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571B1 -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571B1
KR101884571B1 KR1020170114266A KR20170114266A KR101884571B1 KR 101884571 B1 KR101884571 B1 KR 101884571B1 KR 1020170114266 A KR1020170114266 A KR 1020170114266A KR 20170114266 A KR20170114266 A KR 20170114266A KR 101884571 B1 KR101884571 B1 KR 10188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building
lower frames
found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둘례
Original Assignee
김둘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둘례 filed Critical 김둘례
Priority to KR102017011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5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구조의 외측벽체와, 목구조의 내측벽체로 이중의 벽체 구조로 외벽을 구성하여 구조물로서의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단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위토대 위에 설치되는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토대의 위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외부벽체, 상기 외부벽체의 내면에 포개어지며 목재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벽체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외부벽체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며 상기 단위토대 위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벽체로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Structure for Outer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 구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구조의 외측벽체와, 목구조의 내측벽체로 이중의 벽체 구조로 외벽을 구성하여 구조물로서의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단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에 기초시공을 한 후, 기초에 설치된 토대 상에 용접 및 볼트체결로 벽체를 설치하고, 벽체 상에 지붕을 설치하고, 건축물의 외부에 테라스나 데크를 설치할 경우 건축물 기초 시공과는 무관하게 평탄화된 지면에 기둥을 세우고 그 상부에 데크 혹은 테라스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등을 설치하여 완성하였다.
상기에서 기초 시공은, 바닥 평탄화 작업 후,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패널을,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 및 패널들을 연결하는 연결바와 체결시켜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한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을 형성하고, 지반 타설 과정에 앵커를 설치한 후, 앵커를 통해서 토대와 지반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초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기초를 타설하는 과정에 앵커를 설치하고 이후 앵커와 토대를 체결하였으므로 체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앵커의 위치가 타설과정에서 몰탈의 수축 등으로 인하여 위치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아서 토대 설치 시 토대에 별도의 앵커 체결공을 천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토대위에 벽체 같은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 구조물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해당하는 기둥 구조물이 설치되기 위한 위치를 설계도에 맞추어 측정한 후, 측정된 곳으로 기둥 구조물을 들고간 다음, 상기 기둥 구조물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기둥 구조물을 토대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 방식은 정확한 설계도면에 맞추어 기둥 구조물을 설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실무적으로 상당히 어려워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담에는 치수에 적힌 대로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기가 어려우며, 더욱이 용접을 행할 수 있는 작업자를 따로 고용하여야 함으로서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번호 공개번호 제 10-2011-0135496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골구조의 외측벽체와, 목구조의 내측벽체로 이중의 벽체 구조로 외벽을 구성하여 구조물로서의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단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위토대 위에 설치되는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토대의 위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외부벽체, 상기 외부벽체의 내면에 포개어지며 목재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상기 외부벽체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며 상기 단위토대 위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벽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벽체는 상기 단위토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단위토대 위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 사이 공간에 덮혀지는 외부마감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의 양단에는 다른 외부벽체의 상, 하부프레임과 직각되게 맞대여질 수 있도록 맞댐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맞댐부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상부 개방형 맞댐부로 구성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된 맞댐부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하부 개방형 맞댐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벽체는 외곽틀, 상기 외곽틀 내부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외부벽체의 서포트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재, 상기 각재 사이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단열재 및 상기 외곽틀의 내면에 덮혀지는 합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에는 체결수단이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각재에 결합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에는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으로는 체결수단이 관통한 상태에서 내부벽체의 외곽틀 상, 하면에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철골구조의 외측벽체와, 목구조의 내측벽체로 이중의 벽체 구조로 외벽을 구성하여 외벽이 구조물로서의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단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내, 외부벽체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조립 시공토록 함에 따라 시공 기간 및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의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외벽 구조에서 외부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외벽 구조에서 내부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조립식 건축물의 내, 외부벽체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토대 및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 기초 외벽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토대(100)와, 상기 단위토대(100) 위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외벽(200) 및 천정과 같은 구조물을 지탱하는 수단인 기둥등으로 건축물의 골조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단위토대(100)의 구조를 통해 조립과 동시에 건축물의 길이는 물론 단위토대(100) 간의 맞댐 부위 직각이 정확히 이루어지며 거푸집 시공을 간소화하여 시공 기간 및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단위토대를 구현하고자 한다.
