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245B1 -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245B1
KR100898245B1 KR1020070136060A KR20070136060A KR100898245B1 KR 100898245 B1 KR100898245 B1 KR 100898245B1 KR 1020070136060 A KR1020070136060 A KR 1020070136060A KR 20070136060 A KR20070136060 A KR 20070136060A KR 100898245 B1 KR100898245 B1 KR 10089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uard
door
vehicle d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황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성 filed Critical 황인성
Priority to KR102007013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정차시 타 차량의 도어 개폐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동차의 측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도난 방지가 가능하여 이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체(B)를 이루는 차체프레임(F)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차량도어(D)의 외측면에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타 차량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차량도어(D)의 가장자리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외측 둘레에 상기 차량도어(D)의 개폐에 간섭됨이 없도록 파여진 하나 이상의 요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차량, 차체, 보호대, 착탈, 손상, 차량도어, 도어 개폐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DETACH IS POSSIBLE CAR SIDE PROTECTION}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정차시 타 차량의 도어 개폐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동차의 측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도난 방지가 가능하여 이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교통수단 또는 운반수단으로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최근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자동차를 주차 또는 정차시킬 수 있는 주차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며, 주차공간 또한 비좁은 상태이다. 따라서, 많은 자동차가 협소한 공간에 주차 또는 정차되기 때문에 좌, 우측에 위치해 있는 다른 자동차의 차량도어가 열릴 때, 자동차 간의 주차간격이 좁아 그 차량도어에 의해 차체가 손상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자동차 도어의 가장자리측에 부착하여 자동차의 도어 개폐시 다른 자동차의 차체에 손 상을 방지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완충부재는 자동차 도어의 가장자리측에 부착되어 도어의 개폐시 인접한 다른 자동차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만 할 뿐, 본인의 자동차에 인접하여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시 본인의 자동차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완충부재는 자동차의 차체에 항상 부착시켜 사용하므로 자동차의 외관에 있어 심미감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200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0414018호 '자동차 긁힘방지용 패드'가 제안되었으며, 첨부된 도 1에 따라 그 기술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자동차의 본체부 외주면에 긁힘방지를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 긁힘방지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일정크기의 자석홈(22)이 다수개 형성된 판상의 충격흡수패드(20)와, 상기 충격흡수패드(20)의 자석홈(22)에 삽입되어 상기 자동차(10)의 외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영구자석(24)과, 상기 영구자석(2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격흡수패드(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패드(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패드(2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을 어느 정도 완충시킬 수 있으나, 자칫, 자동차의 외측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영구자석(24)이 형성된 부위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오히려 영구자석(24)에 의해 차체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패드(20)는 영구자석(24)을 통해 차체에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나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자동차로부터 장시 간 멀리 떨어져 있게 될 경우, 타인에 의해 쉽게 도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충격흡수패드(20)의 일측면에는 영구자석(24)의 이탈방지를 위해 별도의 결합패드(26)를 부착시키므로, 제작의 효율성 떨어지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주정차시 타 차량의 도어 개폐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동차의 측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 또는 정차시 필요에 따라 차체에 부착 또는 차체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동차의 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설치 및 휴대가 간편한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작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차체를 이루는 차체프레임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차량도어의 외측면에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타 차량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차량도어의 가장자리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외측 둘레에 상기 차량도어의 개폐에 간섭됨이 없도록 파여진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주정차시 차체에 단시간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인접한 다른 자동차의 도어 개폐시 접촉으로 인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보호대를 고정수단에 의해 차체에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함으로써, 보호대의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행중에는 보호대를 차체에서 분리시켜 그 차량 외관의 심미감이 보호대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보호대의 양측단부가 차체 내측에 배치되어 장착되므로 외력에 의해 보호대가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보호대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B)를 이루는 차체프레임(F)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차량도어(D)의 외측면에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타 차량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차량도어(D)의 가장자리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외측 둘레에 상기 차량도어(D)의 개폐에 간섭됨이 없도록 파여진 하나 이상의 요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상기 보호대(10)의 내부에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선재(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B)를 이루는 차체프레임(F)에 브라켓(BR)을 통해 연결되어 힌지축(H)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차량도어(D)의 일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차량도어(D)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보호대(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대(10)의 성형시 내부에 구비되어지며,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철사 및 와이어프레임 등의 선재(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대(10)의 형상과 크기는 다양한 차종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상기 보호대(10)는 부드러운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력에 대한 충격 흡수력과 상태복원력이 우수한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대(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보호대(10)의 양단 소정부위가 차량도어(D)의 가장자리 내측으로 선재(12)에 의해 구부러져 고정되되, 상기 차량도어(D)의 개폐시 차체프레임(F)과 차량도어(D) 또는 차량도어(D)와 차량도어(D) 상호간에 간섭됨이 없도록 파여진 다수개의 요홈(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량도어(D)는 구성에 있어서, 앞쪽 프론트도어(FD)와 뒷쪽 리어도어(RD)로 나뉘지므로, 상기 보호대(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요홈(11)은 상기 프론트도어(FD)와 리어도어(RD)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대(10)는 양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대(10)의 양단 소정부위가 상기 차량도어(D)의 개폐에 간섭됨이 없이 차체프레임(F)과 차량도어(D)의 내측 공간(S)에 수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 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는 차량도어(D)의 외주면과 면접 대응하는 상기 보호대(10)의 일측면 길이방향으로 오목면(15)이 연장 형성된다.
