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02B1 -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 Google Patents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602B1
KR101387602B1 KR1020110077801A KR20110077801A KR101387602B1 KR 101387602 B1 KR101387602 B1 KR 101387602B1 KR 1020110077801 A KR1020110077801 A KR 1020110077801A KR 20110077801 A KR20110077801 A KR 20110077801A KR 101387602 B1 KR101387602 B1 KR 10138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wall
finish
korea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675A (ko
Inventor
정인철
이한구
Original Assignee
정인철
(주)디앤에스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철, (주)디앤에스건설 filed Critical 정인철
Priority to KR102011007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6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식건축물(한옥)을 복층으로 구현하기 위한 층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와 RC를 적절히 합성하고 가구식 구조와 벽식 구조를 복합화하면서 결구식으로 골조를 완성하는 한편 골조의 외피를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표면재로 마감 처리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식건축물을 구조적인 안정성과 함께 내화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복층구조로 시공할 수 있다. 특히 PC와 영구거푸집 등 부품화된 자재를 적극 활용하기 때문에 한식건축물의 시공에서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Multi-storied Korean-style House by Combined Structural System}
본 발명은 한식건축물(한옥)을 복층으로 구현하기 위한 층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와 RC를 적절히 합성하고 가구식 구조와 벽식 구조를 복합화하면서 결구식으로 골조를 완성하는 한편 골조의 외피를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표면재로 마감 처리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 건축방식에 따른 한식건축물은 도 1과 같이 천연목재에 의한 가구식 구조를 따른다. 천연목재를 제재, 치목, 조립하면서 건축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식건축물은 천연목재를 인력에 의존하여 다루기 때문에 상당한 시공품비가 소요되고 공사기간도 긴 편이며, 또한 고가의 천연목재를 이용하므로 공사비 또한 비싼 편이다. 뿐만 아니라 천연목재가 건습에 의한 수축 팽창이 크기 때문에 한식건축물은 뒤틀림 변형이 크게 일어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정부차원에서 한옥 보급정책이 적극 추진됨에 따라 전통적인 한식건축물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통의 가구식 목구조 구법을 근대적 재료인 시멘트 몰탈, 철재 등의 사용으로 부분적인 구조 및 상세의 개량수준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대량목재 사용과 전통기능공의 참여가 요구되는 등의 불편은 여전하였으며, 복층으로 구축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목재 중심의 한식건축 구법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현대적 건축 구법을 적극 도입하여 한식건축물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한편 한식건축물(한옥)의 복층화를 실현하고자 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PC와 RC를 적절히 합성하고 가구식 구조와 벽식 구조를 복합화하면서 결구식으로 골조를 완성하는 한편 골조의 외피를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표면재로 마감 처리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한식건축물의 골조방식을 PC와 RC를 적절히 합성하면서 가구식 구조와 벽식 구조를 복합화하여 완성한 결과, 한식건축물을 구조적인 안정성과 함께 내화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복층구조로 시공할 수 있다.
둘째, 한식건축물의 시공에서 PC와 영구거푸집 등 부품화한 자재를 적극 활용하면서 골조를 결구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 PC와 영구거푸집의 1-2일, 현장치기 콘크리트 공사에 1일, 양생에 4-5일 등 총 6~8일의 공정으로 1개 층을 구축할 수 있다.
