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630A - 건물의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630A
KR20100130630A KR1020107023504A KR20107023504A KR20100130630A KR 20100130630 A KR20100130630 A KR 20100130630A KR 1020107023504 A KR1020107023504 A KR 1020107023504A KR 20107023504 A KR20107023504 A KR 20107023504A KR 20100130630 A KR20100130630 A KR 20100130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a
beams
steel
pilla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033B1 (ko
Inventor
케이조 사타카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오브 인터내셔널 인바이런먼트
케이조 사타카
르네이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오브 인터내셔널 인바이런먼트, 케이조 사타카, 르네이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오브 인터내셔널 인바이런먼트
Publication of KR2010013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6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the elements being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04B1/340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6Connection n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8Connections between open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에 위치하는 건물 실내의 천장 높이 치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한다.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PCa 기둥부재 위의 X방향 및 Y방향으로 PCa 순들보를 배치하는 공정, 인접한 위층의 PCa 기둥부재 위의 X방향 및 Y방향으로 PCa 역들보를 배치하는 공정, 상기 공정의 PCa 순들보 및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에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Description

건물의 건축방법{Constructing Method of Building}
본 발명은 저층부터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면서 상하 인접층에서 실내공간의 천장높이를 다르게 건축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인접하는 상하층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한 건물 건축방법으로, 순들보와 역들보, 이들과 일체화되는 기둥의 연결위치를 미리 공장에서 특정하여 시공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완성된 건물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건물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집합주택, 사무용 건물, 상가 건물, 특수 건물 혹은 이들의 조합 건물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이하, 이러한 것들을 총칭하여 건물이라 함)은, 상하층의 슬래브 사이 치수가 동일하여 각 건물의 층높이는 동일한 치수로 구성되고, 각 건물의 천장높이도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한 각 건물의 실내공간으로 이루어진 천장높이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슬래브와 천장 혹은 슬래브와 바닥 사이에 적절 천장높이에 영향을 주는 공간을 형성하여 대응해왔다.
따라서, 천장높이를 유효하게 확보하고 동시에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가 다른 천장이 있는 실내 공간을 건물의 건축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고려한 건축방법은 없었다.
건물의 구조형태에서 파악하면, 바닥구조 들보를 역들보 구조로 하는 예는 이미 알려져 있다. 해당 역들보 공법은 슬래브의 윗면이 되는 위치에 들보를 건축하는 공법인데, 이러한 공법을 채용하는 이유는 도 12의 종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마감(A)의 배치면으로 하여 슬래브와 바닥마감 사이에 생기는 공간(B)을 마루 밑 수납공간이나 각종 설비기구의 배관 및 배선공간으로 하거나 천장(C)에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들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천장의 일부가 낮아지는 단이 있는 천장이 아니라 평평한(flat) 천장으로 하는 것이 슬래브를 건축하는 단계에서 가능한 것이 주요 요인이었다.
더욱이 상기 역들보 공법은 단순히 일정한 층만 채용하거나 건물 전체에 채용하여 건축하기 때문에 역들보에 의해 형성되는 슬래브와 순들보로 형성되는 슬래브를 인접하는 상하층에 서로 번갈아 배치한다고 하는 양자 간에 상대적 관련성을 갖도록 건물을 건축하려는 생각이 없고,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에서 천장높이에 변화를 주는 건축방법이 없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5-13986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평11-50527호 공보
본 발명은 인접하는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건축함에도 불구하고,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에 위치하는 건물 실내의 천장높이 치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응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한다.
또, 상하방향에서 순들보 슬래브 사이에 위치하는 슬래브는 역들보 슬래브가 되고, 역들보 슬래브 아래에 위치하는 실내공간은 천장높이가 위쪽에 위치하는 실내공간보다 낮아지지만 층높이가 일정 높이 확보되는 것 및 천장과 바닥의 양쪽 면이 평평한(flat) 면이 되어 상하 양면에 요철이 없는 실내공간을 얻을 수 있어, 유효한 천장높이를 확보할 수 있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층의 실내공간은 바닥이 역들보 슬래브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하고 천장이 순들보 슬래브에 의해 위쪽에 위치하게 되며, 이들 슬래브면을 바닥 및 천장의 마감면으로 하여 천장 높이가 높은 실내공간을 얻을 수 있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상하층 어느 쪽이든 천장 높이를 높게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하고 풍부한 입체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천장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각 실내공간을 복층으로 하고 필요한 바닥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어 유효한 입체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인접하는 상하층은 다른 실내공간을 얻기 위한 건물의 건축을 건축현장의 현장시공에만 의존하면 순들보와 역들보의 위치관계에 오류가 생길 뿐 아니라 현장시공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이하 PCa라 함)와 철골로 순들보 및 역들보가 위치하는 접합부 위치를 미리 공장에서 결정하여 이들 자재를 제조하여, 현장 작업은 주로 조립시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PCa 기둥부재를 고정하고,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PCa 순들보 상단과 PCa 역들보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측단부와 PCa 역들보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철골기둥부재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철골 순들보 상단과 철골 