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362Y1 -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62Y1
KR200229362Y1 KR2020000036839U KR20000036839U KR200229362Y1 KR 200229362 Y1 KR200229362 Y1 KR 200229362Y1 KR 2020000036839 U KR2020000036839 U KR 2020000036839U KR 20000036839 U KR20000036839 U KR 20000036839U KR 200229362 Y1 KR200229362 Y1 KR 200229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ot water
construction
water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용
Original Assignee
박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용 filed Critical 박광용
Priority to KR2020000036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62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 설치 사용되는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중공되어 소정의 관체수용공간을 갖추며 길게 연장되고, 그 양끝단이 개방되게 형성된 관체슬리브와, 상기 관체슬리브의 양측단에 각각 끼워져 개방면이 차단되게 상호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대응형상의 결합돌기가 돌출 연장되고 타측면에 소망 직경이 절개되어 개봉되도록 다수개의 절취홈들이 원형 라인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그 중앙에 다수개의 리브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된 개봉판이 형성된 한쌍의 마개체와, 시공 바닥면에 안착 고정되도록 양측에 못삽입홀이 관통된 고정발판들이 연장 형성되고 몸체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개체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관체슬리브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마개끼움홀이 형성되고, 이 마개끼움홀 중간 내측의 맞대응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받침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면 작업성 및 시공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거푸집 시공시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등 작업자의 부주의에도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슬리브가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방향이 변경됨이 없어 재설치 내지 추가적 작업 없이 벽체를 훼손하지 않고 원활하게 시공처리되고 타용도의 설비에 사용된 PVC파이프 사용 없이 최소 작업인력으로 벽체관통용 온수난방관 슬리브를 손쉽고 편리하게 수직, 수평, 단층 내지 복층, 높낮이를 조절하여 선택 시공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비용 및 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의 편리성 및 신속성, 안전성등이 확보되며 온수난방관 시공후 마무리처리가 손쉽고 외관이 미려하여 시공 건축물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building a wall execution of works use hot water heating pipe piercing sleeve}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 설치 사용되는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벽체시공시 철근골조와 함께 설정위치에 안착시켜 고정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되어 벽체 하단에 매설 고정되면,전/후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취홈들을 절개하여 개봉판들을 각각 제거한 후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난방을 위해 순환되는 유입ㆍ유출 온수관들이 손쉽게 통과되어 시공되도록 하는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배관시공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배관용 슬리브(sleeve)는 상/하수관, 송풍관, 난방용 배관, 전기배선, 가스배관 등의 각종 배관시공시 해당 배관들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천정(slab)이나 바닥, 벽체 등을 관통하여 소망하는 위치까지 손쉽게 도달되어 설치 시공되도록 유용하게 사용되는 건축용 설비부자재중 하나로, 콘크리트 타설전에 철근골조와 함께 설정위치에 선 시공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되면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고, 그 슬리브의 중공부를 통해 각종 배관이 통과하도록 대략 강관,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등으로 원통형상을 갖추고 그 내부가 중공되며 전/후 개구부에 절개홈이 형성된 개봉판 또는 개폐용 마개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관통 슬리브중 상/하수관용 및 송풍관용 슬리브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현재 건축현장에 적용하여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그외 난방용 내지 전기/가스배관용 관통 슬리브등은 공사 현장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PVC파이프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소망하는 직경의 PVC파이프를 설정길이 만큼 절단하여 얻어진 슬리브 대체품을 갖고 난방용 배관 시공시 사용되는 작업과정을 첨부된도 8 및 도 9a, 9b를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난방용을 위해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유/출입관을 따라 순환되는 각각의 온수파이프(P)들이 쉽게 벽체(W)를 관통하면서 끼워지도록 온수파이프(P)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갖춘 PVC파이프(1)를 선택하여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관통 슬리브 대체품을 형성한다.
상기 PVC파이프(1)는 전/후 개구부를 접착테이프(2)등으로 막아 중공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이 차단되도록 밀봉되게 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전에 벽체(W)의 골격이 되는 철근골조(R)들 하단 사이에 각각 위치시킨 후 다수개의 철선(3)을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 대체품인 PVC파이프(1)들이 철근골조(R)에 고정되도록 수회 반복하여 묶어 고정시킨다.
