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62Y1 -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62Y1
KR200396362Y1 KR20-2005-0018000U KR20050018000U KR200396362Y1 KR 200396362 Y1 KR200396362 Y1 KR 200396362Y1 KR 20050018000 U KR20050018000 U KR 20050018000U KR 200396362 Y1 KR200396362 Y1 KR 200396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oard
pipe
balcony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오창원
안정찬
여승의
허출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5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fire
    • E04F2290/04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fire with a facing or top layer for fire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이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감싸보호하는 파이프 덕트(Pipe duct)나 환기구로 사용되는 에어덕트(Air duct)를 건식화 공법으로 구축하는 것으로 경량 단열재인 발포 폴리스티렌 패널에 마그네슘보드 또는 CRC보드를 부착하여 경량이면서 방음과 단열성능을 가지며, 불연 효과를 갖는 단열벽체로 구성되는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 지어진 건축물 중 외부로 배수관이 노출된 경우는 방음 및 결로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웠다. 즉 종래에 있어 노출된 배수구는 콘크리트나 벽돌등을 이용한 습식공사를 통하여 배수관 주변을 감싸는 덕트를 구성하여 방음 및 결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는 시공이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며, 전문가에 의하여 행하다보니 인력확보가 어려워, 인건비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 인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건식공법으로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특히 덕트를 구성하는 소재에 있어서, 콘크리트나 벽돌등이 아니라 경량 단열소재인 발포 폴리스티렌 폼보드의 표면에 불연성과 보강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마그네슘보드나 CRC보드를 조합하거나, 발포 폴리스티렌 폼보드 표면에 유리섬유 및 (바이오)몰탈등으로 보강하고 그위에 마그네슘보드 또는 CRC보드를 조합한 단열벽체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시공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토록 한 것 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경량의 단열판넬로 건축물의 전체 중량 감량에 크게 기여하게 되며 시공이 용이하며, 공정이 단순하여 공기를 대폭 줄일수가 있으며, 비전문가라도 쉽게 시공을 행할 수 있어 인력확보가 용이하게 되며, 덕트 벽체를 구성하는 단열판넬을 공장에서 대량생산 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자재보관, 자재공급이 용이하여 전체적인 시공 비용도 줄일 수가 있는 대단히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Wall structure for air duct and pipe duct of bathroom and balcony}
본 고안은 욕실이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감싸보호하는 파이프덕트나 환기통로로 사용되는 에어덕트의 벽체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경량체로 이루어진 단열판넬을 이용하여, 배수관 주변을 감싸도록 하여 방음 및 단열 효과를 갖도록하며, 경량체로 이루어진 단열판넬을 사용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하게되며, 또한 건식화공법을 채택함으로서 현장관리가 용이하고 인력확보가 용이하게되는 덕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다..
1960년대 처음으로 아파트가 우리나라에 건립된 이후 욕실 및 발코니에 설치된 배수관의 방음 및 결로 문제는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 되어 왔으며, 오래전부터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행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건물을 시공시 배수관을 벽체 내측에 위치토록 하고 단열재 및 흡음재등을 사용하여 배수시의 소음을 줄이는 공법이 사용된 바 있다.
그러나 배수관등을 건물의 시공시 매립하는 방법은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비용이 많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최근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 할 시 배수구를 설치하는 위치에 슬리브 매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바닥이나 천정에 구멍을 뚫고 이에 배수관을 설치하며, 배수관을 설치한 후 방음이나 배수관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미관상 배수관을 감추기 위해서 배수관 주변에 벽돌을 조적하여 파이프덕트를 형성하는 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의 방음 및 결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수관 주변에 벽돌을 쌓아 형성하는 파이프덕트는 벽돌 조적후 미장으로 마감처리를 수행하는 습식공사로 인해 시공이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며, 조적공이나 미장공등의 전문가에 의해서만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문 인력 확보가 어려우며, 인건비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 경제적인 공법에 해당하게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10-2003-0065508호로 "욕실 및 발코니의 배수관용 방음및 단열벽체 구조"에 대한 특허를 개발 출원 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고안은 종래의 파이프덕트나 에어덕트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표면 강도가 미흡하며 불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 바 이를 해결하고자 본고안이 안출 개발된 것 이다.
