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434B1 -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434B1
KR101076434B1 KR1020110079492A KR20110079492A KR101076434B1 KR 101076434 B1 KR101076434 B1 KR 101076434B1 KR 1020110079492 A KR1020110079492 A KR 1020110079492A KR 20110079492 A KR20110079492 A KR 20110079492A KR 101076434 B1 KR101076434 B1 KR 10107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illar
hanok
floor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수
Original Assignee
서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수 filed Critical 서대수
Priority to KR102011007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1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edges, e.g. intersections with walls
    • E04D2001/303Eave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을 실질적으로 사람이 생활을 할 수 있는 복층구조로 건축할 수 있도록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처마도리(40)의 상부에 강도가 높은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가 구비되어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한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슬래브(50)의 둘레부에 서까래(60)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서까래(60)에 기와(70)를 올려 처마를 설치함으로써,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korean style house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한옥을 실질적으로 사람이 생활을 할 수 있는 복층구조로 건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의 처마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한옥은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의 상단에 장여와 처마도리 및 서까래를 설치하고,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기와를 올리게 된다.
즉, 종래의 한옥에 설치되는 기둥은 무거운 지붕의 하중만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므로, 종래의 전통적인 한옥에서는 2층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기둥의 중간부에 가벼운 목재재질로 구성된 마루형태의 플로어를 설치하여 2층을 만들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플로어가 견딜 수 있는 하중과 소음 및 난방 등의 문제로 실질적으로 사람이 생활하기에는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 한옥의 2층 구조는 일반적인 가정이 아닌 정자나 기타 특정한 용도의 건물에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강도가 높고 소음이나 난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서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한옥의 복층지지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이와 같이, 플로어를 설치하여 2층으로 만든 한옥의 경우, 플로어의 둘레부에는 처마를 설치하기 어려워, 외관상 2층인지를 알기 어렵고, 바닥에서부터 지붕까지의 높이가 높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옥을 실질적으로 사람이 생활을 할 수 있는 복층구조로 건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의 처마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장여(30) 및 처마도리(40)와, 상기 처마도리(40)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설치되며 상면 둘레부에는 상층의 기둥(10)이 올려지는 기둥받이(54)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와, 기단부가 상기 슬래브(50)의 둘레부에 매입고정되며 선단부는 슬래브(50)의 둘레부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부에 기와(70)를 올릴 수 있도록 된 서까래(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둥받이(54)는 하층에 설치되는 기둥(10)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래브(50)의 하부에는 둘레부가 상기 처마도리(40)에 고정되는 목재재질의 천정패널(80)이 구비되며, 상기 천정패널(80)의 상면에는 상단이 상기 슬래브(50)의 하측면에 매입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둥받이(54)의 상면에는 슬래브(50)의 내부에 매입된 철근(52)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기둥받이(54)의 상면으로 돌출된 철근(52)의 단부에 상층의 기둥(10)을 올려놓아 기둥(10)의 하단이 철근(52)에 박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마도리(40)의 상부에 강도가 높은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가 구비되어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한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뿐 아니라, 층간소음이나 난방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슬래브(50)의 둘레부에 서까래(60)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서까래(60)에 기와(70)를 올려 처마를 설치함으로써, 다단의 처마를 설치하여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복층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복층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2층의 한옥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복층지지구조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장여(30) 및 처마도리(40)와, 상기 처마도리(40)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와, 기단부가 상기 슬래브(50)에 고정되는 서까래(60)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10)은 주춧돌의 상면에 수직으로 올려지며, 한옥의 각 모서리부분에 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한옥의 길이가 길 경우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둥(10)의 사이에 추가적으로 기둥을 설치하기도 한다. 상기 장여(30) 및 처마도리(40)는 양단이 상기 기둥(10)의 상단에 좌우방향을 길게 설치된다. 