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20Y1 -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20Y1
KR0135220Y1 KR2019960005395U KR19960005395U KR0135220Y1 KR 0135220 Y1 KR0135220 Y1 KR 0135220Y1 KR 2019960005395 U KR2019960005395 U KR 2019960005395U KR 19960005395 U KR19960005395 U KR 19960005395U KR 0135220 Y1 KR0135220 Y1 KR 0135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guide tube
concrete wall
presen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394U (ko
Inventor
이해명
손수철
Original Assignee
이해명
손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명, 손수철 filed Critical 이해명
Priority to KR2019960005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220Y1/ko
Publication of KR970055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3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에 가스관이 관통될 수 있도록 배관용 구멍을 형성시켜주는 가스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임.
본 고안은 콘크리트벽체의 내, 외측면에 내, 외장 마감 처리할때도 가스관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안내관(4) 속으로 끼워 맞춤되는 삽입부(8) 및 플랜지(9)와 중공(10)을 가진 관체(11)로 이루어진 아답타(6)(7)를 안내관(4)의 양쪽 끝에 결합한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임.
본 고안은 완성된 콘크리트벽체의 내, 외측면을 내, 외장재로 마감 처리할 때 콘크리트벽체에 형성되는 가스배관용 구멍과 동일한 구멍을 확보해준다.

Description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배관용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배관용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평판 3 : 구멍
4 : 안내관 5 : 연결판
6,7 : 아답타 8 : 삽입부
9 : 중공 11 : 관체
본 고안은 각종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에 가스관이 관통될수 있도록 배관용 구멍을 형성시켜주는 가스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자의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94-4628호로 제시된 가스배관용 슬리브를 개량한 것이다.
상기 가스배관용 슬리브는 천정거푸집위에 올려 놓여지는 수평판 아래로 길게 연장된 연결판에 구멍을 가진 안내관을 한몸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벽체거푸집을 해체시켜 주었을 때 상기 안내관의 구멍을 통해서 가스관을 배관할 수 있지만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종 건축물에 있어서 콘크리트벽체의 외측면에는 외장마감재를 시공하고, 내측면에는 단열재와 내장마감재를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들 내, 외장재와 단열재를 시공할 때 가스관의 배관용 구멍을 남겨두는 것이 매우 어려웠었다.
예를들면 내장마감을 시멘트몰탈로 미장할 때 콘크리트벽체에 있는 가스관의 배관용구멍과 일치하도록 미장층에 구멍을 남기면서 시멘트몰탈을 바르는 것이 매우 어려웠었을 뿐 아니라 미장층에 구멍을 남겨주면서 시멘트몰탈을 바르더라도 이 구멍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므로 내장마감후 미장층에 있는 구멍을 번거롭게 다듬어주어야만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벽체의 내, 외측면에 내, 외장 마감을 해줄 때 콘크리트벽체에 기형성된 가스관 배관용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을 형성시켜 줄수 있는 아답타를 양쪽 끝에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저면에 돌기(1)(1')를 가진 수평판(2)과, 구멍(3)을 가진 안내관(4)을 연결판(5)으로 연결한 것에 있어서, 안내관(4)의 양쪽 끝에 아답타(6)(7)를 끼워맞춤한 것이다.
아답타(6)(7)의 한쪽끝에는 상기 안내관(4)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삽입부(8)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끝에는 플랜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10)을 가진 관체(11)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아답타(6)(7)의 플랜지(9)는 내, 외장 마감재 시공시 마감층두께의 지준으로 활용되고, 중공(10)은 안내관(4)의 구멍(3)과 함께 가스관이 관통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아답타(6)(7)의 길이는 내, 외장 마감층의 두께를 고려하여서 적당한 길이로 만들어진다. 예를들어 단순히 시멘트몰탈 미장만으로 마감할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하고, 단열재를 사용하면서 미장할 경우에는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건물의 슬라브(a)와 콘크리트벽체(b)를 시공할 때 수평판(2)을 천정거푸집(c)위에 올려놓고, 안내관(4)을 벽체거푸집(d)(d')사이로 삽입시킨다음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면 수평판(2)은 슬라브(a)속에 매설되고, 안내관(4)은 콘크리트벽체(b)속에 매설된다.
콘크리트양생후 거푸집(c)(d)(d')을 제거하면 안내관(4)의 구멍(3)이 콘크리트벽체(b)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보여지게 된다.
완성된 콘크리트벽체(b)를 마감할 때 예를들어 한쪽을 시멘트몰탈층(e)으로 마감할 때는 길이가 짧은 어댑터(7)의 삽입부(8)를 안내관(4)의 한쪽에 먼저 끼운다음 시멘트몰탈을 바른다.
그리고 다른 한쪽을 단열판재(f)와 시멘트몰탈층(g)으로 마감할때는 길이가 긴 어댑터(6)의 삽입부(8)를 안내관(4)의 다른 한쪽에 먼저 끼운다음 단열판재(f)와 시멘트몰탈 시공을 차례로 실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콘크리트벽체(b)의 내, 외벽면을 마감할때도 가스관(h)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쉽게 확보하면서 내, 외장공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저면에 돌기(1)(1')를 가진 수평판(2)과, 구멍(3)을 가진 안내관(4)을 연결판(5)으로 연결한 것에 있어서, 안내관(4) 속으로 끼워맞춤되는 삽입부(8) 및 플랜지(9)와 중공(10)을 가진 관체(11)로 이루어진 아답타(6)(7)가 안내관(4)의 양쪽 끝에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KR2019960005395U 1996-03-20 1996-03-20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KR0135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395U KR0135220Y1 (ko) 1996-03-20 1996-03-20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395U KR0135220Y1 (ko) 1996-03-20 1996-03-20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394U KR970055394U (ko) 1997-10-13
KR0135220Y1 true KR0135220Y1 (ko) 1999-03-30

Family

ID=1945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395U KR0135220Y1 (ko) 1996-03-20 1996-03-20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2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394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960A (ko)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KR0135220Y1 (ko) 아답타를 가진 가스배관용 슬리브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20020029009A (ko) 치장벽돌벽스페이서
KR200396362Y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ITVE20090027A1 (it) Pannello in materiale polimerico a bassa densità autoportante per la realizzazione di pareti e relativo procedimento.
KR20100018923A (ko) 건축용 조립식 보온 벽돌 세트의 형성방법
KR100371580B1 (ko) 표면처리한 경량기포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200335136Y1 (ko)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
KR960013647A (ko) 건축용 벽체판(dry wall panel)의 제조방법
KR200377943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JPS583988Y2 (ja) 二重管構造のダクト用スリ−ブ
US1523396A (en) Building block
RU2757871C2 (ru) Профиль опалубки для кирпичной (или блочной) кладки и кирпичная (или блочная) клад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го профиля
KR200158947Y1 (ko) 벽돌용 연결철물
KR20060006155A (ko) 욕실 및 화장실용 건식벽체 공법
US20240060294A1 (en) Masonry system
CN117328685B (zh) 自保温砌筑墙转角部位施工方法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0730239B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639882B1 (ko) 설비관 통로가 형성된 경량콘크리트패널
KR200262467Y1 (ko)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CN106193579A (zh) 建筑模板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