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646B1 -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646B1
KR100806646B1 KR1020060070111A KR20060070111A KR100806646B1 KR 100806646 B1 KR100806646 B1 KR 100806646B1 KR 1020060070111 A KR1020060070111 A KR 1020060070111A KR 20060070111 A KR20060070111 A KR 20060070111A KR 100806646 B1 KR100806646 B1 KR 10080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ocher
frame
wall plate
buil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혁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인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인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인스타
Priority to KR102006007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에 관한 것으로 H형 강철빔으로 된 상단 가로빔, 상기 상단 가로빔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일정한 간격의 세로로 배치된 세로빔, 상기 세로빔의 전후 양측에서 세로빔에 걸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 보강대, 및 대각선으로 교차된 대각선 보강대로 형성된 벽판 프레임과, 상기 벽판 프레임의 양측면에 장착된 금속망체, 금속망체가 매입되게 벽판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황토소재가 충전된 황토벽체가 결합되어 황토벽체로 구성되어 있다. 설정된 벽의 높이와 폭으로 된 상기 황토벽판을 건축물이 정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상단 프레임의 구멍을 이용하여 철근 슬라브를 황토벽판과 일체로 축조하여 건축물 구조체의 일부가 되게 한다. 황토 벽판의 조립시공이 간편하고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으며, 실내의 습기조절기능이 있고 화재의 우려가 없으며 화재시 유해가스가 방출이 없고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위생에 유익하여 각종 건축 구조물의 벽판으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상단 가로빔, 세로빔, 가로 보강대, 대각선 보강대, 망판, 황토소재.

Description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PREFABRICATED YELLOW SOIL WALL-BOARD AS A BUILDING MATERIAL}
도1은 본 발명의 강철 프레임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강철프레임에 황토를 충진하여 구성된 황토벽판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황토벽체를 세로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상단 가로빔 2 : 세로빔 3 : 가로 보강대 4 : 대각선 보강대
5 : 금망체 6 : 화장목 P : 황토벽판 F :벽판 프레임 Y : 황토벽체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복층 구조물의 칸막이에 적용하기에 유용한 산업적으로 다량생산이 가능하고 조립시공이 용이한 황토벽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구조물인 아파트 등의 골조와 벽을 동시에 시멘트 몰타르로 타설하거나 골조를 먼저 축조한 다음 공업적으로 생산된 조립형 시멘트 벽판을 건 축물 골조 사이에 부착하여 축조하고 있다.
이때 축조되는 구조물의 소재가 주로 시멘트이기 때문에 시멘트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며 여기에, 내장재나 도료(塗料)의 화학적 유해물질이 방출되어, 아토피, 피부질환으로 고통을 겪는 등 새집 증후군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아파트 구조물의 내벽에 별도의 황토몰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시공하여 시멘트의 유해물질의 방출을 억제하려고 시도한 것도 있다. 그러나 시멘트와 황토는 친화력이 없기 때문에 황토층이 건조되면 시멘트 벽면에서 황토층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타 여러 가지 형태의 황토벽체가 알려져 있으나 아파트와 같은 복수층의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일부 구조체로서 강도와 내구성과 조립설치의 간편성 등이 구비된 황토벽체는 아직 실용화된 것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H빔 강철 빔으로 구성된 벽판 프레임과, 그 양면에 장착된 금속망체가 매입되게 벽판 프레임 공간부에 황토소재가 충전된 황토벽체의 결합으로 황토벽판을 구성하여 아파트와 같은 복수층의 건축 구조물의 일부 구조체로서 조립설치가 용이한 건축 구조물의 황토벽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층 건축 구조물의 벽판으로서 강철빔으로 된 벽판 프레임에 의하여 구조강도가 대단히 