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130B1 - 황토방 구조 - Google Patents

황토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130B1
KR101170130B1 KR1020120020028A KR20120020028A KR101170130B1 KR 101170130 B1 KR101170130 B1 KR 101170130B1 KR 1020120020028 A KR1020120020028 A KR 1020120020028A KR 20120020028 A KR20120020028 A KR 20120020028A KR 101170130 B1 KR101170130 B1 KR 10117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eiling
ocher
lay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창
Original Assignee
김윤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창 filed Critical 김윤창
Priority to KR102012002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에 각각 설치되는 황토층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켜 습기의 발생을 차단함은 물론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의 수명을 연장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황토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방 구조{A Construction of loess room}
본 발명은 황토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에 각각 설치되는 황토층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켜 습기의 발생을 차단함은 물론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의 수명을 연장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황토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과 시멘트에 의해 지어지는 주택은 튼튼하고 일상생활의 편리함은 있으나 친환경적이지 못함과 아울러 시멘트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고 있다. 또한, 내장재나 도료의 화학적 유해물질이 방출되어 아토피나 피부질환으로 고통을 겪는 등 새집증후군이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새집증후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아파트와 같은 구조물의 내벽에 별도로 일정두께의 황토 몰탈로 황토층을 시공하여 시멘트의 유해물질 방출을 억제하고 있는데, 상기 시멘트와 황토는 친화력이 없기 때문에 황토층이 건조되면 습도 및 온도에 의해 수축과 팽창되면서 표면이 갈라짐에 따라 시멘트 벽면에서 황토가 박리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물의 내벽에 시공된 황토벽 내부로 환기가 원활하지 않아 습기가 발생함과 아울러 습기로 인해 곰팡이균과 등과 같은 세균이 번식하여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황토가 분해되어 황토방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에 설치되는 황토층 내부로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황토층에 습기의 발생을 차단하는 황토방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층 내부의 습기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의 수명을 연장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황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황토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황토방 구조는,
구조물의 천정슬라브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측벽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다수의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안착되는 각관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에 형성되는 천정황토층이 구비되고, 상기 각관에 장착되어 천정을 마감하는 천정마감재가 구비된 천정부와;
상기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슬라브에 수직으로 밀착되면서 통로가 관통된 설치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안내부재와 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다수의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공간에 쌓여 형성되는 측벽황토층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황토층 전방의 설치안내부재 사이에 쌓여 형성되는 숯층이 구비되고, 상기 숯층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설치안내부재에 장착되어 마감하는 측벽마감재가 구비된 측벽부와;
상기 구조물의 바닥슬라브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되는 각관이 구비되고, 상기 각관 사이의 바닥슬라브에 쌓여 형성되는 바닥황토층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 상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안착되어 바닥마감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황토층에 쌓여 형성되는 숯층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안착되어 바닥을 마감하는 바닥마감재가 구비된 바닥부와;
상기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의 각 마감재에 설치되어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환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의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에 설치되는 황토층 내부로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황토층에 습기의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층에서 발산되는 음이온과 숯층에서 악취를 탈취하므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황토 및 숯의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천정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측벽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바닥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의 설치상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천정부와 측벽부 및 바닥부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천정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측벽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바닥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 황토방 구조(100)는, 구조물(10)의 천정슬라브(1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112)이 형성되도록 측벽(12)에 고정부재(113)로 고정되는 다수의 브라켓(111)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11)에 안착되는 각관(114)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114)에 안착되는 천정황토층(115)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114)에 장착되어 천정을 마감하는 천정마감재(116)가 구비된 천정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구조물(10)의 측벽(1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121')이 형성되도록 바닥슬라브(13)에 수직으로 밀착되면서 통로(121a)가 관통된 설치안내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안내부재(121)와 측벽(12)에 밀착되어 고정부재(123)로 고정되는 다수의 브라켓(122)이 구비되며, 상기 공간(121')에 쌓여 형성되는 측벽황토층(124)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황토층(124) 전방의 설치안내부재(121) 사이에 쌓여 형성되는 숯층(125)이 구비되고, 상기 숯층(125)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설치안내부재(121)에 장착되어 마감하는 측벽마감재(126)가 구비된 측벽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구조물(10)의 바닥슬라브(13)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되는 각관(131)이 구비되고, 상기 각관(131) 사이의 바닥슬라브(13)에 쌓여 형성되는 바닥황토층(132)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131) 상면에 간격(133a)이 형성되도록 안착되어 바닥마감재(135)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133)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황토층(132)에 쌓여 형성되는 숯층(13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133)에 안착되어 바닥을 마감하는 바닥마감재(135)가 구비된 바닥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의 각 마감재(116)(126)(135)에 설치되어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환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천정황토층(115)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묶음부재로 묶어 고정되는 대나무발(115a)이 구비되고, 상기 대나물발(115a)을 수용하도록 부착되는 황토몰탈(115b)이 구비된다.