역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철골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상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PCa 기둥부재를 고정하고,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며,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PCa 역들보 상단과 PCa 순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상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철골기둥부재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철골 역들보의 상단과 철골 순들보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 중간에 PCa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배치하고, PCa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PCa 순들보의 상단과 PCa 역들보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중간에 철골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배치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철골 순들보 상단과 철골 역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역들보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상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의 중간에 PCa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배치하고, PCa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PCa 역들보 상단과 PCa 순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측단부와 PCa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상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중간에 철골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배치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철골 역들보 상단과 철골 순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측단부와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있어서, 바람통로 혹은 에코시스템을 위한 공간을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은 작업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있어서, 높이가 높은 실내공간의 일부 혹은 전부를 2층 또는 3층이 되도록 바닥을 건축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작업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있어서, 태양광이 드는 쪽에 위치하는 들보의 바깥쪽 전방에 태양전지판을 배치하여 태양전지판으로 얻은 태양에너지를 상기 주택공간의 상이한 높이에 의해 얻어진 높은 입체공간을 이용하여 건축한 물건수납공간에 설치한 축전장치와 배선접속하여 전기에너지화하여 축전하고, 각 주택에서 축전에너지를 주거공간 내 각종 부하기기에 공급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축전장치는 축전지, 제어장치 및 배전반으로 이루어지고, 타이머로 일정 시간대에 주택공간 내 각종 부하기기에 축전에너지를 공급하는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전장치의 축전수단을 리튬전지로 한 건물의 건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물 건축방법은 상하층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천장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건축방법으로, PCa 부재 혹은 철골 부재로 상기 실내공간을 얻기 위해 미리 공장에서 순들보와 역들보의 설치위치에 각각의 접합부를 결정하고, 그 접합부 위치를 이용하여 조기에 건물을 건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교차하여 출현하게 되는데, 그 설치위치는 미리 제조된 접합부의 위치에 의해 자연스럽게 결정되기 때문에, 시공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현장 시공업자가 망설이는 일이 없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현장작업은 주로 조립작업으로 한 건축방법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건물의 건축방법으로 만들어진 건물은 외관은 종래와 같더라도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천장 높이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넉넉한 실내공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완성상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한 실시예인 PCa 부재에 의한 1층 부분의 건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다른 실시예인 PCa 부재에 의한 다른 1층 부분의 건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다른 실시예인 PCa 부재에 의한 2층의 건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다른 실시예인 철골 부재에 의한 1층 부분의 건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철골 부재의 기둥과 들보의 접합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인 철골 부재에 의한 다른 1층 부분의 건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다른 실시예인 철골 부재에 의한 2층 건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완성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완성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을 이용한 축전설비의 개략단면도
도 12는 건물의 종래예의 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중층건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건축방법으로 건축된 건물(1)은 지하 1층, 지상 8층의 건물로서, 지하 1층 및 1층은 주차장, 현관 및 관련 공간, 2~8층의 기준층은 주거공간과 사무실로 사용된다.
지하 1층 주차장은 기계식 2층 주차장이고, 1층은 위층으로 올라가기 위한 현관(2), 계단(3), 엘리베이터(4), 지하 1층 주차장으로 가는 턴테이블 공간 및 주차장(5)이 설치되어 있다.
기준층은 계단(3), 엘리베이터(4) 및 전면 홀과 통로가 되는 공용공간(6)으로 되어 있다. 공용공간(6)을 사이에 두고 각 개별공간(7)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건물(1)의 구조계획에 있어서, 경제성 및 외관상 지하층과 1층을 제외한 기준층의 상하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H)는 일정하다.
1층 바닥슬래브(8)와 땅속 들보(9)는 T자 들보가 되도록 순들보 형태로 건축되고, 바닥슬래브(8)의 마감표면과 땅속 들보(9)의 마감 최상단부는 단차가 없도록 마감한다. 2층 공간의 바닥슬래브(10)의 아랫면과 1층 들보(11)의 아랫면 역시 단차가 없는 역들보 형태로 건축된다.
그리고 3층 공간이 되는 바닥슬래브(12)와 2층의 들보(13)는 순들보 형태로 건축되고, 바닥슬래브(12)의 표면과 들보(13)의 마감 최상단부는 단차 없이 마감하고, 4층 공간의 바닥슬래브(14)와 3층 들보(15)는 역들보 형태로 건축된다.
이와 같이 순들보 형태의 슬래브와 역들보 형태의 슬래브를 인접 상하층에 번갈아 건축하고 있다. 따라서, 각층의 들보 최상단부 사이 치수가 동일하더라도, 예컨대 3층과 4층을 예로 들면 각층의 슬래브 사이 치수(H1,H2)는 다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층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 치수(H)를 동일하게 하고, 짝수층 바닥슬래브를 역들보 형태의 바닥으로 건축하여 짝수층 슬래브 사이 치수(H2)는 크고, 홀수층 바닥슬래브를 순들보 형태의 바닥으로 건축해 홀수층 슬래브 사이 치수는 짝수층 슬래브 사이 치수보다 작게 한다.