높고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으며, 벽체가 황토소재로만 조성되어 견고하고 탈락이 없으며 습기의 조절기능을 가지면서 인체 에 위생적으로 유익한 건축 구조물의 황토벽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은, H형 강철빔으로 된 상단 가로빔(1), 상기 상단 가로빔(1)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일정한 간격의 세로로 배치된 H형 강철빔으로 된 세로빔(2), 상기 세로빔(2)의 전후 양측에서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빔에 배치된 복수개의 사각봉으로 된 가로 보강대(3), 프레임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대각선 보강대(4)로 용접 형성된 벽판 프레임(F)과, 상기 벽판 프레임(F)의 전후 양측면에 장착된 금망체(5), 금망체(5)가 매입되게 상기 벽판 프레임의 공간 내부에 황토소재(y)가 충진된 황토벽체(Y)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슬러브(S)의 철근(st)을 관통 지지시키어 슬러브(S)와 황토벽(P)을 일체로 축조할 수 있도록 상단 가로빔(1)의 요입부(1a)에 여러 개의 구멍(1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은 상기 가로 보강대(3)의 외측면에 화장목(6)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벽판은 강철의 벽판 프레임과 황토벽체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즉 H형 강철빔으로 된 상단 가로빔, 상기 상단 가로빔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일정한 간격의 세로로 배치된 H형 강철빔으로 된 세로빔, 상기 세로빔의 전후 양측에서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빔에 용접,배치된 복수개의 사각봉으로 된 가로 보강대, 및 프레임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대각선 보강대로 형성된 벽판 프레임과,
상기 벽판 프레임의 전후 양측면에 장착된 금망체, 금망체가 매입되게 상기 벽판 프레임의 공간 내부에 황토소재가 충진된 황토벽체의 결합으로 황토벽판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벽판 프레임의 상단 가로빔의 상하 폭은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슬러브의 두께와 같고 상부 가로빔의 좌우 길이는 축조되는 건축물의 벽의 좌우폭과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단 가로빔의 요입부에는 여러 개의 구멍이 나란히 천공되어 슬러브 철근이 관통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벽판 프레임의 세로빔의 높이는 상기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 층 사이의 높이와 같으며 세로빔의 개수와 간격은 설계도에서 요구되는 강도에 맞게 설정된다.
가로 보강대와 대각선 보강대는 세로 빔의 전후 양측면에 용접되며 가로 보강대와 대각선 보강대의 교차부분은 두께의 차이가 없이 같은 두께로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벽판 프레임은 그 자체로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설정된 벽체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또 벽판 프레임의 크기는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사양에 따르나 프레임 구성의 동일성은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또 프레임의 하단 보강대는 세로빔의 하단부에서 바닥시공의 공간 두께와 같은 길이 여유를 두고 가로로 용접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황토벽체는 상기 벽판 프레임의 전후 양측면에 장착된 금속 망체가 매입되게 프레임 사이 공간에 황토소재가 충전되어 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성과 평면성이 유지되며, 운반, 설치작업중에 벽체의 파손이 없다.
상기 벽판 프레임의 공간부에 황토소재를 충전하는 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중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한 실시예를 들면, 수평면의 지지판에 상기 프레임을 수평으로 눕히고 소정의 묽기로 반죽된 황토몰타르를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주입하여 충전한 다음 정치(定置)하여 자연건조하거나 열풍 건조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황토벽판의 구성에 있는 만큼 황토 몰타르의 충전방법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조된 황토벽판은 하나의 벽판으로 취급되며 설계도에 따라 건축 구조물의 설정된 위치에 황토벽판을 세로로 고정시키고 상부 가로빔에 형성된 각 구멍에 슬러브 철근이 관통 지지되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슬러브를 타설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토벽판은 슬러브와 일체로 축조되어 건축 구조물의 일부 구조체가 되고 강철 벽판 프레임은 구조체의 일부 강도를 담당한다.