셋째, 기둥, 바닥, 천장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연통구조에 의해 지중열을 건물 내부로 적극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이 가능한 한식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한식건축물(한옥)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층간구조에서 가구식 구조와 벽식 구조의 복합구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대한 상세도로서, 각각 종단면도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대한 상세도로서, 바닥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가 적용되어 완성된 한식건축물의 이미지 스케치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대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전통 한식건축물의 외관을 가지는 한식건축물을 복층으로 건축함에 있어, PC와 RC를 합성하면서 가구식 구조와 벽식 구조의 복합구조로 골조를 완성하는 한편, 골조 표면을 전통 한식건축재료로 마감 처리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C와 RC의 합성에 의한 골조구성재와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마감구성재로 이루어지는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를 제안한다. 이러한 구조방식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성과 내구성을 확보한 다층구조의 한식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골조구성재는, RC 또는 PC로 시공되는 바닥슬래브(110); 상부가 단면이 넓어지는 주두(120c)로 마련되도록 제작된 PC기둥부재로 바닥슬래브(110) 위에 기둥 위치에 설치되는 PC기둥(120); PC기둥의 주두(120c) 사이를 연결하도록 시공되되 영구거푸집(131)을 이용하면서 시공되는 RC거더(130); PC기둥(120) 아래 PC기둥(120) 측면에서 PC기둥의 주두(120c)보다 돌출되는 길이로 내밀어 나와 PC기둥의 주두(120c)와 RC거더(130)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시공되되 영구거푸집(151)을 이용하면서 시공되는 RC내민내력벽체(150); RC거더(13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시공되는 작은보(140); PC기둥의 주두(120c), RC거더(130) 및 작은보(140) 위에, 영구거푸집을 이용하면서 RC로 시공되거나 PC로 시공되는 천장슬래브(160);로 구성된다. 여기에 RC내민내력벽체(150) 사이에 설치되는 목재수장(17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조구성재는 기본적으로 기둥과 보에 의한 가구식 구조로 구현되는 한편 부분적으로 RC내민내력벽체(150)에 의한 벽식 구조로 구현된다. 즉 PC기둥(120)이 주요 하중을 지지하고, PC기둥(120)에서 내밀어 나온 RC내민내력벽체(150)가 PC기둥(120)의 버팀대 역할을 하면서 보조적으로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골조구성재는 기둥부분이 PC로 시공되고 보와 벽체부분이 RC로 시공됨으로써 일체화되는 구조로 완성되며, 특히 RC시공부분은 영구거푸집을 이용하면서 시공되기 때문에 PC시공부분과 함께 결구식 설치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골조구성재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마감구성재는, 바닥슬래브(110) 위에 설치 시공되는 바닥마감(210); PC기둥(120)의 외피에 시공되는 기둥마감(220); RC내민내력벽체(150)의 외피에 시공되는 벽체마감(250); RC거더(130)와 작은보(140) 아래에 시공되는 천장마감(260);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골조구성재에 목재수장(170)이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목재수장(170)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270a) 또는 비내력벽(270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마감구성재는 목판, 황토미장 등의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표면재로 제공되는데, 그래야 한식건축물의 외관을 갖출 수 있다. 마감구성재에 대해서는 도 5와 도 6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한편 도 2에서는 PC기둥(120)을 각각 중공형 PC부재로 마련하여 시공하는 한편 바닥마감(210)을 뜬바닥 구조로 시공하고, 아울러 PC기둥의 중공(121)이 천장마감(260) 위 공간 및 바닥마감(210) 아래 공간과 연통구조로 완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통구조에 의해 골조를 통한 공기순환이 가능해지므로 냉·난방에너지의 자연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PC기둥의 중공(121)은 지중열을 건물 내부로 적극 도입하기 위한 수직 덕트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통구조에 의해 지하의 연중 변함없는 온도, 습도의 신선한 바람을 실내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PC기둥(120)을 부품화하여 결구식 조립구조로 마련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PC기둥(120)을, 바닥슬래브(110) 위 기둥 위치에 설치되는 소켓형 주각(120a); 소켓형 주각(120a) 위에 끼워 맞춤 설치되는 기둥본체(120b); 기둥본체(120b) 위에 끼워 맞춤 설치되는 소켓형 주두(120c);로 구성하고 있다. 도 2에서 기둥본체(120b)는 소켓형 주각(120a) 내지 소켓형 주두(120c)와 홈-돌기에 의한 맞춤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나사결합에 의한 맞춤 결합도 가능하다(도 6 참조). 아울러 연통구조를 완성하기 위해 소켓형 주각(120a) 내지 소켓형 주두(120c)에 연통구멍(121a, 121c)을 형성시키고 있는데, 조립구조에 따라 기둥본체(120b)에도 연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6 참조).
