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04Y1 - 황토벽면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황토벽면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04Y1
KR200481104Y1 KR2020150007609U KR20150007609U KR200481104Y1 KR 200481104 Y1 KR200481104 Y1 KR 200481104Y1 KR 2020150007609 U KR2020150007609 U KR 2020150007609U KR 20150007609 U KR20150007609 U KR 20150007609U KR 200481104 Y1 KR200481104 Y1 KR 200481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ed
panel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Priority to KR2020150007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에 마련된 벽체에 효과적으로 황토를 고정할 수 있으면서 단열시공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황토벽면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황토벽면 시공구조는 상기 벽체(1)에 고정된 고정패널(A)과,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미장되어 적층된 황토층(B)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패널(A)은 솜재질로 구성된 단열매트(10)와,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2 지지부재(30)로 구성되어, 상기 단열매트(10)가 상기 벽체(1)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한 후,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층(B)을 적층함으로써, 황토벽면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벽체(1)의 단열시공과, 벽체(1)에 황토가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황토벽면 시공구조{yellow soil wall}
본 고안은 기존에 마련된 벽체에 효과적으로 황토를 고정할 수 있으면서 단열시공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황토벽면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황토의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벽체가 황토재질로 구성된 황토집의 인기가 늘어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목재 등으로 구성된 뼈대의 양측면에 황토를 바른 종래의 방법에서 벗어나, 콘크리트나 벽돌, 목재 샌드위치패널 등으로 구성된 벽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황토를 두텁게 미장하여 황토벽면을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이, 미리 마련된 벽체의 내, 외측에, 황토를 미장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의 내외측면에 황토(3)를 고정하기 위한 망체(2)를 고정한 후, 그 외측에 황토(3)를 미장함으로써, 상기 황토(3)가 망체(2)와 벽체(1)의 사이로 유입되도록하여, 망체(2)에 의해 황토(3)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기존에 지어진 건축물의 벽체(1)에 황토(3)를 발라, 황토집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존의 벽체(1)에 미장을 할 경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황토를 벽체(1)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벽체(1)를 단열하는 단열시공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망체(2)를 벽체(1)에 고정하면, 망체(2)가 벽체(1)에 밀착됨으로, 망체(2)와 벽체(1)의 사이로 황토가 유입되도록 황토를 미장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806646호, 등록실용신안 20-0451517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마련된 벽체(1)에 효과적으로 황토를 고정할 수 있으면서 단열시공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황토벽면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1)에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벽면을 시공하는 황토벽면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1)에 고정된 고정패널(A)과,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미장되어 적층된 황토층(B)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패널(A)은 솜재질로 구성된 단열매트(10)와,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2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상기 단열매트(10)가 상기 벽체(1)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한 후,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층(B)을 적층함으로써, 황토벽면을 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면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2 지지부재(30)는 대나무를 지름방향으로 잘라내어 이루어진 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대나무 막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면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패널(A)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벽체(1)에 여러개의 고정패널(A)을 둘레면이 상호 밀착 또는 중첩되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면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열매트(10)와 제1 지지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된 방수시트(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면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황토벽면 시공구조는 상기 벽체(1)에 고정된 고정패널(A)과,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미장되어 적층된 황토층(B)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패널(A)은 솜재질로 구성된 단열매트(10)와,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2 지지부재(30)로 구성되어, 상기 단열매트(10)가 상기 벽체(1)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한 후,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층(B)을 적층함으로써, 황토벽면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벽체(1)의 단열시공과, 벽체(1)에 황토가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황토벽면 시공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층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층 시공구조의 고정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층 시공구조의 고정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층 시공구조의 고정패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층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층 시공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벽면 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기존에 지어진 건축물의 벽체(1)에 황토를 발라 황토벽면을 시공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벽체(1)는 콘크리트나 벽돌, 목재, 샌드위치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황토벽면 시공구조는 상기 벽체(1)에 고정된 고정패널(A)과,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미장되어 적층된 황토층(B)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패널(A)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매트(10)와,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2 지지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매트(10)는 천연솜 또는 인조솜을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매트형태로 펼쳐서 제작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20)는 상기 단열매트(10)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여러개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열매트(10)는 상기 단열매트(10)를 관통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재(2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핀은 스테이블러나 타카 등에 사용되는 여러형태의 고정핀을 이용한다.