이하, 상기 건물(1)을 건축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건축방법에서 채용하는 각 부재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러한 각 부재는 사전에 공장에서 PCa 부재로 제조한 것이다. 도 2는 PCa 기둥(16)과 PCa 들보(17,18)의 접합부의 사시도이다. PCa 기둥(16) 상단에는 철근(19)이 위로 돌출되어있고, 철근(19)은 기둥(16) 위에 얹어진 채 고정되는 PCa 순들보(17,18)를 건축하기 위한 PCa 기둥-들보 접합부(20)의 관통공(21)을 관통하여,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PCa 기둥(22) 아래쪽 홈을 관통하게 된다.
PCa 들보(17,18)는 주로 횡방향(한 채의 길이) 및 종방향(대들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이하 편의상 X방향 및 Y방향이라 한다.
PCa 기둥-들보 접합부(20)는 기둥(16)에 얹혀지는 적치부(20a)와, 적치부(20a)에서 X방향인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이음부(20b,20c)로 이루어진다. 이음부(20b,20c)의 양끝에는 X방향인 PCa 순들보(17)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3a,23b)가 각기 돌출되어, PCa 순들보(17)의 양끝에서 돌출된 연결부(24a,24b)와 연결된다.
PCa 기둥(16) 상단에는 보강부(25)를 돌출구성하여 Y방향으로 배치되는 PCa 순들보(18)의 단부(26)가 형성되는 한편, PCa 기둥-들보 접합부(20)의 적치부(20a)나 보강부(25)에 설치된 연결구와 PCa 순들보(18)의 끝에 설치된 연결구를 볼트나 핀 혹은 용접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한다.
상기 PCa 기둥(16), PCa 기둥-들보 접합부(20), X방향의 PCa 순들보(17) 및 Y방향의 PCa 순들보(18)로 건물의 골조가 건축된다. 상기 PCa 기둥-들보 접합부(20)의 연결부(23a,23b)는 아래쪽에서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PCa 순들보(17)를 위쪽에서 설치 고정하기 위함이다. 또, 연결부(23a,23b)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높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각각은 보조 금속장치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하는데, 대응하는 한쪽에 돌출 철골을 설치, 다른 쪽에는 돌출 철골이 끼워지도록 하고 양자를 콘크리트나 모르타르(회반죽, mortar) 혹은 슬리브(sleeve) 등으로 연결해도 된다.
상기 PCa 순들보(17,18) 위에 바닥슬래브(27)를 설치한다. PCa 순들보(17,18)의 들보 상단 사이에 걸치듯이 바닥슬래브(27)를 건축한다. ALC판 등으로 이루어진 마루판의 부설, 덱 플레이트(deck plate) 등을 사용한 바닥마감 등으로 바닥슬래브(27)를 만든다.
상기 PCa 순들보(17) 및 PCa 기둥-들보 접합부(20)의 이음부(20b,20c)의 측벽 위쪽에서 바닥슬래브를 건축하기 위한 연결부(28,29a,29b)를 각각 Y방향으로 돌출시키고, Y방향의 PCa 순들보(18) 위쪽에서도 연결부(30a,30b)를 X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연결부(28,29a,29b,30a,30b) 등을 이용하여 X방향의 PCa 순들보(17)와 Y방향의 PCa 순들보(18)로 둘러싸인 순들보 쪽의 바닥슬래브(27)를 건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PCa 기둥(16) 위의 PCa 기둥-들보 접합부(20)의 관통공(21)을 관통하여 위로 돌출된 철근(19)은 PCa 기둥-들보 접합부(20) 위에 위치하는 위층의 PCa 기둥(22)과 연결된다. PCa 기둥(22) 아래에 형성된 홈에 철근(19)을 삽입, 철근(19)과 홈 사이를 충전재로 충전고정하여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은 PCa 기둥(22) 측벽에 형성된 홈이나 PCa 기둥-들보 접합부(20) 쪽에서 할 수 있다. 또, 보조 금속장치나 연결구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3은 상기 위쪽 PCa 기둥(22)과 PCa 역들보(31,32)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PCa 기둥(22)의 상단에는 철근(33)이 돌출되고, 철근(33)은 PCa 기둥(22) 위에 얹어진 채 고정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34)의 관통공(35)을 관통하여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PCa 기둥(36)의 아래쪽 홈을 관통하게 된다.
PCa 기둥-들보 접합부(34)는 적치부(34a)와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이음부(34b,34c)로 구성되고, 이음부(34b,34c) 끝에는 PCa 역들보(31)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7a,37b)가 각기 돌출되어, PCa 역들보(31) 양끝에서 돌출한 연결부(38a,38b)와 연결된다.
해당 PCa 기둥(22)의 상단에는 보강부(39)를 돌출구성하고, Y방향으로 배치되는 PCa 역들보(32)의 단부(40)가 형성되는 한편 PCa 기둥-들보 접합부(34)의 적치부(34a)나 보강부(39)에 설치된 연결구와 PCa 역들보(32) 끝에 설치된 연결구를 볼트나 핀 혹은 용접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한다. 상기 PCa 역들보(31,32)는 PCa 순들보(17,18) 상단과 PCa 역들보(31,32)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PCa 기둥(22) 및 PCa 기둥-들보 접합부(34), X방향의 PCa 역들보(31) 및 Y방향의 PCa 역들보(32)로 건물의 골조가 건축된다. 대응하는 부재의 연결은 돌출된 연결구끼리 연결하는 것 외에도, 한쪽의 돌출된 철근을 다른 쪽 부재에 삽입하여 콘크리트나 모르타르(회반죽, mortar) 혹은 슬리브(sleeve) 등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PCa 역들보(31,32) 아래쪽에 바닥슬래브(41)를 건축한다. PCa 역들보(31,32)의 들보 하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닥슬래브(41)를 건축한다. ALC판 등으로 이루어진 마루판의 설치, 덱 플레이트(deck plate) 등을 사용한 바닥마감 등에 의해 바닥슬래브(41)를 건축한다.
