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437B1 -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걸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437B1
KR100982437B1 KR1020100012494A KR20100012494A KR100982437B1 KR 100982437 B1 KR100982437 B1 KR 100982437B1 KR 1020100012494 A KR1020100012494 A KR 1020100012494A KR 20100012494 A KR20100012494 A KR 20100012494A KR 100982437 B1 KR100982437 B1 KR 10098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ngitudinal direction
baseboard
flooring
bas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김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춘 filed Critical 김영춘
Priority to KR102010001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9Plinths specially adapted for joining wall coverings to floor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7Plinths fixed by means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 등의 벽면재가걸레받이 상단에서 절취되어 은폐되게 하여 미감을 증대시키고, 또한 걸레받이의 하단부에 마루 등의 바닥재가 끼워지게 구성하여 바닥재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걸레받이의 하자 발생 원인을 해결하며, 걸레받이, 벽면재 및 바닥재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고 용이하도록 한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걸레받이(10)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10)의 배면 상부에는 걸레받이(10)를 벽면(20)에 밀착 접착하기 위한 밀착턱(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벽지 등의 벽면재(30)의 마감턱(1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31)가 끼워지는 끼움홈(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끼움홈(13)의 하부에는 바닥면(21)과 바닥재(31) 사이에 접착재 등의 충전재(33)가 충진되는 공간 확보를 위한 간격턱(1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걸레받이{washboard}
본 발명은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벽지 등의 벽면재가걸레받이 상단에서 절취되어 은폐되게 하여 미감을 증대시키고, 또한 걸레받이의 하단부에 마루 등의 바닥재가 끼워지게 구성하여 바닥재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걸레받이의 하자 발생 원인을 해결하며, 걸레받이, 벽면재 및 바닥재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고 용이하도록 한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바닥은 룸 카펫트 또는 온돌마루 또는 강화마루와 같은 바닥재로 마감하고 벽면에는 벽지와 같은 벽면재로 마감하게 되는 바, 이러한 이질의 바닥재와 벽면재가 만나는 벽면의 하단부에 걸레받이를 설치하여서, 그 바닥재와 벽면재의 경계를 구분하여 주는 동시에, 바닥재를 물걸레 등으로 청소할 때에 벽면재의 하단부가 더럽게 오염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걸레받이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단일의 판상체로 만들어져서, 벽면의 하단부에 접착제나 못으로 고정시켜서 비교적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걸레받이는 벽지 등의 벽면재와 마루 등의 바닥재의 끝단을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지 못하여서 벽면에 마감되는 벽면재의 하부 끝단이 미리 설치된 걸레받이 위에 올려붙이게 되므로, 걸레받이 위에 올려붙여진 벽면재의 하부 끝단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서 미관이 불량해지게 되고, 벽면재의 하부 끝단이 들떠서 탈락하는 하자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바닥에 바닥재를 깔아서 마감 시공하는 과정에서, 벽면의 하단부에 먼저 설치된 걸레받이의 하부 끝단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바닥재를 마금질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걸레받이의 하부 끝단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바닥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걸레받이 밑면을 바닥재의 두께만큼 절취하여 시공함으로 그로 인하여 많은 노동력과 작업과정에 분진이 발생하며 절취된 폐기물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벽지 등의 벽면재가 걸레받이 상단에서 절취되어 은폐되게 하여 미감을 증대시키고, 또한 걸레받이의 하단부에 마루 등의 바닥재가 끼워지게 구성하여 바닥재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걸레받이의 하자 발생 원인을 해결하며, 걸레받이, 벽면재 및 바닥재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고 용이하며 미관상 미려하도록 한 걸레받이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31)가 끼워지는 끼움홈(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끼움홈(13)의 하부에는 바닥면(21)과 바닥재(31) 사이에 접착재 등의 충전재(33)가 충진되는 공간 확보를 위한 간격턱(1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레받이(10)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10)의 배면 상부에는 걸레받이(10)를 벽면(20)에 밀착 접착하기 위한 밀착턱(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벽지 등의 벽면재(30)의 마감턱(12)이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벽면에 도배되는 벽지 등의 벽면재 하단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어서 미감을 향상시키고, 마루 등의 바닥재를 끼움홈 끼워 구성함으로서 바닥재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걸레받이의 하자 발생 원인을 해결하며, 걸레받이, 벽면재 및 바닥재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고 용이하며 걸레받이와 바닥재를 실리콘 등의 별도의 접착재 등을 사용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유지보수하기 용이하고 간편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므로 걸레받이의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걸레받이(10)의 배면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밀착턱(11)을 형성하여 밀착턱(11)의 하부 걸레받이(10)의 배면에 접착재(32) 등을 도포하여 벽면(20)의 하단부에 밀착턱(11)이 밀착 접착되게 구성한다.
여기서 걸레받이(10)의 배면에 밀착턱(11)을 형성한 이유는 걸레받이(10)가 접착재(32)등의 영향을 안 받고 벽면에 밀착되게 한 것이다.
상기 걸레받이(1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벽지 등의 벽면재(30)의 마감턱(1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마감턱(12)은 벽지 등의 벽면재(30)를 벽면(20)에 도배하고 마감턱(12)에서 벽면재(30)를 재단하게 한 것으로서 벽면재(30)의 도배 및 마감처리를 용이하고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레받이(10)의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31)가 끼워지는 끼움홈(13)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끼움홈(13)의 하부에는 바닥면(21)과 바닥재(31) 사이에 접착재 등의 충전재(33)가 충진되는 공간 확보를 위한 간격턱(1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시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상기 걸레받이(10)의 배면에 접착재(32)를 도포하고 걸레받이(10)의 밀착턱(11)이 벽면(20)에 밀착되게 접착 고정시켜 걸레받이(10)를 벽면(20)에 공정시킨다.
이후 벽면(20)에 벽지 등의 벽면재(30)를 도배를 한 후 상기 걸레받이(10)의 마감턱(12)과 접하고 남는 잉여의 벽면재(30)를 잘라내는 것으로 벽면재(30)의 하부 끝단이 일직선으로 유지되어 미관이 미려하고 벽면재(30)의 하부 끝단이 들떠서 탈락하는 하자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벽면(20)에 도배를 한 후 바닥면(21)에 걸레받이(10)의 하부 간격턱(14)의 높이로 접착재 등의 충전재(33)를 충전하고 마루 등의 바닥재(31)를 걸레받이(10)의 끼움홈(13) 끼워 마루 등의 바닥재(31)를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루 등의 바닥재(31)를 걸레받이(10)의 끼움홈(13)에 끼워 바닥재(31)의 시공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바닥재(31)와 걸레받이(10) 사이를 실리콘 등으로 마감처리 할 필요가 없어 바닥재(31)의 시공이 용이하며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재(31)의 끝단부가 걸레받이(10)의 끼움홈(13) 위치하게 되어 바닥재(31)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벽면(20)과의 이격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걸레받이(10)에 의해 보완이 되어 바닥재(31)의 끝단부가 외관상 미려하게 처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걸레받이
11 : 밀착턱
12 : 마감턱
13 : 끼움홈
14 : 간격턱
20 : 벽면
21 : 바닥면
30 : 벽면재
31 : 바닥재
32 : 접착재
33 : 충전재