상기 제2 지지부재(30)는 상기 단열매트(10)의 측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여러개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2 지지부재(30)는 대나무를 지름방향으로 잘라내어 이루어진 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대나무 막대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0,30)를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후, 스테이플러나 타카 등에 사용되는 여러 형태의 고정핀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지지부재(20,30)를 상호 고정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상기 단열매트(10)를 올려놓고 다시 상기 고정핀을 이용하여 단열매트(10)를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고정함으로써, 고정패널(A)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패널(A)을 이용하여 황토벽면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매트(10)가 건축물의 벽체(1)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널(A)을 배치하고,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기 단열매트(10)를 벽체(1)에 고정함으로써,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패널(A)은 다수개가 상기 벽체(1)의 면 전체를 덮으면서, 둘레면, 즉, 상기 단열매트(10)의 둘레면이 상호 밀착 또는 중첩되도록 상기 벽체(1)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층(B)을 형성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황토층(B)의 황토가 단열매트(10)와 제1 및 제2 지지부재(20,30)의 사이로 유입되어 황토층(B)이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충분한 두께로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층(B)을 형성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벽체(1)에 황토벽면을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황토벽면 시공구조는 상기 벽체(1)에 고정된 고정패널(A)과,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미장되어 적층된 황토층(B)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패널(A)은 솜재질로 구성된 단열매트(10)와,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2 지지부재(30)로 구성되어, 상기 단열매트(10)가 상기 벽체(1)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한 후,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층(B)을 적층함으로써, 황토벽면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벽체(1)의 단열시공과, 벽체(1)에 황토가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는 제1 지지부재(20)와 제2 지지부재(30)가 교차되도록 고정됨으로, 상기 제2 지지부재(30)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두께만큼 상기 단열매트(10)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황토가 단열매트(10)와 제2 지지부재(30)의 사이로 원활히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황토층(B)을 구성하는 황토가 상기 단열매트(10)와 제2 지지부재(30)의 사이로 유입되어,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2 지지부재(30)는 대나무를 지름방향으로 잘라내어 이루어진 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대나무 막대를 이용함으로, 상기 고정패널(A) 전체가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벽체(1)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하면, 고정패널(A)이 벽체(1)의 굴곡에 추종하여 적절히 변형됨으로,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의 벽체(1)에 황토벽면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최근 들어 시공되는 가옥의 경우, 벽체(1)가 사각형의 형태에서 벗어나, 벽체(1)가 측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를 이루거나, 상단이 내측으로 라운드 진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패널(A)은 탄성이 있어서,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벽체(1)에 고정할 경우, 이에 추종하여 적절히 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1)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벽체(1)에 황토벽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패널(A)은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20)가 고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매트(10)와 제1 지지부재(20)의 사이에 별도의 방수시트(40)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수시트(40)는 일반적인 비닐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열매트(10)와 제1 지지부재(20)의 사이에 방수시트(40)를 구비하면,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황토를 미장할 때, 황토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단열매트(10)에 스며들어, 단열매트(10)가 쪼그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단열매트(10)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단열매트(10)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천연솜 또는 인조솜으로 구성되어 공기층에 의해 단열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매트(10)가 단열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열매트(10)가 부푼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한 후 고정패널(A)에 황토를 미장할 때, 황토를 물과 섞어 황토가 겔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미장을 함으로, 상기 조어패널에 황토를 바르면, 황토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단열매트(10)가 젖게 된다.