단위토대(100)는 건축물의 외벽을 지탱하는 부재로서, 상, 하부프레임(10, 20), 서포트(30), 브라켓(40) 및 패널(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은 건축물의 외벽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누운상태로 서포트(30)를 사이에 두고 상, 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0)에는 외벽이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0)은 건축물이 지어지는 기초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2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28)으로는 기초바닥면(300)에 설치되어 지는 단위토대(100)의 높, 낮이를 조정하는 레벨수단(50)이 설치된다.
즉, 단위토대는 건축물에서 바닥을 구성하게 되는 바, 각 단위토대(100)의 수평 레벨이 틀려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건축물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단위토대로 사용되는 하부프레임(20)의 수평 레벨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단 역시 필요하게 된다.
상기 레벨수단(60)은 하부프레임(20)의 구멍(28)에 고정 설치되는 블라인더너트(62), 상기 블라인더너트(62)의 체결구멍(64)에 나사식으로 관통 체결되는 앵커볼트(66)를 포함한다. 상기한 레벨수단(60)은 공구를 이용하여 앵커볼트(66)를 회전시키면 상기 앵커볼트(66)는 블라인드너트(62)의 체결구멍(6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타고 상, 하 이동하며 하부프레임(20)의 높낮이를 조정해 결과적으로 단위토대(100)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위쪽에 서포트(3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프레임(10)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외벽이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어 진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개방형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개방형 홈(13)에는 건축물의 내벽을 지탱하는 내벽토대(500)의 상부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하부개방형 홈이 서로 맞물려지며 내벽토대(500)의 상부프레임을 외벽 단위 토대의 상부프레임에 연결 고정하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양단에는 맞댐부(16)가 절개 형성되는 데, 상기 맞댐부(16)는 다른 단위토대(10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는 맞댐부가 맞대여지는 과정에서 각 상부프레임(10)의 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하여 직각되게 맞대여 지는 두개의 단위토대(100)를 정확하게 직각 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부프레임(10)의 양단에 맞댐부(16)를 형성하되, 상부프레임(10)의 일단에 형성된 맞댐부(16)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상부 개방형 맞댐부(일명"받을장")(16a)로 형성하고 그 타단에 형성된 맞댐부(16)는 이와 반대인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하부 개방형 맞댐부(일명 "덮을 장")(16b)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단위토대(100)를 서로 직각되게 연결하고자 할 때, 하나의 단위토대(1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 개방형 맞댐부(16a)에 다른 단위토대(10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 맞댐부(16b)를 포개어주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체결수단 및 각도 계산을 위한 작업 없이도 두 개의 단위토대(100)를 정확히 90°로 직각되게 맞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위토대(10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20)의 양단에도 서로 반대 방향의 상, 하부개방형 맞댐부(26a, 26b)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과 같이 두 개의 단위포대(100)를 서로 직각되게 맞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30)는 상, 하로 위치하는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외측 하면에는 상기 서포트(30)의 상단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 접합되기 위한 체결홈(12)이 형성되고, 또한 하부프레임(20)의 외측 상면에도 상기 서포트(30)의 하단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 접합되기 위한 체결홈(2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연결하는 서포트(30)의 사이 사이 공간을 패널(50)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거푸집패널(50)이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42)를 형성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서포트(30)의 전면 상, 하단에 체결수단인 피스로 결합하되, 상기 브라켓(40)의 폭(W2)은 상기 서포트(30)의 폭(W1)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서포트(30)에 접합시 상기 브라켓(40)의 양단이 상기 서포트(3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서포트(30)의 외측으로 노출된 브라켓(40)의 양단에 패널(50)의 양측이 걸려질 수 있는 걸림부(42)가 자연스럽게 형성됨으로서패널(50)은 서포트(30) 사이 공간을 폐쇄시킨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서포트(30)가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홈(44)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50)은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상기 서포트(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패널(50)은 도 4에서와 같이 거푸집용 패널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40)에 걸려진 상태에서 거푸집 시공이 완료되고 나면 빼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패널(50)은 통상의 외장 마감용 패널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40)의 