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664B1 -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664B1
KR101266664B1 KR1020110015439A KR20110015439A KR101266664B1 KR 101266664 B1 KR101266664 B1 KR 101266664B1 KR 1020110015439 A KR1020110015439 A KR 1020110015439A KR 20110015439 A KR20110015439 A KR 20110015439A KR 101266664 B1 KR101266664 B1 KR 10126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ocher mortar
auxiliary
mortar
o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179A (ko
Inventor
정백수
Original Assignee
정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백수 filed Critical 정백수
Priority to KR102011001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6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01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unburned 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면을 황토 모르타르로 미장하여 황토방을 인테리어 후에 황토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황토 모르타르의 균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함과 동시에 미려한 실내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콘크리트 벽면에 시공되며 상기 콘트리트 벽멱에 부착 시공되는 보조목과 외부로 돌출되는 장식목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목재 프레임과; 상기 보조목의 두께로 미장되는 1차 황토 모르타르와; 상기 보조목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메탈라스와; 상기 메탈라스 외측면에 미장되는 2차 황토 모르타르 및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의 외부에 접착되는 한지로 구성되되, 상기 장식목이 상기 한지 사이에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Structure of Wall using Ocher Mortar and Constructing Method Threrfor}
본 발명은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면을 황토 모르타르로 미장하여 황토방으로 인테리어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함과 동시에 황토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황토 모르타르의 균열을 최소화하고 미려한 실내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포함한 대부분 건축물들의 바닥 및 벽면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아파트의 경우 층간 소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콘크리트에서 발생된 미세먼지 등은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아토피를 악화시키기도 한다.
이 콘크리트의 미세먼지에는 다량의 크롬이 함유되어 신체 내로 침투하게 되는데, 크롬이 신체 내로 침투하게 되면 체내 면역세포들은 크롬을 기억하게 되고, 생활 속에서 크롬에 자극을 받았을 때 각종 암 및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연 콘크리트를 개발하거나 콘크리트용 페인트를 도포하여 유해물질을 차단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의 제품들도 인공적으로 제조되는 화학물질이어서 사용자의 불신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한편,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은 인체의 신진대사, 혈액순환 등을 촉진하는 것에 기인하여 이를 이용한 다양한 건축공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황토를 아파트 등 다가구 주택의 바닥에 시공할 경우 황토가 진동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이 개선되기도 한다.
황토를 바닥에 시공하는 과정은 콘크리트 바닥에 황토로 일정한 두께의 층을 형성하고 상기 층의 내부에 온수 파이프를 내설하며, 상기 층의 상부에 마감재를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바닥에 황토를 시공하는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황토를 벽면에 시공하는 과정은 황토를 미장하는 과정에서 흘러내림이 발생되거나 황토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소 복잡한 시공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복잡한 시공 과정을 해소하고자 공개특허 제2006-0036180호(황토방 바닥 및 벽면 시공방법)가 개시되었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상기 시공방법 중에서 벽면 시공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조는 콘크리트 벽면(1)에 일정한 간격으로 목재 프레임(2)을 설치하고, 이 목재 프레임(2)에 황토판(3)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시공방법과 더불어서 공개특허 제2009-0130711호(건축용 단열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서는 단열패널을 제작하여 이를 콘크리트 벽면에 적용한 것으로, 이 단열패널의 구조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의 중공부에 충진되어 외벽층을 형성하는 황토몰탈(mortar)과 황토몰탈 사이에 배열되는 대나무 숯과 황토 몰탈(mortar)과 대나무 사이에 개재되는 리브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공개된 황토 시공방법은 일정한 틀을 형성하거나 프레임의 내부에 이미 제조된 황토패널을 벽면에 부착하는 시공방법으로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 시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벽과 패널 사이 및 패널과 패널 사이에는 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틈을 통해 콘크리트의 유해물질이 방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일정한 