이후, 거푸집을 갖고 철근골조(R)와 설정간격을 두고 감싸 고정시켜 시공한 다음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적정량 주입하여 일정시간 양생시키면 벽체(W) 하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의 PVC파이프(1)의 양단부가 각각 노출된 상태의 벽체(W)가 완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완공된 벽체(W)의 하단에 노출된 PVC파이프(1)의 각 단부에 부착된 접착테이프(2)를 제거한 후 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보일러의 유출관에 연결되어 연장된 온수파이프(P)가 실내의 설정 바닥면에 소망배열로 안착시켜 상기 보일러의 유입관에 온수파이프(P)가 다시 연결되도록 벽체(W)의 설정부위가 PVC파이프(1)에 의해 자연스럽게 관통 형성됨에 따라 보일러 설치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시공함과 동시에 관통구멍 형성에 따른 벽체(W)의 훼손이 없어 균열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 대체품인 PVC파이프(1)을 이용할 경우에는
첫째, 현장에서 직접 관통 슬리브 대체품을 제작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작업인력이 소모됨과 동시에 양질의 PVC파이프를 무분별하게 절단 사용함에 따라 정작 사용할 곳에 사용치 못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 및 기간을 단축하지 못하는 등 적지 않은 문제요인을 유발시키는 결점이 있으며,
둘째,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형성된 벽체의 하단부에 내설된 PVC파이프의 양단 개구부가 밀봉되게 부착된 접착테이프 일부가 콘크리트 내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접착테이프 제거 내지 개봉이 용이하지 못하여 별도의 절단용 칼등을 이용하여 절개하는 등 작업이 번거로운 결점이 있으며,
셋째, 거푸집 시공시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등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철근골조에 체결 고정된 PVC파이프가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방향이 변경되어 다시 PVC파이프를 재결속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심지어 정위치에서 이탈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어 추후 완공된 벽체의 하단을 해머드릴등의 진동파쇄공구로 벽체를 관통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슬리브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등 각종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형성된 벽체의 하단부에 내설된 관통 슬리브의 양단 개봉판을 쉽고 간단하게 절개하여 개봉하므로 작업성 및 신속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거푸집 시공시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등 작업자의 부주의에도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관통 슬리브가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방향이 변경됨이 없어 재설치 내지 추가적 작업 없이 벽체를 훼손하지 않고 원활하게 시공처리되고 타용도의 설비에 사용된 PVC파이프 사용 없이 최소 작업인력으로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를 손쉽고 편리하게 수직, 수평, 단층 내지 복층, 높낮이를 조절하여 선택 시공 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비용 및 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의 편리성 및 신속성, 안전성등이 확보될 수 있는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 관통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 - A선 및 B - B선 각 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관체슬리브가 고정대의 하단 내지 상ㆍ하단 복층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각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관통 슬리브가 건축물의 벽체시공시 철근골조와 함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 및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되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부에 매설된 관통 슬리브의 개봉판들을 각각 절취한 후 그 중공부를 통해 온수난방관이 끼워져 보철밴드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 P.V.C파이프의 사시도,
도 9a, 9b는 종래 P.V.C파이프가 건축물의 벽체시공시 철근골조와 함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 및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되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각 설치상태도들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체슬리브 11 : 관체수용공간
20 : 마개체 21 : 결합돌기
22 : 개봉판 23 : 절취홈
24 : 리브 30 : 고정대
31 : 몸체 31a: 마개끼움홀
31b: 받침돌기 32 : 고정발판
32a: 못삽입홀 33 : 밴드삽입구
34 : 수직격벽 40 : 보철밴드
F : 바닥면 N : 콘크리트못
P : 온수파이프 R : 철근골조
W : 벽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되어 소정의 관체수용공간을 갖추며 길게 연장되고, 그 양끝단이 개방되게 형성된 관체슬리브와, 상기 관체슬리브의 양측단에 각각 끼워져 개방면이 차단되게 상호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대응형상의 결합돌기가 돌출 연장되고 타측면에 소망 직경이 절개되어 개봉되도록 다수개의 절취홈들이 원형 라인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그 중앙에 다수개의 리브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된 개봉판이 형성된 한쌍의 마개체와, 시공 바닥면에 안착 고정되도록 양측에 못삽입홀이 관통된 고정발판들이 연장 형성되고 몸체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개체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관체슬리브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마개끼움홀이 형성되고, 이 마개끼움홀 중간 내측의 