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776B1 - 타일용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타일용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776B1
KR101854776B1 KR1020160069347A KR20160069347A KR101854776B1 KR 101854776 B1 KR101854776 B1 KR 101854776B1 KR 1020160069347 A KR1020160069347 A KR 1020160069347A KR 20160069347 A KR20160069347 A KR 20160069347A KR 101854776 B1 KR101854776 B1 KR 10185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inishing material
corner
connecting portion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351A (ko
Inventor
고진권
Original Assignee
고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권 filed Critical 고진권
Priority to KR102016006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7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5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installing edge-protecting b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에 서로 인접된 타일마감재를 연결시킬 수 있는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일(10)의 하면을 부착하기 위해 모르타르(5)가 도포된 일정면적의 설치면부(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타일마감재(30b)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22a)와, 상기 제1연결부(22a)에 형성되며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수직된 부분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된 제3연결부(22c)와, 상기 제1연결부(22a), 제2연결부(22b), 제3연결부(22c)의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부(23)와, 상기 중공부(23)가 개방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유입되도록 상기 설치면부(1) 방향의 일면이 개구된 개구면(26)과, 상기 개구면(26)의 상측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과,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장식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된 논슬립부(35)를 포함하는 코너마감재(20)와,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3연결부(22c)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3타일마감재(30c)를 포함하는 타일마감재(30)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일측에 삽입되는 연결프레임(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일용 마감부재{FINISHING MATERIALS FOR TILE}
본 발명은 타일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에 서로 인접된 타일마감재를 연결시킬 수 있는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타일은 바닥,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한 평판상(平板狀)의 점토질 소성제품으로, 내장(內裝)타일 ·외장타일 ·모자이크타일 ·내산타일 ·바닥타일 ·염전타일 ·쿼리타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건물 내의 욕실, 주방, 베란다, 계단 등 물이 사용되는 장소의 벽과 바닥이나 빗물이 직접 닿는 건물의 외부벽 등의 방수와 청결유지 및 미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시공된다.
종래의 타일 시공방법은 모래와 시멘트를 섞고 물을 부어 반죽한 모르타르를 벽이나 바닥 등에 도포한 후에 다수개의 타일을 모자이크 형태로 부착시키면서 벽과 바닥 전체 또는 필요한 부위에 덧씌우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타일 시공에 있어서, 벽이나 바닥에 부착된 타일 모자이크의 가장자리나 벽면의 각이 진 코너 부분을 면치기로 마무리하였기 때문에 타일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타일이 파손되기 용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일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타일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을 수 있어 파손된 타일을 교체하기 위한 작업시간 및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43871호(등록일자: 2004년 02월 24일)와 같은 타일마감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타일이 부착되는 벽면의 코너 단부에 모르타르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모르타르공이 구비된 벽면 밀착부재와, 상기 벽면 밀착부재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고 타일의 단부면을 받침하는 타일 장식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일 장식부재는 모서리부로 위치되는 타일의 단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밀착부재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받침편이 일체로 구성되어 타일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마감재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타일마감재를 사용할 경우 모르타르로 인해 유동되어 기울어지거나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에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벽이나 바닥 등에 도포된 모르타르가 굳는 동안에 상기 타일마감재가 유동되기 때문에 기울어지거나 상기 코너부분에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일마감재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이 부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르타르가 굳는 동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타일마감재를 받치기 위한 고임대(60)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고임대(60)를 설치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타일마감재가 수평이되도록 어림하여 설치하고, 상기 모르타르가 굳기 전에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대폭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벽이나 바닥의 코너부분에 타일마감재 간의 끝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타일 시공할 경우 작업자의 불편함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이나 바닥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타일마감재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상기 벽이나 바닥 등의 각이 진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계단 등과 같이 벽과 바닥 등이 인접된 3면의 코너부분을 동시에 마감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타일마감재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의 훼손이나 부재 시에도 작업현장에서 타일마감재의 절취선을 따라 절단한 후 절곡하여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한편, 타일이 부착되는 계단 등에 설치될 경우 외측으로 돌기를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타일(10)의 하면을 부착하기 위해 모르타르(5)가 도포된 일정면적의 설치면부(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타일마감재(30b)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22a)와, 상기 제1연결부(22a)에 형성되며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수직된 부분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된 제3연결부(22c)와, 상기 제1연결부(22a), 제2연결부(22b), 제3연결부(22c)의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부(23)와, 상기 중공부(23)가 개방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유입되도록 상기 설치면부(1) 방향의 일면이 개구된 개구면(26)과, 상기 개구면(26)의 상측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과,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장식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된 논슬립부(35)를 포함하는 