또 필요에 따라 황토벽판가의 가로 보강대 외측에 화장목(化粧木)을 접착하여 벽면의 미감을 증진하거나 못을 박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토벽판은 건축 구조물의 축조시에 조립시공이 간편하고 또 철강 프레임에 의하여 벽판의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다. 또 황토벽체는 벽판의 표면에 근접한 위치에 금속망체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황토소재에 다른 섬유소재등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아도 황토소재와 프레임과의 결합성이 양호하고 운반 설치중에 황토벽체의 파손의 우려가 거의 없다. 또 황토소재의 미립자 간에 다수의 미소한 공극(空隙)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기상(氣相)분자의 통과가 가능하며, 일기변화에 따라 실내의 수분을 흡수하기도 하고 배출하기도 하여 실내 습도 조절기능이 양호하다. 또 시멘트 벽체에 비하여 단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의 유지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황토벽판은 철강과 무기질 황토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연성 물질이 거의 없어 화제의 우려가 없고 또 화재로 인한 유해가스가 방출되지 않으며 시멘트 벽체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적 물질의 방출이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 또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인체의 위생에 매우 유익하며,각종 건축 구조물의 황토벽판으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강철의 벽판 프레임의 정면도이고 도2는 황토벽판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황토벽판(P)은 강철의 벽판 프레임(F)과 황토벽체(Y)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직사각형의 벽판 프레임(F)은 H형 강철빔으로 된 상단 가로 빔(1)과, 상기 상단 가로빔(1)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일정한 간격의 세로로 배치된 H형 강철빔으로 된 세로빔(2)과, 상기 세로빔(2)의 전후 양측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빔에 배치 용접된 복수개의 사각봉으로 된 가로 보강대(3)와, 프레임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게 배치 용접된 대각선 보강대(4)로 벽판 프레임(F)이 구성되어 있다.
상단 가로빔(1)의 상하 폭(1t)은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슬러브의 두께와 같고 상부 가로빔(1)의 길이(1L)는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벽의 세로폭과 같은 크기로 된다. 상단 가로빔(1)의 요입면(1a)에는 여러 개의 구멍(1h)이 소정의 간격으로 뚫려 있어 슬러브(S)의 철근(st)이 관통지지하게 되어 있다.
H 형 강철빔으로 된 세로빔(2)의 길이(높이)(2L)는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 상하 층 슬러브(S) 사이의 높이와 같으며, 상단 가로빔(1)에 배치된 세로빔(2)의 개수와 간격은 설계도에서 요구되는 강도에 맞추어 설정된다.
사각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 보강대(3)와 대각선 보강대(4)는 세로 빔(2)의 전후 양측면에 같은 두께로 교차되게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벽판의 프레임(F)은 그 자체만으로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설정된 벽체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또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사양에 따라 벽체 프레임의 전체 규격이 설정되며, 그러나 프레임 구성의 동일성은 그대로 유지된다.
또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하단 보강대(3)는 세로빔(2)과 바닥시공을 할 수 있는 여유의 길이(2a)를 두고 교차되어 있다. 벽판프레임(F)의 세로빔(2)은 하층의 벽판 프레임(F)의 상단 가로빔(1)의 상면에 세워서 조립된다.
본 발명에서 황토벽체(Y)는 상기 벽판 프레임(F)의 전후 양측면에 배치된 가로 보강대(3)와 대각선 보강대(4)에 밀착되게 상기 벽판 프레임의 전체 넓이로 금속망체(5)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고 가로 상기 프레임(F)의 공간에 황토소재가 충전되어 상기 황토벽체(Y)를 구성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가로 보강대의 외측에 화장목(6)을 부착하여 화장목과 같은 표면으로 항토벽체(Y)를 구성한다.
