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079A -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 Google Patents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079A
KR20230064079A KR1020210149276A KR20210149276A KR20230064079A KR 20230064079 A KR20230064079 A KR 20230064079A KR 1020210149276 A KR1020210149276 A KR 1020210149276A KR 20210149276 A KR20210149276 A KR 20210149276A KR 20230064079 A KR20230064079 A KR 2023006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oncrete
exterior
interior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상철
김진옥
Original Assignee
현상철
김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상철, 김진옥 filed Critical 현상철
Priority to KR102021014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079A/ko
Publication of KR2023006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1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used as wal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방명은 벽면과 천장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어 건축된 하우스에 있어서,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바닥레일과; 상기 바닥레일의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내측면에 상하로 다수개 요입된 삽입요입홈과, 상하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출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조립식기둥과; 하측이 상기 바닥레일에 안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레일안착홈이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조립식기둥의 삽입요입홈과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안착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단이 상기 삽입돌출부와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안착요입부가 형성되고, 상측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가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과;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의 상측돌출부에 안착되도록 하측단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고요입부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으로 단턱형상의 안착단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기둥을 연결하는 일체형 연결고와; 상기 일체형 연결고의 안착단네 안착되어 천장을 덮는 판형의 일체형 천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내외장재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콘크리트 벽면을 일체형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조립하여 콘크리트 하우스를 시공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내공에 잠열로 인하여 단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체형 콘크리트벽면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겨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내외장시공이 필요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체형 마감재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관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체형 조립벽면과 일체형 천정이 안전하게 조립되어 구조물의 안전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A Concrete smart house with integrated interior and exterior}
본 발명은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외장재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콘크리트 벽면을 일체형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조립하여 콘크리트 하우스를 시공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내공에 잠열로 인하여 단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체형 콘크리트벽면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겨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내외장시공이 필요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체형 마감재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관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체형 조립벽면과 일체형 천정이 안전하게 조립되어 구조물의 안전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은 건물의 형태를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배근과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여 건물을 신축하는 공법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많은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다단계의 공정별이 필요하게 되어 많은 인력을 투입할 수 밖에 없으므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면서도 공사기일이 오래 걸리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건축물은 마무리 공정으로 미장작업이 필수적이고 미장작업후 크랙이 많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으며, 특히 설계상 굵은 기둥과 보로 인하여 실내공간이 상당히 줄어들면서도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아파트나 주택 등의 건물을 신축할 때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법을 살펴보면 대개 그 건물의 주 골격을 이루는 사방의 기둥체와 슬라브 부위는 철근을 엮어 배근을 한 다음 레미콘을 타설하여 형성하고, 벽체는 소정크기의 콘크리트 판넬로 미리 성형한 후 동 판넬을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기둥체와 슬라브체에 조립하는 조립식 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콘크리트 시공방법은 미리 제작된 벽체의 조립이 더더욱 불가능하여 현장에서 거푸집 등을 이용한 시공을 필요로 하는 등의 여러 가지 공정이 수반되어 거푸집 설치및 해체공정과 콘크리트타설공정 및 양생공정 등이 필수적으므로 많은 인력과 장비가 소요되어 공사비가 대폭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사기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콘크리트 시공방법은 최근 건축물의 외관미 중요시 여기는 특성상 구조물의 마감재를 위한 내.외장재에 많은 공정과 인력이 투입되므로 이 또한 장시간 소요되고 건축비용이 대폭 증가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체형 조립식 하우스의 개발하는 것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는 내외장재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콘크리트 벽면을 일체형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조립하여 콘크리트 하우스를 시공할 수 있고, 완전하게 단열을 향상시킬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내공에 잠열로 인하여 단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체형 콘크리트벽면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겨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대폭 보강시킬 수 있고, 별도의 내외장시공이 필요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벽면의 시공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체형 마감재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관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체형 조립벽면이 안착되면서 입설되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고, 조립식 콘크리트 하우스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일체형 조립벽면과 일체형 천정이 안전하게 조립되어 구조물의 안전도를 대폭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체형 조립벽면을 상호 완벽하게 결합시키면서 외장마감을 완벽하게 마감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는, 벽면과 천장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어 건축된 하우스에 있어서,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바닥레일과; 상기 바닥레일의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내측면에 