도 3은 도 2의 층간구조에서 가구식 구조와 벽식 구조의 복합구조에 대한 구성도인데, 본 발명의 골조구성재에 대한 구조방식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조구성재는 바닥슬래브(110)와 천장슬래브(160) 사이에, PC기둥(120), RC내민내력벽체(150), RC거더(130), 작은보(140)가 시공되는 구조로 완성된다. 다시 말해 바닥슬래브(110) 위에 PC기둥(120)을 시공하고, PC기둥(120) 사방으로 RC내민내력벽체(150)를 시공하고, RC내민내력벽체(150) 위로 PC기둥(120)을 연결하면서 RC거더(130)를 시공하고, RC거더(130) 사이에 작은보(140)를 시공하고, 그 위로 천장슬래브(160)를 시공하는 것으로, 층간 골조를 완성하는 것이다. 아래층의 천장슬래브(160)가 위층의 바닥슬래브(110)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골조구성재에서 PC기둥(120)은 주요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가 되므로 이를 고려하면 내력강도가 700Kg/㎠이상의 고강도 흄관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 고강도 흄관 내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현장 치기를 하여 구조적 내력성능 향상을 기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연통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ø150~ø250 정도의 중공(121, 수직 덕트의 공간)만은 남겨두도록 한다. 도 3에서는 소켓형 주각(120a)과 소켓형 주두(120c)가 모두 8각형의 중공형 PC부재로 마련된 PC기둥(120)을 확인할 수 있는데, 8각형 PC부재는 하나의 십자방향으로는 RC거더(130)가 접합 시공되고, 다른 십자방향으로는 연통구멍(121a, 121c)에 의한 연통구조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형태가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소켓형 주두(120c)에 연결봉(132)이 관통 설치되고 있는데, 연결봉(132)에 의해 RC거더(130)가 PC기둥의 주두(120c)에 정착되어 긴결된다.
RC내민내력벽체(150)와 RC거더(130)는 철판 등의 영구거푸집(131, 151)을 이용하면서 콘크리트의 현장 치기를 통해 시공하며, 이 과정에서 현장 치기 콘크리트에 의해 PC기둥(120)과 RC내민내력벽체(150) 및 RC거더(130)는 일체화된다. 먼저 RC거더용 영구거푸집(131)을 PC기둥(120)에 가구식 구조로 엮으면서 설치하고, 그 아래에 RC내민내력벽체용 영구거푸집(151)을 설치한 다음, 영구거푸집(131, 151) 내부에 콘크리트를 현장 치기한다. 작은보(140)는 강재, 목재 등으로 마련하여 RC거더용 영구거푸집(131)에 접합 설치된 앵글(141)을 거치하면서 설치하면 된다. 천장슬래브(160)는 PC 또는 RC로 시공하며, 다만 RC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RC내민내력벽체(150) 내지 RC거더(130)와 마찬가지로 영구거푸집을 이용하면서 시공한다. 이때 천장슬래브용 거푸집은 데크, 하프PC슬래브 등이 될 수 있다. 친환경을 고려한다면 RC내민내력벽체(150), RC거더(130), 천장슬래브(160)는 황토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현장치기 콘크리트는 설계강도기준 내지 시공상황에 따라 별도치기와 같이치기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대한 종단면도인데, 여기서는 PC기둥(120)과 기둥마감(220)의 상세와 천장마감(260)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PC기둥(120)의 나사결합에 의한 조립구조와 소켓형 주두(120c)의 2중 맞춤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경제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PC기둥(120)의 내주면에는 보강띠(122)와 황토몰탈코팅(123)이 처리되고 있는데, 보강띠(122)는 PC기둥(120)의 상·하단부에 보강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황토몰탈코팅(123)은 연통구조를 통한 공기 순환과정에서 쾌적한 공기 유입을 위해 처리된다. 보강띠(122)는 무균 항균기능의 스킴코트를 한 철재파이프나 PVC파이프를 사용하면 적당하다.
PC기둥(120)의 외피에는 기둥마감(220)이 시공되는데, 기둥마감(220)은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기둥표면재로 제공하면 되며, 도 4에서는 금속줄눈재(221) 사이에 목판(222)을 맞춤 설치하는 방식으로 기둥마감(220)을 구현하고 있다. 금속줄눈재(221)에 의해 목판(222)의 변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건물 내부에 위치한 PC기둥(120)의 경우에는 주각(120a)과 주두(120c)가 각각 바닥마감(210)과 천장마감(260)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특별히 주각(120a)과 주두(120c)의 마감을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건물 외곽에 위치한 PC기둥(120)의 경우에는 주각(120a)과 주두(120c)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주각(120a)과 주두(120c)의 마감을 위해 화반, 첨차 등의 형태로 특별히 기둥마감(220)을 마련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도 8 참조). 또한 천장마감(260)의 경우에는 목판 등의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천장표면재를 RC거더(130)와 작은보(140)에 덧붙이거나 매달리게 설치하는 것으로 처리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RC내민내력벽체(150)와 벽체마감(250)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RC내민내력벽체용 영구거푸집(151)과 벽체마감(250)을 일체 구조로 마련하고 있다. 즉 벽체마감(250)을 곧 RC내민내력벽체용 영구거푸집(151)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RC내민내력벽체용 영구거푸집(151)으로서 벽체마감(250)은,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마구리 각목(251); 한 쌍의 마구리 각목(251) 사이에서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단열보드(252); 한 쌍의 마구리 각목(251) 사이에서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목판(253);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구조는 RC내민내력벽체(150)의 단열성과 한식 외관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와 같이 RC내민내력벽체(150)의 양측 표면만을 단열구조로 완성하고, RC내민내력벽체(150)의 마무리 단면은 단열보드(252)를 생략한 채 목판(253)만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쌍의 마구리 각목(251)과 목판(253)은 서로 짜맞춤 구조로 완성한다. 한편 RC내민내력벽체용 영구거푸집(151)으로서 벽체마감(250)은 PC기둥(120)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져 폐쇄되는 구조로 설치하며, 나아가 그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현장 치기하면 RC내민내력벽체(150)가 완성된다.
