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128B1 -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128B1
KR100870128B1 KR1020070041755A KR20070041755A KR100870128B1 KR 100870128 B1 KR100870128 B1 KR 100870128B1 KR 1020070041755 A KR1020070041755 A KR 1020070041755A KR 20070041755 A KR20070041755 A KR 20070041755A KR 100870128 B1 KR100870128 B1 KR 10087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layer
wall
moistur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895A (ko
Inventor
장기완
Original Assignee
장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완 filed Critical 장기완
Priority to KR102007004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1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반 굴착 후 철근과 콘크리트 타설 공법을 이용하여 건물의 기초가 되는 기둥들과 벽체를 지반 내에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기둥과 벽체 사이의 공간부에 흙과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넣는 공지된 단계를 실시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습기전달재 일부를 지반에 파 묻고 다짐을 실시하여 단계와; 다짐된 지반의 상면에 바닥 콘크리트 층을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습기연결재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 및 습기연결재 상면에 흙 바닥층을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흙 바닥층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흙 벽체를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흙 벽체의 외측면에 습기전달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흙 벽체의 외측에서 바닥 콘크리트 층의 가장자리 상방부로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를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흙 바닥층의 상면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의 상면부에서 흙 벽체 및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의 상면부에 멍에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멍에의 상면에 널 판지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널 판지의 상면에 흙 천장 층을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흙 천장 층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습기연결재를 격자 형태로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흙 천장 층 및 습기연결재의 상면에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을 타설하는 공지의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열 및 보온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건물의 실효성과 유지 보수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냄새 등으로 인한 폐해를 막을 수 있고, 인체에 유익한 자연재료를 건축재로 사용함과 동시에 지반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이용한 실내습도 조절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건강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자연재료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흙(황토), 원적외선, 친환경적, 다층 건물

Description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Construction method of house with multi-stories integrated with base, soil floor, soil wall and soil slab}
도 1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의 일부 정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의 일부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 중 벽체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 중 슬라브 층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습기전달재 및 습기연결재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반 2 : 기둥과 벽체
3 : 습기전달재 4 : 바닥 콘크리트 층
5 : 습기연결재 6 : 흙 바닥층
7 : 흙 벽체 8 :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
9 : 멍에 10 : 널 판지
11 : 흙 천장 층 12 :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
13 : 목재 반자 틀 14 : 앵커
15 : 습도 조절용 개폐구 16 : 멍에 처짐 방지용 앵커
17 : 단열재 18 : 히터
19 : 열 반사판 20 : 원적외선 방사체
31,51 : 면 섬유 32,52 : 배합물
71,111 : 안착홈
본 발명은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의 상면에 콘크리트 바닥면을 형성한 후 그 상면을 포함하여 벽체와 천장부를 흙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내부가 흙으로 구성되는 방형 일체식 흙 터널 형상으로 형성하고, 습기전달재를 통해 지반으로부터 습기를 끌어올려 흙 방바닥과 흙 벽 및 흙 천장 층 측으로 연속해서 전달시키되, 상기 벽체와 천장부의 외측으로 외벽과 슬라브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하는 방식을 통해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층이 일체로 되는 다층 주택을 건축하여, 실내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반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통한 실내습도 조절과 단열 보온 효과 증대 및 흙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 등을 통해 건강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사용하는 건축자재나 벽지 등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인해 거주자들이 느끼는 건강상 문제 및 불쾌감을 이르러 새집 증후군이라 한다.
