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871Y1 - 천정그늘 몰딩재 - Google Patents

천정그늘 몰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871Y1
KR200330871Y1 KR20-2003-0025180U KR20030025180U KR200330871Y1 KR 200330871 Y1 KR200330871 Y1 KR 200330871Y1 KR 20030025180 U KR20030025180 U KR 20030025180U KR 200330871 Y1 KR200330871 Y1 KR 200330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wallpaper
molding material
wall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름
Original Assignee
김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름 filed Critical 김아름
Priority to KR20-2003-0025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도배지의 끝단부의 처리가 매끄럽게 이루어지고 도배 작업이 간편한 천정그늘 몰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천정그늘 몰딩재는 천정 각목부재에 나사못에 의해 고정되는 수평지지부재와, 그 수평지지부재의 양측으로부터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내.외측 측벽부재 및 그 내측 측벽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석고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천정그늘 몰딩재에 있어서,
상기 벽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부재의 하단에 수평을 이루도록 벽지 부착부재가 연장되고, 다시 그 벽지 부착부재로부터 벽면밀착 수직부재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절곡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석고보드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천정을 향해 수직으로 솟아오른 천정벽지 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그늘 몰딩재{Molding materials for corner of ceiling}
본 고안은 천정의 사방 테두리를 따라 벽면과의 경계에 미적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천정 그늘재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 천정과 벽면은 직각으로 만나 모서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양측 경계면상은 미장 작업이 불규칙하게 되므로써 벽지를 도배할 때 모서리 부분에의 마무리 작업이 어렵고 숙련된 도배공이라 하더라도 도배상태가 좋지 않게 나타나 실내미관을 해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천정과 벽면과의 경계부에는 도배의 편의성을 증진시킴과 함께 조명에 의해 천정 테두리를 따라 그림자가 지도록 하므로써 실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천정그늘 몰딩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이러한 천정그늘 몰딩재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벽면에 액자등을 걸때 콘크리트벽의 경우 못을 박기가 힘들고, 못박음이나 구멍을 뚫게 될 때 벽면을 손상시켜 건물의 내구연한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석고나 하드보드 등의 벽면인 경우 못을 박을 수 없을 뿐 아니라 큰 하중을 견딜 수 없어 천정에 설치한 천정그늘 몰딩재로부터 달아매어 액자등을 걸 수 있도록 하므로써 건물의 손상도 방지하고 실내미관도 향상시키고 있다.
도 4에 종래에 사용되어오고 있는 천정그늘 몰딩재(30)를 도시하였는 바, 이는 천정(2)과 벽면(9)의 경계부위를 따라 설치하되 천정각목(4)등을 통해 천정(2)측에 나사못(5) 등을 사용하여 장착되는 수평지지부재(6)와, 그 수평지지부재(6)의양측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된 내.외측 측벽부재(7)(8) 및 내측 측벽부재(7)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석고보드지지부재(1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부호 16과 17은 액자등을 걸고리(24)에 매달아 걸 때 슬라이드편(25)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안내부이다.
