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736A -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736A
KR20200013736A KR1020200003995A KR20200003995A KR20200013736A KR 20200013736 A KR20200013736 A KR 20200013736A KR 1020200003995 A KR1020200003995 A KR 1020200003995A KR 20200003995 A KR20200003995 A KR 20200003995A KR 20200013736 A KR20200013736 A KR 20200013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support belt
sea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진
Original Assignee
좋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좋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좋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3736A/ko
Publication of KR2020001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11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joint fillings integrated in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피스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 층간 소음이 예상되는 주거 공간에서 층간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실내 바닥을 마감처리 할 수 있는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좌, 우측 저면가장자리에는 장방향으로 거치단부(11)가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이 거치될 수 있도록 좌, 우측에는 장방향으로 안착단부(21)가 형성되며,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받침띠는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와,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연결용 받침띠(20b)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Indoor floor finishing materials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inishing materials}
본 발명은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오피스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 층간 소음이 예상되는 주거 공간에서 층간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실내 바닥을 마감처리 할 수 있는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벽면, 천장 또는 바닥 등을 깔끔하게 정리하거나 장식하기 위해서 타일이나 패널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남과 다르게 건축물의 거실이나 침실 등과 같은 주거 공간 및 욕실의 바닥면 또는 음식점, 학원 등의 벽면, 천장 또는 바닥 등을 색다른 형태로 꾸며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어 상기와 같이 타일이나 패널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실내 공간을 꾸미는 경우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타일은 열과습기에 강한 고유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욕실이나 부엌에서도 주로 시공되고 있다. 현대 사회는 건축 문화가 발달하면서 우수한 물성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의 보다 자연 친화적이고, 시공이 간편한 건자재를 제조하는 것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타일은 건물의 바닥,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마감재로서 일반적으로는 점토나 자기(瓷器), 나무 등과 같은 소재로 마련되어 건축물의 미적 효과를 높이는 내,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소재의 타일은 한 번 설치하면 바닥이나 벽체와 일체로 고정되므로, 기 설치된 타일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타일의 훼손은 물론이고 바닥면이나 벽체도 깨끗한 상태로 원상회복 되지 못한다.
이런 점 때문에 원할 때 벽면이나 바닥면의 타일을 쉽게 교체해야 되는 환경에도 자기 타일은 적합하지 않으며, 기존의 자기 타일은 시공비도 많이 든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한 대안으로서, PVC 데코타일 또는 플라스틱 타일(plastic tile)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PVC 데코타일은 바닥면에 다량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데코타일을 붙여서 시공한다. 그러나 PVC 타일의 고유 특성상 수축/팽창의 성질이 있어 거의 대부분 여름/겨울철 난방, 온도, 습도의 변화에 의해 데코타일끼리의 이음매부분에 틈 벌어짐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한 고급형 데코타일은 재질내부에 수축팽창을 제어하는 유리 섬유층을 넣어 생산하여 수축팽창을 감소시키기도 하지만 유리섬유층을 넣은 개량형 제품도 완벽하게 이음매 틈 벌어짐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제조단가
가 비싼 문제가 있다.
또한, 시공당시 사용하는 데코타일 전용 접착제는 그 성분이 석유화학물질로 다량의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대한 고객거부감이 있었음은 물론, 데코타일 자체가 매우 딱딱한 소재이므로 사용하는 고객들이 너무 딱딱하다는 불만이 있고, 바닥접착형 데코타일은 바닥 시멘트 미장면의 굴곡이 그대로 타일에 반영되어 시공 후 바닥 평활도가 떨어지면서 향후 철거할 때 고가의 철거비용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접착제 바닥 부착형 PVC 데코타일의 보완을 위해 타일이 서로 맞물리도록 강화마루 기술의 혀홈 결합형 클릭타입이 적용된 클릭형 데코타일이 있다.
상기 클릭형 데코타일은 데코타일을 5밀리정도로 두껍게 만들고 타일의 4측면에 데코타일끼리 혀와 홈이 맞물릴 수 있도록 혀와 홈을 미리 가공하여 현장 시공 시에 혀와 홈을 결합하는 형태로 시공하며(기존 강화마루와 동일한 시공방식) 바닥에 접착제를 바르지 않고 제품 그대로를 바닥에 올려놓는 타입이다.