넓이를 가지는 이러한 황토판 및 단열패널은 시공하는 과정에서 벽면 넓이에 맞게 크기를 절단하여 시공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직접 황토를 미장하되 황토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균열을 최소화하고 미려한 실내 장식을 제공할 수 있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면에 시공되며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 시공되는 보조목과 외부로 돌출되는 장식목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목재 프레임과; 상기 보조목의 두께로 미장되는 1차 황토 모르타르와; 상기 보조목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메탈라스와; 상기 메탈라스 외측면에 미장되는 2차 황토 모르타르 및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의 외부에 접착되는 한지로 구성되되, 상기 장식목이 상기 한지 사이에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 시공되는 보조목과 외부로 돌출되는 장식목을 접합하는 목재 프레임 제작 단계와; 상기 목제 프레임을 콘크리트 벽면에 시공하는 목재 프레임 벽면 시공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시공된 목재 프레임 중에서 상기 보조목의 두께로 황토를 미장하는 1차 황토 모르타르 미장 단계와; 상기 보조목의 외측면에 메탈라스를 설치되는 메탈라스 시공 단계와; 상기 메탈라스 외측면에 2차 황토 모르타르를 시공하는 2차 황토 모르타르 시공 단계 및 상기 시공된 2차 황토 모르타르가 건조된 이후에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의 외측면을 한지로 마감하는 한지 마감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토 모르타르를 미장하여 시공하는 과정에서 황토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미장작업이 수월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황토 모르타르가 직접 콘크리트 벽면에 밀착 시공되어 견고하게 시공되며,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이 황토 모르타르에 의해서 차단되어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 모르타르의 수축에 따른 균열이 최소화되어 미려하면서 아늑한 실내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황토방의 벽면 시공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벽의 시공 구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시공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면을 황토 모르타르로 미장하여 황토방을 인테리어 하고, 황토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황토 모르타르의 수축에 의한 균열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함과 동시에 미려한 실내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는 크게 목재 프레임, 1차 황토 모르타르(Mortar), 메탈라스(Metal lath), 2차 황토 모르타르 및 한지로 이루어진다.
목재 프레임(20)은 콘크리트 벽면(10)에 시공되며 이 콘크리트 벽면(10)에 부착 시공되는 보조목(21)과 외부로 돌출되는 장식목(22)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보조목(21)은 콘크리트 벽면(10)에 접촉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하기에서 설명될 장식목(22)을 지탱한다.
이때 보조목(21)은 콘크리트 벽면(10)에 미장되는 황토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하도록 가로 방향으로만 시공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시공 장소에 따라서 세로측으로 또는 가로와 세로가 병합된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장식목(22)은 실내 장식을 위해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외관이 미려한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장식목(22)은 일정 폭을 가지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는 이격부(22a)와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부(22b)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격부(22a)의 길이방향 폭은 상기 외장부(22b)의 길이방향 폭보다 좁게하여 간격홈(20c)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격홈(20c)이 형성된 장식목(22)은 황토 모르타르를 미장하는 과정 및 항토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황토 모르타르의 흘러내림과 건조시 수축에 따른 균열을 방지한다.
여기서 보조목(21)과 장식목(22)의 접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조목(21)을 콘크리트 벽면(10)에 우선 부착 시공하고, 후에 장식목(22)을 상기 보조목(21)에 접합 시공하게 되면 장식목(22)의 외측면에서 보조목(21) 방향으로 즉, 콘크리트 벽면(10) 측으로 못(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여야 하나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 벽면(10) 측으로 접합시 사용된 못(나사못)의 헤드 부분이 보여지게 되므로, 실내 장식에서 외관에 오점을 남길 수 있으며, 못 등을 타공 접합하는 과정에서 장식목(22)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미려한 실내장식을 위해서는 이러한 못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바, 이러한 구성을 위해 보조목(21)과 장식목(22)의 접합은 결합나사(20a)에 의해서 접합되되 상기 결합나사(20a)는 상기 보조목(21)에서 상기 장식목(22) 측으로 나사 결합하여 목재 프레임(20)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는 보조목(21)과 장식목(22)을 결합하는 결합나사(20a)의 헤드부는 콘크리트 벽면(10) 측으로 형성되어 결합나사(20a)의 헤드가 감춰져서 깨끗한 외장이 형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결합나사(20a)의 길이는 보조목(21)의 두께보다는 길어야 하며 보조목(21)과 장식목(22)의 전체 두께보다는 짧아야 한다.