상기 PCa 역들보(31) 및 PCa 기둥-들보 접합부(34)의 이음부(34b,34c)의 측벽 아래쪽에는 바닥슬래브를 건축하기 위한 연결부(42,43a,43b)를 설치, Y방향의 PCa 역들보(32)의 측벽 아래쪽에도 연결부(44a,44b)를 X방향으로 돌출시킨다. 보강부(39) 및 연결부(42,43a,43b,44a,44b)를 이용하여 X방향의 PCa 역들보(31)와 Y방향의 PCa 역들보(32)로 둘러싸인 역들보 쪽 바닥슬래브(41)를 건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PCa 기둥-들보 접합부(34)의 관통공(35)을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된 철근(33)은 PCa 기둥-들보 접합부(34) 위에 위치하는 위층의 PCa 기둥(36)과 연결된다.
상기 PCa 기둥, PCa 기둥-들보 접합부 및 PCa 순들보, PCa 역들보 및 바닥슬래브의 건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에 높이가 다른 실내공간을 번갈아 만들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PCa 순들보를 최하층으로 하고 있지만, PCa 역들보를 최하층으로 건축하는 것도 가능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실시예 2
도 4는 PCa 기둥(45)을 상하 2층에 걸친 긴 부재를 사용하여 건물을 건축한 것이다. PCa 기둥(45)의 긴 방향의 중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46)를 설치한다. 중간의 PCa 기둥-들보 접합부(46)에는 X방향인 좌우에 이음부(46a,46b)를 각각 돌출형성한다. 이음부(46a,46b) 끝에서 PCa 순들보(47)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8a,48b)가 돌출되어 PCa 순들보(47)의 양끝에서 돌출된 연결부(49a,49b)와 연결된다.
PCa 기둥(45)의 상단에는 보강부(50)를 돌출구성하고, Y방향으로 배치되는 PCa 순들보(51)의 단부(52)가 형성되고, 또 PCa 기둥-들보 접합부(46)나 보강부(50)에 설치된 연결구와 PCa 순들보(51)의 단부(52)에 설치된 연결구를 볼트나 핀 혹은 용접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한다.
상기 PCa 기둥(45) 및 X방향의 PCa 순들보(47) 및 Y방향의 PCa 순들보(51)에 의해 1층에 해당하는 부분의 골조가 건축된다.
상기 PCa 기둥-들보 접합부(46)로부터 위로 연장한 긴 PCa 기둥(45)의 상단에서 철근(53)이 돌출되고, 철근(53)은 PCa 기둥(45) 위에 얹어진 채 고정되는 PCa 역들보를 건축하기 위하여 PCa 기둥-들보 접합부(54)의 관통공(55)을 관통하고, 위층에 위치하는 다른 PCa 기둥의 아래쪽 홈을 관통하여 보강금속장치나 연결장치 등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다.
PCa 기둥-들보 접합부(54)는 중앙의 적치부(54a)와 X방향 좌우에서 돌출된 이음부(54b,54c)로 구성되고, 이음부(54b,54c) 끝에는 X방향의 PCa 역들보(56)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7a,57b)가 각각 돌출되고, PCa 역들보(56)의 양끝에서 돌출된 연결부(58a,58b)와 연결된다.
PCa 기둥(45) 상단에는 보강부(59)를 돌출구성하고, Y방향으로 배치되는 PCa 역들보(60)의 단부(61)가 형성되고, 또 PCa 기둥-들보 접합부(54) 중앙의 적치부(54a)나 보강부(59)에 설치된 연결구와 PCa 역들보(60) 단부(61)에 설치된 연결구를 볼트나 핀 혹은 용접 등으로 PCa 기둥(45)과 PCa 역들보(60)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PCa 역들보(56,60)는 PCa 순들보(47,51) 상단과 PCa 역들보(56,60)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PCa 기둥(45) 및 X방향의 PCa 순들보(47), PCa 역들보(56) 및 Y방향의 PCa 순들보(51), PCa 역들보(60)에 의해 2개층의 건물 골조가 건축된다. 대응하는 부재의 연결은 돌출된 연결구끼리 연결하는 것 외에, 한쪽의 돌출된 철근을 다른 쪽 부재에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나 모르타르(회반죽, mortar) 혹은 슬리브 등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골조의 시공 후, 혹은 아래층의 순들보 시공 후나 이들의 동시 시공에 의해 바닥슬래브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PCa 순들보(47,51) 위에 바닥슬래브(62)를 건축한다. 바닥슬래브(62)는 PCa 순들보(47,51)의 상단 사이에 걸쳐진다. ALC판 등으로 이루어진 마루판의 부설, 덱 플레이트(deck plate) 등을 사용한 바닥마감 등에 의해 바닥슬래브(62)를 건축한다.
