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097Y1 - 타일 마감재 - Google Patents

타일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097Y1
KR960008097Y1 KR2019930013178U KR930013178U KR960008097Y1 KR 960008097 Y1 KR960008097 Y1 KR 960008097Y1 KR 2019930013178 U KR2019930013178 U KR 2019930013178U KR 930013178 U KR930013178 U KR 930013178U KR 960008097 Y1 KR960008097 Y1 KR 960008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inishing material
finish
attached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943U (ko
Inventor
김춘생
Original Assignee
김춘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생 filed Critical 김춘생
Priority to KR2019930013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097Y1/ko
Publication of KR950003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e.g. glue or mortar, on the covering elements, in particular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타일 마감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의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의 (가), (나), (다), (라)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마감재의 각종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도의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마감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5도는 종래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일마감재11 : 몸체
12 : 전면커버13 : 통공
14 : 요철부15 : 돌기부
16, 17 : 요홈20 : 타일
21 : 몰탈22 : 벽면
본 고안은 타일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을 부착하는 벽면의 모서리나 벽면 상부에 타일이 부착되고 하단부에는 몰탈로서 미장 마감되는 벽면에 타일이 부착되는 말단마감부를 미려하게 마감함과 동시에 타일이 벽면에서 떨어지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주방 또는 건물의 외벽과 같이 물이 많이 접하게 되는 부분에는 타일을 부착설치하여 방수기능과 함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져 하는데 벽면의 돌출된 모서리부나, 벽면중 상부는 타일을 부착하고 하부는 몰탈로서 미장하는 부분의 경계부가 거친 시멘트몰탈이 노출되어 단정하게 정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이 돌출되게 모서리된 부위에는 양측면에 평면타일(1)을 몰탈로서 부착하면서 돌출된 모서리부에는 라운드형태의 타일(2)을 부착하여 거칠게 몰탈이 노출되는 것을 커버하였다.
그러나, 이는 돌출된 모서리부로 거칠게 노출되는 몰탈은 커버하였으나, 건축물의 돌출된 모서리부를 반드시 둥글게 밖에 처리하지 못하여 각진 상태로 미감을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고, 후자의 벽면중 상부는 타일로 부착하고 하부는 몰탈로서 미장 마감하던 방법에서는, 타일이 부착된 말단부와 몰탈미장부와의 경계부를 단정하게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심혈을 기울여서 상기 경계부의 몰탈을 제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모서리부나 타일과 몰탈미장부와의 경계부에 타일 말단부를 감싸면서 마감하는 마감재를 제공하므로서, 타일작업의 마감을 미려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도의 (가), (나)는 제1도에 도시된 타일마감재의 사용상태단면도로서, 제2도(가)의 도면은 건물의 돌출된 모서리부에 타일마감재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의 (나)는 벽면의 상부에 타일을 부착하고 하부는 몰탈로서 미장마감한 벽면에 타일마감재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도 및 제2도 (가),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일 마감재(10)는 마감재 몸체(11) 전면에 타일(20)의 말단부를 지지하며 커버에는 전면커버(12)가 상향 절곡형성되어 있고, 몸체에는 소정크기의 통공(13)이 일정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관통되어 제2도 (가), (나)에서와 같이 몰탈(21)이 통하도록 형성되며, 이 몸체 전면에는 타일(20)과 타일마감재(10)가 견고하게 부착고정되도록 하는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1)의 후면 말단부에는 돌기부(15)가 형성되어 그 상측 소정위치에는 요홈(16)이 형성되어 타일을 지지하며 벽면에 부착되는 타일 마감재(10)가 벽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2) 후면에는 상기 요홈(16)과 동일 유사기능을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요홈(17)이 형성되어 타일(20)과 벽면(22) 사이에서 타일마감재(10)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도의 (가), (나), (다), (라)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마감재(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는 마감재 몸체(11) 전면부에 엠보싱 또는 무수히 많은 돌기(14a)들이 형성되어 타일(20)과 타일마감재(10) 그리고 벽면(22)이 서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나)는 몰탈이 통하는 통공(13)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데, 이 통공(13)의 모양은 제1도에 도시된 사각형모양이나 제3도 (나)의 원형 이외에도 삼각형, 타원 또는 장공등 어떠한 형태의 모양도 가능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제3도(나)에 표시된 a부는 타일을 지지커버하는 전면커버(12)의 전면에 각종 무늬를 인쇄 또는 조각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3도의 (다), (라)에 도시된 도면은, 전면커버(12)의 모양을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과, 직각형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은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 일실시예의 타일마감재(10)와 동일, 유사한 것이다.
한편, 제4도의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석진 부분에 타일(20)을 부착시킬 경우 사용되는 타일 마감재(10a)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타일마감재(10a)는 제1도에 도시된 타일마감재(10)와 모두 동일하나 전면커버(12)의 절곡각도가 대폭 확대된 것으로, 이 타일마감재(10a)는 몸체(11) 하단부에 전면커버(12a)가 외향절곡되며, 이 외향절곡된 전면커버(12a)는 오목홈 형태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가), (나) 및 제4도 (가),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에 타일을 부착시킬 경우에는 제2도 (가)와 같이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벽면에 타일을 부착시키는 경우와, 제2도(나)와 같이 벽면의 상부에만 타일을 부착하고 하부는 몰탈로서 미장마감하는 경우와, 그리고 제4도(가)와 같이 모서리부가 구석진 상태의 벽면에 타일을 부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제일 먼저 제2도(가)의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벽면에 타일과 타일마감재를 부착 설치하는 작업부터 설명한다.
제2도 (가)에서와 같이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타일을 부착 시킬경우에는 제일 먼저, 모서리부분의 일측벽면의 모서리부에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10)를 몰탈을 이용해서 벽면(22)에 부착시키는데, 이 타일마감재(10)의 부착은 전면커버(12)가 전면을 향하도록 부착시키되, 후면 돌기부(15) 즉 제1도에서 보았을때 타일마감재(10)의 하단부가 제2도 (가)에서와 같이 타일(20)의 두께와 몰탈의 두께를 합한 폭만큼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타일마감재(10)를 부착시켜 일측벽면(A 면이라 칭함)에 부착되는 타일 마감재(10)의 하단부선과 타측벽면(B면이라 칭함)에 부착되는 타일외측면과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일측벽면(A면)에 몰탈(21)을 이용하여 타일마감재(10)을 부착시킨뒤에 이 타일마감재(10) 상면에 타일(20)을 몰탈을 이용하여 덧붙이는데, 이때는 타일의 일측면이 전면커버(12) 내측에 위치하도록 타일(20)을 부착시킨다.
이렇게 타일마감재(10) 상면에 몰탈을 이용하여 타일(20)을 덧붙이게 되면, 제1도에서와 같이 몸체(11)에 형성된 통공(13)으로 몰탈이 통하게 되고 몸체(11) 전면의 요철부(14)에 의해 벽면(22)에 타일마감재(10)가 견고하게 고정부착됨과 아울러 타일마감재(10)와 타일(20) 또한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전면커버(12) 내측과 몸체(11) 후면에 요홈(17), (16)이 형성되고, 몸체(11) 말단하부에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또한 몰탈이 요홈과 돌기부, 요철부의 모양대로 성형되어 벽면에 타일마감재(40) 및 타일(20)이 견고하게 부착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타일마감재(10)와 타일을 일측벽면(A면)에 부착시킨뒤에 작업자가 목적하는 바대로 양측벽면에 타일을 부착시켜 타일 부착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제3도 (가), (나), (다), (라)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각종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작업이 이뤄지며 그 기능 또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전면커버(12)의 전면에는 각종 무늬가 인쇄 또는 조작되어 있어 타일이 부착된 벽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2도(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의 상부에만 타일(20)이 부착되는 경우와, 제4도 (가)(나)와 같이 내측으로 구석진 모서리부에 타일을 부착시킬 경우에도 그 작업방법과 효과가 동일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마감재는 건축물의 내외벽에 타일을 부착 설치할 경우에 가장 취약했던 모서리부의 처리를 본 고안의 타일마감재로서 미려하게 실시할 수 있어 타일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타일마감재에 형성된 요철부 및 돌기부, 요홈들에 의해 타일과 타일마감재를 견고하게 부착시켜 종래와 같이 타일이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축물의 내, 외벽에 타일의 부착설치 할 경우에 사용되는 타일마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타일마감재(10)의 몸체(11)에는 몸탈통과용 통공(13)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형성하고, 이 몸체 전면 하단부에는 타일의 말단부를 지지커버하는 전면커버(12)가 절곡형성되며, 이 타일마감재(10) 전면에 타일(20)이 견고하게 부착되고 이 타일마감재가 벽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몸체전면에 요철부(14)와 전면커버(12) 내측에 요홈(17)과, 몸체(11) 후면에 요홈(16) 및 돌기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마감재(10)의 몸체(11)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마감재(10)의 전면커버(12) 전면에는 각종 무늬모양이 조각, 인쇄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마감재의 전면커버를 외향절곡시켜 구석진 모서리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재.
KR2019930013178U 1993-07-16 1993-07-16 타일 마감재 KR960008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178U KR960008097Y1 (ko) 1993-07-16 1993-07-16 타일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178U KR960008097Y1 (ko) 1993-07-16 1993-07-16 타일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43U KR950003943U (ko) 1995-02-17
KR960008097Y1 true KR960008097Y1 (ko) 1996-09-23

