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500A -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걸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500A
KR20030013500A KR1020030003435A KR20030003435A KR20030013500A KR 20030013500 A KR20030013500 A KR 20030013500A KR 1020030003435 A KR1020030003435 A KR 1020030003435A KR 20030003435 A KR20030003435 A KR 20030003435A KR 20030013500 A KR20030013500 A KR 2003001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aseboard
construction
groo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배
Original Assignee
박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배 filed Critical 박경배
Priority to KR102003000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3500A/ko
Publication of KR2003001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2Means for making slide fasteners gas or watert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2Interlocking member in the shape of a continuous hel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내장분야에서 벽면의 하단과 바닥면이 접하는 부분에 미관상의 장식효과와 동시에 걸레질 청소를 할 때에 벽면하부가 상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의 하부에 돌아가며 덧대어 설치하는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걸레받이는 통상적인 걸레받이의 몸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홈(12)구조와 이 홈의 내부에 지지돌기(13)를 길이방향으로 가공한 것과 이 홈의 내부에 쿠션 패드류(16)를 좁고 길게 덧댄 것과 이 홈의 아래턱(14)의 둥근단면구조와 걸레받이 몸체의 밑면의 경사단면구조가 특징이다.
이것은 마루 시공 시에 홈(12)속으로 마루의 절단 끝면이 끼워질 때 내부의 지지돌기(13)나 또는 쿠션 패드류(16)에 닿아 지탱하여 시공되며 또한 걸레받이 홈의 아래턱(14)의 높이와 둥근단면구조는 마루를 균일한 높이로 유지하며 마루가 쉽게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마루시공으로 발생하는 여러 유형의 시공하자(19)(20)(21)를 없애고 시공작업 공수(22)를 줄여 공사비 및 원자재비용을 절감하며 미관이 좋은 벽과 마루와 걸레받이간의 시공 마감선이 되도록 하는 것이며 걸레받이 몸체 하부의 밑면을 경사지게 가공하여 벽면과 접한 바닥 마감면의 굴곡이나 작은 요철에도 본 걸레받이가 쉽게 설치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걸레받이로 해결될 수 있는 마루시공하자로는 마루의 함수 팽창으로 인한 들뜸 및 솟음 하자(21)는 걸레받이의 홈 내부의 지지 돌기(13)가 뭉개져파손되거나 쿠션 패드류(16)의 두께가 줄어짐으로 그 팽창력을 감당하여 이러한 하자를 소멸하게되며 또한 걸레받이와 벽면간의 떨어짐 하자(20)와 마루와 걸레받이간의 바닥굴곡 하자(19)와 마루 절단 끝면과 걸레받이간의 맞닿은 절단면의 불규칙한 미관상의 하자는 본 발명의 걸레받이를 먼저 시공하고 이에 마루를 끼워 넣어 시공하게 됨으로 이러한 하자(19)(20)를 소멸하게 되며 또한 작업공수와 원자재비용의 절감에는 걸레받이와 벽지를 먼저 시공하고 마루를 뒤에 시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마루시공 후에 걸레받이를 별도 시공하는 작업공수를 줄이고 위의 각종 시공하자(19)(20)를 감추기 위하여 걸레받이 상단과 하단에 실리콘으로 마감(22)하는 원자재와 공수가 생략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걸레받이 {skirt or moulding for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주거용과 교실이나 강당 등의 공공시설용 및 점포용 건축물의 실내 벽면의 하단과 바닥마루 마감이 접하는 부분에 미관상의 장식 효과와 청소시에 걸레에 의한 벽면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벽면의 하단부에 둘러가며 덧대어 설치하는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실내 공사는 벽면하단에 걸레받이를 설치한 후 벽지 시공을 하면서 벽지의 하단 끝을 걸레받이 위로 약간 겹침으로 벽의 굴곡에 의한 걸레받이와 벌어진 틈하자(20)를 보이지 않게 마감하고 난 뒤에 마루를 걸레받이에 꽉 맞물리게 시공(도2)하고있다.