통상 새집에 사용한 여러 자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배출되는데, 여기에는 벤젠,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스틸렌, 포름알데히드 등의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또 집을 지을 때 발생한 라돈, 석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미세먼지, 부유세균과 같은 오염물질도 있으며, 이밖에 곰팡이, 바이러스와 같은 세균, 진드기, 애완동물 등의 생물도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이 건물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축적되면 각종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사람이 이러한 오염에 짧은 기간 노출이 되면 두통, 눈과 코 및 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으나, 오랜 기간 노출이 되면 호흡기질환, 심장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날 수도 있고, 실내공기 오염 정도는 집 안팎의 환경조건, 사용한 건축자재의 종류와 공법, 환기시설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감재 대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환기를 자주하여 실내의 오염물질을 내보내 고, 공기정화용품을 사용하며, 새집으로 이사 갈 경우에는 이사하기 전에 보일러 등으로 실내 온도를 높인 후 환기를 시켜 휘발성 유해물질이 밖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그런데, 현재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주택의 바닥이나 벽면은 대부분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주택의 바닥 기초와 벽면에 시멘트를 이용하여 미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와 시멘트의 경우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아울러 주거용 주택의 건축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 목적상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전통적인 흙 건축 건물은 흙 벽돌을 쌓거나 토담 또는 흙벽을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를 고정하여 지붕을 설치하는 방식과, 목재로 기둥과 보, 도리, 서까래 등을 설치하고 상기 서까래 위에 이엉을 엮거나 널 판지 등을 설치하고 거기에 흙을 붙여 지붕을 시공한 후 하, 중, 상인방 사이에 이엉 지탱목을 설치하고 이엉을 엮어 거기에 흙을 붙여 벽을 시공하는 공법을 취하고 있는바, 서로 다른 재질의 결합과 목재들의 변형, 흙의 점성 약화 또는 수축, 진동 등에 의한 불완전한 결합 상태로 인해 심한 재료분리 현상이 나타나고, 지붕과 천장 사이의 간격이 멀어 열손실이 많아 단열 및 보온 등에서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흙집, 특히 황토방은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 혈액순환 등을 촉진시킨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통상 바닥재와 벽체를 황토로 형성하고, 또한 이들 내부에 히팅수단을 구비하여 히팅수단의 열기에 의해 사용자가 황토방 내에서 충분히 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황토방은 그 제작시 바닥 또는 벽면에 온열을 위한 히팅장치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반죽된 황토를 발라줌으로써 황토방의 바닥과 벽면을 황토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방을 제작할 때 황토방이 작은 경우에는 제작시간이나 작업성이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대형의 황토방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황토를 미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시간이 오래 걸림과 더불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황토를 미장할 때 황토벽의 갈라짐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황토에 화학적 첨가물을 희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황토의 찜질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황토를 이용한 황토방이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 제 10-0615567호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바닥 상부면에 수맥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맥차단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맥차단층의 상부면에 게르마늄 자갈과 옥돌 자갈 및 황토 자갈을 도포하며, 상기 자갈층의 상부면에 바닥 가열을 위한 보일러 엑셀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보일러 엑셀파이프 사이에 옥돌가루와 황토모래를 투입하여 보일러 엑셀파이프를 덮어준 상태에서 그 상부면에 알루미늄 시트 및 부직포를 각각 부착설치하며, 상기 바닥기초 면에 황토판을 다수 올려 고정설치하고, 상기 황토판의 상부면에 부직포와 천연장판을 깔아 시공한 후 천연페인트 또는 수용성 왁스를 이용하여 바닥을 마감하는 한편, 나무를 일정한 두께와 크기로 절단한 후 격자형의 목재 프레임을 제작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목재 프 레임에 황토판을 다수 부착설치하여 황토방의 벽면을 시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공방법은 이미 콘크리트로 건물의 구조체를 건축한 후 그 내부에서 바닥면과 벽체에 외부에서 기 성형해 놓은 황토판을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 및 작업성이 좋지 않고, 또 천장부에는 황토판의 시공 자체가 어려워 건물 내 전체가 친환경적이지 못하여 황토를 이용한 완벽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반의 상면에 직접 성형하는 바닥면을 포함하여 실외의 구조체인 벽체와 슬라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하고, 실내의 바닥과 벽은 물론 천장까지도 일정두께를 갖는 흙으로 연이어 일체로 형성시키되, 습기전달재를 통해 지반으로부터 습기를 끌어올려 흙 방바닥과 흙 벽 및 흙 천장 층 측으로 습기전달재를 통하여 연속해서 골고루 분산 전달시킴으로써 단열 및 보온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건물의 실효성과 유지 보수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냄새 등으로 인한 폐해를 막을 수 있고, 황토와 진흙 및 석 비례 등 인체에 유익한 자연재료를 건축재로 사용함과 동시에 지반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이용한 습도조절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건강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층 주택 건축방법은, 지반 굴착 후 철근과 콘크리트 타설 공법을 이용하여 건물의 기초가 되는 기둥들과 벽체를 지반 내에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과 벽체 사이의 공간부에 흙과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넣음과 동시에 다수개의 습기전달재 일부를 지반에 파 묻고 다짐을 실시하여 단계와; 다짐된 지반의 상면에 바닥 콘크리트 