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659B1 -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 Google Patents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659B1
KR102109659B1 KR1020180113065A KR20180113065A KR102109659B1 KR 102109659 B1 KR102109659 B1 KR 102109659B1 KR 1020180113065 A KR1020180113065 A KR 1020180113065A KR 20180113065 A KR20180113065 A KR 20180113065A KR 102109659 B1 KR102109659 B1 KR 10210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ing
wall
bent
flange portion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596A (ko
Inventor
이승원
이회랑
Original Assignee
네오비엠(주)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비엠(주), 이승원 filed Critical 네오비엠(주)
Priority to KR102018011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6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5Finishing profiles with a T-shaped cross-sectio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W) 모서리에 구비된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프레임은 금속판으로 구비된 후레싱 웹부,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 및 마감패널 삽입부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후레싱 웹부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 외측면에 맞대어지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는 상기 후레싱 웹부의 상단부가 상기 외벽(W)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는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의 단부가 상기 외벽(W) 외측을 향하여 180°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는 상기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가 상기 후레싱 웹부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W)의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모서리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처마의 형태를 갖는 마감패널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돌출된 부분의 단부가 심플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고, 시공 후 모서리에서 패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FINISHING FRAME FOR OUTER WALL CORNERS}
이 건 발명은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형태를 갖는 외벽과 외벽이 만나는 모서리 또는 외벽과 경사진 형태를 갖는 외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양측 모서리가 동시에 커버되는 형태를 가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마감패널 삽입부가 일체로 절곡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은 조립식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고, 건물 골조를 구축한 후 건물 각층에 해당하는 부분에 슬라브를 타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되는 방법으로 진행 되었다.
시공된 건물의 내벽면이나 모서리, 엣지 또는 지붕의 처마 부분은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을 부착하여 건물의 내부를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벽면이나 모서리, 엣지 또는 지붕의 처마 부분의 시공은 석재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금속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석재패널을 이용한 시공시에는 코오킹이 부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공정상의 불편함과 코오킹시 발생되는 작업의 어려움, 그리고 코오킹 후 틈새로 흘러나온 실링으로 인하여 미관이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됨으로 석재 패널에 비하여 시공속도가 빠르고 미관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금속패널을 이용한 시공법이 증가되고 있다.
금속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벽면이나 모서리 또는 엣지가 시공될 때에는 작업 현장에서 각종 절단기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판재를 2번 내지 3번 정도 절곡한 후 절곡된 부위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시공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796호(2010.09.10)의 외벽 모서리의 외장패널 마감부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외장패널 마감부재는 건축물의 외벽 모서리 부분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절곡된 안착부의 모서리에 연결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파지부에 의하여 외벽과 나란하게 고정시키는 시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장패널과 외장패널이 각진 상태로 만나는 외장 모서리 부분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일측의 모서리보다 타측의 패널이 더 돌출되도록 하는 처마와 같은 곳에 사용하기에는 구조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축물의 모서리 상부로 위치된 금속패널이 처마의 형태와 같이 모서리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할 경우, 모서리 끝부분의 상부로 얹혀지게 구비되는 금속패널의 하부가 단순하게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인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모서리의 하부측의 미관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서리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금속패널의 단부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심플한 미관을 제공치 못하는 가운데 모서리와 금속패널의 하부 사이가 들뜨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796호(2010.09.10)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모서리 및 모서리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처마의 형태를 갖는 마감패널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돌출된 부분의 단부가 심플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고, 시공 후 모서리에서 마감패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서리의 끝단과 마감패널이 얹혀진 부분의 심플한 라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W) 모서리에 구비된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프레임(10)은 금속판으로 구비된 후레싱 웹부(110),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 및 마감패널 삽입부(150)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후레싱 웹부(110)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 외측면에 맞대어지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는 상기 후레싱 웹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외벽(W)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는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의 단부가 상기 외벽(W) 외측을 향하여 180°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는 상기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가 상기 후레싱 웹부(110)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W)의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후레싱 웹부(110)의 하단에는 웹부 보강편(111)이 내측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의 단부에는 마감패널 삽입부(150)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레싱 웹부(110)는 하단에 웹부 보강편(111)이 내측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웹부 보강편(111)은 후레싱 웹부(110)의 하단에서 벽체(W)의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와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는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1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의 윗면에 상기 아우터 프레싱 플랜지부(1300의 밑면이 맞대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상부 플랜지부(120)는 직각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상부 플랜지부(120)는 둔각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2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3
