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871Y1 - 타일 마감재 - Google Patents

타일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871Y1
KR200343871Y1 KR20-2003-0039163U KR20030039163U KR200343871Y1 KR 200343871 Y1 KR200343871 Y1 KR 200343871Y1 KR 20030039163 U KR20030039163 U KR 20030039163U KR 200343871 Y1 KR200343871 Y1 KR 200343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horizontal
construction
contact memb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정
Original Assignee
권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정 filed Critical 권오정
Priority to KR20-2003-0039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아웃코너의 벽면에 대하여 타일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타일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의 시공시 타일이 타일 장식부재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타일의 시공 및 정렬이 가능하도록 한 타일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평타일(2)이 장착되는 벽면(1)의 코너 단부에 몰탈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몰탈공(112)이 구비된 벽면 밀착부재(110)와, 이 벽면 밀착부재(11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고 수평타일(2)의 단부면을 받침하는 타일 장식부재(120)로 구성된 타일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타일 장식부재(120)로는 모서리부로 위치되는 수평타일(2)의 단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밀착부재(110)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받침편(130)을 구성하거나, 이 받침편(130)의 일방으로 유동 방지돌기(140), 또는 상기 받침편(130)으로 타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조(132)가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타일 마감재{A finish some day tile}
본 고안은 주로 아웃코너의 벽면에 대하여 타일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타일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의 시공시 타일이 타일 장식부재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타일의 시공 및 정렬이 가능하도록 한 타일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은 콘크리트로 타설되므로 거칠고 색상 및 질감이 떨어져 그 자체로서 사용하기에는 건물의 품위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고급 스러움을 추구하는 건물에는 바닥 및 벽면에 대하여 타일을 장착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특히 바닥면이나 벽면의 끝단부, 예컨대 타일이 서로 만나게되는 벽면의 내측 또는 외측 코너(모서리)의 경우 마감 처리를 하지 않으면, 타일의 모서리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공 외관을 크게 해치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타일 시공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일 마감재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의 타일 마감재(10)가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종래 사용되고 있는 타일 마감재(10)는, 벽면(1)의 아웃코너에 수평적으로 장착 지지되는 벽면 밀착부재(12)의 일단부로 수평 타일(2)을 지지하기 위한 타일 장식부재(14)가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벽면 밀착부재(12)로는 소정 형태의 몰탈공(13)이 형성되어있으며, 타일 장식부재(14)의 후면으로는 수직 타일(3)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편(16)이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타일 마감재(10)에 있어서, 특히 수평 타일(2)을 지지하기 위한 타일 장식부재(14)는 그 형태가 단순히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몰탈 장착되는 수평 타일(2)의 일단부, 예컨대 코너 부분으로 위치되는 수평 타일(2)의 일단부가 임의적으로 밀어 끼워짐에 따라 수평 타일(2)의 안정된 밀착 지지가 곤란하게 되고, 또한 과도한 밀림이 발생되는 경우 도1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장식부재(14)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었던 것이며, 이러한 타일 장식부재(14)의 밀림 현상으로 인해 수평 타일(2)의 시공에 따른 받침력의 저하 및 시공 정렬이 매우 불안정하고, 또한 불량하게 되는 것이어서, 타일의 안정되고 신속한 시공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 및 수평 타일의 안정된 받침 및 시공 정렬이 신속 용이한 타일 마감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측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감재의 사시도;
도3은 도2에 따른 타일 마감재를 이용한 타일 시공 상태를 보인 시공상태 예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타일 마감재 사시도;
도5는 도4의 Ⅵ-Ⅵ선 단면도;
도6은 도4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일시공 상태를 보인 시공상태 예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벽면 2.3: 수평 및 수직 타일
100.200: 타일 마감재 110: 벽면 밀착부재
112: 몰탈공 114, 132: 돌조
120: 타일 장식부재 122:돌출편
130: 받침편 140: 유동 방지돌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은, 수평 타일이 장착되는 벽면의 코너 단부에 몰탈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몰탈공이 구비된 벽면 밀착부재와, 이 벽면 밀착부재의 일 측 단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고 수평 타일의 단부면을 받침하는 타일 장식부재로 구성된 타일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타일 장식부재로는 수평 타일의 단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밀착부재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받침편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타일 마감재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편으로는 수평 타일의 시공시 벽면 밀착부재에 대하여 수평 타일이 외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돌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편의 상면으로는 수평 타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돌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직타일이 밀착되는 벽면 밀착부재의 대응면으로는 수직 타일의 시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 시예에 따른 타일 마감재(100)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이후 설명되는 본 고안에서 종래 벽면(1)과 타일(2,3)은 설명 편의상 동일한 번호로 표시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마감재(100)는 수평 타일(2)이 장착되는 벽면(1)의 코너 단부에 몰탈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몰탈공(112)이 구비된 벽면 밀착부재(110)와, 이 벽면 밀착부재(11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고 수평 타일(2)의 단부면을 받침하는 타일 장식부재(120)로 구성된다.
또한, 타일 장식부재(120)로는 수평 타일(2)의 단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밀착부재(110)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수평 절곡된 받침편(13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편(120)으로는, 예컨대 벽면 밀착부재(110)의 타 측으로는 수평 타일(2)의 시공시 벽면 밀착부재(11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 평타일(2)이 외방(도면상, 상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돌기(140)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일 장식부재(120)의 후면으로는 벽면(1)에 대하여 수직 설치되는 수직 타일(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편(1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구성은 종래 타일 마감재의 구성에서도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기술 요지는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도3과 같이 벽면(1)에 대한 수평 및 수직 타일(2,3)의 시공시 먼저 몰탈을 이용하여 타일 마감재(100)를 벽면(1)의 모서리부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수 평타일(2)을 벽면(1)의 수평면에 대하여 몰탈(기타 다른 접합 소재를 포함 함)을 이용하여 장착하되, 모서리부로 위치되는 수평 타일(2)을 타일 마감재(100)의 벽면 밀착부재(110)와 타일 장식부재(120)에 밀착 위치시키면, 이 때 수평 타일(2)의 단부가 타일 장식부재(120)의 받침편(130)에 안정되게 밀착 지지된다.
따라서 수평 타일(2)은 받침편(130)에 대하여 안정된 받침력을 발휘하게되어수평 타일(2)의 시공시 밀림이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된 받침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수평 타일(2)의 시공 정렬이 신속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 타일(2)의 시공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타 벽면(1)에 대하여 수직 타일(3)을 몰탈 시공하면, 수직 타일(3) 역시 돌출편(1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안정되게 장착된다.
또한, 타일 마감재(100)의 받침편(130)에 대하여 안정되게 받침 장착되는 수평 타일(2)은 그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 유동 방지돌기(140)에 걸림되어 벽면 밀착부재(110)와의 사이에 안정된 장착이 가능하게 되고, 외방으로의 유동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보다 안정된 타일의 시공이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도4 및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타일 마감재(200)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2 및 도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마감재(200)의 타일 장식부재(120)로 형성된 받침편(130)의 상면으로는 수평 타일(2)의 시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돌조(132)가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돌조(132)는 받침편(130)이 압출되는 것을 감안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삼각돌조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수직 타일(3)이 밀착 시공되는 벽면 밀착부재(110)의 대항면으로도 돌조(114)를 더 형성하여 수직 타일(3)에 대한 밀착 시공력을 발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6과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일 마감재(200)는 받침편(130)으로 형성된 돌조(132)와 벽면 밀착부재(110)로 형성된 돌조(114)에 의해 타일 마감재(200)에 대한 수평 및 수직 타일(2,3)의 시공 장착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또한 시공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타일 장식부재로 형성된 받침편에 의해 수평 타일의 밀림없이 항상 안정된 받침이 가능하게 되고, 그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조에 의한 유동 방지 및 상기 받침편 또는 벽면 밀착부재로 형성된 돌조에 의해 수평 및 수직 타일의 시공시 미끄러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타일의 안정된 시공 및 시공 정렬이 가능하고, 또한 타일의 시공이 그 만큼 신속 원활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등록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수평 타일(2)이 장착되는 벽면(1)의 코너 단부에 몰탈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몰탈공(112)이 구비된 벽면 밀착부재(110)와, 이 벽면 밀착부재(11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고 수평타일(2)의 단부면을 받침하는 타일 장식부재(120)로 구성된 타일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타일 장식부재(120)로는 모서리부로 위치되는 수평 타일(2)의 단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밀착부재(110)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받침편(13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130)으로는 수평 타일(2)의 시공시 벽면 밀착부재(110)에 대하여 수평 타일(2)의 시공시 외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돌기(1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130)의 상면으로는 수평 타일(2)의 시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돌조(13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타일 마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타일(3)이 밀착되는 벽면 밀착부재(110)의 대응면으로는 수직 타일(3)의 시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조(11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재.
KR20-2003-0039163U 2003-12-16 2003-12-16 타일 마감재 KR200343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63U KR200343871Y1 (ko) 2003-12-16 2003-12-16 타일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63U KR200343871Y1 (ko) 2003-12-16 2003-12-16 타일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871Y1 true KR200343871Y1 (ko) 2004-03-12