코너마감재(20)와,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3연결부(22c)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3타일마감재(30c)를 포함하는 타일마감재(30)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일측에 삽입되는 연결프레임(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40)에는, 일면에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홈(4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마감재(30)과 코너마감재(20)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41a)과 대응되도록 각각 걸림돌기(28)와 인입방지돌기(37)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가이드홈(41a)과 상기 코너마감재(30)의 걸림돌기(28)가 슬라이딩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가이드홈(41a)과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일마감재(30)에는, 상기 타일(10)의 하면이 밀착고정되기 위한 일정길이의 밀착판(31)과, 상기 밀착판(3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장식면(33)과, 상기 제1장식면(33)에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장식면(34)과,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밀착판(31)과 제2장식면(34)에 형성되는 절취부(3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절취부(38)는,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밀착판(31)에 형성되는 제1절취선(38a)과, 상기 밀착판(31)과 마주보는 상기 제2장식면(34)에 제1절취선(38a)와 동일하게 제2절취선(38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절취선(38a)와 상기 제2절취선(38b)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가 45도 각도가 되도록 절곡하여 절단될 수 있게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장식면(34)에는 상기 밀착판(31)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측면과 인접되기 위한 타일인접면(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일용 마감부재는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이나 바닥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타일마감재를 별도의 마감재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가 기울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별도의 마감재로 인해 상기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어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을 부착시킬 수 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벽과 바닥 등이 인접된 3면으로 이루어진 코너부분을 동시에 마감할 수 있어 작업과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취선이 형성된 타일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가 훼손되거나 부재 시에도 작업현장에서 절단하고 절곡하여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타일이 부착되는 계단 등에 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를 형성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코너마감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타일마감재,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제3연결부가 형성된 코너마감재,
도 9는 상기 도 8의 코너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절취부가 형성된 타일마감재,
도 11은 상기 도 10의 타일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가 배수구덮개에 사용된 사용상태도,
도 13은 종래에 고임대를 이용하여 타일마감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A-A를 자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코너마감재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타일마감재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다.
다른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제3연결부가 형성된 코너마감재이며, 도 9는 상기 도 8의 코너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또 다른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절취부가 형성된 타일마감재이고, 도 11은 상기 도 10의 타일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때,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가 배수구덮개에 사용된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13은 종래에 고임대를 이용하여 타일마감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10)을 부착하기 위해 모르타르(5)가 도포된 일정면적의 설치면부(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타일마감재(30b)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코너마감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타일마감재(30)라고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용 마감부재는,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코너마감재(20)에 삽입되기 위한 연결프레임(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면부(1)는, 꺾이거나 각진 부분인 코너부분을 갖는 일정면적의 벽면이나 바닥 등이며, 상기 타일(10)을 부착하기 위한 모르타르(5)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설치면부(1)에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는 상기 코너마감재(20)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고,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을 부착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의 향상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부(1)에 하면이 밀착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타일(10)의 하면이 밀착고정되기 위한 일정길이의 밀착판(31)과, 상기 밀착판(3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장식면(33)과, 상기 제1장식면(33)에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기 위한 제2장식면(34)과, 상기 제2장식면(34)에서 상기 밀착판(31)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측면과 인접되기 위한 타일인접면(36)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판(31)은,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통과되어 상면으로 유출되기 위한 모르타르통과구멍(3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1장식면(33)과 제2장식면(34)로 인해 형성된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로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유입되어 상기 타일(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유입된 모르타르(5)로 인해 상기 타일(10)의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장식면(34)은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된 논슬립부(35)가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슬립부(35)는, 상기 제2장식면(34)에 형성됨으로써 계단 등에서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논슬립부(35)는 상기 제1장식면(33)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타일마감재(30)는 다수개가 상기 설치면부(1)에 설치되어 상기 타일(10)을 마감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타일마감재(30a)를 상기 설치면부(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수직하게 제2타일마감재(30b)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설치면부(1)의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가 인접되는 코너부분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거나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너마감재(20)를 사용한다.