상기 황토몰탈(115b)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는 통공(115c)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측벽황토층(124)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묶음부재로 묶어 고정되는 대나무발(124a)이 구비되고, 상기 대나물발(124a)을 수용하도록 부착되는 황토몰탈(124b)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황토몰탈(115b)(124b)은, 황토 55~65 중량%, 모래 34~44 중량%, 짚 0.5~1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30) 숯층(134)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바닥황토층(132)에 안착되는 편심방지부재(13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환기부(140)는, 상기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의 각 마감재(117)(127)(135)에 관통되는 두 개 이상의 환기홀(141)이 구비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환기홀(141) 중 어느 하나의 환기홀에 설치되는 환풍기(1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황토방 구조(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의 상단부 측벽(12)에 천정부(110)의 브라켓(11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11)로 브라켓(111)을 측벽(12)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측벽(12)의 상단부에 각관(114)이 설치되는 간격으로 다수의 브라켓(111)을 대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측벽(12)에 대향하게 고정된 브라켓(111)에 각관(114)을 안착시키는데, 상기 브라켓(111)은 'ㄴ'자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관(114)의 양단부가 각각 용이하게 안착되며, 상기 각관(114) 상면에 천정황토층(115)을 형성한다.
상기 천정황토층(115)은, 상기 각관(114) 상면에 각관(114)과 직교되도록 대나무발(115a)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대나무발(115a)을 감싼 묶음부재(미도시)의 일측을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묶음부재(미도시)의 타측을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도록 감싸는 과정을 반복하여 대나무발(115a)을 묶어 고정시킨다.
상기 대나무발(115a)이 묶음부재(미도시)로 고정되면, 황토 55~65 중량%, 모래 34~44 중량%, 짚 0.5~1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에 일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형성된 황토몰탈(115b)을 상기 대나무발(115a)과 천정슬라브(11) 사이의 공간(112)으로 공급하여 대나무발(115a)에 수평으로 쌓여지는 천정황토층(115)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황토몰탈(115b)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통공(115c)이 관통된다.
상기 천정황토층(115)이 형성되면, 상기 각관(114) 저면에 천정마감재(116)를 밀착시킨 후, 천정마감재(116)와 각관(114)을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켜 천정부(11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의 측벽(1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121')이 형성되도록 바닥슬라브(13)에 설치안내부재(121)를 수직으로 밀착시키는데, 상기 공간(121')은 측벽황토층(124)이 형성되는 간격이면 된다.
상기 바닥슬라브(13)에 밀착된 설치안내부재(121)와 측벽(12)에 브라켓(122)를 밀착시킨 후, 상기 브라켓(122)와 설치안내부재(121) 및 상기 브라켓(122)과 측벽(12)을 고정부재(123)로 고정시킨 후, 상기 공간(121')에 측벽황토층(124)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황토층(124)은 일정간격 이격된 설치안내부재(121)의 간격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절단한 상태에서 황토 55~65 중량%, 모래 34~44 중량%, 짚 0.5~1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에 일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형성된 황토몰탈(124b)을 공간(121')에 측벽(12)과 설치안내부재(121)에 밀착되도록 일정높이 쌓고, 상기 황토몰탈(124b)에 대나무발(124a)를 안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나무발(124a)을 감싼 묶음부재(미도시)의 일측을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묶음부재(미도시)의 타측을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도록 감싸는 과정을 반복하여 묶은 대나무발(124a)을 공간(121')에 위치하도록 설치안내부재(121)의 상단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간(121')에 황토몰탈(124b)을 쌓아 측벽황토층(124)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측벽황토층(124)이 형성되면, 상기 측벽황토층(124)의 전방인 설치안내부재(121) 사이의 공간에 숯층(1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숯층(125)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설치안내부재(121)에 측벽마감재(126)를 밀착시킨 후, 상기 측벽마감재(126)와 설치안내부재(121)를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켜 측벽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측벽부(120)가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의 바닥슬라브(13)에 일정간격으로 각관(131)을 안착시킨 후, 상기 각관(131) 사이의 바닥슬라브(13)에 황토몰탈을 쌓아 바닥황토층(132)을 형성하는데, 상기 바닥황토층(132)은 각관(13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황토층(132)이 각관(131) 사이의 바닥슬라브(13)에 형성되면, 상기 각관(131)에 다수의 지지부재(133)를 안착시키는데, 상기 지지부재(133)와 지지부재(133) 사이는 간격(133a)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바닥황토층(132)에 