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569B1 - 건축용 황토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축용 황토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569B1
KR100442569B1 KR10-2001-0068956A KR20010068956A KR100442569B1 KR 100442569 B1 KR100442569 B1 KR 100442569B1 KR 20010068956 A KR20010068956 A KR 20010068956A KR 100442569 B1 KR100442569 B1 KR 10044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present
ocher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864A (ko
Inventor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이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근 filed Critical 이경근
Priority to KR10-2001-006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5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황토를 충진할 수 있는 건축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프레임은, 내부에 황토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하 좌우로 적층되어 고정될 수 있는 육면체형상의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 중에서, 건축물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외측마감층(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을 적층하고 고정시키고, 그 내부 공간에 황토를 충진하는 것에 의하여,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황토 프레임{Block frame for yellow soil}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벽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조시 충부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황토 자체의 기능을 충분하게 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황토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건축분야에 있어서의 발전은, 주로 시멘트를 이용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그러나 시멘트를 이용하여 건물을 축조할 때 등에는, 시멘트 자체의 여러가지 잇점으로 인하여 좋은 점도 있지만, 여러가지 단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벽돌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일정 이상의 시멘트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시멘트 성분은, 특히 건축 초기에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멘트를 기본 재료로 하는 벽돌 등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황토는, 예로 부터 건축을 위한 자재로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황토는 실질적으로 많은 유익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예를 들면 우수한 보온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건축물 내부의 습도 유지에 아주 유용하고, 더욱이 인체에 아주 유용한 원적외선의 방출 등의 측면에서 그 우수성이 널리 알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단순히 황토만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벽돌화시킨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이렇게 고압으로 가압하여 성형한 황토는 그 자체로써는 강도상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체의 경도 향상을 위하여 시멘트 성분을 함유시키기도 하지만 이러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에서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지니친 황토의 압축은, 실질적으로 황토 자체의 유용성을 저해시키게 되어,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고려한 것으로, 황토 자체의 유용한 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황토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본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본프레임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기본프레임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건축되는 구조물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부 20 ..... 외측마감층
22 ..... 메쉬망 24 ..... 내부메쉬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프레임은, 내부에 황토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하 좌우로 적층되어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 중에서, 건축물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외측마감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마감층은, 시멘트로 성형되고 내부에는 금속재 메쉬망이 내장되어 있거나,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중에서, 건축물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일측면에는 내부에 충진되는 황토를 지지하기 위한 메쉬망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황토용 기본프레임은, 입체형상을 가지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면(외측면)에 구현되는 외측마감층(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황토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직육면체 프레임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고, 쌓아올릴 수 있다는 기본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는 비어 있어서, 그 부분에 황토를 충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프레임부(10)를 일정 높이로 적층한 다음,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에 황토를 충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10)는 금속재를 사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일정한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그 외에도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고강도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부(10)의 외측면에는, 외측마감층(20)이 고정된다. 상기 외측마감층(20)은, 본 발명에 의하여 건축구조물이 축조될 때, 건축물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시멘트를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측마감층(20)은 (인조)대리석 등을 상기 프레임부(10)의 외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마감층(20)을 시멘트로 형성하는 경우, 그 내부에는 금속재 메쉬망(22)을 배설해 놓는 것이 강도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1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면에도, 내부메쉬망(24)을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메쉬망(24)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10a)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인조)대리석 또는 시멘트로 형성되는 외측마감층(20a,20b)이 단면에서 ㄱ자형태로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부(10a)는, 프레임(10a)의 외측에 해당하는 두개의 면에 외측마감층(20a,20b)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10a)은,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ㄱ자형의 외측마감층(20a,20b)은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을 형성하게 되고, 프레임(10a)의 내부에 충진되는 황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건축물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부(10,10a)를 이용하여, 축조되는 건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프레임부(10)를 복수개 적층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벽체(100)가 완성된다. 