또, 상기 아래층의 PCa 순들보(47) 및 PCa 기둥-들보 접합부(46)의 이음부 각각의 측벽 위쪽에서 Y방향으로 바닥슬래브용 연결부(63,64a,64b)가 각각 돌출되고, Y방향의 PCa 순들보(51)의 위쪽 측벽에서도 연결부(65a,65b)를 X방향으로 각각 돌출시킨다. 연결부(63,64a,64b,65a,65b)를 이용하여 X방향의 PCa 순들보(47)와 Y방향의 PCa 순들보(51)로 둘러싸인 공간을 PCa 순들보 쪽의 바닥슬래브(62)로 건축한다.
이어서, 위와 마찬가지로, 위층의 PCa 역들보(56,60) 아래에 바닥슬래브(66)를 건축한다. PCa 역들보(56,60)의 들보 하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바닥슬래브(66)를 건축한다. ALC판 등으로 이루어진 마루판의 설치, 덱 플레이트(deck plate) 등을 사용한 바닥마감 등으로 바닥슬래브(66)를 건축한다.
상기 위층의 PCa 역들보(56) 및 PCa 기둥-들보 접합부(54)의 이음부 측벽의 아래쪽에서 Y방향으로 바닥슬래브용 연결부(67,68a,68b)를 설치, Y방향의 PCa 역들보(60)의 측벽 아래쪽에서도 연결부(69a,69b)를 X방향으로 각각 돌출시킨다. 연결부(67,68a,68b,69a,69b)를 이용하여 X방향의 PCa 역들보(56)와 Y방향의 PCa 역들보(60)로 둘러싸인 공간을 PCa 역들보 쪽의 바닥슬래브(66)로 건축하게 된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방법의 각 부재를 철골로 한 철골기둥과 철골 들보의 접합부 및 이러한 것에 의한 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철골기둥(70)은 H형 강철로 하고, 그 위에는 순들보를 건축하기 위한 들보 접합부(71)가 형성된다. 기둥-들보 접합부(71)는 철골기둥(70)에 일체로 설치되고, X방향이 되는 좌우에는 이음부(71a,71b)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도 5에는 철골기둥(70)이 되는 H형 강철의 양 플랜지 쪽에서 각각 H형 강철이 돌출되어 이음부(71a,71b)를 형성한다.
상기 좌우 이음부(71a,71b)는 각각 X방향의 철골 순들보(72)와 연결되는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판(73)과 웹플레이트(web plate)(74)를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연결한다.
기둥-들보 접합부(71)에서 Y방향으로 연결부(71c)가 돌출되어 있다. 위와 동일하게 철골기둥(70)이 되는 H형 강철의 웹(web) 쪽에 H형 강철을 돌출시켜 이음부(71c)를 일체 형성한다.
Y방향으로 돌출된 이음부(71c)에 Y방향의 철골 순들보(75)를 연결하는데, 마찬가지로 플랜지판(73)과 웹플레이트(74)를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연결한다.
상기 철골기둥(70)에 대해 X방향 및 Y방향의 철골 순들보(72,75)에 의해 건물의 골조가 건축된다. 철골 순들보(72,75)의 플랜지 위에 ALC판 등으로 이루어진 마루판을 부설, 덱 플레이트(deck plate) 등을 사용하여 바닥마감 혹은 그 외 다른 것으로 X방향의 철골 순들보(72)와 Y방향의 철골 순들보(75)로 둘러싸인 순들보 쪽 바닥슬래브(76)를 건축하게 된다.
상기 철골기둥(70) 상단에는 기둥-들보 접합부(71)의 이음부(71d)와 위층의 철골기둥(77)이 연결된다. 상기 들보의 연결방법과 같이 플랜지판 및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7은 상기 위쪽 철골기둥(77)과 철골 역들보(78,79)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철골기둥(77) 위쪽에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0)가 형성된다.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0)는 좌우로 이음부(80a,80b)가 각각 돌출되어, 플랜지판과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철골 역들보(78)의 양끝과 연결한다.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0)에서 Y방향으로는 다른 이음부(80c)가 돌출되고, 이 이음부(80c)는 Y방향으로 배치된 철골 역들보(79)의 끝과 플랜지판 및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연결한다. 상기 철골 역들보(78,79)는 철골 순들보(72,75)의 상단과 철골 역들보(78,79)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상기 철골기둥(77) 및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0)와 X방향의 철골 역들보(78) 및 Y방향의 철골 역들보(79)에 의해 건물의 골조가 건축된다.
상기 철골 역들보(78) 및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0) 아래쪽과 Y방향 철골 역들보(79) 아래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역들보 쪽 바닥슬래브(81)를 건축한다.
상기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0) 위쪽에 위치하는 이음부(80d)는 위층 철골기둥(82)과 연결된다.