층을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들과 연결된 습기연결재를 격자 형태로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 및 습기연결재 상면에 흙 바닥층을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흙 바닥층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흙 벽체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흙 벽체의 외측면에 습기전달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흙 벽체의 외측에서 바닥 콘크리트 층의 가장자리 상방부로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흙 벽체 및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의 상면부에 멍에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멍에의 상면에 널 판지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널 판지의 상면에 흙 천장 층을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흙 천장 층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들과 연결된 습기연결재를 격자 형태로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흙 천장 층 및 습기연결재의 상면에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을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의 타설 이후는 건축하고자 하는 주택의 층수에 부응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의 상면부에 다시 흙 바닥층을 타설하는 단계부터 시작하여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을 타설하는 단계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흙 벽체의 내측에 목재 반자 틀을 앵커로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습기전달재는 200-300㎜로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를 8-12㎜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재봉 형성하고, 그 외주면 전체에 진흙과 황토, 미세석분, 세일 및 숯을 각각 25-35 : 45-55 : 12-18 : 3 :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2-3%의 소금이 농축된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을 각각 22-28㎜ 두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습기연결재는 200-300㎜로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를 1-3㎜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재봉 형성하고, 그 외주면 전체에 진흙과 황토, 미세석분, 세일 및 숯을 각각 25-35 : 45-55 : 12-18 : 3 :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2-3%의 소금이 농축된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을 각각 12-18㎜ 두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습기전달재 및 습기연결재는 1.5-2M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흙 벽체 및 흙 천장 층의 외측면 및 상면에는 상기 습기전달재 및 습기연결재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안착홈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흙 벽체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상기 습기전달재의 일부는 수분 증발을 위해 차상층의 하부 또는 최상층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습기전달재의 돌출 부위에는 습도 조절용 개폐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멍에와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멍에 처짐 방지용 앵커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과 흙 바닥층 사이, 흙 벽체와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 사이 및 상기 흙 천장 층과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단열재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흙 바닥층과 흙 벽체 및 흙 천장 층 내에는 필요에 따라 전기의 공급시 발열 작동하는 히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흙 바닥층의 저면과 흙 벽체의 외측면 및 흙 천장 층의 상면에는 동판이나 알루미늄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과 같은 열 반사판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흙 바닥층과 흙 벽체 및 흙 천장 층은 황토로 성형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황토에 게르마늄이나 미세 맥반석 또는 미세 옥돌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를 혼합하여 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의 일부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의 일부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 중 벽체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건축된 다층 주택 중 슬라브 층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습기전달재 및 습기연결재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층 주택 건축방법은, 지반 굴착 후 철근과 콘크리트 타설 공법을 이용하여 건물의 기초가 되는 기둥들과 벽체(2)를 지반(1) 내에 타설하는 단계(S1)와;
상기 기둥과 벽체(2) 사이의 공간부에 흙과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넣음과 동시에 다수개의 습기전달재(3) 일부를 지반(1)에 파 묻고 다짐을 실시하여 단계(S2)와;
다짐된 지반(1)의 상면에 바닥 콘크리트 층(4)을 타설하는 단계(S3)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3)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습기연결재(5)를 격자 형태로 깔아주는 단계(S4)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 및 습기연결재(5) 상면에 흙 바닥층(6)을 타설하는 단계(S5)와;
상기 흙 바닥층(6)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흙 벽체(7)를 타설하는 단계(S6)와;
상기 흙 벽체(7)의 외측면에 습기전달재(3)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S7)와;
상기 흙 벽체(7)의 외측에서 바닥 콘크리트 층(4)의 가장자리 상방부로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를 타설하는 단계(S8)와;
상기 흙 바닥층(6)의 상면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상면부에서 흙 벽체(7) 및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의 상면부에 멍에(9)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S9)와;