또한, 보조목(21)을 상기 콘크리트 벽면(10)에 부착 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시공나사(21a)의 헤드부는 황토 모르타르에 의해서 감춰지는데, 시공나사(21a)의 시공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조목(21)의 길이방향 폭은 장식목(22)의 길이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목(21)에는 시공통공(21b)이 미리 마련하여 시공나사(21a)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시공나사(21a)가 나사 결합되는 콘크리트 벽면(10)에는 시공나사(21a)가 나사 결합되는 앵커(Anchor)가 설치될 수 있다.
앵커는 전동공구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면(10)에 일정한 구멍을 마련하고 그 구멍안에 나사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보조목(21)과 장식목(22)은 일체형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 및 하기에서 설명될 외부 또는 외측면은 콘크리트 벽면으로 둘러싸인 실내측을 의미한다.
한편, 목재 프레임(20)을 콘크리트 벽면(10)에 설치 시공한 후에는 황토 모르타르가 미장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2차에 걸쳐서 황토 모르타르가 미장된다.
1차 황토 모르타르(30)의 미장은 상기 목재 프레임(20)에서의 보조목(21) 두께로 미장되고, 1차 황토 모르타르(30)의 미장이 완료되면 상기 1차 황토 모르타르(30)의 외측면으로 메탈라스(40, Metal lath)가 설치된다.
메탈라스(40)는 일정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메쉬 형태의 철망으로서, 황토 모르타르가 건조되면 발생될 수 있는 균열을 최소화하며, 들뜸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탈라스(40)의 넓이는 보조목(21)의 외부면에 일부분이 겹치도록 충분한 넓이로 제단하여 설치되며, 겹치는 부분을 못(nail)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의 과정에서 결합 및 시공에 사용된 결합나사(20a) 및 시공나사(21a) 등은 타커(tacker) 및 접착제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이러한 결합방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결합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메탈라스(40)를 설치 시공한 후에는 2차 황토 모르타르(50)가 미장되며, 미장되는 높이는 상기 장식목(22)의 이격부(22a) 높이로 미장된다. 이 2차 황토 모르타르(50)의 미장으로 보조목(21)을 콘크리트 벽면(10)에 고정시키는 시공나사(21a) 및 메탈라스(40)가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50)의 내부로 매몰되어 실내 장식이 깔끔하게 처리된다.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50)가 건조된 이후에는 이 2차 황토 모르타르(50)의 외부에 한지(60) 등을 접착하여 마감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벽의 시공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콘크리트 벽면(10)으로부터 보조목(21)과 1차 황토 모르타르(30)가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 및 미장되고, 메탈라스(30)와 2차 황토 모르타르(50)가 장식목(22)의 이격부(22a)의 높이만큼 설치 및 미장되며, 2차 황토 모르타르(50)가 미장된 외측부는 한지(60)로 마감 처리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기 위한 본 발명의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시공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항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시공 공정은 목재 프레임 제작 단계(S10), 목재 프레임 벽면 시공 단계(S20), 1차 모르타르 미장 단계(S30), 메탈라스 시공 단계(S40), 2차 모르타르 미장(50) 단계 및 한지 마감 단계(S60)로 이루어진다.
(1) 목재 프레임 제작 단계(S10),
목재 프레임(20) 제작 단계(S10)는 콘크리트 벽면(10)에 부착 시공되는 보조목(21)과 외부로 돌출되는 장식목(22)을 접합하여 목재 프레임(20)을 제작하는 단계로서, 보조목(21)에서 장식목(22) 측으로 결합나사(20a)를 사용하여 결합 제작되는데, 이렇게 제작된 목재 프레임(20)은 결합나사(20a)의 헤드부가 콘크리트 벽면(10) 측으로 매립되어 깔끔한 실내 장식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보조목(21)과 상기 장식목(22)의 접합은 상기 보조목(21) 측에서 상기 장식목(22) 측으로 결합나사(20a)의 의해서 접합된다.