상기 철골기둥,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및 철골 순들보, 철골 역들보와 바닥슬래브 건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에 높이가 다른 실내공간을 번갈아 출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는 철골 순들보를 최하층으로 하고 있지만, 철골 역들보를 최하층으로 하여 건축할 수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4
도 8은 철골기둥(83)을 상하층으로 하는 2층에 걸친 긴 부재를 사용하여 건물을 건축한 것이다. 철골기둥(83)의 긴 방향의 중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4)를 설치한다. 중간의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4)에는 X방향인 좌우로 이음부(84a,84b)를 각각 돌출형성하고 있다. 이음부(84a,84b) 끝은 플랜지판 및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철골 순들보(85)의 양끝과 연결한다.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4)에서 Y방향으로 이음부(84c)가 돌출되고, 이음부(84c)는 Y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골 순들보(86)의 끝과 플랜지판 및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연결된다.
상기 철골기둥(83) 및 X방향의 철골 순들보(85)와 Y방향의 철골 순들보(86)에 의해 1층에 해당되는 부분의 골조가 건축된다.
상기 긴 철골기둥(83)의 위는 철골 역들보를 건축하기 위한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7)와 연결된다.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7)는 좌우에서 X방향으로 돌출된 이음부(87a,87b) 끝과 X방향의 철골 역들보(88)를 플랜지판 및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연결한다.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7) 중앙에서 Y방향으로 이음부(87c)가 돌출되고, 이음부(87c)는 Y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골 역들보(89)의 끝과 플랜지판 및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연결된다. 상기 철골 역들보(88,89)는 철골 순들보(85,86) 상단과 철골 역들보(88,89)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한다.
상기 철골기둥(83) 및 X방향의 철골 순들보(85), 철골 역들보(88)와 Y방향의 철골 순들보(86), 철골 역들보(89)에 의해 2개층의 건물의 골조가 건축된다.
상기 골조의 시공 후 또는 아래층 철골 순들보의 시공 후나 동시 시공에 의해 바닥슬래브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아래층의 X방향의 철골 순들보(85) 및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4)의 이음부(84a,84b) 위쪽, Y방향의 철골 순들보(86) 및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4)의 이음부(84c) 위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철골 순들보 쪽 바닥슬래브(90)로 건축한다.
이어서, 상기 위층의 X방향의 철골 역들보(88) 및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7)의 이음부(87a,87b)의 아래쪽, Y방향의 철골 역들보(89) 및 철골기둥-들보 접합부(87)의 이음부(87c)로 둘러싸인 공간을 철골 역들보 쪽 바닥슬래브(91)로 건축한다.
상기 철골기둥(83) 위쪽의 기둥-들보 접합부(87)의 이음부(87d)는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철골기둥(92)과 플랜지판 및 웹플레이트 등을 놓아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하여 연결된다.
상기 철골기둥,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및 철골 순들보, 철골 역들보와 바닥슬래브 건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에 높이가 다른 실내공간을 번갈아 출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는 철골 순들보를 최하층으로 하고 있지만, 철골 역들보를 최하층으로 하여 건축할 수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예 2, 4에서는 2층에 걸친 긴 기둥부재를 사용하여 건물을 건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도로사정, 무게, 크레인 등 상황이 허락된다면, 3층에 걸친 긴 기둥부재를 사용하여 순들보, 역들보, 순들보 혹은 역들보, 순들보, 역들보의 순서로 반복되는 하나의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둥과 들보의 연결부에 대해서는 여러 방법이 고려될 수 있고, 상기 각 실시예는 그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로 건축된 건물은 실내공간의 높이에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 높이가 낮은 층을 이용해 바람통로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높이를 이용하여 해당 실내에 유효한 바람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높이를 이용하여 해당 공간을 2층으로 하고, 그 아래층을 각종 친환경대책을 위한 수납공간으로 할 수 있다. 친환경대책으로는 각 실내에서 대응가능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처리시스템, CO2를 흡수하여 산소를 배출하는 시스템, 긴급 시 발전설비나 비축수단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한다.
실시예 6
상기와 같이, 천장높이가 높은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바닥면적으로 계산되지 않는 충분한 물품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개별공간이 되는 실내 외부에 설치한 베란다 위의 들보 바깥면 전방 및 베란다 난간에 태양전지판(100,101)을 배치하고, 여기서 얻은 태양에너지를 각 실내공간의 높이가 달라 얻어진 높은 입체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물품수납공간(102)에 설치한 축전설비(103)와 배선접속하여 전기에너지로 축전하고, 그 축전에너지를 각 주택의 각종 전기부하기기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개별공간에서 태양광을 얻을 수 있는 베란다와 발코니 등(이하, 베란다라 한다)의 위쪽 부분이 되는 들보의 바깥면 전방 및 베란다 난간에 태양전지판(100,101)을 배치한다. 위층에 위치하는 베란다 아래에서 막대형태의 물체를 늘어뜨려, 막대형태의 물체 혹은 베란다 밑의 천정이나 좁은 벽면 또는 베란다 끝의 난간 전면에 태양전지판(100,101)을 설치하거나 벽 안에 매립한다. 태양전지판(100,101)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 천장을 높게 하여 얻을 수 있는 마루 밑 물품수납공간(102)에 마련한 축전설비(103)와 배선으로 연결한다.
