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임부재의 결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안전부재와,
    측방향으로 가압이 전달될 경우 상기 안전부재의 측방향 부피 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가이드부 및 연질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 절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보호대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절개부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보호대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도어 유리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끼움홈부의 폭이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보호대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안전부재의 가이드부가 록킹 결합되도록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보호대 구조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 내에 끼워지는 도어 유리와의 결합시 상기 끼움홈부의 벌어짐에 따른 변형력이 상기 결합홈부 측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끼움홈부와 결합홈부의 경계 부위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차단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보호대 구조체.
KR1020100070517A 2010-07-21 2010-07-21 도어 보호대 구조체 KR101161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517A KR101161082B1 (ko) 2010-07-21 2010-07-21 도어 보호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517A KR101161082B1 (ko) 2010-07-21 2010-07-21 도어 보호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83A KR20120008983A (ko) 2012-02-01
KR101161082B1 true KR101161082B1 (ko) 2012-06-29

Family

ID=4583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517A KR101161082B1 (ko) 2010-07-21 2010-07-21 도어 보호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13Y1 (ko) * 2018-10-31 2019-09-26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396A (ko) * 2003-12-26 2005-06-30 서종근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KR200436432Y1 (ko) 2006-11-01 2007-08-16 이재효 미닫이문 손 보호대
KR100911847B1 (ko) 2008-08-12 2009-08-11 최승수 도어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396A (ko) * 2003-12-26 2005-06-30 서종근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KR200436432Y1 (ko) 2006-11-01 2007-08-16 이재효 미닫이문 손 보호대
KR100911847B1 (ko) 2008-08-12 2009-08-11 최승수 도어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13Y1 (ko) * 2018-10-31 2019-09-26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83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957B1 (ko) 안전구조형 강화유리문
KR101724919B1 (ko) 분리 클립 방식 도어아웃벨트유닛과 이를 적용한 차량 도어
KR200425622Y1 (ko) 도어 안전장치
KR101161082B1 (ko) 도어 보호대 구조체
KR101063121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보호대
KR101581203B1 (ko) 방풍이 가능한 도어용 안전장치
KR20140105916A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101331844B1 (ko) 도어 보호대
KR102114014B1 (ko)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KR101187502B1 (ko) 출입문용 보호대 구조체
KR101025816B1 (ko) 도어 조립체
KR101465845B1 (ko) 도어 보호대 구조체
KR20090109897A (ko) 슬라이딩 부재와 이것을 포함한 강화유리 안전문의 손가락보호대 조립체
KR200346978Y1 (ko) 유리문 안전장치
CA2571985A1 (en) Screen framing providing integrally formed handles
KR101307127B1 (ko) 착탈식 출입문 보호장치
KR101146110B1 (ko) 반자동문용 도어 안전장치
KR200490948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102124666B1 (ko) 차량 프레임에 아이-운반 유닛의 장착 어댑터 및 이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KR200378193Y1 (ko) 출입문의 외풍유입방지장치
KR101960495B1 (ko) 손끼임 방지구
KR200355667Y1 (ko) 도어류 제품의 조립구조
KR100918256B1 (ko) 유리문 안전장치
JP5613742B2 (ja) ドアの安全構造
KR200279207Y1 (ko) 여닫이문용 측면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