즉, 자동차의 차체(B) 형상에 따른 다양한 차량도어(D)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도어(D)의 외주면이 직선 또는 곡선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하더라도 이와 대응하는 상기 오목면(15)에 의해 수용되므로, 상기 보호대(10)는 차량도어(D)의 외주면의 형상에 간섭됨이 없이 밀착력있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의 외측면에는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RF)가 안착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6)이 구비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도 8a에 대한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의 외측 둘레 일측면에는 광고패널(AD)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자리홈(17)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홈(17)의 내측선단에는 상기 광고패널(AD)이 유도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걸림돌부(17a)가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및 사용상태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의 외측 둘레 일측에는 자동차의 차량도어(D)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HD)와 간섭됨이 없이 상기 차량도어(D)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HD)와 대응하는 부위에 손잡이홈(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홈(18)의 형상과 크기는 자동차의 차체 형상 및 이에 따른 차량도어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을 운행하는 중에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트렁크 등에 보관하여 두고, 자동차를 장시간 주정차시키는 경우에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꺼내어 차체(B)의 차량도어(D) 외측면의 원하는 부위에 설치하면 되며, 사용후에는 도어를 열어 각각의 보호대(10)를 탈거한 다음 다시 트렁크에 보관하면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장착할 경우에는, 차체(B)의 차량도어(D)인 앞쪽 프론트도어(FD)와 뒷쪽 리어도어(RD)를 모두 오픈시킨 다음 뒷쪽 리어도어(RD)부터 상기 보호대(10)를 장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대(10)의 장착순서는 차량도어(D)의 구성에 있어서, 리어도어(RD)에 먼저 설치한 후, 다음으로 프론트도어(FD)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보호대(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요홈(11)이 상기 리어도어(RD)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와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보호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요홈(11)을 지나는 선재(12)에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리어도어(RD)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구부린다. 이같이, 리어도어(RD)에 보호대(10)가 고정되면 오픈 된 상기 리어도어(RD)를 차체프레임(F)과 밀착되도록 닫는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대(10)를 앞쪽 프론트도어(FD)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도어(FD)와 차체프레임(F) 사이에 이격부(d)가 형성되도록 프론트도어(FD)를 소정으로 오픈시켜 요홈(11)이 형성된 보호대(10)의 일단 소정부위가 상기 이격부(d)를 통과하여 수용 고정토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대(10)의 타단부를 상기 프론트도어(FD)의 후방 가장자리에 고정수단인 선재(12)를 구부려 고정 설치한다. 이같이, 프론트도어(FD)에 보호대(10)가 설치되면 오픈 된 프론트도어(FD)를 차체프레임(F)과 밀착되도록 닫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를 차체(B)의 차량도어(D)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후 보호대(10)의 양단 소정부위가 차체프레임(F)과 차량도어(D)의 내측 공간(S)에 수용 고정되므로 장시간 주정차시 타인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대(10)는 부드러운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차량과 인접하게 주정차된 차량의 도어의 개폐시 접촉으로 인한 차체(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호대(10)는 착탈이 가능토록 형성되므로, 운행중에는 탈거하여 차체(B)의 외관 심미성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보호대(10)는 구성됨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도어(D)의 외측면과 면접 대응하는 보호대(1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오목면(15)을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차체(B) 형상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차량도어(D)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의 외측면에는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RF)가 안착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6)이 구비되므로, 주정차된 사용자의 차량이 야간에 타 차량으로부터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촉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도 8a에 대한 B - B선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의 외측 둘레 일측면에는 광고패널(AD)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자리홈(17)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홈(17)의 내측 선단에는 상기 광고패널(AD)이 유도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걸림돌부(17a)가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정차시 타인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인쇄된 광고패널(AD)을 보호대(10)에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장시간 주정차시 차체(B)의 손상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광고의 효과도 얻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의 외측 둘레 일측에는 자동차의 차량도어(D)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HD)와 간섭됨이 없이 상기 차량도어(D)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HD)와 대응하는 부위에 손잡이홈(18)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도어(HD)의 외측면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도어(D)의 개폐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호대(10)의 내부에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선재(12) 등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고정수단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시킬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A - A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및 사용상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도 8a에 대한 B - B선 대한 상태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및 사용상태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호대 11 : 요홈