맞대응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받침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3b는 도 1에 표시된 A - A선 및 B - B선 단면도들이고, 도 4a, 4b는 본 고안의 관체슬리브가 고정대의 하단 내지 상ㆍ하단 복층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며, 도 5는 본 고안 관통 슬리브가 건축물의 벽체시공시 철근골조와 함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 및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되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며, 도 6는 본 고안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부에 매설된 관통 슬리브의 개봉판들을 각각 절취한 후 그 중공부를 통해 온수파이프가 끼워져 보철밴드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는 벽체(W)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전에 소망길이의 관체슬리브(10)의 양끝단에 고정대(30)들을 각각 위치시킨 후 한쌍의 마개체(20)를 상기 관체슬리브(10)의 양끝단에 상호 결합하여 조립시킨 다음 난방 및 온수공급ㆍ순환을 위한 온수파이프(P)가 이동할 위치의 벽체(W)의 하단 바닥면(F)에 콘크리트못(N)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콘크리트 양생후 벽체(W)에 내설 고정되고 상기 마개체(20)의 개봉판(22)들을 제거한 후 상기 온수파이프(P)가 벽체(W)를 용이하게 관통 안내되어 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관체슬리브(10)는 반달형상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소정의 관체수용공간(11)을 갖추며 길게 연장되고, 그 양끝단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마개체(20)는 상기 관체슬리브(10)의 양측단에 각각 끼워져 개방면이 차단되게 상호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대응형상의 결합돌기(21)가 돌출 연장되고 타측면에 소망 직경이 절개되어 개봉되도록 다수개의 절취홈(23)들이 원형 라인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그 중앙에 다수개의 리브(24)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된 개봉판(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고정대(30)는 시공 바닥면(F)에 안착 고정되도록 양측에 못삽입홀(32a)이 관통된 고정발판(32)들이 연장 형성되고 몸체(31)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개체(20)의 결합돌기(21)가 끼워져 관체슬리브(10)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마개끼움홀(31a)이 형성되고, 이 마개끼움홀(31a) 중간 내측의 맞대응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받침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대(30)는 별도의 고정용 보철밴드(40)를 이용하여 관체슬리브(10)가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몸체(31)의 하단 중간에 관통된 밴드삽입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철밴드(40)는 비교적 얇고 폭이 좁은 띠형상의 철판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고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일면에 설정간격을 두고 절곡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보철밴드(40)는 상기 고정대(30)의 고정발판(32)들에 관통된 못삽입홀(32a)에 콘크리트못(N) 등을 막아 시공 바닥면(F)에 고정하기 곤란할 경우 또는 한쌍의 고정대(20)를 더욱 견고하게 시공 바닥면(F)에 안착 고정시켜 관체슬리브(10)를 유동 이탈 분리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또는 시공 바닥면(F)이 균일하지 못하여 고정발판(32)으로만 고정하기 곤란한 경우 등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상의 고정대(30)는 몸체(31)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개체(20)의 결합돌기(21)가 끼워져 관체슬리브(10)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마개끼움홀(31a)이 균등하게 양분되어 수평상태로 각각 형성되고, 이 마개끼움홀(31a)들의 중간 내측면에 수직격벽(34)이 형성되어 관체슬리브(10)가 단독 내지 한쌍이 수평상태로 결합되어 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는 첨부도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시공 바닥면(F)에 설치되어 벽체(W)에 매입되어 난방 및 온수공급ㆍ순환을 위한 온수파이프(P)를 손쉽게 시공하게 된다.
먼저, 한쌍의 고정대(30) 몸체(31)에 관통된 마개끼움홀(31a) 중간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받침돌기(31b)들에 상기 관체슬리브(10) 양측단을 각각 안착시켜 좌/우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체슬리브(10)의 양끝단 개방면이 커버링되게 상기 한쌍의 마개체(20)들의 결합돌기(21)들을 각각 관체수용공간(11) 양측단에 억지 끼워 상기 한쌍의 고정대(30)가 관체슬리브(10) 양측단에 위치하여 마개체(2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조립하여 최종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를 완성된다.
상기 조립 완성된 온수난방관용 관통 슬리브는 벽체(W)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 바닥면(F)에서 철근골조(R)가 연장시공전 또는 시공후 설정위치의 바닥면에서 소망높이를 선택 조절한 다음 상기 고정대(30)의 고정발판(32)에 관통된 못삽입홀(32a)들에 콘크리트못(N) 등을 막아 콘크리트 시공 바닥면(F)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이후,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후 양생되면 거푸집을 철거한 다음 상기 마개체(20)의 개봉판(22)들을 절개 제거한 후 실내의 난방 및 온수공급ㆍ순환을 위해 보일러에서 연장되는 온수파이프(P)들을 상기 관체슬리브(10)의 관체수용공간(11)을 통해 안내하여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시킨 다음 관체수용공간(11)과 온수파이프(P) 사이의 잔여공간 내부로 단열부재를 주입하여 벽체 통과시 열원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상기 온수파이프(P)를 각 해당위치로 이동 설치시킨다.