그러나 클릭결합형 데코타일은 먼저 클릭결합용 구조체를 만들기 위해 데코타일의 두께를 5mm 이상으로 두껍게 만들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2배 이상으로 오르고, 클릭형 혀홈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바닥 난방 등에 의해 제품의 수축이 발생하면 혀홈이 빠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가격자체가 일반 데코타일보다 2배이상이여서 국내에서는 거의 판매가 되지 않고 해외시장에서 판매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타일은 합성수지인 플라스틱에 다수의 부원료 및 안료를 섞어 금형에 부어 일정한 형태와 색상을 갖는 타일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바닥 마감재를 이용하여 실내 바닥을 마감처리 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소음문제는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바닥 마감재 시공 후 소음 감소를 위해 층간 소음용 매트를 깔아서 사용하고 있다.
결국,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바닥 마감재를 시공한 다음 층간 소음용 매트를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모순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하고자 관련업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음저감을 위한 시공 방법으로는 표면 완충공법과, 중량·고강성 공법, 이중 천장 공법 및 뜬바닥 공법이 있으며, 그 중에서 층간 소음 저감 효과가 가장 높은 뜬바닥 공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뜬바닥 공법(Floating floor)은 표준규격의 슬라브 210mm 위에 공기층과 완충재를 포함하는 뜬 바닥 구조를 갖도록 하고, 그 위에 경량 기포콘크리트 및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바닥 마감재를 시공하여 마무리하는 시공방법을 말하며, 뜬바닥 공법을 이용할 경우는 슬라브의 두께를 210mm이하, 보통 150mm 정도로 구성한 것으로, 이를 "인증바닥구조"라 하기도 한다. 즉, 표준바닥구조가 아닌 정부가 정한 표준에 따른 시험 등을 통해 구조를 인증받는 것이다.
뜬바닥 공법은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의 저감에 가장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적용은 물론, 지속적인 기술 개발까지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공기층과 완충재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별도 시공해야 하고, 시공에 필요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공기층과 완충재를 포함한 구조물의 경우 강도가 낮고, 고탄성의 완충재를 사용함에 따라 모르타르와 벽체와의 연결부 시공이 난해하다는 것과, 국부적인 외부 충격시 모르타르가 파손된다는 것과, 전문인력의 시공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고가의 재료비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뜬바닥 공법에 사용되는 소음저감용 완충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2-0080714호(발명의 명칭:층간 충격음 저감재)와,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9-0006913호(발명의 명칭:소음저감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구조물),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5-0048535호(발명의 명칭: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공방법) 및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6651호(고안의 명칭:구조스프링을 이용한 층간 차음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제10-2002-0080714호와, 제10-2009-0006913호는 층간 소음재간 서로 연결 구성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연결한 후에도 유동이 심하여 제자리를 잡지 못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요철형의 구조로 되어 있어 국부적인 충격하중 발생시 상부의 충격을 일부 흡수하는 대신 변위가 크게 발생하여 모르타르의 균열을 야기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제10-2005-0048535호는 층간소음재 연결시 별도의 연결부를 구성시키지 않아 제 위치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한 시공지연은 인건비 상승으로 연결되었다
물론, 층간소음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가 구성된 것도 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오히려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또한, 상기 제20-2008-0006651호는 스프링으로 인해 탄성력이 보장되며, 그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국부적인 외압이 가해질 경우 모르타르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완충재에는 난방 호스를 설치할 수가 없거나 매우 어려운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에서 게시된 완충재에 난방호스를 설치할 때는 끈이나 금속재의 철사 또는 볼트,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고정을 하였는데, 고정을 하고자 하는 부분 역시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지점에서 고정시키지 못하고 옆으로 소폭 이동하여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발생하는 등 고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렇게 될 경우 열전달이 균일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까지 발생하게 되었으며, 부식의 위험까지 존재할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스 및 기름용 난방 호스는 탄성 영역이 넓어서 강성을 띄기 때문에 휜 채로 시공해야 하는 난방 호스의 시공 특성상 원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설치과정에서도 강한 고정이 요구되나 선행기술에서는 그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에서 게시되지는 않았지만,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진 완충재도 종래에는 간헐적으로 사용하였는데, 상면이 평평한 구조를 갖는 완충재는 특히 63Hz 영역에서는 소감 저감 효과가 극히 미비하다.