상기 멍에(9)의 상면에 널 판지(10)들을 설치하는 단계(S10)와;
상기 널 판지(10)의 상면에 흙 천장 층(11)을 타설하는 단계(S11)와;
상기 흙 천장 층(11)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3)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습기연결재(5)를 격자 형태로 깔아주는 단계(S12)와;
상기 흙 천장 층(11) 및 습기연결재(5)의 상면에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을 타설하는 단계(S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의 타설 이후는 건축하고자 하는 주택의 층수에 부응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의 상면부에 다시 흙 바닥층(6)을 타설하는 단계(S3)부터 시작하여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을 타설하는 단계(S13)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흙 벽체(7)의 내측에 목재 반자 틀(13)을 앵커(14)로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습기전달재(3)는 200-300㎜로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31)를 8-12㎜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재봉 형성하고, 그 외주면 전체에 진흙과 황토, 미세석분, 세일 및 숯을 각각 25-35 : 45-55 : 12-18 : 3 :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2-3%의 소금이 농축된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32)을 각각 22-28㎜ 두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습기연결재(5)는 200-300㎜로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51)를 1-3㎜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재봉 형성하고, 그 외주면 전체에 진흙과 황토, 미세석분, 세일 및 숯을 각각 25-35 : 45-55 : 12-18 : 3 :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2-3%의 소금이 농축된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52)을 각각 12-18㎜ 두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습기전달재(3) 및 습기연결재(5)는 1.5-2M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의 외측면 및 상면에는 상기 습기전달재(3) 및 습기연결재(5)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안착홈(71,111)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흙 벽체(7)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상기 습기전달재(3)의 일부는 수분 증발을 위해 차상층의 하부 또는 최상층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습기전달재(3)의 돌출 부위에는 습도 조절용 개폐구(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멍에(9)와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멍에 처짐 방지용 앵커(16)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과 흙 바닥층(6) 사이, 흙 벽체(7)와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 사이 및 상기 흙 천장 층(11)과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단열재(17)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 내에는 필요에 따라 전기의 공급시 발열 작동하는 히터(18)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흙 바닥층(6)의 저면과 흙 벽체(7)의 외측면 및 흙 천장 층(11)의 상면에는 동판이나 알루미늄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과 같은 열 반사판(19)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은 황토로 타설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황토에 게르마늄이나 미세 맥반석 또는 미세 옥돌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20)를 혼합하여 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다층 주택 건축방법은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공법에서만 가능했던 다층 주택을 전통적인 흙 건축 공법과 철근 콘크리트 공법을 혼합하여 친환경적인 다층 주택을 건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반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실내로 끌어들여 자연적인 실내습도 조절과 살아 숨 쉬는 흙을 통해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해 타설되는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은 서로 격리 설치된 형태를 갖지 않고 습기전달재(3)와 습기연결재(5)를 통해 지반(1)과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땅이 포함하고 있는 습기를 실내로 끌어올려 습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에 설치된 흙이 숨 쉬는 형태를 유지하여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먼저, 건축물을 짓고자 하는 지반에 일반 건축물을 시공할 때와 마찬가지로 굴착공사를 실시하여 철근과 콘크리트 타설 공법을 이용한 건물의 기초가 되는 기둥들과 벽체(2)를 지반(1) 내에 타설(S1)한 다음 상기 기둥과 벽체(2) 사이의 공간부에 흙과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넣음과 동시에 일반건축 시공방법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습기전달재(3) 일부를 지반(1)에 파 묻고 다짐을 더 실시(S2)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습기전달재(3)의 설치 간격은 1.5-2M를 갖도록 하여 지반의 습기가 상기 습기전달재(3)들을 통해 충분히 인양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후, 상기 지반(1)의 상면에 공지된 건축시공 공법으로 바닥 콘크리트 층(4)을 타설(S3)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반(1)에 그 일부가 묻힌 상태를 갖는 상기 습기전달재(3)는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의 가장자리 측을 관통하여 바닥 콘크리트 층(4)의 상면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건축 시공방법과 달리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의 상면에 습기연결재(5)를 습기전달재(3)와 마찬가지로 1.5-2M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깔아 상기 습기전달재(3)들을 상호 연결(S4)시켜 준 다음,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 및 습기연결재(5) 상면에 황토를 이용한 종래 기능성 주택을 시공하는 방법에서와 같이 황토를 이용하여 130-170㎜ 두께의 흙 바닥층(6)을 타설하게 된다(S5).