(2) 목재 프레임 벽면 시공 단계(S20)
목재 프레임 벽면 시공 단계(S20)는 상기 제작된 목재 프레임(20)을 콘크리트 벽면(10)에 부착 시공하는 단계로서, 미리 시공된 앵커 볼트에 상기 보조목(21)을 관통한 시공나사(21a)를 나사 결합하여 시공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목재 프레임(20)의 벽면 시공은 상기 보조목(21) 측에서 상기 콘크리트 벽면(10) 측으로 시공나사(21a)를 통해 부착 시공된다.
(3) 1차 모르타르 미장 단계(S30)
1차 모르타르 미장 단계(S30)는 보조목(21)의 두께로 상기 콘크리트 벽면(10)에 황토 모르타르를 미장하는 단계이다.
(4) 메탈라스 시공 단계(S40)
메탈라스 시공 단계(S40)는 1차 황토 모르타르(30)의 미장부에 메탈라스를 부착 시공하는 단계로서, 메탈라스의 넓이를 보조목(21)으로 이루어진 넓이보다 소정으로 넓게 제단하여 상기 보조목(21)의 일부와 메탈라스의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하고 상기 겹쳐진 부분에 못(nail) 또는 타커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목(21)에 메탈라스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메탈라스에 의해 1차 황토 모르타르 미장 작업 후 바로 2차 황토 모르타르 미장 작업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
(5) 2차 모르타르 미장 단계(S50)
2차 모르타르 미장 단계(S50)단계는 장식목(22)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부(22b)를 제외한 벽면을 황토 모르타르로 미장하는 단계이다.
이에 1차 황토 모르타르(30)와 2차 황토 모르타르(50) 사이에는 메탈라스(40)가 위치하여 메탈라스(40)에 의해 1차 황토 모르타르 및 2차 황토 모르타르가 견고히 부착되며, 또한 2차 황토 모르타르의 미장 작업 중에 황토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이 비교적 적어서 미장작업이 수월하고, 건조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균열 및 들뜸을 최소화할 수 있다.
(6) 한지 마감 단계(S60)
한지 마감 단계(S60)는 2차 모르타르로 미장된 부분에 한지를 붙여서 마감하는 단계로서, 황토 모르타르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 한지를 대체하여 일반 벽지로 마감 공정을 하여도 무방하며, 한지 또는 벽지 등에 의해서 마감된 벽은 황토 모르타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먼지 등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은근하고 포근한 실내장식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토 모르타르를 미장하여 시공하는 과정에서 황토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미장작업이 수월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황토 모르타르가 직접 콘크리트 벽면에 밀착 시공되어 견고하고, 특히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이 황토 모르타르에 의해서 차단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10 : 콘크리트 벽면 20 : 목재 프레임
20a : 결합나사 20c : 간격홈
21 : 보조목 21a : 시공나사
21b : 시공통공 22 : 장식목
22a : 이격부 22b : 외장부
30 : 1차 황토 모르타르 40 : 메탈라스
50 : 2차 황토 모르타르 60 : 한지

Claims (6)

  1. 콘크리트 벽면(10)에 시공되며 상기 콘크리트 벽면(10)에 부착 시공되는 보조목(21)과 외부로 돌출되는 장식목(22)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목재 프레임(20)과;
    상기 보조목(21)의 두께로 미장되는 1차 황토 모르타르(30)와;
    상기 보조목(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메탈라스(40) 및
    상기 메탈라스(40)의 외측면에 미장되는 2차 황토 모르타르(50)로 이루어져 상기 장식목(22)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목(22)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이격부(22a)와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부(22b)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격부(22a)의 길이방향 폭은 상기 외장부(22b)의 길이방향 폭보다 좁게하여 간격홈(20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프레임(20)의 보조목(21)과 장식목(22)의 접합은 결합나사(20a)에 의해서 접합되되, 상기 결합나사(20a)는 상기 보조목(21)에서 상기 장식목(22) 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50)의 미장 이후에는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50)의 외부를 한지(60)로 마감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5. 콘크리트 벽면(10)에 부착 시공되는 보조목(21)과 외부로 돌출되는 장식목(22)을 접합하여 목재 프레임(20)을 제작하는 목재 프레임 제작 단계(S10)와;
    상기 목제 프레임(20)을 상기 콘크리트 벽면(10)에 부착 시공하는 목재 프레임 벽면 시공 단계(S20)와;
    상기 콘크리트 벽면(10)에 시공된 목재 프레임(20) 중에서 상기 보조목(21)의 두께로 황토 모르타르를 미장하는 1차 황토 모르타르 미장 단계(S30)와;
    상기 보조목(21)의 외측면에 메탈라스(40)를 부착 설치하는 메탈라스 시공 단계(S40)와;
    상기 메탈라스(40) 외측면에 2차 황토 모르타르(50)를 시공하는 2차 황토 모르타르 시공 단계(S50) 및