태양전지판(100,101)에서 베란다 아래 혹은 벽면을 통해 각 개별 실내에 설치된 물품수납공간(102)에 설치된 축전설비(103)에 배선을 연결한다. 축전설비(103)는 제어장치(104)와 접속하고, 제어장치(104)로 전력공급량, 공급시간 및 종래 전력공급과의 전환 등을 제어한다. 한편, 종래 전력도 배전반(105)을 사이에 두고 제어장치(104)와 연결되어, 제어장치(104)에 의해 전력공급량, 공급시간 및 전환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각 개별실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조명기구, 냉장고, TV, 세탁기, 냉난방기구 등 여러 전기부하기구로의 전력 공급을 축전설비(103)에 축적된 전력을 종래 전력으로부터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반대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축전설비(103)의 전지로는 니켈 수소전지 외, 소형 경량으로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온전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축전기는 종래 납 축전기와 같이 크고 무거우며 수명이 짧고 또 납 전극과 황산 등 공해를 발생시키기 쉬운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활성탄과 티탄산 바륨을 주원료로 한 커패시터형 축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전설비(103)는 낮에 얻은 전력을 모아 야간에 공급할 수 있고, 또, 종래 전력이 어떠한 사정으로 공급이 중단되는 비상시에 비상등을 포함한 긴급 시 필요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1 집합주택
2 현관(entrance hall)
3 계단
4 엘리베이터
5 주차장
6 공용공간
7 주택
8 1층 바닥슬래브
9 땅속 들보
10 2층 바닥슬래브
11 1층 들보
12 3층 바닥슬래브
13 2층 들보
14 4층 바닥슬래브
15 3층 들보
16, 22, 36, 45 PCa 기둥
17, 18, 47, 51 PCa 순들보
19, 33, 53 철근
20, 34, 46, 54 PCa 기둥-들보 접합부
20a, 34a, 54a 적치부
20b, 20c, 34b, 34c, 54b, 54c, 71a, 71b, 71c, 71d, 80a, 80b, 80c, 80d, 84a, 84b, 84c, 87a, 87b, 87c, 87d 이음부
21, 55 관통공
23a, 23b, 24a, 24b, 28, 29a, 29b, 30a, 30b, 37a, 37b, 38a, 38b, 42, 43a, 43b, 44a, 44b, 48a, 48b, 49a, 49b, 57a, 57b, 58a, 58b, 63, 64a, 64b, 65a, 65b, 67, 68a, 68b, 69a, 69b 연결부
25, 39, 50, 59 보강부
26, 40, 61 끝
27, 41, 62, 66, 76, 81, 90, 91 바닥슬래브
31, 32, 56, 60 PCa 역들보
70, 77, 82, 83, 92 철골기둥
71, 80, 84, 87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72, 76 철골 순들보
73 플랜지판
74 웹플레이트
78, 79, 88, 89 철골 역들보
100, 101 태양전지판(solar panel)
102 공간
103 축전설비
104 제어장치
105 배전반

Claims (13)

  1.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PCa 기둥부재를 고정하고,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PCa 순들보 상단과 PCa 역들보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측단부와 PCa 역들보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2.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 최상단부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 상하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철골기둥부재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철골 순들보 상단과 철골 역들보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철골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3.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 최상단부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 상하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PCa 기둥부재를 고정하고,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며,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PCa 역들보 상단과 PCa 순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4.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 최상단부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 상하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위에 인접하는 위층의 철골기둥부재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철골 역들보의 상단과 철골 순들보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5.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 중간에 PCa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배치하고, PCa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PCa 순들보의 상단과 PCa 역들보의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며,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6.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상하 들보를 순들보와 역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중간에 철골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배치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철골 순들보 상단과 철골 역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7.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상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PCa 기둥부재의 중간에 PCa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배치하고, PCa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PCa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역들보 사이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PCa 기둥부재 위에 PCa 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PCa 역들보 상단과 PCa 순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측단부와 PCa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PCa 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PCa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PCa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PCa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PCa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PCa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8. 상하층에 위치하는 들보의 최상단부 사이의 치수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상하 들보를 역들보와 순들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반복하여 전체를 건축하는 저층 혹은 중고층 건물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1. 철골기둥부재 중간에 철골 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배치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의 측단부와 철골 역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 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역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역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2. 상기 철골기둥부재 위에 철골기둥-들보 접합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철골 역들보 상단과 철골 순들보 상단 사이의 높이가 아래층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측단부와 순들보의 측단부를 고정하고, 철골기둥-들보 접합부 사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철골 순들보 사이의 옆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골 순들보를 고정하는 공정,
    3. 상기 공정에 의해 철골 역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역들보의 하단을 천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고, 철골 순들보로 둘러싸인 공간은 철골 순들보의 최상단부를 바닥으로 하는 슬래브를 건축하는 공정,
    의 상기 각 공정을 반복하여 인접하는 상하층의 실내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람통로나 에코시스템을 위한 공간을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높이가 높은 실내공간의 일부 혹은 전부를 2개층이나 3개층이 되도록 바닥을 건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태양광을 얻을 수 있는 쪽에 위치하는 들보의 바깥쪽 전방에 태양전지판을 배치하고 태양전지판으로 얻은 태양에너지를 상기 주택공간의 상이한 높이에 의해 얻어진 높은 입체공간을 이용하여 건축한 물건수납공간에 설치한 축전장치와 배선접속하여 전기에너지화 하여 축전하고, 각 주택에서 그 축전에너지를 주택공간 내 각종 전기부하기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축전장치는 축전지, 제어장치 및 배전반으로 이루어지고, 타이머로 일정 시간대에 주택공간 내 각종 전기부하기기에 축전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건축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축전장치의 축전수단을 리튬전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건축방법.