숯층(134)을 형성하는데, 상기 바닥황토층(132)에 편심방지부재(136)를 형성하여 숯층(134)이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간격(133a)이 형성되도록 각관(131)에 안착된 다수의 지지부재(133)에 바닥을 마감하는 바닥마감재(135)를 안착하여 밀착시킨 후, 상기 바닥마감재(135)와 지지부재(133)를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켜 바닥부(13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의 각 마감재(116)(126)(135)에 환기부(140)를 설치하는데, 상기 환기부(140)는, 상기 각 마감재(116)(126)(135)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환기홀(141)를 형성하고, 두 개 이상의 환기홀(141) 중 어느 하나의 환기홀(141)에는 환풍기(142)를 설치하며, 상기 환풍기(142)가 설치되지 않은 환기홀(141)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그릴를 장착한 후, 상기 마감재(116)(126)를 벽지로 마감하면서 황토방 구조(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황토방 구조(10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환풍기(142)가 회전하면, 상기 환풍기(142)의 회전으로 환풍기(142)가 설치된 환기홀(141)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로 각각 공급되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부(110)로 공급되는 공기는 천정부(110)에 형성된 환기홀(141)을 통해 각관(114)의 두께로 형성된 천정마감재(116)와 천정황토층(115)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고, 상기 천정마감재(116)와 천정황토층(115)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환풍기(142)가 설치되지 않은 환기홀(141)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천정마감재(116)와 천정황토층(115)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천정황토층(115)에 관통된 통공(115c)을 통해 천정황토층(115)과 천정슬라브(11) 사이에 형성된 공간(112)으로 공급되고, 다시 천정황토층(115)에 관통된 통공(115c)을 통해 천정황토층(115)과 천정마감재(116)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 후, 환풍기(142)가 설치되지 않은 환기홀(141)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천정황토층(115)을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측벽부(120)로 공급되는 공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0)에 형성된 환기홀(141)을 통해 설치안내부재(121)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면서 숯층(125)을 경유하는데, 상기 숯층(125)으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환풍기(142)가 설치되지 않은 환기홀(141)을 통해 실내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숯층(125)으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설치안내부재(121)의 통로(121a)를 통해 이웃한 설치안내부재(12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숯층(125)으로 공급되어 또 다른 환기홀(141)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측벽황토층(124)의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130)로 공급되는 공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30)에 형성된 환기홀(141)을 통해 지지부재(133)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면서 숯층(134)을 경유하는데, 상기 숯층(134)으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환풍기(142)가 설치되지 않은 환기홀(141)을 통해 실내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숯층(134)으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각관(131)에 안착된 지지부재(133) 사이의 간격(133a)을 통해 이웃한 지지부재(133)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숯층(134)으로 공급되어 또 다른 환기홀(141)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바닥황토층(132)의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에 형성된 각 황토층(115)을 건조시켜 습기로 인한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측벽부(120)와 바닥부(130)의 각 숯층에 의해 공기에 함유된 악취를 탈취할 뿐만 아니라 음이온이 발산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혀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황토방 구조 110: 천정부
111: 브라켓 112: 공간
113: 고정부재 114: 각관
115: 천정황토층 116: 천정마감재
120: 측벽부 121: 설치안내부재
122: 브라켓 123: 고정부재
124: 측벽황토층 125: 숯층
126: 측벽마감재 130: 바닥부
131: 각관 132: 바닥황토층
133: 지지부재 134: 숯층
135: 바닥마감재 136: 편심방지부재

Claims (5)

  1. 구조물(10)의 천정슬라브(1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112)이 형성되도록 측벽(12)에 고정부재(113)로 고정되는 다수의 브라켓(111)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11)에 안착되는 각관(114)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114)에 안착되는 천정황토층(115)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114)에 장착되어 천정을 마감하는 천정마감재(116)가 구비된 천정부(110)와;
    상기 구조물(10)의 측벽(1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121')이 형성되도록 바닥슬라브(13)에 수직으로 밀착되면서 통로(121a)가 관통된 설치안내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안내부재(121)와 측벽(12)에 밀착되어 고정부재(123)로 고정되는 다수의 브라켓(122)이 구비되며, 상기 공간(121')에 쌓여 형성되는 측벽황토층(124)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황토층(124) 전방의 설치안내부재(121) 사이에 쌓여 형성되는 숯층(125)이 구비되고, 상기 숯층(125)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설치안내부재(121)에 장착되어 마감하는 측벽마감재(126)가 구비된 측벽부(120)와;