상기와 같은 층간 소음을 방지방법은 신축건물에 해당되는 사안일 뿐 본원발명과는 전혀 관련성이 없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과 요구에 따라 안출한 것으로 오피스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 층간 소음이 예상되는 주거 공간에서 바닥면을 마감시공할 때 바닥 마감재의 기능과 더불어 층간 소음 감소 기능까지 동시에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자연친화적이면서 고객 거부감까지 해소시킬 수 있는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실내 바닥 마감재는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좌, 우측 저면 가장자리에는 장방향으로 거치단부(11)가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이 거치될 수 있도록 좌, 우측에는 장방향으로 안착단부(21)가 형성되며,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받침띠는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와,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연결용 받침띠(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10)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이루질 수 있으며, 표면(12)은 나무무늬(1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실내 바닥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은 실내 바닥(30)의 가장자리에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를 안착 시키는 가장자리용 받침띠 안착단계(S100)와, 상기 가장자리용 받침띠(20a) 안착 후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좌, 우측 저면 가장자리에는 장방향으로 거치단부(11)가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패널(10)를 안착시키는 패널 안착단계(S200)와, 상기 패널(10)의 측면 일측으로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좌, 우측에 형성된 연결용 받침띠(20b)를 안착 시켜 패널(10)을 지지 고정해주는 연결용 받침띠 안착단계(S300)와, 상기 연결용 받침띠(21b)와 패널(10)을 연속 반복적으로 안착시켜 바닥(3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면을 시공하는 연속시공단계(S400)와, 상기 연속시공 후 실내 바닥(30)의 가장자리에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를 안착 시키는 가장자리용 받침띠 안착단계(S500)와, 상기와 같이 시공된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하는 표면마감처리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10)의 저면(14)은 실내 바닥(30)을 기준으로 받침띠(20)의 저면(22)에 비해 1 내지 5mm 이격되도록 시공하여 충격이 흡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을 마감처리 하기 때문에 고객 거부반응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는 별도의 층간 소음 매트 없이도 층간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중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중 받침 띠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내 바닥 마감재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실내 바닥(30) 전체면에 시공되는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의 저면에 배치되어 패널을 안착 고정시켜 주는 받침띠(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1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좌, 우측 저면 가장자리에는 장방향으로 거치단부(11)가 형성고 전체적으로 다각형 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패널(10)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이루질 수 있으며, 표면(12)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더라도 자연친화적인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나무무늬(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목재를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띠(2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2 및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와, 패널(10)을 연결 시공할 수 있는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연결용 받침띠(20b)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실내 바닥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은 도 1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30)의 가장자리에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를 안착 시킨다(S100).
상기 가장자리용 받침띠(20a) 안착 후에는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좌, 우측 저면 가장자리에는 장방향으로 거치단부(11)가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패널(10)을 안착시킨다(S200).
상기 패널(10)의 측면 일측으로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좌, 우측에 형성된 연결용 받침띠(20b)를 안착 시켜 패널(10)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 고정해준다(S300).
상기 가장자리용 받침띠(20a), 연결용 받침띠(20b)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배치시키거나 못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용 받침띠(21b)와 패널(10)을 연속 반복적으로 안착 시공 하여 바닥(3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전체 면을 시공한다(S400).
상기 연속시공 후 실내 바닥(30)의 가장자리에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를 안착 시키고(S500), 상기와 같이 시공된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40)을 도포하여 마감 처리(S600)함으로써 바닥 마감시공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 도포는 낱개의 패널을 안착시킨 후 곧바로 실시하거나 바닥 전체에 패널을 안착 시킨 후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10)의 저면(14)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30)을 기준으로 받침띠(20)의 저면(22)에 비해 1 내지 5mm 이격되도록 시공하여 충격이 흡수되도록 구성한다.