또한 설계도에 따라 첨부된 도4a, 4b 및 도 7에서와 같이, 관체슬리브(10)를 간단하게 분해 조립하여 용이하고 편리하게 선택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된 바닥면(F)이 고르지 못한 경우 보철밴드(40)를 이용하여 고정대(30)의밴드삽입구(33)들을 이용하여 바닥면(F)에 쉽게 고정설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난방 및 온수공급ㆍ순환등을 위한 온수파이프(P)를 실내로 유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시공작업이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수행되어 신속한 시공에 의한 시공기간 및 비용, 작업인력등을 절감시킴은 물론 온수파이프(P)를 수직, 수평, 단층 내지 복층, 높낮이를 선택 조절하여 시공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시공을 이룰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면 작업성 및 시공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거푸집 시공시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등 작업자의 부주의에도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슬리브가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방향이 변경됨이 없어 재설치 내지 추가적 작업 없이 벽체를 훼손하지 않고 원활하게 시공처리되고 타용도의 설비에 사용된 PVC파이프 사용 없이 최소 작업인력으로 벽체관통용 온수난방관 슬리브를 손쉽고 편리하게 수직, 수평, 단층 내지 복층, 높낮이를 조절하여 선택 시공 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비용 및 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의 편리성 및 신속성, 안전성등이 확보되며 온수난방관 시공후 마무리처리가 손쉽고 외관이 미려하여 시공 건축물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가 중공되어 소정의 관체수용공간을 갖추며 길게 연장되고, 그 양끝단이 개방되게 형성된 관체슬리브와,
    상기 관체슬리브의 양측단에 각각 끼워져 개방면이 차단되게 상호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대응형상의 결합돌기가 돌출 연장되고 타측면에 소망 직경이 절개되어 개봉되도록 다수개의 절취홈들이 원형 라인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그 중앙에 다수개의 리브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된 개봉판이 형성된 한쌍의 마개체와,
    시공 바닥면에 안착 고정되도록 양측에 못삽입홀이 관통된 고정발판들이 연장 형성되고 몸체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개체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관체슬리브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마개끼움홀이 형성되고, 이 마개끼움홀 중간 내측의 맞대응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받침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별도의 고정용 보철밴드를 이용하여 관체슬리브가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몸체의 하단 중간에 관통된 밴드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몸체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개체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관체슬리브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마개끼움홀이 균등하게 양분되어 수평상태로 각각 형성되고, 이 마개끼움홀들의 중간 내측면에 수직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KR2020000036839U 2000-12-28 2000-12-28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KR200229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39U KR200229362Y1 (ko) 2000-12-28 2000-12-28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39U KR200229362Y1 (ko) 2000-12-28 2000-12-28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62Y1 true KR200229362Y1 (ko) 2001-07-19

Family

ID=7309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839U KR200229362Y1 (ko) 2000-12-28 2000-12-28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20B1 (ko) 2007-06-22 2008-06-13 전추길 벽체용 수도꼭지 연결장치
KR200454926Y1 (ko) * 2008-09-25 2011-08-04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슬리브 커버
KR20210065292A (ko) * 2019-11-27 2021-06-0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난방배관슬리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20B1 (ko) 2007-06-22 2008-06-13 전추길 벽체용 수도꼭지 연결장치
KR200454926Y1 (ko) * 2008-09-25 2011-08-04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슬리브 커버
KR20210065292A (ko) * 2019-11-27 2021-06-0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난방배관슬리브
KR102260133B1 (ko) 2019-11-27 2021-06-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난방배관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367B2 (en) Supporting element for pipes in buildings and application method of a pipe supporting element in a flagstone
KR200229362Y1 (ko)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RU2376427C2 (ru) Система подключения оболочки к выходу плиты
KR200451396Y1 (ko) 복합형 슬리브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EP3361132A1 (en) Penetration piece to bring house drainage pipe through the floor vault
KR20080087603A (ko) 중공 파이프용 가설 고정구
KR200377292Y1 (ko) 아웃렛박스
GB2166466A (en) Replacement conduits
JP2003032836A (ja) 配線ボックスの設置方法、配線ボックス及び電線管、並びに配線装置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100131219A (ko)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KR20210001236A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JP2009174306A (ja) 排水設備
KR200442184Y1 (ko) 배관 삽입용 관로 형성 부재
KR200369210Y1 (ko) 에어컨 냉매 배관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PT1726729E (pt) Tabique para integração num pavimento em betão
JP2006329437A (ja) 丸管用実管スリーブとその使用方法
KR101568972B1 (ko) 철골 콘크리트 합성 기둥용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기둥 시공 방법
KR200389354Y1 (ko) 엘리베이터 작업용 안전바 및 하중분산구
KR102339280B1 (ko)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JP2002374613A (ja) 管引出具
KR0135220Y1 (ko)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KR200379060Y1 (ko)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JP3848873B2 (ja) 建物の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