    상기 구조물(10)의 바닥슬라브(13)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되는 각관(131)이 구비되고, 상기 각관(131) 사이의 바닥슬라브(13)에 쌓여 형성되는 바닥황토층(132)이 구비되며, 상기 각관(131) 상면에 간격(133a)이 형성되도록 안착되어 바닥마감재(135)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133)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황토층(132)에 쌓여 형성되는 숯층(13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133)에 안착되어 바닥을 마감하는 바닥마감재(135)가 구비된 바닥부(130)와;
    상기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의 각 마감재(116)(126)(135)에 설치되어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환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황토층(115)과 측벽황토층(124)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묶음부재로 묶어 고정되는 대나무발(115a)(124a)과;
    상기 대나물발(115a)(124a)을 수용하도록 부착되는 황토몰탈(115b)(124b)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황토몰탈(115b)(124b)은,
    황토 55~65 중량%, 모래 34~44 중량%, 짚 0.5~1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30) 숯층(134)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바닥황토층(132)에 안착되는 편심방지부재(13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140)는,
    상기 천정부(110)와 측벽부(120) 및 바닥부(130)의 각 마감재(117)(127)(135)에 관통되는 두 개 이상의 환기홀(141)과;
    상기 두 개 이상의 환기홀(141) 중 어느 하나의 환기홀에 설치되는 환풍기(142)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 구조.
KR1020120020028A 2012-02-28 2012-02-28 황토방 구조 KR10117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28A KR101170130B1 (ko) 2012-02-28 2012-02-28 황토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28A KR101170130B1 (ko) 2012-02-28 2012-02-28 황토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130B1 true KR101170130B1 (ko) 2012-07-31

Family

ID=4671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028A KR101170130B1 (ko) 2012-02-28 2012-02-28 황토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1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546Y1 (ko) 2002-11-12 2003-02-26 김석돈 건축물의 황토벽체
KR100374742B1 (ko) 2000-08-30 2003-03-04 강혜영 건물 내벽 및 바닥 시공방법
KR100478235B1 (ko) 2002-01-12 2005-03-23 김진성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KR100870128B1 (ko) 2007-04-30 2008-11-25 장기완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742B1 (ko) 2000-08-30 2003-03-04 강혜영 건물 내벽 및 바닥 시공방법
KR100478235B1 (ko) 2002-01-12 2005-03-23 김진성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KR200305546Y1 (ko) 2002-11-12 2003-02-26 김석돈 건축물의 황토벽체
KR100870128B1 (ko) 2007-04-30 2008-11-25 장기완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97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espiratory illnesses among occupants of buildings
KR101170130B1 (ko) 황토방 구조
CN110903670A (zh) 一种防返潮的木质纤维隔音板及其制造方法
KR101237015B1 (ko) 건축물의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와 그 제조방법
KR101415959B1 (ko) 자연향과 수분이 제공되는 황토 방바닥 난방구조
TW531584B (en) A material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building material, laying material, and spraying agent thereof
KR100478235B1 (ko)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CN205475840U (zh) 一种建筑隔音保温防震内隔墙体
KR200360824Y1 (ko) 황토벽돌을 이용한 2중벽 보온 단열구조
KR101126934B1 (ko) 통기성을 갖는 황토벽 시공구조
JP2002121830A (ja) 木造住宅
KR200466442Y1 (ko) 황토 부재
CN207160630U (zh) 一种木屋
CN105906305A (zh) 玻镁防火整体排烟管
KR200482798Y1 (ko) 애완동물용 집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KR100998420B1 (ko) 공기순환성 황토흙벽돌 또는 황토판넬 및 그를 이용한 조적구조
KR102381666B1 (ko)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101187169B1 (ko)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205557897U (zh) 一种木制墙及房屋
KR200459096Y1 (ko) 왕겨가 내장된 다용도 보드
JP5279999B2 (ja) 住宅建築工法
KR20090102036A (ko) 황토벽돌
KR20180029508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 구조
RU164041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ляного блока для оздоровительных процеду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