KR1020107023504A 2008-04-01 2008-04-01 건물의 건축방법 KR101411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6453 WO2009122562A1 (ja) 2008-04-01 2008-04-01 建物の構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630A true KR20100130630A (ko) 2010-12-13
KR101411033B1 KR101411033B1 (ko) 2014-06-30

Family

ID=4113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504A KR101411033B1 (ko) 2008-04-01 2008-04-01 건물의 건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57862B2 (ko)
KR (1) KR101411033B1 (ko)
CN (1) CN101999021A (ko)
WO (1) WO20091225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02B1 (ko) * 2011-08-04 2014-05-22 정인철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3221B2 (ja) * 2012-08-24 2015-09-02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付きバルコニー
EP2909387A4 (en) * 2012-10-18 2016-11-23 Merhis Pty Ltd METHODS, SYSTEMS, AND COMPONENTS FOR MULTI-STAGE BUILDING CONSTRUCTION
JP6393498B2 (ja) * 2014-03-27 2018-09-1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柱梁構造、及び柱梁構造の構築方法
CN105113626B (zh) * 2015-08-19 2018-01-05 广西矿建集团有限公司 现浇柱预制梁板结构施工方法
CN105839934B (zh) * 2016-03-17 2017-10-20 浙江省建筑设计研究院 高层建筑顶升纠偏水平限位结构制作方法及制作工具
CN109914668B (zh) * 2019-03-12 2020-10-30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核电厂房屋面防抛起建筑结构
CN116607820B (zh) * 2023-07-18 2023-10-03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楼板主支撑钢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7540A (ja) * 1986-02-24 1987-09-01 清水建設株式会社 建築物の構造体
JPH0699963B2 (ja) * 1988-03-16 1994-12-12 株式会社フジタ プレストレス化rpc工法およびプレストレス化梁付pc柱材
JPH11206037A (ja) * 1998-01-13 1999-07-30 Et:Kk 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ユニットを用いた構築物
JPH11311026A (ja) * 1998-04-28 1999-11-09 Kumagai Gumi Co Ltd 複数階層を1節とする鉄骨建方での柱と鉄骨梁との結合方法
JP2001020539A (ja) * 1999-07-08 2001-01-23 Sato Benec Co Ltd 節電・節水型建築物
JP2002285714A (ja) * 2000-04-27 2002-10-03 Sato Benec Co Ltd 集合住宅の床下構造
JP3612589B2 (ja) * 2001-07-03 2005-01-19 啓三 左高 集合住宅
JP4636538B2 (ja) * 2005-03-24 2011-02-23 株式会社フジタ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JP2007107240A (ja) * 2005-10-12 2007-04-26 Ntt Facilities Inc 建物の外壁用発電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02B1 (ko) * 2011-08-04 2014-05-22 정인철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22562A1 (ja) 2011-07-28
WO2009122562A1 (ja) 2009-10-08
CN101999021A (zh) 2011-03-30
JP5357862B2 (ja) 2013-12-04
KR101411033B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3553B (zh) 全装配式预应力砼框架抗震耗能构件体系及施工方法
RU2518580C2 (ru) Сооружение, имеющее множество уровней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KR20100130630A (ko) 건물의 건축방법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JP2009528464A (ja) プレハブ式鉄筋コンクリートの単身者住宅および前記住宅の建設方法
CN101418592A (zh) 组合式轻钢结构房屋及其安装方法
CN103266662A (zh) 轻钢复合板拼装房屋
CN102140850B (zh) 用组合网架结构做楼板的框架及其施工方法
US3999355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transportable prefabricated room element
JP2020007827A (ja) 木造ユニット式建築構造体、及びその組立て構法
JP4567857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2099018B1 (ko) 건축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086060B1 (ko) 조립식 건축모듈
CN112523545A (zh) 用于建筑的基本模块和低、多层模块化建筑结构体系
WO2009108986A1 (en) A transportable building including a roof structure for stacking of multiple buildings
CN211143324U (zh) 适于钢结构模块建筑用连接结构
CN216305145U (zh) 一种装配式建筑用预制柱
CN216075579U (zh) 一种预制楼板与预制梁连接节点
CN215055686U (zh) 用于建筑的基本模块和低、多层模块化建筑结构体系
CN220486733U (zh) 一种减震结构及模块化建筑单元
CN216075597U (zh) 一种预制柱与预制梁连接节点
CN220433898U (zh) 装配式肋格构建筑结构及建筑物
CN216076519U (zh) 一种全装配式连廊
JP7178730B2 (ja) 躯体ユニット及び簡易構造物
CN216665141U (zh) 一种用于铁路区间四电房屋的装配式建筑结构、装配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