또한 도 5에서는 목재수장(170)과 창호(270a) 내지 비내력벽(270b)의 설치상세도 확인할 수 있다. 목재수장(170)과 창호(270a) 내지 비내력벽(270b)은, RC내민내력벽체(150) 사이의 벽면을 구성하는 부재가 된다. 다시 말해 동일한 RC거더(130) 아래에 위치한 RC내민내력벽체(150) 사이에 목재수장(170)을 수평 내지 수직으로 설치하여 공간을 구획하고(도 2 참조), 목재수장(170) 사이의 빈 공간에 창호(270a)나 비내력벽(270b)을 설치하면서 벽면을 채우는 것이다. 도 5에서는 목재수장(170)과 비내력벽(270b)을 일체화시킨 패널형태의 벽체패널을 확인할 수 있다. 벽체패널은,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마구리 각목; 한 쌍의 마구리 각목 사이에서 양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목판(273); 양 목판(273)의 내측면 설치된 단열보드(272); 단열보드 사이 공간에 채워진 채움재(271);로 구성되며, 여기서 각목이 곧 목재수장(170)이 되고 목판(273)이 비내력벽(270b)의 벽체표면재가 된다. 벽체패널의 채움재(273)로는 경량 황토콘크리트가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에 대한 상세도로서, 바닥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통구조의 위해 바닥마감(210)의 뜬바닥 구조를 제안하는데, 도 6에서는 뜬바닥 구조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다. 뜬바닥 구조를 위해 바닥마감(210)은, 바닥슬래브(110) 위에 띄엄띄엄 고정 설치되는 완충패드(211); 완충패드(211) 위에 설치되는 차음패널(212); 차음패널(212) 위에 시공되는 황토몰탈 및/또는 황토패널에 의한 황토바닥(213); 황토바닥(213) 위에 시공되는 전통 한식건축재료에 의한 바닥표면재(214);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패드(211)와 차음패널(212)을 통해 충격음을 차단하면서 뜬바닥 구조를 실현하고, 황토바닥(213)과 바닥표면재(214)를 통해 한식 바닥을 실현한 것이다. 완충패드(211)는 30x60x90mm 규격의 것을 @600 간격으로 설치하면 적당하며, 바닥슬래브(110) 위에 완충패드(211)의 설치간격으로 수평고름 몰탈을 반원구 형상으로 만든 상태에서 차음패널(212) 하부에 나사못으로 고정설치한 상태로 차음패널(212)의 수평레벨을 맞추면서 설치하면 적당하다. 더불어 황토몰탈에 의한 황토바닥(213)으로 다시 한번 수평레벨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황토바닥(213)에는 난방배관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 6에서는 황토몰탈(213a), 부직포(213b), 황토패널(213c)의 적층구조로 황토바닥(213)을 완성하고, 황토패널(213c)에 난방배관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바닥마감(210)에 덕트박스(2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덕트박스(215)는 동일한 RC거더(130) 아래에 위치한 RC내민내력벽체(150) 사이 위치에서 바닥슬래브(110) 위에 고정 설치되며, 덕트박스(215) 위로는 황토바닥(213) 위에 시공된 바닥표면재(214)가 이어져 시공된다. 덕트박스(215)는 난방공급, 퇴수관, 전기, 통신선 등의 설비배관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차음패널(212)을 설치할 때 동시에 세팅하여 수평고름 몰탈로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이 덕트박스(215)가 바닥마감(210)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비배관의 수시점검과 개보수가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가 적용되어 완성된 한식건축물의 이미지 스케치 도면으로, 3층의 한식건축물로 설계한 예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층간구조를 시공한 후에 지붕을 기와지붕으로 마무리하면 복층의 한식건축물이 완성된다. 다만 최상층의 경우에는 작은보(140)와 천장슬래브(160)를 생략하는 대신에 RC거더(130)의 외피에 마감처리하면서 기와지붕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와지붕에는 태양열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데, 경사의 기와 지붕면에 태양열 집열판을 설치한 후 유리기와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계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바닥슬래브
120: PC기둥(미표시 부호)
120a: 주각
120b: 기둥본체
120c: 주두
121: 중공
121a, 121c: 연통구멍
122: 보강띠
123: 황토몰탈코팅
130: RC거더
132: 연결봉
140: 작은 보
150: RC내민내력벽체
160: 천장슬래브
131, 151: 영구거푸집
170: 목재수장
210: 바닥마감
211: 완충패드
212: 차음패널
213: 황토바닥
214: 바닥표면재
215: 덕트박스
220: 기둥마감
250: 벽체마감
260: 천장마감
270a: 창호
270b: 비내력벽

Claims (11)

  1.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로서,
    RC 또는 PC로 시공되는 바닥슬래브(110);
    상부가 단면이 넓어지는 주두(120c)로 마련되도록 제작된 PC기둥부재로, 상기 바닥슬래브(110) 위 기둥 위치에 설치되는 PC기둥(120);
    상기 PC기둥의 주두(120c) 사이를 연결하도록 시공되되, 영구거푸집(131)을 이용하면서 시공되는 RC거더(130);
    상기 PC기둥(120) 아래 상기 PC기둥(120) 측면에서 PC기둥의 주두(120c)보다 돌출되는 길이로 내밀어 나와 PC기둥의 주두(120c)와 RC거더(130)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시공되되, 영구거푸집(151)을 이용하면서 시공되는 RC내민내력벽체(150);
    상기 RC거더(13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시공되는 작은보(140);