이와 같이 황토로 된 흙 바닥층(6)을 타설하고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흙 바닥층(6)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황토로 된 흙 벽체(7)를 타설(S6)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흙 벽체(7)의 외측면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안착홈(71,111)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습기전달재(3)를 일정간격을 두고 매립시키는 형태로 고정 설치(S7)하게 된다.
이후, 상기 흙 벽체(7)의 외측에서 바닥 콘크리트 층(4)의 가장자리 상방부로는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를 타설(S8)하고, 상기 흙 바닥층(6)의 상면부에 비교적 중량체인 멍에(9)와 널 판지(10), 흙 천장 층(11) 및 철재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을 받쳐주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상면부에서 흙 벽체(7) 및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의 상면부에 흙 천장 층(11)을 지지하기 위한 멍에(9)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다(S9).
이어서, 상기 멍에(9)의 상면에 흙 천장 층(11)으로 타설되는 황토가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널 판지(10)들을 설치(S10)하고, 상기 널 판지(10)의 상면에 황토로 된 흙 천장 층(11)을 130-170㎜ 두께로 타설하게 된다(S11).
이와 같이 상기 널 판지(10) 위에 흙 천장 층(11)의 상면에 정해진 간격(즉, 1.5-2M 간격)을 두고 격자모양으로 안착홈(71,111)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습기전달재(3)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습기연결재(5)를 매립 설치하게 된다(S12).
이후, 상기 흙 천장 층(11) 및 습기연결재(5)의 상면에 일반 슬라브 건축과 같이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을 타설(S13)하게 되면 한 층의 건물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한 층의 건물시공을 완료시킨 후에는 시공하고자 하 는 건축물의 높이에 부응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즉,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의 타설 이후는 건축하고자 하는 주택의 층수에 부응하여 상기 철근형 콘크리트 슬라브 층(12)의 상면부에 다시 흙 바닥층(6)을 타설하는 단계(S3)부터 시작하여 해당 층의 상방부에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을 타설하는 단계(S13)까지 반복 수행하면 된다.
이때, 상기 흙 벽체(7)를 그대로 둘 경우 장기간 경과시 흙벽이 노후되어 점성가 약화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외압이나 잦은 벽지 교체 등에 의한 변형 및 크랙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흙 벽체(7)의 내측에는 필요에 따라 앵커(14)를 이용하여 목재 반자 틀(13)을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 측에 고정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의 타설에 사용되는 황토는 기 알려진 바와 같이 자연 친화적이고 보온, 방음, 습도, 탈취 등의 조절기능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원 적외선의 방출이 우수하여 다른 어떠한 건축재보다도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지반의 습기를 끌어올려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부에서 상호 연결된 상태를 갖는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에 직접 또는 습기연결재(5)를 통해 전달해 주는 상기 습기전달재(3)는 지반의 습기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폭을 200-300㎜로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31)를 중첩하여 재봉을 통해 8-12㎜의 두께를 갖는 띠 형태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 전체에는 진흙 25-35중량%와 황토 45-55중량%, 미세 석분 12-18중량%, 세일 3중량% 및 숯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소금이 2-3% 농축되어 있는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32)을 각각 22-28㎜ 두께로 도포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습기전달재(3)를 통해 전달되어 온 습기를 흙 바닥층(6)과 흙 천장 층(11)에 각각 전달해 주는 습기연결재(5)는 그 폭을 200-300㎜로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51)를 중첩 재봉하여 1-3㎜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는 습기전달재(3)에서와 마찬가지로 진흙 25-35중량%와 황토 45-55중량%, 미세 석분 12-18중량%, 세일 3중량% 및 숯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소금이 2-3% 농축되어 있는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52)을 각각 12-18㎜ 두께로 도포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배합물(32,52)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진흙은 배합물이 면 섬유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배합물 전체 100중량% 대비 25중량% 이하를 첨가하면 접착력이 저하되어 배합물 자체가 면 섬유로부터 탈거될 우려가 있고 35중량% 이상 첨가하면 접착성은 좋으나 점도가 너무 높아 건조시간이 많이 걸리고 수분의 통과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황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연 친화적이고 보온, 방음, 습도, 탈취 등의 조절기능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원 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많이 사용할수록 좋으나, 다른 배합물과의 균형 등을 감안하여 볼 때 45-55중량% 내에 사용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가 좋다.