이러한 통상의 공사순서는 벽지 접착제와 수분이나 창호 천장 몰딩 도색공사용 도료와 작업자와 기자재 도구들로 인한 마루의 오염과 파손을 피할 수 있고 바닥의 굴곡으로 인한 마루와 걸레받이간의 간격하자(19)도 없앨 수 있으나 걸레받이와 마루가 맞닿은 부분의 불규칙한 마루 절단 끝면의 미관상 문제가 있어 별도로실리콘으로 마감(22)작업을 필요로 하며 또한 목질마루의 습기에 의한 수축과 팽창의 특성을 전혀 무시한 공사 순서로서 시공 후 마루가 팽창하여 들뜸이나 솟음 등의 하자(21)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신축건축물 바닥 구조상 모르타르 시멘트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슬라브층에 잔류하는 수분이 서서히 건조되면서 목질마루로 이동되며 특히 입주 후에 바닥난방 가동은 바닥 구조 수분을 급속하게 목질마루로 이동시켜 목질마루가 젖어 얼룩 변색 부패는 물론 높은 함수로 마루가 심하게 팽창된다.
기존의 잘 건조된 건축물에서도 역시 장마철이나 여름 고온 다습한 습기와 주거생활습기가 목질마루의 틈을 통해 이동되어 마루의 함수를 높여 목질마루가 팽창하게된다.
상기의 통상의 공사순서는 걸레받이로 밀착 가두리 시공된 목질 마루의 팽창력은 마루끼리 서로 맞물린 이음부분이 위로 솟아오르거나 이어 맞댄 마루위로 한쪽이 타고 솟아오르거나 바닥 접착력이 약한 부분이 떨어져 마루가 불룩하게 들뜸으로 마루의 팽창력을 표출하는 심각한 하자(21)이다.
이러한 이유로 목질마루 선진국에서는 목질마루를 먼저 벽과 일정한 간격으로 띄어서 시공한 후 그 위에 걸레받이를 얹어 시공(도3)하도록 마루시공표준을 정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마루 공급업자와 시공자의 애로사항과 요구사항일 뿐 실제로 대규모 건설회사의 공사현장에서는 상술한 마루의 팽창하자를 무시하고 걸레받이를 먼저 시공하여 벽지와 함께 마감하고 난 뒤 마루를 시공(도2)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은 걸레받이를 먼저 숨은못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면 하단에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마루의 절단 끝면을 약간 경사지게 절단하여 걸레받이의 표면에 밀착 시공하고 마루의 함수 팽창력은 맞닿은 마루의 경사진 끝면이 약간 찌그러져 뭉개져 감당하게 하며 불규칙하게 절단된 마루의 끝면은 미관상 나쁘므로 실리콘 등으로 보이지 않게 마감(22)하고 있으나 마루의 절단 끝면 경사도를 아주 날카롭게 절단할 수 없으며 마루의 종류와 규격 및 시공 방향에 따른 팽창력을 감당하기에는 부족하며 마루의 함수 팽창으로 찌그러져 뭉개진 마루의 끝면이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에는 걸레받이를 벽에 고정할 때 마루의 설치높이를 고려하여 미리 바닥면에서 높게 설치하는 경우와 이미 설치된 걸레받이의 하부를 마루 시공자가 마루 설치높이 만큼 톱으로 절단 제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때에는 걸레받이하부의 절단 공수가 소요되며 절단면의 직선도가 바르지 못하여 미관이 나쁘며 마루의 절단 끝면이 걸레받이 아래 벽에 밀착 시공함으로 역시 마루의 함수 팽창력을 감당할 수 없으며 또한 통상적인 바닥면 경사굴곡이나 모르타르 시멘트경화요철로 마루의 시공면이 걸레받이의 직진도 사이에 벌어짐(19)이 심하거나 걸레받이의 하부 마감 요철이물질로 마루를 밀어 넣기가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은 실용신안 등록 제 20-0198276호에 걸레받이의 형태에 관한 공지가 있는데 이는 건축시 경량 기포콘크리트와 시멘트모르타르를 타설전에 일반적인 걸레받이에 비해 그 폭이 넓고 표면에 홈이나 곡각진 걸레받이를 먼저 시공하여 습식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타설 마감 높이와 시멘트모르타르의 타설 마감 높이를 파묻힌 걸레받이의 곡각이나 홈의 위치로서 명확히 하고 걸레받이 표면에 시멘트모르타르의 타설 마감높이부분인 홈에 각종 바닥 마감재를 끼울 수 있게 하여 바닥마감의 수평을 유지함으로서 마루의 마감선을 좋게 하였으며 걸레받이의 