사용없이 서포트(30)의 외면에 직접 부착시켜 거푸집 및 마감재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50)은 상기 서포트(30)의 전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그 양측은 상기 서포트(30)의 전면 상,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40)의 양단에 걸려지며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토대(100)를 건축물의 외벽이 세워질 곳의 기초 바닥면을 따라 설치한 후, 단위토대(100)로 구획된 건축물의 내부 공간으로 각종 배관 및 전기 배선 기본 공사를 행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건축물의 바닥을 구성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단위토대(100)를 현장에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단위토대(1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 예를 들어 상, 하부프레임(10, 20), 서포트(30), 브라켓(40) 및 패널(50)을 대량으로 생산한 후, 각 구성품을 설계도면에 맞추어 정확한 치수로 제작한 상태에서 시공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곧바로 시공토록 함으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없이 신속한 작업이 진행되어 작업기간을 줄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외벽은 상기 단위토대 위에 세워지며 건축물의 벽체를 구성하게 되는 부재이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조립식 건축물의 내, 외부벽체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벽(200)은 크게 외부벽체(102) 및 내부벽체(152)의 이중 구조로 제작하되, 외부벽체(102)는 철골(즉, 금속재질)구조로 제작하고, 내부벽체(152)는 목(즉, 목재 재질)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외부벽체(102)는 외벽의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부벽체(152)는 외벽의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부벽체(102)는 상, 하부프레임(110, 120) 그리고 서포트(130)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전술한 단위토대(100)의 상부프레임(1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프레임(10)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용접 접합 고정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하부프레임(120)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서포트(130)로 지지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양단에는 맞댐부(116, 126)가 절개 형성되는 데, 상기 맞댐부(116, 126)는 다른 외부벽체(102)의 상, 하부프레임(110, 120)에 형성되어 있는 맞댐부(116, 126)가 맞대여지는 과정에서 각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하여 직각되게 맞대여 지는 두 개의 외부벽체(102)를 정확하게 직각 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양단에 맞댐부(116, 126)를 형성하되,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일단에 형성된 맞댐부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상부 개방형 맞댐부(일명"받을장")(116a, 126a)로 형성하고 그 타단에 형성된 맞댐부는 이와 반대인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하부 개방형 맞댐부(일명 "덮을 장")(116b, 126b)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외부벽체(102)를 서로 직각되게 연결하고자 할 때, 하나의 외부벽체(102)의 상, 하부프레임(110, 120)에 형성된 상부 개방형 맞댐부(116a, 126a)에 다른 외부벽체(102)의 상, 하부프레임(110, 120)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 맞댐부(116b, 126b)를 포개어주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체결수단 및 각도 계산을 위한 작업 없이도 두 개의 외부벽체(102)를 정확히 90°로 직각되게 맞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트(130)는 상, 하로 위치하는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 하부프레임(110, 120)을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외측 하면에는 상기 서포트(130)의 상단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 접합되기 위한 체결홈(112)이 형성되고, 또한 하부프레임(120)의 외측 상면에도 상기 서포트(130)의 하단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 접합되기 위한 체결홈(12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서포트(130)는 상기 상, 하부프레임(110, 120) 사이에 일정간격, 본 발명에서는 400㎜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130)의 사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외부마감재(140)로 덮혀지며, 상기 외부마감재(140)는 상기 서포트(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130)에는 일정간격 마다 체결구멍(13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132)으로는 나사나 못과 같은 체결수단(134)이 관통한 상태에서 내부벽체(152)를 구성하는 각재(170)에 박혀지며 내, 외부벽체(102, 152)를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프레임(110, 120)에도 체결구멍(111, 1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111, 121)으로도 체결수단(135, 136)이 관통한 상태에서 내부벽체(152)의 외곽틀(160) 상, 하면에 박혀지며 내, 외부벽체(102, 152)를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벽체(152)는 목재를 이용하여 외벽의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제작된 벽체로서, 전술한 외부벽체(102)가 단위토대(100) 위에 세워지고 나면 상기 외부벽체(102)의 내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외부벽체(102)와 체결수단(134)으로 고정되어 진다.