형태를 갖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4
형태를 갖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5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지되, 절곡된 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보강편(15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후레싱 웹부에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가 절곡되도록 하고,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를 갖는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가 일체로 절곡되어 건축 구조물의 모서리가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되는 마감패널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소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의 윗면에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의 밑면이 맞대어지도록 2겹으로 구비됨으로써,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에 마감패널 삽입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마감패널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려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마감패널의 일부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서리의 단부와 모서리의 단부측 상부로 위치되는 마감패널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과 마감 프레임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의 배면측 저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직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직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직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둔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둔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둔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과 마감 프레임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의 배면측 저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직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마감 프레임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인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되는 마감패널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소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여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마감패널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려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외벽(W)이 만나는 모서리가 커버되는 마감 프레임(10)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마감 프레임(10)은 금속판으로 구비된 후레싱 웹부(110),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 및 마감패널 삽입부(150)가 일체로 절곡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마감 프레임(10)은 금속판 이외에 합성수지재가 압출 성형된 것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후레싱 웹부(110)는 수직형태를 갖는 외벽(W)의 외측면과 평행한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 있고,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는 후레싱 웹부(110) 상단에 외벽(W)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는 모서리의 형태에 따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직각형태를 갖도록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레싱 웹부(110)는 하단에 웹부 보강편(111)이 내측 상부로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하단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웹부 보강편(111)은 후레싱 웹부(110)의 하단에서 벽체(W)의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는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의 단부에 외벽(W)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는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가 절곡된 부분에서 시작되어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 즉, 마감패널(P)이 돌출되는 길이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와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는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6
형태를 갖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의 윗면에 상기 아우터 프레싱 플랜지부(130)의 밑면이 맞대어지게 구비됨에 따라 2겹으로 이루어져 충분한 강도과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시공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강풍에 의하여 모서리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와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의 상부로 얹혀지는 마감패널(P)의 단부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단부가 균일한 마감패널(P)의 라인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7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마감패널(P)의 절단된 부분과 동일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마감패널(P)의 단부가 안정적이게 결합되도록 하는 가운데 외부에서 볼때 마감패널 삽입부(150)의 외측 상하부에 형성된 모서리 부분이 보이게 됨에 따라 뚜렸한 마감라인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직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마감패널(P)의 하부가 얹혀지는 가운데 외벽(W)의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된 마감패널(P)의 단부가 소정 깊이로 끼워져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 가운데 라인감을 갖도록 하는 하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에 구비된 마감패널 삽입부(150)가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단순한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8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부와 하부의 2개의 라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에 구비된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Figure 112018094137119-pat00009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감패널(P)의 단부가 마감패널 삽입부(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부가 1개의 라인감을 얻어 더 심플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직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마감패널(P)의 하부가 얹혀지는 가운데 외벽(W)의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된 마감패널(P)의 단부가 소정 깊이로 끼워져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 가운데 라인감을 갖도록 하는 하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에 구비된 마감패널 삽입부(150)가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단순한
Figure 112018094137119-pat00010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부와 하부의 2개의 라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의 단부는