상하로 다수개 요입된 삽입요입홈과, 상하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출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조립식기둥과; 하측이 상기 바닥레일에 안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레일안착홈이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조립식기둥의 삽입요입홈과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안착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단이 상기 삽입돌출부와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안착요입부가 형성되고, 상측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가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과;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의 상측돌출부에 안착되도록 하측단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고요입부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으로 단턱형상의 안착단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기둥을 연결하는 일체형 연결고와; 상기 일체형 연결고의 안착단네 안착되어 천장을 덮는 판형의 일체형 천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은 콘크리드 구조물 내측 중앙에 단열되도록 삽입된 중앙단열판재와, 상기 중앙단열판재의 양측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삽입된 격자형상의 매쉬망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내장간지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외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외장간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의 내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 서 단열을 증가시키도록 다수개의 천공되어 배열된 단열유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내장간지와 일체형 외장간지는 문양이 형성된 간지를 부착 후 열을 가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의 양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호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천공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의 내측에는 너트로 상호 체결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표면을 감싸는 마감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및 그 설치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측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바닥레일안착홈과 일측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안착돌출부과, 타측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안착요입부와 상측단이 타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가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을 구비함으로써 다수개의 콘크리트 벽면을 일체형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조립하여 콘크리트 하우스를 시공할 수 있고,
둘째,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의 내측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지그재로 다수열 배열되어 천공된 단열유지공이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내공에 잠열로 인하여 단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체형 콘크리트벽면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겨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셋째,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의 내측 중앙에 판재형의 중앙단열판재가 삽입되어 완전하게 단열을 향상시킬 있고, 상기 중앙단열판재의 양측에 격자형상의 매쉬망이 삽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대폭 보강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는 일체로 결합되어 내외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내외장간지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내외장시공이 필요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벽면의 시공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체형 마감재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관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넷째, 하우스의 바닥에 레일형상으로 돌출되며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바닥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일체형 조립벽면의 하측이 안착되면서 입설되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다섯째, 상기 바닥레일의 양측에 수직으로 다수개 입설되며 내측면에 상하로 요입된 삽입요입홈과, 상하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출부가 형성된 조립식기둥을 구비함으로써 일체형 조립벽면이 조립되면서 안착되어 조립식 콘크리트 하우스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여섯째, 하측단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고요입부와 상면 내측으로 단턱형상의 안착단이 형성된 일체형 연결고를 구비함으로써 일체형 조립벽면과 일체형 천정이 안전하게 조립되어 구조물의 안전도를 대폭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곱째,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의 양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호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체결부를 구비하여 조립벽면을 상호 완벽하게 결합시키면서 외장마감을 완벽하게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나타낸 개요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과 천장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어 건축된 하우스로서,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바닥레일(10)과, 다수개의 조립식기둥(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30)과, 상기 조립식기둥(20)을 연결하는 일체형 연결고(40)와, 천장을 덮는 판형의 일체형 천정(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레일(10)은 레일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레일(10)이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이 삽입되면서 입설되게 된다.
상기 조립식기둥(20)은 바닥레일(10)의 양측에 수직으로 다수개 입설되며 일측면 내측에 상하로 다수개 요입된 삽입요입홈(21)과, 타측면 내측에 상하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출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은 하측이 상기 바닥레일(10)에 안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바닥레일안착홈(31)이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조립식기둥(20)의 삽입요입홈(21)과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안착돌출부(32)가 형성되며, 타측단이 상기 삽입돌출부(22)와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안착요입부(33)가 형성되고, 상측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은 콘크리드 구조물 내측 중앙에 단열되도록 삽입된 중앙단열판재(35)와, 상기 중앙단열판재(35)의 양측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삽입된 격자형상의 매쉬망(36)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외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외부간지(38)가 구비된다.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내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 서 단열을 증가시키도록 다수개의 상하로 천공되어 지그재그로 배열된 단열유지공(39)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유지공(39)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으로 지그재로 다수열 배열되어 상하로 천공된 외측단열유지공(39a)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으로 지그재로 다수열 배열되어 상하로 천공된 내측단열유지공(39b)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일체형 외장간지(38)는 문양이 형성된 간지를 부착 후 열을 가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일체형 외장간지(38)는 칼라가 도포된 방부목과 황토판넬이나 문양간지 중 하나가 추가로 결합된다.
