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22Y1 - 타일마감재 - Google Patents

타일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22Y1
KR200233422Y1 KR2019990003917U KR19990003917U KR200233422Y1 KR 200233422 Y1 KR200233422 Y1 KR 200233422Y1 KR 2019990003917 U KR2019990003917 U KR 2019990003917U KR 19990003917 U KR19990003917 U KR 19990003917U KR 200233422 Y1 KR200233422 Y1 KR 200233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wallpaper
support
finishing materia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098U (ko
Inventor
김아름
Original Assignee
김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호 filed Critical 김지호
Priority to KR2019990003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2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22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의 동일평면상에 타일(tile)과 벽지가 경계를 이루도록 시공될 때 그 경계를 마감하는데 적합한 타일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그 경계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타일마감재는, 몰탈고정을 위한 통공(13)을 가지는 몸체(11)와, 이 몸체(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향으로 절곡된 타일지지부(12), 그리고 몸체(11)의 타일지지부(12)가 연장된 부분에서 동일평면상에 폭방향으로 확장된 벽지지지부(1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일마감재는 벽체의 동일평면상에 타일과 벽지를 경계를 이루도록 시공하는 경우에 타일마감과 동시에 벽지의 가장자리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일마감재{TILE FINISHING MATERIAL}
본 고안은 타일(tile) 시공시 가장자리를 마감하는데 사용되는 타일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평면상에 벽지와 경계를 이루는 타일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데 적합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타일은 일반 주택의 욕실·주방·베란다 등 물이 사용되는 장소의 벽과 바닥 그리고 빗물이 직접 닿는 외부벽 등 방수와 청결유지 및 미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시공된다. 타일시공은 모래와 회를 섞고 물을 부어 반죽하여 만든 몰탈(mortar)을 이용하여 타일을 벽이나 바닥에 붙이는 작업을 말하며, 다수의 타일들을 모자이크(mosaic) 형태로 촘촘히 붙여나감으로써 벽과 바닥 전체 또는 필요한 부위에 덧씌우는 것이다.
타일시공에 있어서 종전에는 타일 모자이크의 가장자리나 벽체의 각이 진 모서리 부분을 면치기로 마무리 하였으나 그 외관이 좋지 못하고, 특히 타일은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자재와 시간이 낭비됨은 물론 파손부분이 날카로와 상처를 입을 위험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타일 모자이크의 가장자리나 각이 진 모서리 부분을 시공할 때는 타일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키고 자재와 손실과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타일마감재는 종래에도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96-8097호에 의하여 공지된 바 있다. 공지된 종래의 타일마감재와 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타일마감재는 도 1과 같이 일정한 폭으로 연속한 판상의 몸체(1)와 이 몸체(1)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장되어 단면이 원호형으로 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타일지지부(2)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체(1)에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타일(4)과 벽체(5) 사이에 개재되어 몰탈(6)을 연통시켜 부착고정될 수 있게 통공(3)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타일지지부(2)는 그 끝단부(2a)가 개구되어 있어 개구 안쪽으로 타일(4)의 가장장리(4a)를 살짝 수용하여 지지함으로써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타일마감재는 각이진 벽체의 모서리에 타일시공할 때는 모서리부분을 상기한 타일지지부(2)로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어서 효과적이나,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벽체(5)의 동일평면을 구분하여 타일(4)과 벽지(7)를 함께 시공하는 경우에 그 경계부에서 벽지(7)의 가장자리를 정확하게 정렬하는 것이 어렵고, 또 그 가장자리를 칼로 재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 긴 자를 사용하여 함은 물론 그 경우에도 타일마감재의 타일지지부(2) 끝선에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그 벽지와의 경계를 깔끔하게 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일이 벽지와 경계를 이루도록 시공되는 경우에 타일은 물론 벽지를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타일마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타일마감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타일마감재로 각이 진 벽체의 모서리에 시공되는 타일을 마감한 상태를 보인 타일시공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로 각이 벽체의 모서리에 시공되는 타일을 마감한 상태를 보인 타일시공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몸체 12 : 타일지지부
13 : 통공 14 : 타일
15 : 벽체 16 : 몰탈
17 : 벽지 18 : 벽지지지부
18a,12a : 요철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통상과 같이 폭이 일정한 판상의 몸체 일측가장리에서 상향으로 만곡시킨 타일지지부를 형성하되, 그 타일지지부가 연장된 부분에서 몸체의 폭을 더 연장시켜서 벽지의 가장자리를 부착 및 재단할 수 있게 된 벽지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벽지지지부를 형성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는 타일과 벽지가 경계를 이루면서 시공되는 경우에 그 경계부분을 쉽고 그리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3은 외관을 보인 것이며, 도 4는 벽체의 동일평면상에 타일과 벽지가 경계를 이루도록 시공되는 경우에 그 경계를 마감하도록 시공된 그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는, 일정한 폭으로 연속한 판상으로서, 통상과 같이 몰탈고정을 위해 통공(13)이 적당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11)와, 이 몸체(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장되어 단면이 원호형으로 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타일지지부(12), 그리고 몸체(11)의 타일지지부(12)가 연장된 일측 가장자리에서 동일평면상에 폭방향으로 더 확장된 벽지지지부(18)로 이루어졌다.
여기서 벽지지지부(18)와 타일지지부(12)가 접하는 구석진 부분(19)을 포함하여 그에 인접하는 그 벽지지지부(18)의 상면과 타일지지부(12)의 측면에 길게 형성되어 있는 조밀한 요철부(18a,12a)는 벽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그 가장자리 끝선을 맞추거나 직접 칼로 재단할 때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마감재는 알루미늄이나 스텐인레스등 금속을 연속압출성형하여 되거나 또는 합성수지의 연속압출성형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상태가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타일마감재의 몸체(11)와 벽지지지부(18)는 그 이면이 벽체(15)와의 사이에 채우지는 몰탈(16)로 부착되며, 몸체(11) 위에는 타일(14) 가장자리를 타일지지부(12)에 수납지지시킨 상태로 부착하여 시공하고, 벽체(15)의 타측부분에 부착시공되는 벽지(17)의 가장자리가 벽지지지부(18)에 부착시켜 그 벽지(17)의 가장자리 끝을 벽지지지부(18)와 타일지지부(12)가 서로접하는 구석진 부분(19)에 맞추게 하거나 그 구석진 부분(19) 또는 벽지지지부(18)상면과 타일지지부(12)의 측면에 형성된 요철부(18a,12a)의 한 눈금을 따라 칼을 대고 재단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타일시공과 벽지시공의 경계를 간편하게 마감할 수 있고 동시에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타일마감재의 타일지지부가 외력에 의해 수축되지 않게 그 끝부분을 보강지지부로 보강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시공전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그 자재의 손실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며, 또한 시공후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어서외관을 해치거나 시공될 타일을 파손시켜 재시공하여야 하는 등 하자발생 요인이 아주 적어지고 또한 깔끔한 상태로 외관을 잘 유지할 수 있어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일정한 폭으로 연속하게 형성되고 벽체와 타일 사이에서 몰탈고정을 위한 통공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이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향으로 절곡되어 타일 가장자리를 마감시공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타일지지부, 그리고 몸체의 타일지지부가 연장된 끝부분에서 동일평면상에 폭방향으로 넓게 확장되어 벽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벽지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벽지지지부의 상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타일지지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곧게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마감재.
KR2019990003917U 1999-03-12 1999-03-12 타일마감재 KR200233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17U KR200233422Y1 (ko) 1999-03-12 1999-03-12 타일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17U KR200233422Y1 (ko) 1999-03-12 1999-03-12 타일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098U KR20000018098U (ko) 2000-10-16
KR200233422Y1 true KR200233422Y1 (ko) 2001-10-27