이러한 기둥(10)과 장여(30) 및 처마도리(40)는 일반적인 한옥의 기둥과 장여(30) 및 처마도리(40)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50)는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건물에 사용되는 슬래브(50)와 유사한 구성으로, 콘크리트구조물(51)과 콘크리트구조물(51)의 내부에 매입된 철근(52)으로 구성되어, 높은 강도와 유연성 및 방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래브(50)는 하측면 둘레부에 상기 처마도리(40)의 상단이 결합되는 오목홈(53)이 형성되고, 상면 둘레부에는 상층, 즉 2층의 기둥(10)이 올려지는 기둥받이(54)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기둥받이(54)는 하층 즉, 1층에 설치되는 기둥(10)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1층의 기둥(10) 간격에 비해, 상층인 2층의 기둥(10)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1층의 기둥(10)간격에 비해 2층의 기둥(10)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1층의 면적이 2층의 면적에 비해 좁아지게 되어, 완성된 한옥의 외관형상이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다단의 탑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슬래브(50)의 하부에는 천정패널(80)이 구비된다. 상기 천정패널(80)은 목재로 구성된 것으로 둘레부가 상기 처마도리(40)에 고정되고, 상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의해 슬래브(5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단에 머리부가 형성된 못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이 상기 슬래브(50)의 하측면에 매입되고 하단이 천정패널(80)에 박혀 천정패널(8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50)의 상부면을 마루(55)나 기타의 마감재 마감하여 2층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까래(60)는 기단부가 상기 슬래브(50)의 둘레부에 매입고정되는 것으로, 선단부는 슬래브(50)의 둘레부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부에 기와(70)를 올려 처마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까래(60)는 슬래브(50)를 설치할 때 슬래브(50)의 거푸집에 고정되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슬래브(50)가 축소되면서 서까래(60)의 기단부를 강하게 압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10)과 장여(30), 처마도리(40)를 먼저 설치하고, 그 상부에 철근콘크리트재질의 슬래브(50)를 타설한 후, 슬래브(50)의 하측에 천정패널(80)을 설치하고, 상기 서까래(60)에 기와(70)를 올려 슬래브(50)의 둘레부에 처마를 설치하여 1층의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50)의 기둥받이(54) 상부에 2층의 기둥(10)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종래의 한옥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둥(10)과 장여(30), 처마도리(40) 서까래(60)를 설치하고, 서까래(60)에 기와(70)를 올려 지붕을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기둥(10)을 기준으로 벽면이나 문, 창 등과 같은 건축물에 필요한 다양한 부분의 공사를 하여 2층 한옥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에 따르면, 하층 즉 1층의 기둥(10) 상부에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를 설치하고, 슬래브(50)의 상면 둘레부에 형성된 기둥받이(54)에 상층 즉, 2층의 기둥(1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기둥(10)의 중간부에 가벼운 재질의 플로어를 설치하여 2층을 구성하는 종래의 한옥과 달리, 기둥(10)을 1층과 2층용으로 나누어, 1층 기둥(10)이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를 지지하고, 슬래브(50)가 그 상부에 설치되는 2층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2층의 바닥면을 강도가 높은 철근콘크리트로 구성할 수 있어서, 사람이 실질적으로 생활을 할 수 있는 복층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2층의 바닥면이 철근콘크리트의 슬래브(50)로 구성되어, 층간소음이나 단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슬래브(50)에 난방파이프를 배설하여 난방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래브(50)의 둘레부에 서까래(60)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서까래(60)에 기와(70)를 올려 처마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봤을 때 2층 한옥인 것을 효과적으로 알 수 있으며, 한옥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받이(54)는 하층에 설치되는 기둥(10)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1층의 면적이 2층의 면적에 비해 좁아지게 되어, 완성된 한옥의 외관형상이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다단의 탑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단순히 일반적인 한옥을 상부로 길게 늘린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한옥을 만 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기둥받이(54)가 하층에 설치된 기둥(10)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면, 기둥받이(54)의 상면에 설치되는 2층의 기둥(10)에 의해 상기 서까래(60)에 설치된 처마의 하중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져, 슬래브(50)의 둘레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평행을 이루어 슬래브(50)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서까래(60)가 하측으로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래브(50)의 하부에는 둘레부가 상기 처마도리(40)에 고정되고 고정부재에 이해 슬래브(50)에 고정되는 목재재질의 천정패널(80)이 구비되므로,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의 하측면을 가려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슬래브(50)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차단하는 방음판의 기능을 하여, 상부층의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옥은 2층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는 3층 이상의 한옥을 건축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받이(54)를 단순히 슬래브(50)의 상면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슬래브(50)의 내부에 매입되는 철근(52)의 상단이 상기 기둥받이(54)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기둥받이(54)에 설치되는 기둥(10)의 하단이 기둥받이(54)의 상면으로 돌출된 철근(52)의 상단에 끼워져 기둥(1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기둥받이(54)의 상면에 상기 기둥(1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기둥 30. 장여