그리고, 미세 석분은 지반(1)의 습기를 흡수하여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으로 잘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배합물 전체 100중량% 대비 12중량% 이하를 첨가하면 수분의 전달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8중량% 이상 첨가하면 수분전달 효율은 좋으나 너무 많은 수분 흡수로 배합물 자체가 질척거리게 됨은 물론 면 섬유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게는 15중량%가 좋다.
또한, 앙금형태로 침전되어 있는 바다나 강 바닥으로부터 채취한 세일도 미세 석분과 마찬가지로 수분흡수가 양호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배합물 전체 100중량% 대비 3중량% 이하를 첨가하면 수분의 전달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그 이상 다량으로 첨가하면 수분전달 효율은 좋으나 너무 많은 수분 흡수로 배합물 자체가 질척거리게 됨은 물론 면 섬유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또, 숯은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과 산성 물질의 알칼리화, 원적외선 방출 효과, 습도 조절 효과, 공기 및 물의 여과 효과, 음이온 발생 효과, 냄새 제거 효과, 항균 및 해독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배합물 전체 100중량% 대비 2중량% 이하를 첨가하면 상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그 이상 다량으로 첨가하면 상기한 효과는 크나 배합물 자체의 점성이 낮아져 배합물이 면 섬유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배합물을 물로 반죽할 때 전체 물의 량 대비 소금을 2-3% 용해시켜 사용하는 이유는 소금의 끈기를 통한 점성강화와 염기로 인한 방충 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흙 벽체(7)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기 습기전달재(3)를 계속해서 상방향으로만 연장 설치할 경우 상기 습기전달재(3)를 통해 흡수되어 올라오는 지반(1)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고 흙 벽체(7)로 모두 전달시켜 흙 벽체(7) 자체가 지반으로부터 올라온 습기로 인해 축축해질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흙 벽체(7)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기 습기전달재(3)의 일부는 차상층의 하부 또는 최상층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각각의 습기전달재(3) 돌출 부위에는 습도 조절용 개폐구(15)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습기전달재(3)를 통해 흡수되어 올라오는 지반(1)의 습기를 습도 조절용 개폐구(15)의 개폐량에 따른 외부 공기의 유입량 조절을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어 흙 벽체(7)를 통과하는 수분량의 증감 조절을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멍에(9)를 흙 벽체(7) 및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의 상면부를 길게 가로지르는 형태로만 설치할 경우 멍에(9)의 상면부로 설치되는 널 판지(10)와 습기연결재(5) 및 흙 천장 층(11) 자체의 하중에 의해 멍에(9) 자체들이 처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멍에(9)를 흙 벽체(7) 및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의 상면부를 길게 가로지르도록 설치할 때 각각의 멍에(9)에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멍에 처짐 방지용 앵커(16)를 설치한 상태에서 차후 흙 천장 층(11)과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을 연이어 타설할 때 상기 멍에 처짐 방지용 앵커(16)들의 상단부가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에 매립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멍에(9)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널 판지(10)와 습기연결재(5) 및 흙 천장 층(11) 자체의 하중을 받는 상기 멍에(9)들이 하단부는 멍에(9)들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에 고정 설치된 멍에 처짐 방지용 앵커(16)들에 의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과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흙 천장 층(11)이 그 일부라도 처지기 않고 일반 콘크리트 슬라브와 같이 평면을 유지하게 되므로 천장 자체가 미려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과 흙 바닥층(6), 흙 벽체(7)와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 및 상기 흙 천장 층(11)과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을 밀착되게 타설할 경우 이들 간의 열전달이 쉽게 이루어져 열손실 및 실내로의 열기 유입 또는 실내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4)과 흙 바닥층(6) 사이, 흙 벽체(7)와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8) 사이 및 상기 흙 천장 층(11)과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12) 사이에 필요에 따라서는 단열재(17)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이들 사이의 열전달을 단열재(17)를 통해 차단할 수 있어 열기의 손실 및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은은 물론 실내의 냉,난방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실내의 난방을 위해서는 상기 흙 바닥층(6)에는 필수적으로 난방시설을 설치하야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흙 바닥층(6)을 물론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에도 난방시설을 설치하여 실내의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난방 배관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상기 흙 바닥층(6) 또는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의 내부에 전기의 공급시 발열 작동하는 필름형 히터(18)를 설치하였다.