    상기 PC기둥의 주두(120c), RC거더(130) 및 작은보(140) 위에, 영구거푸집을 이용하면서 RC로 시공되거나 PC로 시공되는 천장슬래브(160);로 구성되는 골조구성재;와,
    상기 바닥슬래브(110) 위에 설치 시공되는 바닥마감(210);
    상기 PC기둥(120)의 외피에 시공되는 기둥마감(220);
    상기 RC내민내력벽체(150)의 외피에 시공되는 벽체마감(250);
    상기 RC거더(130)와 작은보(140) 아래에 시공되는 천장마감(260);으로 구성되는 마감구성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마감구성재의 바닥마감(210), 기둥마감(220), 벽체마감(250), 천장마감(260)은, 목판 또는 황토미장에 의한 표면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PC기둥(120)은,
    상기 바닥슬래브(110) 위 기둥 위치에 설치되는 소켓형 주각(120a);
    상기 소켓형 주각(120a) 위에 끼워 맞춤 설치되는 기둥본체(120b);
    상기 기둥본체(120b) 위에 끼워 맞춤 설치되는 소켓형 주두(12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PC기둥(120)은 중공형 PC부재이며,
    상기 바닥마감(210)은 뜬바닥 구조로 시공되며,
    상기 PC기둥의 중공(121)이, 천장마감(260) 위 공간 및 바닥마감(210) 아래 공간과 연통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PC기둥(120)은, 내주면이 황토몰탈코팅(123)으로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바닥마감(210)은,
    상기 바닥슬래브(110) 위에 띄엄띄엄 고정 설치되는 완충패드(211);
    상기 완충패드(211) 위에 설치되는 차음패널(212);
    상기 차음패널(212) 위에 시공되는 황토몰탈 또는 황토패널에 의한 황토바닥(213);
    상기 황토바닥(213) 위에 목판 또는 황토미장으로 시공되는 바닥표면재(21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바닥마감(210)은,
    동일한 RC거더(130) 아래에 위치한 RC내민내력벽체(150) 사이 위치에서, 상기 바닥슬래브(110) 위에 고정 설치되는 덕트박스(2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바닥표면재(214)가 상기 덕트박스(215) 위에까지 이어지게 시공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RC거더(130)는, 연결봉(132)에 의해 PC기둥의 주두(120c)에 정착되어 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RC내민내력벽체용 영구거푸집(151)과 벽체마감(250)은,
    목판 또는 황토미장에 의한 표면재를 포함하는 일체 구조로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9. 제8항에서,
    상기 RC내민내력벽체용 영구거푸집(151)과 벽체마감(250)의 일체 구조는,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마구리 각목(251);
    상기 한 쌍의 마구리 각목(251) 사이에서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단열보드(252);
    상기 한 쌍의 마구리 각목(252) 사이에서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목판(253);
    으로 구성되어 상기 목판(253)이 표면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골조구성재는, 동일한 RC거더(130) 아래에 위치한 RC내민내력벽체(150) 사이에 설치되는 목재수장(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구성재는, 상기 목재수장(170)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270a) 또는 비내력벽(270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비내력벽(270b)은, 목판 또는 황토미장에 의한 표면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11. 제10항에서,
    상기 목재수장(170)과 비내력벽(270b)은,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마구리 각목;
    상기 한 쌍의 마구리 각목 사이에서 양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목판(273);
    상기 양 목판의 내측면 설치된 단열보드(272);
    단열보드 사이 공간에 채워진 채움재(271);
    로 구성되어 상기 각목이 목재수장(170)이 되고 상기 목판(273)이 표면재가 됨으로써 목재수장(170)과 비내력벽(270b)이 일체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KR1020110077801A 2011-08-04 2011-08-04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KR10138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01A KR101387602B1 (ko) 2011-08-04 2011-08-04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01A KR101387602B1 (ko) 2011-08-04 2011-08-04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675A KR20130015675A (ko) 2013-02-14
KR101387602B1 true KR101387602B1 (ko) 2014-05-22

Family