상기 코너마감재(2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22a)와, 상기 제1연결부(22a)의 타측단에서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2b)가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각도는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따라 직각, 예각 또는 둔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코너마감재(20)가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너부분에서 이격되어 발생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는, 중공부(23a, 23b)를 갖고, 상기 설치면부(1)에 부착되는 부착면(24a,24b)과, 상기 부착면(24)에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코너장식면(25a,25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장식면(25a,25b)은, 적어도 일부분에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되는 논슬립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는 상기 중공부(23a,23b)가 개방되어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유입되도록 상기 설치면부(1) 방향의 일면을 개구한 개구면(26a,26b)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면(26a,26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공부(23a,23b)로 상기 모르타르(5)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시키거나 상기 코너마감재(20)와 상기 타일(10)이 인접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타일(10)의 측면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부(23a,23b)로 유입된 모르타르(5)가 상기 설치면부(1)에 부착된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면(26a,26b)의 상측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을 형성한다.
상기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은, 상기 타일(10)의 측면과 인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공부(23a,23b)로 유입된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공부(23a,23b)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0)의 제1연결부(22a)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기 중공부(23a,23b)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0)의 제2연결부(22b)에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삽입될 경우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모르타르통과구멍(32)은 노출되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너마감재(20)의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과 상기 타일마감재(30)의 타일인접면(36)이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로 모르타르(5)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과 타일인접면(36)이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상기 코너마감재(20)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상기 설치면부(1)에 부착된 타일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로 유입된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코너마감재(20) 사이에 유입되어 굳어질 경우 발생하는 가루날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연결된 코너마감재(20)를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타일(10)을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코너마감재(20)에 각각 타일마감재(3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설치면부(1)에서 모르타르(5)로 인해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상기 코너마감재(20)에 고정된 타일마감재(30)로 인해 상기 타일마감재(30)를 따라 타일(10)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인출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절단된 길이 및 각도의 오차에 관계없이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중공부(23a,23b)에서 인출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설치면부(1)의 가장자리 길이보다 상기 타일마감재(3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된 타일마감재(30)를 인출하여 상기 설치면부(1)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너마감재(2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8)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중공부(23a,23b)에 상기 연결프레임(4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일정길이 이상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로 돌출된 걸림돌기(28)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일정길이 이상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 돌출되는 인입방지돌기(37)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40a)은,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코너마감재(20)가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코너마감재(20) 및 타일마감재(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일측은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타일마감재(3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 상기 연결프레임(40a)을 삽입할 경우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는 각각 걸림돌기(28)와 인입방지돌기(37)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0a)에서 어느 한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에 동일한 길이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40a)에는,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에 대응되도록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홈(41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41a)이 형성되어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되어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에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가이드홈(41a)에 대응되는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되고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양측이 각각 상기 코너마감재(20) 및 타일마감재(3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연결시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프레임(40a)을 ㄱ자로 절곡하여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동시에 삽입하여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ㄱ자로 절곡된 연결프레임(40b)은, 상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가이드홈(41b)이 형성되며, 상기 코너마감재(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1연결부(22a)로 노출된 연결프레임(40b)의 가이드홈(41b)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슬라이딩하여 끼우고,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2연결부(22b)로 노출된 연결프레임(40b)의 가이드홈(41b)에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장작업 중에 상기 코너마감재(20)의 훼손 및 부재 시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에 삽입되어 연결시킴으로써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부(1)의 타일방향인 일측면이 개구되고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41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0c)을 사용할 경우,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유입되어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40c)을 ㄱ자 형태로 절곡하고,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 