상기 벽판 프레임(F)의 공간부에 황토소재(y)의 몰타르를 충전하는 수단의 한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수평면의 지지판에 상기 벽판 프레임(F)을 수평으로 눕히고 프레임의 둘레의 가장자리에 밀폐소재로 들러 친 다음 소정의 묽기로 반죽된 황토 몰타르를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주입하여 충전한다. 그대로 정치하면 중력에 의해 황토 몰타르는 수평면을 이루며, 자연건조 또는 열풍에 의하여 건조한다. 건조의 진행에 따라 황토층이 낮아지면 추가로 황토 몰타르를 보충하여 설정된 벽체의 두께를 유지시킨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토벽판(P)은, 산업적으로 다량 생산하며,건축구조물의 축조시에 설계도에 따라 설정된 위치의 바닥이나 하층에 이미 시공된 같은 황토벽판(P)의 상단 프레임(1)의 상면에 황토벽판(P)의 세로빔(2)의 하단부가 접촉되게 세로 배치 고정시킨다. 하부측 상단 가로빔(1)과 이에 접촉된 세로빔(2)의 하단부는 용접으로 연결시킨다. 고정된 상층의 황토벽판(P)의 상단 가로빔(1)의 요입부(1a)에 형성된 각 구멍(1h)을 이용하여 슬러브(S)의 철근(st)이 관 통 지지되게 통상의 방법으로 슬러브를 타설한다. 타설된 슬러브(S)와 황토벽판(P)이 일체로 동시에 구축되고 또 상기 황토벽판(P)은 건축 구조물의 일부 구조체로서 강철 벽판 프레임(F)에 의하여 설정된 구조물의 강도를 담당한다. 슬러브(S) 위의 바닥(f)은 세로빔(2)의 여유 길이(2a)의 공간범위에서 시공한다. 황토벽판(P)은 표면이 평활하며 혹 축조 공사중에 항토벽판에 부분적으로 흠집에 생긴 경우에는 시멘트 벽과 달리, 물기의 첨가에 의해서 극히 용이하게 보수가 가능하다. 또 별도의 마감시공이 없이 벽지의 도배가 가능하다. 또 황토벽판(P)의 양면에 화장목(6)을 부착하는 경우, 벽에 못을 박을 때 유용하며 그 자체로도 미감(美感)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황토벽판(P)은 조립시공이 간편하고 가로빔(1)과 세로빔(2),가로 보강대(3)및 대각선 보강대(4)에 의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황토벽판(P)의 비틀림이나 변형이 없다. 또 황토벽판(P)의 황토벽체(Y)는 황토소재의 미립자 간에 다수의 미소한 공극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일기조건에 따라 실내의 수분을 흡수하기도 하고 배출하기도 하여 실내 습도의 조절기능이 양호하다. 또 통기성 벽지로 도배하면 벽지와 벽체의 통기성으로 인하여 항상 건조상태가 유지되고 벽지에 습기로 인한 곰팡이가 쓰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황토벽판(P)은 철강과 무기질 황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유해가스가 방출되지 않고 평소에도 인체에 화학적 유해가 전혀 없을 뿐 아니라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위생에 매우 유익하다.
본 발명은 H형 강철빔으로 된 상단 가로빔, 상기 상단 가로빔의 양단부와 중 간부에 일정한 간격의 세로로 배치된 세로빔, 상기 세로빔의 전후 양측에서 세로빔에 걸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 보강대, 및 대각선으로 교차된 대각선 보강대로 형성된 벽판 프레임과, 상기 벽판 프레임의 양측면에 장착된 금속망체, 금망체가 매입되게 벽판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황토소재가 충전된 황토벽체의 결합으로 황토벽체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여 철근 슬라브와 황토벽판을 일체로 축조할 수 있어, 건축물 구조체의 일부로서 보다 신속하게 건축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
황토 벽판은 산업적으로 양산이 가능하고 조립시공이 간편하다.
H빔 철강으로 벽판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판의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으며, 구조물의 구조체로서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를 안전하게 담당할 수 있다.
황토벽체는 황토소재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실내의 습기조절기능이 있고 가연성 물질이 없기 때문에 화재시에 유해가스의 방출이 없다.