이와같은 종래 구성에 의하면 천정그늘 몰딩재(30)를 천정(2)의 간격 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천정각목(4)에 나사못(5)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석고보드(21)를 석고보드 지지부재(12)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한 후 천정벽지(23)를 바르게 되며, 또 벽면(9)에도 벽지(22)를 바르게 되면 작업이 끝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벽지(22)(23)의 단부(22a)(23a) 처리를 매끄럽게 처리하기가 어려워 실내의 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 및 여분의 벽지를 깨끗하게 절단처리하는 작업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고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도배지의 끝단부의 처리가 매끄럽게 이루어지고 도배 작업이 간편한 천정그늘 몰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천정그늘 몰딩재는
천정 각목부재에 나사못에 의해 고정되는 수평지지부재와, 그 수평지지부재의 양측으로부터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내.외측 측벽부재 및 그 내측 측벽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석고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천정그늘 몰딩재에있어서,
상기 벽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부재의 하단에 수평을 이루도록 벽지 부착부재가 연장되고, 다시 그 벽지 부착부재로부터 벽면밀착 수직부재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절곡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석고보드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천정을 향해 수직으로 솟아오른 천정벽지 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벽지 부착부재와 천정벽지 부착부재에는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연속하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내.외측 측벽부재의 안쪽에는 액자 등을 매달아 걸기 위한 슬라이드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그늘 몰딩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그늘 몰딩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그늘 몰딩재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그늘 몰딩재 2 : 천정
3 : 천정 공간 4 : 천정 각목
5 : 나사못 6 : 수평지지부재
7 : 내측 측벽부재 8 : 외측 측벽부재
9 : 벽면 10 : 벽지 부착부재
11 : 벽면밀착 수직부재 12 : 석고보드 지지부재
13 : 천정벽지 부착부재 14,15 : 요철면
16,17 : 슬라이드 안내부 20 : 슬롯홈
21 : 천정석고보드 22 : 벽지
23 : 천정벽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그늘 몰딩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그늘 몰딩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그늘 몰딩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있어 부호 1로 나타낸 천정그늘 몰딩재는 천정(2)에 전기배선 공사등을 위한 공간(3) 확보를 위해 가설되는 천정각목부재(4)에 나사못(5)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지지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6)는 압출작업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성형되는데, 그의 양측으로부터 나란히 2개의 내.외측 측벽부재(7)(8)가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외측 측벽부재(8)는 벽면(9)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의 하단에 벽지 부착부재(10)가 수평으로 연장되고, 다시 벽지 부착부재(10)의 단부에서 ㄷ자 형상의 몸체를 이루도록 천정(2)을 향해 수직으로 벽면밀착 수직부재(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측벽부재(8)에 대향되는 내측 측벽부재(7)의 하단에는 석고보드 지지부재(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석고보드 지지부재(12)의 단부에 수직상방을 향해 천정벽지 부착부재(13)가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벽지 부착부재(10) 및 천정벽지 부착부재(13)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연속하는 요철면(14)(1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6과 17은 슬라이드 안내부이며, 부호 18과 19는 안내돌기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천정(2)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할 때 천정(2)에 가설된 각목부재(4)에 나사못(5)을 사용하여 고정되는데, 수평지지부재(6)의 중앙에는 나사못(5)을 위한 드릴공 작업의 편의를 위한 슬롯홈(2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어 슬롯홈(20)의 적당한 위치상에 한 점으로 잡아 드릴끝을 대고 구멍을 뚫은 다음 나사못(5)을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벽면밀착 수직부재(11)가 벽면(9)에 밀착되도록 하여 천정(2)의 사방 테두리를 따라 시공하게 된다.
다음에 천정석고보드(또는 합판)(21)를 깔게 되는데 천정석고보드(21)의 단부가 천정벽지 부착부재(13)의 상단에 걸쳐 지지되도록 시공한다.
이와같이하여 천정그늘 몰딩재(1)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벽지(22)와 천정벽지(23)를 도배하게 되는데, 벽지(22)의 상단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같이 벽면밀착 수직부재(11)와의 경계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직각으로 접어져 벽지 부착부재(10)의 요철면(15)까지 연장되어 접착되며, 여분 길이의 벽지는 절단칼을 사용하여 요철면(15)의 골짜기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그어 나가면 벽지의 단부가 깨끗하게 잘려나가게 되어 정돈작업이 손쉽게 된다.
벽지(22)의 코너 단부에서는 자 등을 이용하여 코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쓸어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벽지의 단부가 직각을 이루게 되고, 직각으로 구부러진 벽지 단부를 빗자루 등을 이용하여 쓸어나가게 되면 요철면(15)에의 접착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여분길이의 벽지는 간단하게 칼을 사용하여 그어나가게 되면, 금속성 판재가 받침판이 될 뿐 아니라, 요철면(15)의 골ㅉ기를 따라 칼을 일직선으로 그어 나갈 수 있어 별도의 직선자 등을 대지않고 여분의 벽지 절단이 가능하므로써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어지게 된다.