Figure 112018094137119-pat00011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절곡된 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보강편(151)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감패널(P)의 단부가 마감패널 삽입부(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부가 1개의 라인감을 얻어 더 심플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둔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 마감 프레임(10)의 후레싱 웹부(110)와 후레싱 웹부(110)의 상단에 절곡된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가 직각형태를 갖도록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상부 플랜지부(120)는 둔각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 중 상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는 처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의 단부에 구비된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Figure 112019099907671-pat00012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둔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 마감 프레임(10)의 후레싱 웹부(110)와 후레싱 웹부(110)의 상단에 절곡된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가 직각형태를 갖도록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상부 플랜지부(120)는 둔각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 중 상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는 처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의 단부에 구비된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Figure 112019099907671-pat00013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이 둔각인 모서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 마감 프레임(10)의 후레싱 웹부(110)와 후레싱 웹부(110)의 상단에 절곡된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가 직각형태를 갖도록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상부 플랜지부(120)는 둔각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 중 상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는 처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의 단부에 구비된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Figure 112019099907671-pat00014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절곡된 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보강편(151)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마감 프레임
110:후레싱 웹부
120:인너 후레싱 플랜지부
130: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
140: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
150:마감패널 삽입부

Claims (9)

  1. 건축 구조물의 외벽(W) 모서리에 구비된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프레임(10)은 금속판으로 구비된 후레싱 웹부(110),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 및 마감패널 삽입부(150)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후레싱 웹부(110)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W) 외측면에 맞대어지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는 상기 후레싱 웹부(110)의 상단부가 상기 외벽(W)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는 상기 인너 후레싱 플랜지부(120)의 단부가 상기 외벽(W) 외측을 향하여 180°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는 상기 아우터 후레싱 플랜지부(130)가 상기 후레싱 웹부(110)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W)의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후레싱 웹부(110)의 하단에는 웹부 보강편(111)이 내측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아우터 후레싱 연장 플랜지부(140)의 단부에는 마감패널 삽입부(150)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상부 플랜지부(120)는 직각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 웹부(110)와 인너 후레싱 상부 플랜지부(120)는 둔각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Figure 112018094137119-pat00016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Figure 112018094137119-pat00017
    형태를 갖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Figure 112018094137119-pat00018
    형태를 갖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 삽입부(150)는 단부가
    Figure 112018094137119-pat00019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지되, 절곡된 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보강편(15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KR1020180113065A 2018-09-20 2018-09-20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KR102109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65A KR102109659B1 (ko) 2018-09-20 2018-09-20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65A KR102109659B1 (ko) 2018-09-20 2018-09-20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596A KR20200033596A (ko) 2020-03-30
KR102109659B1 true KR102109659B1 (ko) 2020-05-12

Family

ID=7000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065A KR102109659B1 (ko) 2018-09-20 2018-09-20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6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738B1 (ko) 2018-02-12 2018-12-24 네오비엠(주) 건축마감패널용 마감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796A (ko) 2009-03-02 2010-09-10 마용관 외벽 모서리의 외장패널 마감부재
KR101830848B1 (ko) * 2015-06-29 2018-02-22 이승원 아트패널 설치구조
KR101860894B1 (ko) * 2015-07-02 2018-05-24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738B1 (ko) 2018-02-12 2018-12-24 네오비엠(주) 건축마감패널용 마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596A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9769A1 (en) External corner formative member, external wal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rner formation of building
EP2472029B1 (en) A method for mounting a flashing for a roof window and a flashing system for a roof window
KR101013016B1 (ko) 외벽 시공 구조
KR102109659B1 (ko)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US20100011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l Modular Masonry Flashing
US20100095628A1 (en) Wall system
JP2005146802A (ja) 固定金具及びこの金具を用いた外装材の施工構造
JP2018066151A (ja) 板材の端面取付具、壁構造及び板材の施工方法
US1170968A (en) Metal door and window casing and base-cap.
KR101647742B1 (ko) 문틀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9514B1 (ko) 건축구조물의 코너 엣지 마감용 보강아트패널
CN113585612A (zh) 一种拼接式双层保温预制墙板
KR101376407B1 (ko) 창문 일체형 pc 패널의 구조
KR101269488B1 (ko)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ITTO20000377A1 (it) Sistema di tracimazione a bordo sfioratore, particolarmente per una piscina prefabbricata da interramento, e procedimento e corredo per la s
KR200262981Y1 (ko) 타일마감재
KR102108117B1 (ko) 코너 비드 후레싱
KR200497761Y1 (ko) 분합창틀용 하부 마감 캡의 단부 지지구
JPH0140884Y2 (ko)
KR200233422Y1 (ko) 타일마감재
CN106376238A (zh) 用于房屋和建筑物的建筑结构
KR100577090B1 (ko) 조립식 사이딩
US1891187A (en) Bulkhead construction
KR101985327B1 (ko) 건축용 마감패널
US1500675A (en) Roof fla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