패널의 저면과 실내 바닥과 높이 단차인 1 내지 5mm 공간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는 것이며, 아울러 받침띠(20)가 지닌 재질의 특수성만으로도 가벼운 충격 흡수는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바닥 마감재는 시공이 간편하기 때문에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후 충격흡수가 되기 때문에 마감재만으로도 테코타일의 기능과 충격흡수의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패널 11: 거치단부
12: 표면 13: 나무무늬
14, 22: 저면 20: 받침띠
20a: 가장자리용 받침띠
20b: 연결용 받침띠 21: 안착단부
30: 실내 바닥 40: 실리콘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좌, 우측 저면 가장자리에는 장방향으로 거치단부(11)가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이 거치될 수 있도록 좌, 우측에는 장방향으로 안착단부(21)가 형성되며,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받침띠는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와,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연결용 받침띠(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이루질 수 있으며, 표면(12)은 나무무늬(1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마감재
  3. 실내 바닥(30)의 가장자리에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를 안착 시키는 가장자리용 받침띠 안착단계(S100); 와,
    상기 가장자리용 받침띠(20a) 안착 후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좌, 우측 저면 가장자리에는 장방향으로 거치단부(11)가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패널(10)를 안착시키는 패널 안착단계(S200); 와,
    상기 패널(10)의 측면 일측으로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좌, 우측에 형성된 연결용 받침띠(20b)를 안착 시켜 패널(10)을 지지 고정해주는 연결용 받침띠 안착단계(S300); 와,
    상기 연결용 받침띠(21b)와 패널(10)을 연속 반복적으로 안착시켜 바닥(3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면을 시공하는 연속시공단계(S400); 와,
    상기 연속시공 후 실내 바닥(30)의 가장자리에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는 받침띠(20) 중 안착단부(21)가 한 개소에만 형성된 가장자리용 받침띠(20a)를 안착 시키는 가장자리용 받침띠 안착단계(S500); 와,
    상기와 같이 시공된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40)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하는 표면마감처리단계(S6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의 저면(14)은 실내 바닥(30)을 기준으로 받침띠(20)의 저면(22)에 비해 1 내지 5mm 이격되도록 시공하여 충격이 흡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20200003995A 2020-01-13 2020-01-13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20200013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995A KR20200013736A (ko) 2020-01-13 2020-01-13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995A KR20200013736A (ko) 2020-01-13 2020-01-13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736A true KR20200013736A (ko) 2020-02-07

Family

ID=6957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995A KR20200013736A (ko) 2020-01-13 2020-01-13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37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259A (en) Sound rat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9593493B2 (en) Multilayer lining plate for horizontal support surfa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40167272A1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wall assembly
US11680416B2 (en) Field-assembled flooring systems with mold-resistant isolation boards
US11649644B2 (en) Field-assembled water control flooring systems
US11851893B2 (en) Field-assembled wall and flooring systems
KR20180029335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KR100698410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20200013736A (ko) 실내 바닥 마감재 및 그 마감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431989B1 (ko) 가변높이조절기에 의해 시공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주택의 바닥구조
KR102274980B1 (ko) 층간소음 방지용 건식난방 설치 구조
CN210134619U (zh) 混凝土保温隔声减振楼面
KR100766335B1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102412552B1 (ko)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TWI766772B (zh) 地板結構及其製備方法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CN201661051U (zh) 一种隔音保暖地板
KR200438177Y1 (ko) 층간 소음 저감재
CN216033052U (zh) 一种建筑外墙用隔音隔热材料
EP3927909B1 (en) Device to be arranged in a floor construction
KR200358860Y1 (ko) 건축 구조물의 바닥층 형성구조
KR200447489Y1 (ko) 온돌마루판
JP2023166872A (ja) 断熱構造
CN115726532A (zh) 一种免腻子新型复合装饰材料构件
TW201114997A (en) Building configuration coexisting lay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