즉, 난방수가 유통되는 난방 배관을 설치할 경우 배관의 내,외부의 온도 차에 의해 난방 배관의 외주면에 결로가 발생되어 흙 자체의 결합력을 약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 의해 실내가 습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는 난방시설로써 결로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필름형 히터(18)를 설치한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흙 바닥층(6)의 저면과 흙 벽체(7)의 외측면 및 흙 천장 층(11)의 상면에 동판이나 알루미늄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과 같은 열 반사판(19)을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히터(18)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포함하여 상기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을 통해 철근 콘크리트 측으로 전달되어 손실될 수 있는 실내 열기를 다시 실내 측으로 반사시켜 줄 수 있어 실내의 난방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을 황토로 타설할 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황토에 게르마늄이나 미세 맥반석 또는 미세 옥돌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20)를 일부 혼합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에 걸쳐 타설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인체의 신진대사 촉진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의 내부에 전기의 공급시 발열 작동하는 필름형 히터(1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을 구성하고 있는 황토는 물론 상기 황토 내에 함침된 게르마늄이나 미세 맥반석 또는 미세 옥돌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2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방출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인체의 신진대사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다층 건물을 건축할 때 지반(1)에 그 일부가 파 묻힌 상태에서 각 층의 흙 벽체(7)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습기전달재(3)의 경우 각 층에 습기를 골고루 전달하기 위해서는 하부층의 흙 벽체(7)일수록 많이 설치해야할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흙 벽체(7)의 두께가 얇아져 황토에 의한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 층마다 지반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습기전달재(3)를 설치하지 않고 각각의 습기전달재(3)를 통해 폐쇄 인양된 습기를 습기연결재(5)들을 통해 각 층으로 분배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각 층의 상기 흙 바닥층(6)과 흙 벽체(7) 및 흙 천장 층(11)에 지반의 습기를 골고루 전달할 수 있어 살아 숨 쉬는 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에 의하면, 지반의 상면에 직접 성형하는 바닥면을 포함하여 실외의 구조체인 벽체와 슬라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하고, 실내의 바닥과 벽 및 천장은 일정두께를 갖는 흙으로 연이어 일체로 형성시키되, 습기전달재를 통해 지반으로부터 습기를 끌어올려 흙 방바닥과 흙 벽 및 흙 천장 층 측으로 연속해서 골고루 전달시켜 줄 수 있으므로 단열 및 보온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건물의 실효성과 유지 보수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냄새 등으로 인한 폐해를 막을 수 있고, 지반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이용하여 실내습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자연재료를 건축재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건강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자연재료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인체의 신진대사를 대폭 촉진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3)

  1. 지반 굴착 후 철근과 콘크리트 타설 공법을 이용하여 건물의 기초가 되는 기둥들과 벽체를 지반 내에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기둥과 벽체 사이의 공간부에 흙과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넣는 공지된 단계를 실시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습기전달재 일부를 지반에 파 묻고 다짐을 실시하여 단계와;
    다짐된 지반의 상면에 바닥 콘크리트 층을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습기연결재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 콘크리트 층 및 습기연결재 상면에 흙 바닥층을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흙 바닥층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흙 벽체를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흙 벽체의 외측면에 습기전달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흙 벽체의 외측에서 바닥 콘크리트 층의 가장자리 상방부로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를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와;
    상기 흙 바닥층의 상면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의 상면부에서 흙 벽체 및 철근 콘크리트형 벽체의 상면부에 멍에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멍에의 상면에 널 판지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널 판지의 상면에 흙 천장 층을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흙 천장 층의 상면에 상기 습기전달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습기연결재를 격자 형태로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흙 천장 층 및 습기연결재의 상면에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을 타설하는 공지된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의 타설 이후는 건축하고자 하는 주택의 층수에 부응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의 상면부에 다시 흙 바닥층을 타설하는 단계부터 시작하여 흙 천장 