외면에는 점착성 표면보호시트를 부착하여 습식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타설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미장마감작업과 셀프레벨링 모르타르(대규모 건설 현장의 모르타르 미장 공법으로 바닥면에 물처럼 흘려서 바닥면을 평평하게 해주는 점도가 아주 낮은 습식모르타르 타설 공법으로 최근 기술에 속함)의 타설시에 오염을 막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걸레받이는 마루의 절단 끝면이 걸레받이의 홈 속에서 밀착 고정되므로 마루의 팽창력은 마루의 들뜸 하자와 마루의 이음선 솟음 하자(21)나 겹침하자로 발생되므로 실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건축현장의 실내 내장용 걸레받이의 소재는 중밀도 목재섬유를 사용한 소위 엠디에프(중밀도 섬유판)의 표면에 무늬 필림지를 부착한 소재와 건조목재를 가공한 소재와 합성수지로 성형한 소재 중에 가공성이 좋은 엠디에프에 무늬 필림지를 부착한 것과 건조목재를 가공한 것의 두 가지 소재를 주로 사용하고있다. 이 두 소재는 수분에 아주 민감하여 상기의 공지된 걸레받이로 공사한 후에 습식의 기포콘크리트 타설이나 습식의 시멘트 모르타르 타설이나 셀프레벨링 모르타르를 타설하게 되면 공지한 걸레받이의 모서리나 구석의 곡각 굽도리 연결부와 길이 연결부에 점착성표면보호시트의 불연속선을 통하여 시멘트의 수분이 전 양생기간동안 장기간 침투되며 또 공정 특성상 외기에 노출된 기간임으로 상기의 공지된 걸레받이는 수분변색오염 및 부풀음과 시멘트 이물질의 오염으로 실용성이 떨어지며 또한상기의 공지된 걸레받이의 바닥마루 마감용 홈부분은 각종 시멘트류의 이물질로 메워지거나 수분의 침투로 부풀어 그 치수가 변형되어 마루를 끼워넣기 어려워 그 실용성이 저하될 것이다.
또한 상기 공지된 걸레받이의 바닥마감용 홈의 위치를 모르타르 미장작업이나 셀프레벨링 모르타르 타설의 높이 표시선으로 사용함으로서 바닥 마감재의 시공에 따른 마루시공용 하부 자재의 높이 즉 접착식 시공의 접착층의 높이와 층간차음용 쿠션의 높이와 현가식 시공의 비닐지와 쿠션시트의 높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바 모르타르 타설 높이 표시선으로 사용되는 걸레받이의 홈과 실제로 마루가 시공되는 홈의 위치가 다른 위치이므로 마루시공용 걸레받이로서의 실용성이 떨어질 것이다. 또한 상기 공지된 걸레받이는 시멘트 모르타르층에 묻힘형으로 설치됨으로 통상적인 걸레받이에 비하여 크기가 커야하므로 통상의 걸레받이보다 원재료와 제조원가가 높고 또 사용 공정 중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 모르타르 타설 등의 후속공정으로 인한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점착성 표면보호시트는 필수적임으로 이를 부착함에 따른 또 다른 별도의 원재료와 제조원가가 높아짐으로 이로 인한 원가의 부담은 경제성이 저하시키므로 실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지된 걸레받이로 시공된 현장의 걸레받이의 제거 작업은 사실상 시멘트 콘크리트 속에 파묻힌 걸레받이를 파내야 하므로 또한 실용성이 저하될 것이다. 또 다른 공지사항은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81558호는 벽쪽의 바닥 굴곡을 걸레받이와는 별도로 ㄴ 자형의 평활대를 먼저 벽과 바닥의 접선에 시공한 후 마루와 걸레받이를 시공하거나 또 다른 공지사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3001호는 걸레받이를 상부의 끼움부 본체와 하부의 받침판으로 분리된 형태로 마루 시공 후 걸레받이를 조립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며 그 외의 공지사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64340호와 20-0264151호는 걸레받이를 벽면에 고정할 때 금속고정 브라켓이나 쐐기형 접착 보강홈을 이용하여 끼워 맞춤식으로 걸레받이를 착탈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과는 다르다.