    상기 시공된 2차 황토 모르타르(50)가 건조된 이후에 상기 2차 황토 모르타르의 외측면을 한지(60)로 마감하는 한지 마감 단계(S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식목(22)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이격부(22a)와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부(22b)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격부(22a)의 길이방향 폭은 상기 외장부(22b)의 길이방향 폭보다 좁게하여 간격홈(20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프레임 제작 단계(S10)에서 상기 보조목(21)과 상기 장식목(22)의 접합은 상기 보조목(21) 측에서 상기 장식목(22) 측으로 결합나사(20a)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목재 프레임 벽면 시공 단계(S20)에서 상기 목재 프레임(20)의 벽면 시공은 상기 보조목(21) 측에서 상기 콘크리트 벽면(10) 측으로 시공나사(21a)를 통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시공 방법.
KR1020110015439A 2011-02-22 2011-02-22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439A KR101266664B1 (ko) 2011-02-22 2011-02-22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439A KR101266664B1 (ko) 2011-02-22 2011-02-22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79A KR20120096179A (ko) 2012-08-30
KR101266664B1 true KR101266664B1 (ko) 2013-05-28

Family

ID=4688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439A KR101266664B1 (ko) 2011-02-22 2011-02-22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6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46B1 (ko) * 2006-07-26 2008-02-28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0881063B1 (ko) 2007-08-20 2009-02-05 김철곤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KR100948942B1 (ko) * 2009-12-07 2010-03-23 이정원 황토 패널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및 그 마감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46B1 (ko) * 2006-07-26 2008-02-28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0881063B1 (ko) 2007-08-20 2009-02-05 김철곤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KR100948942B1 (ko) * 2009-12-07 2010-03-23 이정원 황토 패널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및 그 마감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79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458B1 (ko) 철골구조가 적용된 한식 건축물과 그 건축방법
US20170268232A1 (en) Integral Composite Shuttering Panel and Monolithic Wall Building System
US20140174012A1 (en) Method for making facades of buildings
KR19990029130A (ko)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
CN108457442A (zh) 一种室内装修系统及装修方法
JP4049564B2 (ja) 耐火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EP3314066A1 (en) Modified osb board and its use in walls for house building systems
KR20090113408A (ko)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KR101266664B1 (ko)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6563673B2 (ja) 意匠パネル、壁構造及び施工方法
KR20090042373A (ko) 조립식 내외장재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JP2010101002A (ja) 木造建物の通気性外断熱の外壁構造
KR101193547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KR100982437B1 (ko) 걸레받이
KR101076434B1 (ko)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KR200410775Y1 (ko) 바닥 또는 벽체에 시공되는 카본 페이퍼를 이용한 마감재
TWI711747B (zh) 一種建築用塑性板材結構
KR102089748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KR101295416B1 (ko)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구조체
CN207974465U (zh) 卫生间过门石模块
KR200353323Y1 (ko) 시공이 간편한 난방구조
KR200481633Y1 (ko) 철골구조를 이용한 황토방
KR200420499Y1 (ko) 목재와 황토를 이용한 양면 인테리어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