40. 처마도리 50. 슬래브
54. 기둥받이 60. 서까래
70. 기와 80. 천정패널

Claims (4)

  1.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장여(30) 및 처마도리(40)와,
    상기 처마도리(40)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설치되며 상면 둘레부에는 상층의 기둥(10)이 올려지는 기둥받이(54)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50)와,
    기단부가 상기 슬래브(50)의 둘레부에 매입고정되며 선단부는 슬래브(50)의 둘레부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부에 기와(70)를 올릴 수 있도록 된 서까래(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받이(54)는 하층에 설치되는 기둥(10)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50)의 하부에는 둘레부가 상기 처마도리(40)에 고정되는 목재재질의 천정패널(80)이 구비되며,
    상기 천정패널(80)의 상면에는 상단이 상기 슬래브(50)의 하측면에 매입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받이(54)의 상면에는 슬래브(50)의 내부에 매입된 철근(52)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기둥받이(54)의 상면으로 돌출된 철근(52)의 단부에 상층의 기둥(10)을 올려놓아 기둥(10)의 하단이 철근(52)에 박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KR1020110079492A 2011-08-10 2011-08-10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KR10107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92A KR101076434B1 (ko) 2011-08-10 2011-08-10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92A KR101076434B1 (ko) 2011-08-10 2011-08-10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434B1 true KR101076434B1 (ko) 2011-10-25

Family

ID=4503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492A KR101076434B1 (ko) 2011-08-10 2011-08-10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4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19A (ko) * 2018-07-04 2020-01-14 김진우 다층식 탑형 퓨젼한옥 골조
KR20200082863A (ko) * 2018-12-31 2020-07-08 김진우 다층식 탑형 퓨전한옥 골조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25B1 (ko) 2005-07-13 2007-11-23 허만욱 전통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006225B1 (ko) 2009-02-27 2011-01-07 주식회사 만상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25B1 (ko) 2005-07-13 2007-11-23 허만욱 전통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006225B1 (ko) 2009-02-27 2011-01-07 주식회사 만상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19A (ko) * 2018-07-04 2020-01-14 김진우 다층식 탑형 퓨젼한옥 골조
KR102181525B1 (ko) * 2018-07-04 2020-11-20 김진우 다층식 탑형 퓨젼한옥 골조
KR20200082863A (ko) * 2018-12-31 2020-07-08 김진우 다층식 탑형 퓨전한옥 골조 시공방법
KR102292109B1 (ko) * 2018-12-31 2021-08-20 김진우 다층식 탑형 퓨전한옥 골조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075B1 (ko)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KR101076434B1 (ko)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JP564378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床スラブ構造。
KR102089751B1 (ko)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을 이용한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 및 그 내장구조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KR100715341B1 (ko) 지붕창이 구비된 건축구조물
EP3404155A1 (en) A balcony or an attached terrace
KR101387602B1 (ko)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KR101242016B1 (ko) 한옥 골격용 목재프레임
KR101389528B1 (ko) 황토벽돌을 이용한 2층 건물 시공방법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RU139727U1 (ru) Панельно-каркасное здание, сооружение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и в наружные панели элементами каркаса
RU93419U1 (ru)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е здание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ой
WO2000047836A1 (en) Wall construction system
KR20230064079A (ko)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RU112702U1 (ru) Блок-секц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RU69548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жилое здание
JP5269308B2 (ja) 建物の外部床の床面構造、及び該床面構造の形成方法。
RU2081981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тажности здания
RU170796U1 (ru) Жилой дом вторичной застройки
RU90819U1 (ru) Здание
RU119003U1 (ru) Блок-секция крупнопанельн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RU118663U1 (ru) Блок-секция крупнопанельн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20130136844A (ko) 발코니를 갖는 복층 처마를 구성하기 위한 한옥의 기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