Family

ID=4942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163U KR200343871Y1 (ko) 2003-12-16 2003-12-16 타일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8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91B1 (ko) 2006-07-12 2008-08-05 문성인 타일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351A (ko) * 2016-06-03 2017-12-13 고진권 타일용 마감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91B1 (ko) 2006-07-12 2008-08-05 문성인 타일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351A (ko) * 2016-06-03 2017-12-13 고진권 타일용 마감부재
KR101854776B1 (ko) * 2016-06-03 2018-06-20 고진권 타일용 마감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3871Y1 (ko) 타일 마감재
KR100837669B1 (ko) 외장재 마감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0387685Y1 (ko) 내외장 마감용 코너비드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1834186B1 (ko) 벽 판넬 고정 베이스
KR200224301Y1 (ko) 건물용 판재 앵커
JP3146398U (ja) 巾木スター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
JP4151612B2 (ja) 不陸調整材
JP4706370B2 (ja) 外壁開口部用役物
KR102152849B1 (ko) 연장된 결착부재의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KR200399471Y1 (ko) 액자걸이장치
JPH0450758Y2 (ko)
JPH0453382Y2 (ko)
JPH08260666A (ja) 取付金具を有するタイル状物および該タイル状物を用いた壁材
JP2005307619A (ja) 天井パネルと壁パネルの連結構造
KR200346707Y1 (ko) 천정 그늘 몰딩재
KR200212927Y1 (ko) 건축내장용 바닥 코너 마감재
KR200497761Y1 (ko) 분합창틀용 하부 마감 캡의 단부 지지구
JPH086439B2 (ja) タイル壁の施工構造
KR960008097Y1 (ko) 타일 마감재
KR200372505Y1 (ko) 시공이 간편한 건축용 판넬
KR200216463Y1 (ko) 걸레받이
KR200317815Y1 (ko) 실용적인 천정용 마감몰딩
KR200346329Y1 (ko) 석재 고정용 고정구
JPS63203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