한편, 천정벽지(23) 역시 앞서와 마찬가지로 끝단을 절곡시켜 천정벽지 부착부재(13)의 요철면(14)에 벽지단부를 부착시킨 후 절단칼로 그어 여분 길이를 절단해내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요철면을 가지는 벽지 부착부재와 천정벽지 부착부재가 내.외측 측벽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어, 벽지와 천정벽지가 천정그늘 몰딩재와의 경계부에서 경계를 이루도록 부착되지 아니하고 각각 그의 단부가 절곡되어벽지 부착부재와 천정벽지 부착부재의 요철면까지 연장되어 부착된 후 절단칼에 의해 잉여길이의 벽지가 간단히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되어지기 때문에 벽지끝단의 코너부분이 절곡된 채 연장되어지는 관계로 절곡된 벽지의 코너부분의 미관이 향상되고, 여분길이의 벽지가 깨끗하고 고르게 절단되므로써 외부로 벽지 단부의 불규칙성이 크게 드러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으며, 벽지길이(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여 도배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천정 각목부재에 나사못에 의해 고정되는 수평지지부재와, 그 수평지지부재의 양측으로부터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내.외측 측벽부재 및 그 내측 측벽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석고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천정그늘 몰딩재에 있어서,
    상기 벽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부재의 하단에 수평을 이루도록 벽지 부착부재가 연장되고, 다시 그 벽지 부착부재로부터 벽면밀착 수직부재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절곡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석고보드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천정을 향해 수직으로 솟아오른 천정벽지 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그늘 몰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벽지 부착부재와 천정벽지 부착부재에는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연속하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그늘 몰딩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측벽부재의 안쪽에는 액자 등을 매달기 위한 슬라이드 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그늘 몰딩재.
KR20-2003-0025180U 2003-08-05 2003-08-05 천정그늘 몰딩재 KR200330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180U KR200330871Y1 (ko) 2003-08-05 2003-08-05 천정그늘 몰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180U KR200330871Y1 (ko) 2003-08-05 2003-08-05 천정그늘 몰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871Y1 true KR200330871Y1 (ko) 2003-10-22

Family

ID=4941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180U KR200330871Y1 (ko) 2003-08-05 2003-08-05 천정그늘 몰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8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18B1 (ko) * 2023-01-26 2023-05-08 주식회사 성일 조립식 욕실의 천정 마감 몰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18B1 (ko) * 2023-01-26 2023-05-08 주식회사 성일 조립식 욕실의 천정 마감 몰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6618A1 (en) Wall panel base trim and method for the same
US8522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ably connecting trim to a wall or ceiling or both
US4367616A (en) Wooden beam suspended ceiling assembly
EP1739254A2 (en) Method and means for finishing a room
US3494085A (en) Recessed stop bead
GB2233381A (en) Joints for Masonry and Sheet Material Structures
KR200330871Y1 (ko) 천정그늘 몰딩재
GB2124267A (en) Plastics skirting board or rubbing strip
US20100263320A1 (en) Architectural Molding Longitudinal Groove
CN210369512U (zh) 一种弧形灯槽安装结构
WO2000050724A1 (en) Finish material for window openings
KR200346707Y1 (ko) 천정 그늘 몰딩재
GB2326429A (en) Decorative embellishment for the walls of a building
US5157884A (en) Solely wall mounted drop ceiling structure
RU49061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рофиля
KR200315869Y1 (ko) 건축물 천정용 마감몰딩
CN219298560U (zh) 一种带有风口的铝塑板吊顶灯槽结构
KR200298240Y1 (ko) 건축물용 몰딩재
KR200325216Y1 (ko) 벽지 시공용 몰딩부재
CN219909794U (zh) 一种内嵌式踢脚线
EP1669513A1 (en) Method and means for finishing a room
CN211114634U (zh) 装配式欧式墙板安装条及结构
JPH0422652Y2 (ko)
JP3606845B2 (ja) 天井用の廻り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構造
AU2020204509A1 (en) Edging tri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