본 발명의 걸레받이의 첫째 목적은 목질마루의 수축과 팽창력을 감당할 수 있게 하며, 둘째 목적은 벽면과 걸레받이사이와 걸레받이와 마루사이의 마감선이 벽면굴곡과 바닥면 굴곡이 있어도 깔끔한 일직선으로 마감시공이 되게 하며 또 이로 인한 불규칙한 끝면을 실리콘 등으로 재차 마감해야함에 따른 자재와 작업공수를 없애고, 셋째 목적은 내장공사의 공정상 천장 몰딩과 걸레받이와 벽지공사를 먼저하고 마루시공을 뒤에 할 수 있게 함으로서 공사기간의 단축과 후속 공정의 마루 오손을 배제하여 하자가 없는 마루마감이 되도록 하는 것이며, 넷째 목적은 벽면과 바닥이 접하는 곳의 굴곡이나 작은 요철에도 걸레받이가 쉽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첫째 목적의 본 발명이 마루의 팽창력을 감당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기술적 방법이 있다. 그 첫 번째 기술적 방법은 마루의 절단 끝면이 걸레받이의 하부 홈(12) 내부에 쐐기 모양의 지지돌기(13)형태로 가공된 부분에 접하게 하여 마루 팽창력에 의해 지지돌기(13)가 파손 또는 찌그러져 뭉개짐으로 팽창력을 감당하도록 하며 두 번째 기술적 방법은 걸레받이의 하부 홈(12) 내부에 길게 부착된 두꺼운 쿠션 패드류(16)에 마루 절단 끝면이 접하여 마루의 팽창력을 감당하게 하여 팽창에 의한 마루의 솟음 들뜸 하자(21)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였다.
둘째 목적의 벽면과 걸레받이와 마루사이의 접하는 마감선이 벽면굴곡과 바닥면굴곡이 있어도 깔끔한 일직선 시공이 되게 하고 이로 인한 불규칙한 마감면(19)(20)을 실리콘으로 재차 마감(22)해야함에 따른 자재와 작업공수를 없앨 수 있는 기술적 방법으로 걸레받이 하부 마루 시공 높이에 가공된 홈(12)에 마루의 절단 끝면을 끼워넣을 수 있게 함으로서 마루와 걸레받이간의 일직선 마감으로 바닥의 굴곡(19)과는 무관하게 하였으며 마루 밑의 바닥 굴곡공간은 시공 할 때 시각적으로 확인되므로 마루 시공용 하부재료 즉 접착제나 비닐 쿠션시트 등으로 채울 수 있으며 또 이 홈(12)의 아래턱(14)을 둥근 단면구조로 하여 마루의 수축과 팽창의 반복에도 마루 끝면의 인입이 용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굴곡벽면과 걸레받이간의 일직선 마감은 걸레받이 공사 후에 벽지 공사를 할 때 벽지를 걸레받이의 상단에 약간 걸쳐서 벽면굴곡과 걸레받이간의 굴곡간격(20)을 보이지 않게 하는 통상의 마감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목적은 통상의 건축내장공사 공정 순서에 천장 몰딩과 걸레받이는 보통 동일한 목공 공정작업이며 이 공정은 목공 설치 후에 수 차례 도색 연마 및 도장공사와 벽지공사에서 발생하는 도료 접착제 등의 자재로 인한 바닥 오염과 작업자 작업대 각종 기구로 인한 바닥의 손상이 심각함으로 이러한 마루 오염성 공사를 먼저 한후 마루공사를 맨 뒤에 시공할 수 있게 함이다. 이는 마루 팽창 특성상 도면3에서와 같이 별도로 걸레받이를 나중에 시공해야함에 따른 시공하자(19)(20)를 없애며 별도의 걸레받이 공사기간의 단축과 굴곡 마감면 시공하자(19)(20)에 대한 실리콘 마감작업(22)공정을 없애고 깔끔한 마감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의 목적은 걸레받이가 설치되는 벽면과 바닥이 접한 곳은 통상 바닥마감굴곡이나 작은 요철 잔재물이 많아 걸레받이 설치시에 높게 얹히는 경향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걸레받이 밑면의 벽쪽을 바닥에서 높게 경사지도록 가공하는 구조로서 걸레받이가 쉽게 설치되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걸레받이는 가장 일반적인 걸레받이 소재인 엠디에프(중밀도섬유판) 가공소재와 건조목재가공소재의 경우에 그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이는 