상기 일체형 연결고(40)는 일체형 조립벽면(30)의 상측돌출부(34)에 안착되도록 하측단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고요입부(41)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으로 단턱형상의 안착단(42)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기둥(20)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일체형 천정(50)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체형 연결고(40)의 안착단(42)에 안착되도록 하측 내주연에 다단의 다단안착턱(51)이 형성측어 천장을 덮게 된다.
한편, 도4에서,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양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호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체결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7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천공된 체결공(71)과, 상기 체결공(71)의 내측에는 너트로 상호 체결하는 체결볼트(72)와, 상기 체결볼트(72)의 표면을 감싸는 마감캡(7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및 그 설치공법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과 천장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어 건축된 하우스로서,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바닥레일(10)이 안착되고, 상기 바닥레일(10)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조립식기둥(20)이 안착되어 상호 지지하며.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30)이 조립식기둥(20)에 안착되고, 상기 조립식기둥(20)을 연결하는 일체형 연결고(40)가 천정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일체형 연결고(40)의 상부에 판형의 일체형 천정(50)이 안착되어 천장을 덮게 된다.
즉, 상기 바닥레일(10)은 레일형상으로 돌출되며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하측이 안착되면서 입설되게 된다.
상기 조립식기둥(20)은 바닥레일(10)의 양측에 수직으로 다수개 입설되며 내측면에 상하로 요입된 삽입요입홈(21)과, 상하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출부(22)가 형성되어 일체형 조립벽면(30)이 조립되면서 안착되게 된다.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은 하측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바닥레일안착홈(31)이 형성되어 바닥레일(10)에 삽입되면서 안전하게 안착되고, 일측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안착돌출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기둥(20)의 삽입요입홈(21)과 상호 연결되며, 타측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안착요입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출부(22)와 편리하게 상호 연결되고, 상측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일체형 천정(50)과 일체형 연결고(40)의 일측이 안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은 콘크리드 구조물 내측 중앙에 판재형의 중앙단열판재(35)가 삽입되어 단열이 향상되고, 상기 중앙단열판재(35)의 양측에는 격자형상의 매쉬망(36)이 삽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는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내장간지(37)가 형성되어 별도의 내장시공이 필요없이 일체로 형성하게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는 일체로 결합되어 외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외부간지(38)가 구비되어 외부마감이 불요필요하게 된다.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내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으로 지그재로 다수열 배열되어 천공된 외측단열유지공(39a)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으로 지그재로 다수열 배열되어 천공된 내측단열유지공(39b)으로 형성된 단열유지공(39)이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내공에 잠열로 인하여 단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체형 콘크리트벽면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겨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일체형 외장간지(38)는 문양이 형성된 간지를 부착 후 열을 가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일체형 외장간지(38)는 칼라가 도포된 방부목과 황토판넬이나 문양간지 중 하나가 추가로 결합됨으로써 내외부의 마감이 불필요하여 시공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양으로 건축미를 대폭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체형 연결고(40)는 하측단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고요입부(41)가 형성되어 일체형 조립벽면(30)의 상측돌출부(34)에 안착되게 되며, 상면 내측으로 단턱형상의 안착단(42)이 형성되어 일체형 천정(50)이 안착되게 된다.