그리고, 황토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단열매트(10)가 젖게 되면, 단열매트(1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며, 이 상태로 황토가 건조되면, 단열매트(10)는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유지하여 단열효과가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단열매트(10)와 제1 지지부재(20)의 사이에 방수시트(40)를 구비하면, 황토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단열매트(10)에 의해 단열매트(1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단열매트(10)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미리 지어진 건축물의 벽체(1)에 추가로 황토벽면을 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새로운 건축물을 시공하면서, 먼저 콘크리트나 벽돌, 목재, 샌드위치패널 또는 기타 다양한 재질의 벽체(1)를 시공하고, 시공된 벽체(1)에 추가로 황토벽면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A. 고정패널 10. 단열매트
20. 제1 지지부재 30. 제2 지지부재
40. 방수시트 B. 황토층

Claims (4)

  1. 벽체(1)에 고정된 고정패널(A)과,
    상기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미장되어 적층된 황토층(B)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패널(A)은
    솜재질로 구성된 단열매트(10)와,
    상기 단열매트(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교차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2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상기 단열매트(10)가 상기 벽체(1)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널(A)을 벽체(1)에 고정한 후, 고정패널(A)의 외측면에 황토를 미장하여 황토층(B)을 적층함으로써, 황토벽면을 시공할 수 있도록 된 황토벽면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A)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벽체(1)에 여러개의 고정패널(A)을 둘레면이 상호 밀착 또는 중첩되도록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매트(10)와 제1 지지부재(20)의 사이에는 방수시트(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면 시공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2 지지부재(30)는 대나무를 지름방향으로 잘라내어 이루어진 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대나무 막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면 시공구조.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7609U 2015-11-23 2015-11-23 황토벽면 시공구조 KR200481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9U KR200481104Y1 (ko) 2015-11-23 2015-11-23 황토벽면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9U KR200481104Y1 (ko) 2015-11-23 2015-11-23 황토벽면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04Y1 true KR200481104Y1 (ko) 2016-08-16

Family

ID=5685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09U KR200481104Y1 (ko) 2015-11-23 2015-11-23 황토벽면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045A (ko) * 2017-12-26 2019-07-04 이기철 대나무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벽체
KR102063705B1 (ko) * 2019-01-09 2020-01-08 이기열 황토 흙벽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46B1 (ko) 2006-07-26 2008-02-28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20080088781A (ko) * 2007-03-30 2008-10-06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한옥의 벽체구조
KR200451517Y1 (ko) 2008-08-08 2010-12-23 이성균 황토벽 설치 구조물 및 황토벽의 시공방법
JP2011246921A (ja) * 2010-05-25 2011-12-08 Asahi Kasei Homes Co 水切材及び建物の外周壁水切構造
KR101380391B1 (ko) * 2014-01-15 2014-04-02 김오재 단열층을 구비하는 황토벽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46B1 (ko) 2006-07-26 2008-02-28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20080088781A (ko) * 2007-03-30 2008-10-06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한옥의 벽체구조
KR200451517Y1 (ko) 2008-08-08 2010-12-23 이성균 황토벽 설치 구조물 및 황토벽의 시공방법
JP2011246921A (ja) * 2010-05-25 2011-12-08 Asahi Kasei Homes Co 水切材及び建物の外周壁水切構造
KR101380391B1 (ko) * 2014-01-15 2014-04-02 김오재 단열층을 구비하는 황토벽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045A (ko) * 2017-12-26 2019-07-04 이기철 대나무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벽체
KR102014000B1 (ko) * 2017-12-26 2019-10-21 이기철 대나무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벽체
KR102063705B1 (ko) * 2019-01-09 2020-01-08 이기열 황토 흙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590B2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820024B1 (en) Wall building system and method
EP2225423B1 (de) Zellstoffverbundelement
US8769895B2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481104Y1 (ko) 황토벽면 시공구조
US9376815B1 (en) Structural concrete panel
KR101044414B1 (ko)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DE102014221425A1 (de) Fertigbau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Gebäude, mit einem Grundkörper
RU146125U1 (ru) Плита стеновой панели
EP2990558B1 (en) Wall build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ing said wall system
US2267401A (en) Lathing material
EP2706159B1 (de) Verfahren zur verminderung oder zum unterbinden von feuchte- und/oder schimmelbildung bzw. -schaden in wärmegedämmten bereichen sowie vor feuchte- und/oder schimmelbildung bzw. -schaden geschützte gebäude und gebäudeteile
DE20020483U1 (de) Dämmsystem und Randstreifen für die Wärme- und/oder Schalldämmung eines Dämmsystems
CA2851000C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080141618A1 (en) Wood substitute structural frame member
KR20130134222A (ko) 황토 마감 벽체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0241322Y1 (ko) 합성수지재 건축구조물 단열매트
KR101619986B1 (ko) 결로수 배출구조를 갖는 단열재
DE3021537A1 (de) Isolierung fuer den hoch- und tiefbau
JP5629229B2 (ja) 住宅基礎の防蟻構造
US9217246B2 (en) Surface covering foundation
FI12330U1 (fi) Saunan seinärakenne
KR200223770Y1 (ko) 목재를 이용한 건축용 판넬
RU2638197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