걸레받이의 홈(12) 내부 돌기부분(13)이 마루가 팽창할 때에 엠디에프의 쐐기모양 돌기의 끝은 강도가 약하여 홈(12)속에서 쉽게 파손됨으로서 팽창력을 감당하게되고 또 건조 목재의 쐐기모양의 돌기의 끝은 목재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팽창력을 받으므로 홈(12)속에서 쉽게 파손되어 팽창력을 감당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중에 목질마루의 끝면을 경사지게 절단 시공할 때 마루는 서로 직교하게 여러 겹을 적층한 구조이면서 마루의 판면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서 경사 절단 끝면이 강하여 마루의 팽창력으로 뭉개지기는 한계가 있으며 팽창력을 감당하기에는 본 발명의 정도보다 부족하며 또한 절단면이 걸레받이의 몸체 속이 아닌 걸레받이의 표면에 외관상 노출되어 보이므로 이는 미관상의 문제도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걸레받이는 종래의 크기와 유사한 일체형이며 종래의 가공 공장에서 쉽게 가공될 수 있으며 제조단가의 부담이 적으며 또한 종래의 사용방법으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용 걸레받이의 시공단면도
도 2는 벽지와 걸레받이를 먼저 시공한 후에 마루를 시공한 상태도
도 3은 벽지와 마루를 먼저 시공한 후에 걸레받이를 시공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걸레받이로 걸레받이 홈 내부에 지지돌기를 가공한 사시도 및 쿠션 패드를 사용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걸레받이 중에 홈 내부에 지지돌기를 가공한 시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걸레받이 중에 홈 내부에 쿠션 패드를 사용한 시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걸레받이 중에 홈 내부에 지지돌기를 가공한 시공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걸레받이 중에 홈 내부에 쿠션 패드를 사용한 시공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걸레받이 몸체 11 : 마루판
12 : 걸레받이의 길이방향 홈 13 : 걸레받이 홈 내부의 지지돌기
14 : 걸레받이의 하부 턱의 구조 16 : 걸레받이 홈 내부의 쿠션 패드
17 : 바닥 구조물 콘크리트 슬라브 17a : 바닥 구조물 경량 기포 콘크리트
17b : 바닥 구조물 시멘트 모르타르 18 : 벽
19 : 굴곡이 있는 바닥에 마루를 시공한 뒤 걸레받이와 벌어진 틈 하자
20 : 굴곡이 있는 벽에 걸레받이를 시공한 뒤 걸레받이와 벌어진 틈 하자
21 : 걸레받이에 밀착 시공한 마루가 함수 팽창으로 들뜸(마루 솟음) 하자
22 : 걸레받이의 상단과 하단에 실리콘으로 마감한 부분
23 : 바닥난방용 온수관
24 : 마루 시공용 하부자재 (접착제 차음 시트 비닐지 또는 쿠션 시트류 등)
본 발명의 걸레받이는 몸체 하부에서의 일정한 높이 즉 마루 바닥재의 시공용 하부재료인 에폭시접착제 및 비닐쿠션시트 및 차음쿠션시트 등의 두께이상의 높이에 마루 시공 시 끼워지도록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홈(12)을 가공한다. 홈의 모양은 두 가지의 형태이며 첫 번째는 홈(12)의 내부에 쐐기형의 지지돌기(13)를 홈의 길이방향으로 가공한 것과 두 번째는 홈(12)의 속에 두껍고 긴 쿠션 패드류(16)를 덧댈 수 있게 가공한 것이 있다.
이 쐐기형의 지지돌기(13)나 쿠션 패드(16)는 홈(12)의 내부로 끼워져 들어온 마루의 절단 끝면을 지지하며 마루가 함수 팽창할 때에 걸레받이의 몸체 속의 홈(12) 내부에서 그 팽창력으로 밀려서 쿠션 패드(16)의 두께가 작아지거나 지지돌기의 끝 부분이 뭉개져 파손되어 그 팽창력을 감당하게 된다.