여기서 프레임부(10)의 내부에 기재되어 있는 번호는, 프레임부(10)의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고 있는 것은 동일한 형태의 프레임부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부는, 내부에 황토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적층 가능한 형태로 실시되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상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의 적층은, 금속재로 만드는 경우에는 용접에 의하여 복수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프레임부(10)의 적층에는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을 위한 기계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적층된 프레임부(10)의 외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조)대리석 또는 시멘트 등으로 형성되는 외측마감층(20)이 형성되어 있어서, 건축구조물의 외벽으로써 충분한 강도 등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외측마감층(20)의 외면에 일정한 도장을 수행하거나, 다른 마감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0)가 적층된 상태에서, 프레임부(10)의 내부에는, 황토가 채워진다. 이렇게 채워지는 황토는, 프레임부(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채워질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의 프레임부(10)에 충진된 황토가 일정하게 건조된 후에, 그 상부에 황토를 충진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0)의 내부에 황토가 충진될 때, 내부메쉬망(24)은 황토가 내부로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상기 내부메쉬망(24)을 대신하여, 합판 또는 건축물의 내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프레임부(10)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것도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에 충진되는 황토에는, 볏짚 등을 같이 넣을 수 있을 것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미감을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볏짚 등은 상기 황토벽이 가지는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볏짚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황토의 내부에 같이 넣게 되면, 황토가 많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유용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침으로써, 프레임부(10)가 적층되어 완성되는 벽체(100)가 완성되면,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이 1차적으로 완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10)를 이용한 벽체는,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건축물의 내부벽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부(10)에 있어서의 외측마감층(20)을 생략하는 것에 의하여, 건축물의 내부벽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건축물의 내부벽을 형성할 때, 상기 외측마감층(20)의 표면에 타일을 부착하는 등에 의하여, 건축물의 내부에서 욕실 등을 보다 수월하게 만들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황토를 채울 수 있는 기본프레임 및 그것을 이용하는 건축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황토 자체가 가지는 바람직한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는 건축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또는 그 시공방법에 의하여, 보다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외측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하 좌우로 적층되어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황토;
    상기 프레임부 중에서, 건축물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외측마감층(20); 그리고
    상기 프레임 중에서 건축물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내부에 충진되는 황토를 지지하기 위한 메쉬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마감층은 시멘트로 성형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금속재 메쉬망(22)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마감층은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프레임.
  7. 삭제
  8. 삭제
KR10-2001-0068956A 2001-11-06 2001-11-06 건축용 황토 프레임 KR10044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956A KR100442569B1 (ko) 2001-11-06 2001-11-06 건축용 황토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956A KR100442569B1 (ko) 2001-11-06 2001-11-06 건축용 황토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864A KR20030037864A (ko) 2003-05-16
KR100442569B1 true KR100442569B1 (ko) 2004-07-30

Family

ID=2956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956A KR100442569B1 (ko) 2001-11-06 2001-11-06 건축용 황토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68B1 (ko) 2006-11-01 2007-09-19 김길영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166991B1 (ko) 2010-09-10 2012-07-24 유제태 모듈형 시설물용 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시설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80B1 (ko) * 2006-03-13 2007-05-28 니오가드(주) 타일지지프레임이 결합된 황토석 타일 구조물
TW201400680A (zh) * 2012-05-03 2014-01-01 Global Owl Ltd 就地架設多邊形強化封閉體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714U (ko) * 1971-01-28 1972-08-31
JPS6136013U (ja) * 1984-08-07 1986-03-05 正吾 本間 構築物用ブロツク
KR930000076Y1 (ko) * 1990-06-15 1993-01-09 안승한 타일이 고착된 시멘트 벽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714U (ko) * 1971-01-28 1972-08-31
JPS6136013U (ja) * 1984-08-07 1986-03-05 正吾 本間 構築物用ブロツク
KR930000076Y1 (ko) * 1990-06-15 1993-01-09 안승한 타일이 고착된 시멘트 벽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68B1 (ko) 2006-11-01 2007-09-19 김길영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166991B1 (ko) 2010-09-10 2012-07-24 유제태 모듈형 시설물용 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864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611A (en) Wall corner composite,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glazed unit for such
CN1821522B (zh) 一种复合保温隔热砖或砌块及其制造和砌筑方法
US5440846A (en) Construction for building panels and other building components
FI79378C (fi) Byggblock.
KR100442569B1 (ko) 건축용 황토 프레임
US5410848A (en) Composite for turning a corner or forming a column,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glazed unit for such
CN204531084U (zh) 一种一体化结构体系保温免拆模板
KR100566764B1 (ko) 단열체와 이를 사용한 전기가열 유닛 및 그 제조방법
US5384997A (en) Column and corner composite,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glazed unit for such
KR910700390A (ko) 건축재
CN210507980U (zh) 抗浮空心模盒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WO2016151208A1 (fr) Module de construction rapide à base de béton de perlite expansée
US20050166477A1 (en) Multi-layer vacuum assembly-enabled fundamental building material
KR200161041Y1 (ko) 황토타일
KR101207961B1 (ko) 건축용 블록, 벽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215290965U (zh) 围护节能复合外挂墙板
KR100367262B1 (ko) 황토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0426B1 (ko)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
CN219973652U (zh) 一种高强隔音混凝土砌块结构
US1598700A (en) Building slab or tile of concrete, clay, or like substances
KR19980042695U (ko) 건축용 흙벽돌
KR20050093984A (ko) 황토 벽돌
JPH0452341A (ja) 電波吸収壁体及びタイルユニット
KR100364660B1 (ko) 황토 세라믹 압축 온돌 패널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