또는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4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0d)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프레임(40d)의 내부로 모르타르(5)가 유입되어 상기 타일(10)의 측면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거나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면부(1)에 타일(10)을 시공할 경우,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삽입하여 형성될 수 있는 단턱의 형성을 방지하여 줄 수 있으며,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설치면부(1)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계단, 벽면과 바닥 등과 같이 3면의 설치면부(1)가 인접되어 형성된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코너마감재(20)에 제3연결부(22c)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실시 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코너마감재(21)는, 상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벽면과 바닥 등과 같이 3면의 설치면부(1)가 인접되어 형성된 코너부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3연결부(22c)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제3연결부(22c)는 상기 타일마감재(3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3타일마감재(30c)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절곡된 부분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연결부(22c)는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와 동일하게 중공부(미도시)를 갖고, 설치면부(1)에 부착되는 부착면(24c)과, 상기 부착면(24c)에서 절곡되어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기 위한 코너장식면(25c)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미도시)가 개방되도록 개구면(26c)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면(26c)을 통해 유입된 모르타르(5)가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면(26c)에서 연장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c)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는, 상기 제1연결부(22a)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부(22b)에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고, 상기 제3연결부(22c)에 상기 제3타일마감재(30c)를 연결한 후, 3면의 설치면부(1)가 인접되어 형성된 코너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코너마감재(21)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40)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를 이용함으로써 3면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를 상기 벽면과 바닥 등과 같이 3면의 코너부분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벽면이나 바닥에 코너마감재를 설치하거나 작업자가 3면의 타일마감재(30)를 설치하기 위해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요청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작업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과 같이 3면의 코너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를 상기 3면의 코너부분에 설치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3면의 코너부분을 갖는 계단 등과 같이 각각의 설치면부에 타일마감재를 설치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으며,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수시로 확인해야 하거나 모르타르가 굳을 동안 작업자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고정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타일마감재를 따라 타일이 균일하게 부착되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30)에 절취부(38)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취부(38)는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밀착판(31)과 제2장식면(3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착판(31)에 제1절취선(38a)을 형성하고, 상기 밀착판(31)과 마주보는 제2장식면(34)에 상기 제1절취선(38a)과 동일하도록 제2절취선(38b)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절취선(38a) 및 제2절취선(38b)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가 45도 각도가 되도록 절단될 수 있게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절단하기 위해 'V'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취부(38)가 형성된 타일마감재(30)의 사용방법은 현장에서 작업도중에 상기 코너마감재(20)의 훼손 및 부재 시 작업자가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절취부(38)를 절단하여 상기 설치면부의 코너부분에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서로 인접시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30)에 'V'자 형으로 형성된 절취부(38)인 제1절취선(38a)을 절단한 제1절단조각(39a)과 제2절취선(38b)을 절단한 제2절단조각(39b)을 제거한 후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제1장식면(33)을 절곡하여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설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자는 현장에서 작업도중에 상기 코너마감재(20)의 훼손 및 부재 시에도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를 절단하거나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절단하고 절곡하여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게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상기 제2장식면(34)에 형성된 절취부(38)에 따라 절단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절취부(38)가 형성된 부분에 상기 타일마감재(30)의 타일인접면(36)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하거나 상기 연결프레임(40)을 통해 코너마감재(20)에 연결되어 모르타르가 도포된 설치면부(1)에 부착된 후 타일을 부착한다. 즉, 상기 설치면부(1)에는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연결된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에 따라 다수개의 타일(10)이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델링하기 위한 일반 주택의 베란다, 화장실 등에서 타일을 덧붙이는 작업을 할 경우 상기 배수관(50)에 설치되는 상기 배수구덮개(51)의 가장자리에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타일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수구덮개(51) 및 타일(10)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부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된 코너마감재(20)를 이용하여 타일마감재(3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절단된 길이 등에서 발생되는 오차에 관계없이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코너마감재(20)의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타일의 상면으로 모르타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설치면부의 모르타르로 인해 타일마감재가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상기 코너마감재(20)를 사용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타일마감재(30)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을 부착시킬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너마감재(20)로 인해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일마감재(30)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이 부착됨으로써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벽과 바닥 등이 인접된 3면으로 이루어진 코너부분을 동시에 마감할 수 있어 작업과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 현장에서 상기 코너마감재(20)가 훼손되거나 부재 시에도 상기 타일마감재(30)에 형성된 절취선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계단 등에 상기 논슬립부(35)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사용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설치면부 5: 모르타르