Claims (1)

  1.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31)가 끼워지는 끼움홈(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끼움홈(13)의 하부에는 바닥면(21)과 바닥재(31) 사이에 접착재 등의 충전재(33)가 충진되는 공간 확보를 위한 간격턱(1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레받이(10)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10)의 배면 상부에는 걸레받이(10)를 벽면(20)에 밀착 접착하기 위한 밀착턱(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벽지 등의 벽면재(30)의 마감턱(12)이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KR1020100012494A 2010-02-10 2010-02-10 걸레받이 KR10098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94A KR100982437B1 (ko) 2010-02-10 2010-02-10 걸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94A KR100982437B1 (ko) 2010-02-10 2010-02-10 걸레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437B1 true KR100982437B1 (ko) 2010-09-15

Family

ID=4301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494A KR100982437B1 (ko) 2010-02-10 2010-02-10 걸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30B1 (ko) 2010-05-31 2012-11-12 강학현 걸레받이
KR102166461B1 (ko) * 2020-03-10 2020-10-15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장관 면역조절 기능과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468Y1 (ko) 1999-07-26 2000-02-15 주식회사써니텍 천장용 모서리 몰딩재
KR200198276Y1 (en) 1998-04-03 2000-10-02 Se Young Seo Base board
KR200264151Y1 (ko) * 2001-11-07 2002-02-19 주식회사 한국프라시스 후면에 접착 보강홈을 갖는 걸레받이
KR20030013500A (ko) * 2003-01-17 2003-02-14 박경배 걸레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276Y1 (en) 1998-04-03 2000-10-02 Se Young Seo Base board
KR200164468Y1 (ko) 1999-07-26 2000-02-15 주식회사써니텍 천장용 모서리 몰딩재
KR200264151Y1 (ko) * 2001-11-07 2002-02-19 주식회사 한국프라시스 후면에 접착 보강홈을 갖는 걸레받이
KR20030013500A (ko) * 2003-01-17 2003-02-14 박경배 걸레받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30B1 (ko) 2010-05-31 2012-11-12 강학현 걸레받이
KR102166461B1 (ko) * 2020-03-10 2020-10-15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장관 면역조절 기능과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3633C2 (ru)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удерж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20005967A1 (en) Adapto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walls around tubs, showers, and the like
CA2792491C (en) Water tight seal for corner joints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s
RU200812067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тия по торцам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US8096093B1 (en) Groutless wall tile systems
US5079880A (en) Trim for covering and securing dry wall adjacent to surrounding portion of a bathtub or shower stall
US20150033656A1 (en) Wall System
CA2624627A1 (en) Wall transition molding
KR100982437B1 (ko) 걸레받이
KR20120105622A (ko) 경량벽체 연결구조
US3430402A (en) Floor with baseboard
KR102290378B1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CN203716383U (zh) 功能性集成吊顶
WO2009050476A2 (en) Wall panel
JP2010013872A (ja) 外壁構造
KR101854776B1 (ko) 타일용 마감부재
JP3116858U (ja) 巾木
KR200493023Y1 (ko) 덧붙임용 몰딩
KR200373394Y1 (ko) 타일 마감재
KR200212927Y1 (ko) 건축내장용 바닥 코너 마감재
JP6355309B2 (ja) 床見切材及び畳体・床材間の境界部構造
KR200296637Y1 (ko) 건축용 벽면 마감패널
KR101266664B1 (ko)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5231Y1 (ko) 접합부가 일체화된 걸레받이
KR20100012221A (ko) 벽면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