ID=4789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801A KR101387602B1 (ko) 2011-08-04 2011-08-04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532A1 (ko) * 2018-04-03 2019-10-10 박대융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349B1 (ko) * 2020-07-08 2022-11-09 염민석 저온물류창고에서 결로 및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공법용 통기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pc 슬래브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618A (ko) * 2004-09-10 2006-03-15 홍원기 Frp 구조체를 이용한 중공형 프리캐스트 기둥 및 이의연결구조
KR100779025B1 (ko) 2005-07-13 2007-11-23 허만욱 전통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080088781A (ko) * 2007-03-30 2008-10-06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한옥의 벽체구조
KR20100130630A (ko) * 2008-04-01 2010-12-13 인스티튜트 오브 인터내셔널 인바이런먼트 건물의 건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618A (ko) * 2004-09-10 2006-03-15 홍원기 Frp 구조체를 이용한 중공형 프리캐스트 기둥 및 이의연결구조
KR100779025B1 (ko) 2005-07-13 2007-11-23 허만욱 전통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080088781A (ko) * 2007-03-30 2008-10-06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한옥의 벽체구조
KR20100130630A (ko) * 2008-04-01 2010-12-13 인스티튜트 오브 인터내셔널 인바이런먼트 건물의 건축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100779025 B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532A1 (ko) * 2018-04-03 2019-10-10 박대융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RU2747411C1 (ru) * 2018-04-03 2021-05-04 Дае Йеунг ПАРК Проек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квартирного дома мезонетного типа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шума между этажами и допущения легк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US11142922B2 (en) 2018-04-03 2021-10-12 Dae Yeung Park Maisonette type apartment house desig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allowing easy remode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675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1708B2 (en) Prefabricated insulated building panel with cured cementitious layer bonded to insulation
WO2017101556A1 (zh) 一种集装箱型组合房屋及其建造方法
KR100934458B1 (ko) 철골구조가 적용된 한식 건축물과 그 건축방법
US8607523B2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US20070227086A1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US6779314B1 (en) Structure formed of foaming cement and lightweight steel, and a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the structure system
WO2017036185A1 (zh) 铝合金房屋
US2020023220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portable building foundation platform with modular components
KR20140005532U (ko) 조립식 철골 중공(中空)단열건축
CN201180312Y (zh) 一种拼装轻体房屋
US8122657B2 (en) Metal “log” buildings with rigid insulation
KR101387602B1 (ko)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JP36210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RU80486U1 (ru)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ое и экологичное здание
KR102089751B1 (ko)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을 이용한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 및 그 내장구조
CN110397158A (zh) 一种箱板钢结构装配式建筑系统
KR101219873B1 (ko) 구조체의 발포폼 충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법
CN110512900B (zh) 一种装配式绿色藏族碉房及其建造方法
JP200632880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体を用いる外断熱プレストレスト建物の構築方法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JP4063831B2 (ja) 外断熱プレストレスト建築用構造体
RU105652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варианты)
Patil et al. Fibre cement boards, an alternative to brick walls
CN113818601A (zh) 轻质组合整体式预制内隔墙及加工方法
CN111794369A (zh) 一种建筑结构及装配式空腹钢结构构成的集成房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