걸레받이 하단의 홈(12)이 시작되는 위치의 높이 즉 아래턱(14)의 두께는 마루의 하부 시공자재의 높이 즉 접착식 시공의 에폭시 접착제의 접착층 높이 또는 현가식 시공의 비닐 쿠션시트 등의 시공 부자재류의 높이의 합 또는 공동 주택의 층간 차음용 쿠션 시트류의 높이의 합 보다 1-2mm 정도 약간 높게 하여 홈(12) 안으로 들어온 마루끝의 아래 면을 홈의 아래턱(14)이 일정한 높이로 받쳐줄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이는 바닥의 굴곡에 상관없는 일정한 높이의 마루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아래(14)턱의 윗면은 마루가 사용 중에 심한 수축과 팽창의 반복에도 마루의 절단면이 턱 위로 쉽게 끼워짙 수 있도록 둥근 단면구조로 가공하며 또한 본 발명의 걸레받이 몸체의 밑면은 바닥과 맞닿는 아래턱(14)의 입구 밑면을 약간 낮게 경사지게 가공하고 아래턱의 뒷면 벽면으로 갈수록 바닥에 닿는 부분을높게 가공할 수 있다. 이는 통상 벽면과 접한 바닥면은 가운데 바닥면 보다 조금 높거나 거칠게 마감된 상태로 굴곡과 요철 이물질이 많은 것에 대비하여 걸레받이가 쉽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일반적인 건축용 걸레받이의 시공단면도이며 이를 도 2에서 벽지와 걸레받이를 시공한 후에 마루를 시공한 상태도로 도시하였다.
이는 굴곡이 있는 벽과 걸레받이와 굴곡이 있는 바닥의 마루사이에 벌어진 틈 하자(19)(20)는 없는 대신 목질마루의 절단 끝면의 불규칙(22) 인한 하자를 실리콘으로 마감(22)하여야 하며 마루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한 하자(21)는 막을 수가 없다.
이러한 시공은 목질 마루가 난방과 냉방의 사용 등의 주거 환경여건과 계절에 변화와 기후여건 등으로 수분을 흡수하거나 건조됨에 따른 목질의 함수율에 따라 수축과 팽창의 특성을 무시한 시공공법으로 목질마루가 함수 팽창하면 그 팽창력을 감당하지 못하고 마루의 쪽매간의 이음선이 솟아오르거나 한쪽의 약한 쪽매위로 겹쳐지거나 바닥의 접착력이 약한 부분이 떨어져 마루가 불룩하게 들뜰 수밖에 없는 마루의 심각한 하자(21)가 된다.
도 3은 벽지와 마루를 먼저 시공한 후에 걸레받이를 시공한 상태도이며 이는 목질마루의 수축 팽창을 고려하여 벽과 마루 끝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마루의 수축과 팽창 시 그 팽창된 길이를 감당 할 수 있도록 한 바람직한 마루의 시공방법으로 이는 목질 마루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하자(21)가 없는 대신에 마루 시공 시에 마루와 벽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시공해야함에 따른 시공상의 어려움과 바닥굴곡으로 인한 마루와 걸레받이간에 벌어진 틈 하자(19)(20)가 발생되며 이러한 하자를 보이지 않게 하려고 걸레받이의 상단과 하단에 실리콘을 마감해야하는 별도의 작업(22) 공수가 필요하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걸레받이의 사시도로서 걸레받이 홈(12) 내부에 지지돌기(13)를 가공한 것과 쿠션 패드(16)를 사용한 것이다.
도 5는 걸레받이의 홈 내부에 지지돌기(13)를 가공한 시공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걸레받이의 홈 내부에 쿠션패드(16)를 사용한 시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걸레받이의 홈 내부에 지지돌기(13)를 가공한 시공한 상태도이며 목질마루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지지돌기(13)가 쐐기의 형태에서 뭉개져 파손되면서 그 팽창력을 감당하게 한 것이며 도 8은 이 홈(12)의 내부에 쿠션 패드(16)를 부착한 경우로 쿠션 패드의 두께가 줄어짐으로 그 팽창력을 감당하도록 한 것으로 목질마루의 함수 팽창으로 인한 들뜸이나 솟음 하자(21)를 없앴으며 걸레받이와 벽과 바닥과 목질마루간의 맞닿은 마감선이 모두 깨끗하게 되어 별도의 실리콘 마감(22)작업이 필요없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걸레받이와 바닥 마감용 마루의 규격에 따라 홈(12)의 위치와 규격의 증감과 홈(12) 내부의 지지돌기(13)와 쿠션 패드(16)류의 위치와 규격 및 수량을 증감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식 현가식 근태식등의 마루시공공법상하부구조에 따라 걸레받이 하부 홈 아래턱(14)의 규격 및 밑면의 경사도를증감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걸레받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종래에 공동 주택과 단독주택과 일반 점포 및 각종 공공시설의 내장용 바닥마감재의 시공과 관련하여 목질마루의 수축과 팽창을 무시하고 내장공사현장의 시공 공정 흐름상 또는 마감처리상 부득이 하게 걸레받이를 먼저 시공하고 마루를 걸레받이의 표면에 밀착 시공함으로서 발생하는 마루의 여러 가지 시공상의 하자들을 본 발명에 따른 걸레받이를 적용함으로서 목질마루의 수축과 팽창상의 문제와 함께 여러 가지 시공상의 하자들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벽면과 걸레받이와 바닥마감용 마루면 사이에 서로 맞닿은 마감면이 건축물의 굴곡으로 불규칙하여 별도로 실리콘 마감작업을 해야하던 것을 본 발명의 걸레받이를 적용하면 위 마감면이 정확하고 균일하여 종래의 실리콘마감작업을 생략하여 내장공사현장의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원자재 및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건물의 