Family

ID=5476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17U KR200233422Y1 (ko) 1999-03-12 1999-03-12 타일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712B1 (ko) * 2001-11-21 2005-03-08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샷시가 설치된 발코니의 하부시공방법
KR101284000B1 (ko) * 2011-10-20 2013-07-09 주식회사 비와이티 선박용 선실 벽지의 가장자리 마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37B1 (ko) * 2002-04-30 2005-01-24 김아름 재료 분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712B1 (ko) * 2001-11-21 2005-03-08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샷시가 설치된 발코니의 하부시공방법
KR101284000B1 (ko) * 2011-10-20 2013-07-09 주식회사 비와이티 선박용 선실 벽지의 가장자리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098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449B2 (en) Removable floor
EP2140072B1 (en) Drain with adjusting frame
US4128982A (en) Means and method of tiled surface construction
KR200233422Y1 (ko) 타일마감재
US20100011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l Modular Masonry Flashing
US4391072A (en) Window trim
EP1764458B1 (en) System for construction of swimming pool edges
CN212428447U (zh) 一种排水门槛石的安装结构
US1453945A (en) Tiled sink and drain board
KR200262981Y1 (ko) 타일마감재
CN110805115A (zh) 卫生间底盒、卫生间地面及安装方法
CN211735682U (zh) 卫生间底盒及卫生间地面
KR101854776B1 (ko) 타일용 마감부재
KR102670612B1 (ko) 현장조립 샤워 시스템
KR200297605Y1 (ko) 일체식 면따기성형구
KR200334466Y1 (ko) 타일 마감재
CN215167247U (zh) 一种仿古西瓦及其成型模具
CN212562270U (zh) 一种防水墙地面装饰结构
KR102109659B1 (ko)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CN210636524U (zh) 一种可拆撤的下水道构件
CN210622230U (zh) 墙砖与地面阴角线收边
JP2500824Y2 (ja) 窯業系外装役物
JPS63916Y2 (ko)
JPH0422652Y2 (ko)
KR100850491B1 (ko) 타일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