층 및 철근 콘크리트형 슬라브 층을 순차적으로 타설하는 단계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기전달재는 200-300㎜ 폭을 갖도록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를 중첩 재봉하여 8-12㎜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 전체에 진흙과 황토, 미세석분, 세일 및 숯을 각각 25-35 : 45-55 : 12-18 : 3 :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2-3%의 소금이 농축된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을 각각 22-28㎜ 두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기연결재는 200-300㎜ 폭으로 절단한 수개의 면 섬유를 중첩 재봉하여 1-3㎜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 전체에 진흙과 황토, 미세석분, 세일 및 숯을 각각 25-35 : 45-55 : 12-18 : 3 : 2중량%의 비율로 희석한 후 2-3%의 소금이 농축된 물로 반죽하여 형성한 배합물을 각각 12-18㎜ 두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흙 벽체 및 흙 천장 층의 외측면 및 상면에는 상기 습기전달재 및 습기연결재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안착홈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흙 벽체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상기 습기전달재의 일부는 수분 증발을 위해 차상층의 하부 또는 최상층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습기전달재의 돌출 부위에는 습도 조절용 개폐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041755A 2007-04-30 2007-04-30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KR10087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755A KR100870128B1 (ko) 2007-04-30 2007-04-30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755A KR100870128B1 (ko) 2007-04-30 2007-04-30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895A KR20080096895A (ko) 2008-11-04
KR100870128B1 true KR100870128B1 (ko) 2008-11-25

Family

ID=4028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755A KR100870128B1 (ko) 2007-04-30 2007-04-30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130B1 (ko) 2012-02-28 2012-07-31 김윤창 황토방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60A (ko) * 1997-02-24 1998-10-26 전주한 건축물의 pc벽체와 pc슬라브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73505Y1 (ko) * 2002-01-18 2002-04-25 김성민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기능성 주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60A (ko) * 1997-02-24 1998-10-26 전주한 건축물의 pc벽체와 pc슬라브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73505Y1 (ko) * 2002-01-18 2002-04-25 김성민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기능성 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130B1 (ko) 2012-02-28 2012-07-31 김윤창 황토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895A (ko)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3205C (en) Lightweight building structure produced by using a mortar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WO2011039628A1 (en) Pre-fabricated ribbed panel to be installed either in a horizontal, vertical or inclined condition.
CN106958358A (zh) 节能环保的工业化商品住宅
CN105121755B (zh) 建筑物的隔热方法
KR100806646B1 (ko)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0870128B1 (ko)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RU16544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CN206681418U (zh) 节能环保的工业化商品住宅
CN111101594A (zh) 一种冷弯薄壁轻钢结构建筑
US2013367A (en) Building construction
Elias-Ozkan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strawbale buildings at the Kerkenes Eco-center
CN211690738U (zh) 一种冷弯薄壁轻钢结构建筑
CN115534095A (zh) 一种装配式反打预制件及其生产工艺
RU210778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л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даний, сооружени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и конструкций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бетонов,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л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даний, сооружений
RU2361985C1 (ru) Способ теплоизоляции и облицовки поверхности стен плитками
KR970007699B1 (ko) 황토흙을 주재료로 한 토담집의 구축방법
KR100387162B1 (ko) C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8978665A (zh) 一种现浇筑混凝土养护方法
KR100603752B1 (ko) C형강, h빔, 원목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RU281297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я
JPH072870Y2 (ja) ユニット式地下室
KR102531918B1 (ko) 분리형 이동식 황토구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32640A (ko) 황토벽돌을 이용한 2층 건물 시공방법
KR102089748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KR20090126660A (ko)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