Family

ID=1935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178U KR960008097Y1 (ko) 1993-07-16 1993-07-16 타일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0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43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33381A (en) Joints for Masonry and Sheet Material Structures
JP2007016428A (ja) サイディング端部用部材
KR960008097Y1 (ko) 타일 마감재
US20040093819A1 (en) Decorative ceiling, wall and floor structure
KR200172407Y1 (ko) 타일 스페이서
KR200395313Y1 (ko) 타일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타일 마감재.
KR200233422Y1 (ko) 타일마감재
KR200219926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100372356B1 (ko)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JP3383392B2 (ja) 建物の見切材
KR200346707Y1 (ko) 천정 그늘 몰딩재
JP7049059B2 (ja) 出隅部構造
JPH0323935Y2 (ko)
JP7049058B2 (ja) 出隅用ジョイナ
JPS6214247Y2 (ko)
JP3927773B2 (ja) 廻縁材とそれを用いた天井納まり構造
JP3047223U (ja) 天井切抜部用型材及び天井切抜部の構造
KR200164459Y1 (ko) 건축용 타일의 테두리 측면 구조
JP3015883U (ja) タイル張り構造
JP2000226926A (ja) 建物用外壁材
JP3336533B2 (ja) 見切り縁部材
KR920008905Y1 (ko) 건구용 문지방
KR200216462Y1 (ko) 콘크리트 면처리용 인코너 박판 비드
KR200330871Y1 (ko) 천정그늘 몰딩재
JPH0346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730

Effective date: 20040830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29

Effective date: 200408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