실내 바닥면과 벽면이 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걸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10)는 소정의 형상과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몸체의 하부에 마루가 시공될 위치에 마루가 끼워지는 길이방향의 홈(12)을 가공한 것으로 시공 시에 이 홈의 아래턱(14)은 바닥면 굴곡이 있어도 끼워진 마루의 절단 끝면을 균일한 높이로 유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홈(12)의 내부 면을 돌기 형태(13)로 가공한 것으로 시공 시에 이 돌기가 끼워진 마루를 지지하고 마루가 팽창 시에 이 돌기의 끝이 뭉개져 팽창력을 감당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홈(12)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쿠션 패드류(16)를 덧댄 것으로 시공 시에 이 쿠션패드가 끼워진 마루를 지지하고 마루 팽창 시에 쿠션 패드의 두께가 줄어져 팽창력을 감당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홈의 아래턱(14)의 둥근 모서리구조로서 이는 마루가 쉽게 끼워지게 하며 또한 끼워진 마루 끝면이 과도한 수축으로 이탈된 후 다시 팽창되면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5. 상기 걸레받이 밑면의 구조를 벽면쪽을 높게 한 경사 구조로서 이는 벽면과 접한 바닥 마감 면에 굴곡과 작은 요철이 있어도 걸레받이가 쉽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KR1020030003435A 2003-01-17 2003-01-17 걸레받이 KR20030013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35A KR20030013500A (ko) 2003-01-17 2003-01-17 걸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35A KR20030013500A (ko) 2003-01-17 2003-01-17 걸레받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628U Division KR200317571Y1 (ko) 2003-01-18 2003-01-18 걸레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500A true KR20030013500A (ko) 2003-02-14

Family

ID=2773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435A KR20030013500A (ko) 2003-01-17 2003-01-17 걸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35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37B1 (ko) * 2010-02-10 2010-09-15 김영춘 걸레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37B1 (ko) * 2010-02-10 2010-09-15 김영춘 걸레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957A (en) Sound insulation pad and use thereof
US8375663B2 (en) Integral wall base and flash cove
US6338229B1 (en) Wall strip with raised bead for plaster screeding comprising two nailing strips connected by a riser strip configuration
US63540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tile
TW201842264A (zh) 易安裝的陶瓷或石磚產品
US20200340255A1 (en) Flooring system, a pan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317571Y1 (ko) 걸레받이
KR20030013500A (ko) 걸레받이
US20140373472A1 (en) Floating sub-flooring system
US20230131686A1 (en) A floor pan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Nailed et al. Technical data sheet
US20140237910A1 (en) Architecturally finished complete building envelope system
US7989051B2 (en) Magnetic modular coating
Cork Cork
CN220285244U (zh) 一种通用型装修用地面连接机构
CN1587589A (zh) 地板安装底垫及其施工方法
KR100448023B1 (ko) 건식 온돌 패널 공법
Drawings et al. SECTION 09 29 00 GYPSUM BOARD
CN113700251A (zh) 一种用于安装镜面玻璃墙面的施工方法
JP2641012B2 (ja) 床構法
Manual 2008
SULLIVAN Versatility in Design
KR200299982Y1 (ko) 건식 온돌 패널 구조
KR20200013736A (ko)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OUNTERTOPS PART 1-GENERAL 1.01 SUMMARY A. Section Includes: 1. Stone countertops. 2. Related stone shelves and splashb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