상기 일체형 천정(5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체형 연결고(40)의 안착단(42)에 안착되도록 하측 양측에 다단안착단(51)이 형성되어 지붕을 형성하여 하우스를 완성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양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호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체결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7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천공된 체결공(7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71)의 내측에는 너트로 상호 체결하는 체결볼트(72)가 형성되어 조립벽면을 완벽하게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체결공(7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72)의 표면에는 마감캡(73)이 감싸게 되어 외장마감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바닥레일 11; 돌출레일
20 ; 조립식 기둥 21 ; 삽입요입부
22 : 삽입돌출부 30 ; 일체형 조립벽면
31 : 레일안착홈 32 ; 안착돌출부
33 : 안착요입부 34 ; 상측돌출부
35 : 중앙단열판재 36 ; 매쉬망
37 ; 일체형 내장간지 38 ; 일체형 외장간지
39 ; 단열유지공 40 ; 일체형 연결고
50 ; 일체형 천정 51 ; 다단안착턱
70 ; 체결부 71 ; 체결공
72 ; 체결볼트 73 ; 마감캡

Claims (6)

  1. 벽면과 천장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어 건축된 하우스에 있어서,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돌출된 돌출레일(11)이 형성되어 안착되는 바닥레일(10)과;
    상기 바닥레일(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일측면 내측에 상하로 다수개 요입된 삽입요입홈(21)과, 타측면 내측에 상하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출부(22)가 형성된 다수개의 조립식기둥(20)과;
    하측이 상기 바닥레일(10)에 안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바닥레일안착홈(31)이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조립식기둥(20)의 삽입요입홈(21)과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안착돌출부(32)가 형성되며, 타측단이 상기 삽입돌출부(22)와 상호 연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안착요입부(33)가 형성되고, 상측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34)가 형성된 일체형 조립벽면(30)과;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상측돌출부(34)에 안착되도록 하측단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요입된 고요입부(41)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으로 단턱형상의 안착단(42)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기둥(20)을 연결하는 일체형 연결고(40)와;
    상기 일체형 연결고(40)의 안착단(42)에 안착되도록 다단안착단(51)이 형성되어 천장을 덮는 판형의 일체형 천정(5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은 콘크리드 구조물 내측 중앙에 단열되도록 삽입된 중앙단열판재(35)와, 상기 중앙단열판재(35)의 양측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삽입된 격자형상의 매쉬망(36)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외부 문양을 형성하는 일체형 외부간지(3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내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면 서 단열을 증가시키도록 다수개의 천공되어 배열된 단열유지공(39)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유지공(39)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으로 지그재로 다수열 배열되어 천공된 외측단열유지공(39a)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으로 지그재로 다수열 배열되어 천공된 내측단열유지공(39b)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일체형 외장간지(38)는 문양이 형성된 간지를 부착 후 열을 가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일체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내장간지(37)와 일체형 외장간지(38)는 칼라가 도포된 방부목과 황토판넬이나 문양간지 중 하나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조립벽면(30)의 양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호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체결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7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천공된 체결공(71)과, 상기 체결공(71)의 내측에는 너트로 상호 체결하는 체결볼트(72)와, 상기 체결볼트(72)의 표면을 감싸는 마감캡(7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KR1020210149276A 2021-11-03 2021-11-03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KR20230064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276A KR20230064079A (ko) 2021-11-03 2021-11-03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276A KR20230064079A (ko) 2021-11-03 2021-11-03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079A true KR20230064079A (ko) 2023-05-10

Family

ID=8638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276A KR20230064079A (ko) 2021-11-03 2021-11-03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3067B (zh) 一种模块化低层装配式异形柱钢结构房屋体系
US905719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building having a prefabricated wood framework, and resulting building
KR100956741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US8225578B2 (en) Flexible interlocking mortarless wall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CN1981102A (zh) 具有可变长度墙连接件的隔离混凝土成形方法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RU2506376C1 (ru) Бетонное здание с легким стальным объемным каркасом и способ его сооружения
CN206570920U (zh) 一种利用alc板设计生产装配式建筑
CN111927248B (zh) 整体预制外挂飘窗、连接节点及制造方法
KR101361959B1 (ko)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213504B1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공법 및 조립식 한옥 구조
CN111927249B (zh) 整体预制内嵌飘窗、连接节点及制造方法
KR101370163B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FI69674B (fi) Saett att resa en byggnad samt anordning foer utfoerande av sattet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KR20230064079A (ko) 내장과 외장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스마트하우스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CN211447260U (zh) 一种采用型钢和条板用紧固件进行连接的装配式建筑
KR100622018B1 (ko)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RU2633602C1 (ru) Способ ускоренного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я методом отверточной сборки и здание из фасадных панелей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ой и металлическим каркасом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JP4063831B2 (ja) 外断熱プレストレスト建築用構造体
RU93419U1 (ru)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е здание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ой
CN106376238A (zh) 用于房屋和建筑物的建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