12 : 선재 15 : 오목면
16 : 안착홈 17 : 자리홈
17a : 걸림돌부 18 : 손잡이홈
AD : 광고패널 B : 차체
D : 차량도어 F : 차체프레임
H : 힌지축 HD : 손잡이
BR : 브라켓

Claims (7)

  1. 자동차의 차체(B)를 이루는 차체프레임(F)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차량도어(D)의 외측면에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타 차량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 측면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차량도어(D)의 가장자리 내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외측 둘레에 상기 차량도어(D)의 개폐에 간섭됨이 없도록 파여진 하나 이상의 요홈(1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보호대(10)의 내부에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선재(12)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대(10)는, 차량도어(D)의 외측면과 대향하며 면접되는 일측면에 상기 차량도어(D)의 형상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오목면(15)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대(10)의 외측 둘레 일측면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RF)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6)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대(10)의 외측 둘레 일측면에는 광고패널(AD)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자리홈(17)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홈(17)의 내측 선단에는 상기 광고패널(AD)이 유도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걸림돌부(17a)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대(10)의 외측 둘레 일측에는 상기 차량도어(D)의 손잡이(HD)가 노출되도록 손잡이홈(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36060A 2007-12-24 2007-12-24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10089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60A KR100898245B1 (ko) 2007-12-24 2007-12-24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60A KR100898245B1 (ko) 2007-12-24 2007-12-24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245B1 true KR100898245B1 (ko) 2009-05-18

Family

ID=4086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060A KR100898245B1 (ko) 2007-12-24 2007-12-24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2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636B1 (ko) 2010-07-30 2012-11-08 황인성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101357743B1 (ko) 2012-12-05 2014-02-03 한광수 자동차의 흠집방지용 보호대
KR101995808B1 (ko) * 2019-04-08 2019-07-03 오정숙 차량용 도어가드
KR102494038B1 (ko) * 2022-01-03 2023-01-30 김민균 악세서리 부재가 부가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543A (ja) * 1982-12-28 1984-07-12 Hashimoto Forming Co Ltd 自動車用モ−ルデイングの取付方法
KR200258158Y1 (ko) * 2001-09-18 2001-12-28 씽씽카용품(주) 차량용 몰딩
KR200307511Y1 (ko) * 2002-12-09 2003-03-20 강희연 자동차용 출입문 보호대
KR200415051Y1 (ko) * 2006-01-05 2006-04-27 이찬혁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543A (ja) * 1982-12-28 1984-07-12 Hashimoto Forming Co Ltd 自動車用モ−ルデイングの取付方法
KR200258158Y1 (ko) * 2001-09-18 2001-12-28 씽씽카용품(주) 차량용 몰딩
KR200307511Y1 (ko) * 2002-12-09 2003-03-20 강희연 자동차용 출입문 보호대
KR200415051Y1 (ko) * 2006-01-05 2006-04-27 이찬혁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636B1 (ko) 2010-07-30 2012-11-08 황인성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101357743B1 (ko) 2012-12-05 2014-02-03 한광수 자동차의 흠집방지용 보호대
KR101995808B1 (ko) * 2019-04-08 2019-07-03 오정숙 차량용 도어가드
KR102494038B1 (ko) * 2022-01-03 2023-01-30 김민균 악세서리 부재가 부가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245B1 (ko)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US20060017304A1 (en) End region of a vehicle with a lid
KR200415051Y1 (ko)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
KR102281959B1 (ko) 문콕방지용 도어보호대 기능을 가진 도어가드
KR102082577B1 (ko) 자동차용 도어가드
CN102039851B (zh) 车身门槛装饰物
JP5860967B2 (ja) 車両用ドア
KR101199636B1 (ko)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US7857366B2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100789157B1 (ko) 휴대용 자동차 측면보호대
KR200440290Y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보호커버
KR200496037Y1 (ko) 자동차용 도어 가드
JP4944431B2 (ja) 内装部品におけるグリップ構造
CN211223293U (zh) 一种车门内饰板结构
KR200439924Y1 (ko) 자동차 측면보호용 자석커버
KR101209931B1 (ko) 차량의 백패널 어셈블리
KR200440980Y1 (ko) 차문 보호용 패킹
CN212980094U (zh) 后备箱门槛结构和汽车
KR200299099Y1 (ko)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파손방지용 보호대
JPH0732202Y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200200136Y1 (ko) 자동차 유리 성에방지커버
KR20230054933A (ko) 문콕 방지용 자동차 도어가드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KR200215234Y1 (ko) 자동차 야광 도어가드
KR200200771Y1 (ko) 승용차문 외벽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