10: 타일 20, 21: 코너마감재
22a: 제1연결부 22b: 제2연결부
22c: 제3연결부 23: 중공부
24: 부착면 25: 코너장식면
26: 개구면 27: 모르타르유출방지판
28: 걸림돌기 30: 타일마감재
31: 밀착판 32: 모르타르통과구멍
33: 제1장식면 34: 제2장식면
35: 논슬립부 36: 타일인접면
37: 인입방지돌기 38: 절취부
38a: 제1절취선 38b: 제2절취선
39a: 제1절단조각 39b: 제2절단조각
40: 연결프레임 41: 가이드홈
50: 배수관 51: 배수구덮개
60: 고임대

Claims (5)

  1. 타일(10)의 하면을 부착하기 위해 모르타르(5)가 도포된 일정면적의 설치면부(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타일마감재(30b)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22a)와, 상기 제1연결부(22a)에 형성되며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수직된 부분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된 제3연결부(22c)와, 상기 제1연결부(22a), 제2연결부(22b), 제3연결부(22c)의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부(23)와, 상기 중공부(23)가 개방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유입되도록 상기 설치면부(1) 방향의 일면이 개구된 개구면(26)과, 상기 개구면(26)의 상측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과,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장식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된 논슬립부(35)를 포함하는 코너마감재(20)와,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3연결부(22c)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3타일마감재(30c)를 포함하는 타일마감재(30)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일측에 삽입되는 연결프레임(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40)에는, 일면에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홈(41a)이 형성되고,
    상기 타일마감재(30)과 코너마감재(20)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41a)과 대응되도록 각각 걸림돌기(28)와 인입방지돌기(37)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0)의 가이드홈(41a)과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가 슬라이딩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프레임(40)의 가이드홈(41a)과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일마감재(30)에는, 상기 타일(10)의 하면이 밀착고정되기 위한 일정길이의 밀착판(31)과, 상기 밀착판(3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장식면(33)과, 상기 제1장식면(33)에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장식면(34)과,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밀착판(31)과 제2장식면(34)에 형성되는 절취부(38)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38)는,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밀착판(31)에 형성되는 제1절취선(38a)과, 상기 밀착판(31)과 마주보는 상기 제2장식면(34)에 제1절취선(38a)와 동일하게 제2절취선(38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절취선(38a)와 상기 제2절취선(38b)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가 45도 각도가 되도록 절곡하여 절단될 수 있게 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식면(34)에는 상기 밀착판(31)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측면과 인접되기 위한 타일인접면(36)이 형성되는 타일용 마감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69347A 2016-06-03 2016-06-03 타일용 마감부재 KR10185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47A KR101854776B1 (ko) 2016-06-03 2016-06-03 타일용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47A KR101854776B1 (ko) 2016-06-03 2016-06-03 타일용 마감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51A KR20170137351A (ko) 2017-12-13
KR101854776B1 true KR101854776B1 (ko) 2018-06-20

Family

ID=6094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347A KR101854776B1 (ko) 2016-06-03 2016-06-03 타일용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0337U1 (de) * 2020-01-23 2021-04-26 Schlüter-Systems Kg Profil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71Y1 (ko) * 2003-12-16 2004-03-12 권오정 타일 마감재
KR200419563Y1 (ko) * 2006-03-22 2006-06-21 마경수 픽쳐레일 및 천장몰딩용 코너바
KR101290645B1 (ko) * 2012-03-28 2013-08-07 황영흠 타일몰딩장치
KR20130095689A (ko) * 2012-02-20 2013-08-28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1579726B1 (ko) * 2015-07-17 2015-12-23 김범진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442B1 (ko) * 2007-03-28 2009-01-20 선세근 표면에 눈금이 형성된 인테리어 몰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71Y1 (ko) * 2003-12-16 2004-03-12 권오정 타일 마감재
KR200419563Y1 (ko) * 2006-03-22 2006-06-21 마경수 픽쳐레일 및 천장몰딩용 코너바
KR20130095689A (ko) * 2012-02-20 2013-08-28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1290645B1 (ko) * 2012-03-28 2013-08-07 황영흠 타일몰딩장치
KR101579726B1 (ko) * 2015-07-17 2015-12-23 김범진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51A (ko)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0767B2 (en) Channel screed
US6338229B1 (en) Wall strip with raised bead for plaster screeding comprising two nailing strips connected by a riser strip configuration
CA2761676C (en) Improve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and associated shower benches
US8209795B2 (en) Prefabricated shower pan having varying sidewall heights and method of attaching a modular curb
US83754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shower module
US5997009A (en) Single-piece seal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a secondary seal
US20120005967A1 (en) Adapto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walls around tubs, showers, and the like
US20080222793A1 (en) Ribbed prefabricated polyurethane shower module
US2008022279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modular shower curb and associated modular shower curb
US7600355B1 (en) Unitary molded corner piece method and apparatus
CZ203794A3 (cs) Omítníková a ochranná lišta pro okenní rámy, dveřní rámy a podobně jejich napojení na omítku
EP2136691A2 (en) Improvements in modular shower enclosures
US20090172875A1 (en) Bathing area surround
KR101854776B1 (ko) 타일용 마감부재
US6128793A (en)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US20240060311A1 (en) Wall paneling system
US6442905B1 (en)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US20110000149A1 (en) Tiling system
KR100982437B1 (ko) 걸레받이
KR20200144766A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KR200219926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JP3103835B2 (ja) 窓周り構造
KR200212927Y1 (ko) 건축내장용 바닥 코너 마감재
JPH09151590A (ja) 外装材の取付金具及び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