상기 내부벽체(152)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한 외곽틀(160)과, 상기 외곽틀(160)의 공간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각재(170), 상기 각재(170) 사이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80) 및 상기 외곽틀(160)의 내면을 마감 처리하는 합판(19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외곽틀(160)과 각재(170)는 언급한 바와 같이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며, 상기 외곽틀(160)의 길이는 전술한 외부벽체(102)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제작하며, 상기 외곽틀(160) 사이에 조립되는 각재(170)는 전술한 외부벽체(102)의 서포트(130) 간격(즉, 400㎜)에 대응하도록 조립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재(170) 사이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공간에는 단열재(18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각재(170)는 정해진 간격, 즉 전술한 외부벽체(102)의 서포트(130) 사이 간격과 동일한 400㎜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단열재(180)를 폭 400㎜로 하여 단일화하여 제작할 수 있어 단열재의 대량생산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각재(170)의 두께는 상기 외곽틀(160)의 두께보다 작게 제작되는 데, 이로 인해 각재(170)와 마감재인 합판(190) 사이에는 틈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틈을 통해 단열성이 떨어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틈을 도 ?에서와 같이 보조단열재(182)로 막아 단열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상기 각재(170) 사이 사이로 단열재(180)가 삽입되면 상기 외곽틀(160)의 내면은 합판(190)으로 덮어 마감 처리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내부벽체(152)는 전술한 외부벽체(102)가 단위토대(100) 위에 세워지고 나면 상기 외부벽체(102)의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벽체(102)와 포개어지도록 한 다음, 상기 내부벽체(152)의 외곽틀 하단을 상기 외부벽체(102)의 하부프레임(120) 위에 올린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 외부벽체(102, 152) 역시 서로 체결수단(132)으로 고정되는 데, 이때에는 상기 외부벽체(102)를 구성하는 서포트(130)에 형성된 체결구멍(132)으로 체결수단(134)을 관통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수단(134)은 내부벽체(152)의 각재(170)에 박혀지며 서로 포개어진 내, 외부벽체(102, 152)를 서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200)을 철골구조의 외측벽체(102)와, 목구조의 내측벽체(152)로 이중의 벽체 구조로 외벽을 구성하여 외벽이 구조물로서의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단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0: 단위토대 102: 외부벽체
110: 상부프레임 120: 하부프레임
130: 서포트 152: 내부벽체
160: 외곽틀 170: 각재
180: 단열재

Claims (7)

  1. 단위토대(100) 위에 설치되는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토대(100)의 위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외부벽체(102)와, 상기 외부벽체(102)의 내면에 포개어지며 목재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상기 외부벽체(102)와 체결수단(132)으로 고정되며 상기 단위토대(100) 위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벽체(152)로 구성하되;
    상기 외부벽체(102)는 상기 단위토대(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단위토대(100)위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130)와, 상기 서포트(130) 사이 공간에 덮혀지는 외부마감재(140)로 구성되며;
    상기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양단에는 다른 외부벽체의 상, 하부프레임과 직각되게 맞대여질 수 있도록 맞댐부(116, 126)가 형성되며;
    상기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일단에 형성된 맞댐부(116, 126)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상부 개방형 맞댐부(116a, 126a)로 구성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10, 120)의 타단에 형성된 맞댐부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하부 개방형 맞댐부(116b, 126b)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14266A 2017-09-07 2017-09-07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884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66A KR101884571B1 (ko) 2017-09-07 2017-09-07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66A KR101884571B1 (ko) 2017-09-07 2017-09-07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571B1 true KR101884571B1 (ko) 2018-08-01

Family

ID=6322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84571B1 (ko) 2017-09-07 2017-09-07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104A (ko) * 2010-03-26 2011-10-05 화천군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KR20110135496A (ko) 2010-06-11 2011-12-19 이병화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KR101683817B1 (ko) * 2016-02-24 2016-12-08 디에스(주)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KR20170074488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여양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104A (ko) * 2010-03-26 2011-10-05 화천군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KR20110135496A (ko) 2010-06-11 2011-12-19 이병화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KR20170074488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여양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1683817B1 (ko) * 2016-02-24 2016-12-08 디에스(주)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KR20170081836A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JP5574328B2 (ja) 戸境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JP6667940B2 (ja) 外壁の外壁パネル・柱割付け構造および割付け施工方法
KR101437083B1 (ko)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EP1757750B1 (en) Construction system based on prefabricated plates
KR101884571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KR102174760B1 (ko)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JP6271399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101884572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
KR101385554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102203580B1 (ko) Pc패널을 이용한 주택 시공방법
JP6453116B2 (ja) 建物の床構造および建物の施工方法
JP5658455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436969B1 (ko)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JP3112560U (ja) 壁式木造建築物
KR101904118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102774967B1 (ko) 프리캐스트 부재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KR102691966B1 (ko) 트러스 구조에 외장재를 부착한 사전제작 기둥 및 그 제조방법
KR102737937B1 (ko)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41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