황토소재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위생에 유익하여 각종 건축 구조물의 벽판으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에 있어서,
    H형 강철빔으로 된 상단 가로빔(1), 상기 상단 가로빔(1)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일정한 간격의 세로로 배치된 H형 강철빔으로 된 세로빔(2), 상기 세로빔(2)의 전후 양측에서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빔에 배치된 복수개의 사각봉으로 된 가로 보강대(3), 프레임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대각선 보강대(4)로 용접 형성된 벽판 프레임(F)과,
    상기 벽판 프레임(F)의 전후 양측면에 장착된 금망체(5), 금망체(5)가 매입되게 상기 벽판 프레임의 공간 내부에 황토소재(y)가 충진된 황토벽체(Y)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슬러브(S)의 철근(st)을 관통 지지시키어 슬러브(S)와 황토벽(P)을 일체로 축조할 수 있도록 상단 가로빔(1)의 요입부(1a)에 여러 개의 구멍(1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은:
    상기 가로 보강대(3)의 외측면에 화장목(6)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20060070111A 2006-07-26 2006-07-26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080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11A KR100806646B1 (ko) 2006-07-26 2006-07-26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11A KR100806646B1 (ko) 2006-07-26 2006-07-26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646B1 true KR100806646B1 (ko) 2008-02-28

Family

ID=3938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11A KR100806646B1 (ko) 2006-07-26 2006-07-26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6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44B1 (ko) 2007-04-26 2008-04-15 문근술 그물 격자망 및 벽체 고정부를 이용한 황토벽 시공방법
KR101089042B1 (ko) 2009-11-26 2011-12-01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1266664B1 (ko) * 2011-02-22 2013-05-28 정백수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481104Y1 (ko) 2015-11-23 2016-08-16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황토벽면 시공구조
CN107975144A (zh) * 2016-10-24 2018-05-0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产业化住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568Y1 (ko) 2001-10-11 2002-03-15 임복암 황토집의 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568Y1 (ko) 2001-10-11 2002-03-15 임복암 황토집의 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44B1 (ko) 2007-04-26 2008-04-15 문근술 그물 격자망 및 벽체 고정부를 이용한 황토벽 시공방법
KR101089042B1 (ko) 2009-11-26 2011-12-01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1266664B1 (ko) * 2011-02-22 2013-05-28 정백수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481104Y1 (ko) 2015-11-23 2016-08-16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황토벽면 시공구조
CN107975144A (zh) * 2016-10-24 2018-05-0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产业化住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2707A (en) Load-bearing roof or ceiling assembly made up of insulated concrete panels
US5333429A (en) Modular panel of expanded synthetic material provided with staggered longitudinal "T"-shaped channels, receiving "T"-shaped wooden posts useful for erecting walls
JP2009511775A (ja) プレハブ複合床材
US20130014454A1 (en) Pre-fabricated ribbed panel to be installed either in a horizontal, vertical or inclined condition
KR100806646B1 (ko)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CN108222363A (zh) 一种蜂窝芯复合墙板及其制作方法
WO2011152741A1 (en) Construction system for building industry, especially in the technology of fast assembling of skeleton type buildings
KR100681308B1 (ko) 압축 시멘트판과 강재 샛기둥을 사용한 고정식 거푸집패널 시스템
KR101477234B1 (ko) 한옥과 목조주택을 현대 건축에 도입한 건축 구조
JP36210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102089751B1 (ko)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을 이용한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 및 그 내장구조
RU101464U1 (ru) Балка обвязочная (варианты) и узел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US2070479A (en) Building panel
JP6497922B2 (ja)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RU2256045C2 (ru) Реконструированное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JP362792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20090126660A (ko)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KR102089748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KR100870128B1 (ko)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JP4545967B2 (ja) T型梁スラブの構築方法
KR102011436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의 바닥 슬래브 시공방법
CN206396908U (zh) 一种轻质陶玻夹芯板与楼面钢梁的装配构件
RU2193635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ой стены монолитного здания и фасадная плит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5806033B2 (ja) 組積造建物の臥梁用の外枠材、及び組積造建物
CZ200846A3 (cs) Sendvicová konstrukce vnejšího plášte obytné stav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