본 고안은 건축물 내벽체 외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을 감싸는 파이프덕트나 환기통로로 사용되는 에어덕트를 건식공법으로 형성하며, 상기 덕트로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며 결로 발생를 방지하며 또한 견고하며 불연성을 갖는 덕트벽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파이프덕트나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재질은 콘크리트 및 벽돌이 아닌 경량 단열재인 발포 폴리스티렌 폼보드에 불연 단열재인 산화마그네슘보드를 조합한 것이나 발포폴리스티렌 폼보드와 산화마그네슘보드 사이에 유리섬유직물 및 몰탈로 표면을 보강한 보강층을 갖는 단열판재를 사용하여 덕트를 조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단열판재는 경량체이어서 시공이 용이하며, 공정 또한 단순하여 공기를 줄일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여, 비전문가라도 쉽게 시공을 행할 수 있어 인력확보가 용이한 것이며, 공장생산으로 대량으로 단열판재의 양산이 가능하여 품질 향상 및 자재보관, 자재공급이 용이하여 전체적인 시공 비용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욕실이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보호하는 파이프덕트나 환기통로로 사용하는 에어덕트를 구축함에 있어서, 발포 폴리스티렌 폼보드(11) 일측 표면이나 양측 표면에 마그네슘보드(13)를 조합하여 경량의 불연단열판재(10)를 구성하고 상기 불연단열판재(10)측변과 건축물의 측벽(31)이나 천정을 접착제나 연결부재(16)나 볼트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파이프덕트나 에어덕트(21)를 조성하며, 상기 덕트(21)의 하단변과 바닥면과의 접합부는 방수제(19)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 벽체를 건식으로 구축토록하는 것 이다.
*상기에 있어 경량의 불연 단열판재(10)는 발포 폴리스티렌 폼판재(11) 일측 표면이나 양측 표면에 유리섬유직물(Glass Fiber Mesh)(14)을 포설하고 그 위에 몰탈(15)을 1-3mm로 도포하여 표면 보강층을 형성하고 그위에 마그네슘보드(13)를 부착한 경량의 불연 단열 판재(10)를 사용하여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 벽체를 건식으로 구축토록하는 것이다.상기에 있어, 마그네슘보드(13) 대신에 CRC보드라고 약칭하는 무석면 섬유강화 시멘트판(CRC보드: Cellalose fiber Reinforced Cerment Board)를 대체 사용하여 본 고안을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로 41은 배수관이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건식화 공법으로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21)를 구성토록 하며, 배수관(41) 속에서 물이 흘러 갈 때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며, 배수관(41) 표면에 발생되는 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파이프덕트나 환기통로로 사용되는 에어덕트(21)를 간단히 시공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습식화 공법인 콘크리트나 벽돌로 배수관 주변을 감싸는 것에 있어서는 단열이 안되어 덕트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여 곰팡이나 세균등이 번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양생기간에 따른 공사기간이 오래 걸렸으며, 조적이나 미장전문가에 의하여 비로서 작업이 행해짐으로 인하여 인건비 상승 및 인력확보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균일한 품질 및 만족 할 만한 방음효과을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전체적인 시공에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는 건식화공법으로 덕트(21)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21)로 배수관(41)을 감싸도록 하되, 덕트의 소재가 경량이면서도 우수한 단열 성능과 불연성능을 갖는 발포폴리스티렌 폼보드(11)와 난연 및 불연보드인 마그네슘보드(13)를 결합한 불연 단열판재(10)로 함으로서, 시공의 용이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방음과 단열 및 불연 효과를 갖는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21)를 욕실이나 발코니에 형성토록하는 것 이다.
즉 배수관(41)을 감싸는 파이프덕트(21)나 환기구통로로 구측하는 에어덕트를 상기 불연 단열판재(10)로 감싸 덕트(21)를 형성하며 불연 단열판재(10)과 측벽면(31)과 만나는 접합 부분은 연결부재(16)인 체결용 브라켓트나, 접착제, 볼트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일체로 하며 덕트(21)벽체 하단부는 바닥과 방수제(19)등으로 방수처리 하는 것 이다.
상기 방수제로는 액상의 방수제나 방수용시트등 다양한 방수 방법이 사용되어진다.
* 상기에 있어 불연 단열판재(10)는소정의 두께를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 폼보드(11)의 일측면이나 양측표면에 보강제인 유리섬유직물(Glass Fiber Mesh)(14)를 포설하고, (바이오)몰탈(15), 시멘트물을 혼합하여 양표면이 약 1-3㎜정도로 도포하고 그위에 마그네슘보드(13)나 CRC보드를 결합하여 불연단열판재(10)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와같은 구조의 불연단열판재(10)는 두께가 얇은 마그네슘보드(13), 또는 CRC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은 불연단열판재(10)은 경량이어서 시공이 용이하며, 또한 자르기가 용이하여 적당한 크기로 현장에서 재단이 가능하게된다.
또한 불연단열판재(10)를 벽면(21)에 고정 할 시 연결부재(16)와 함께 방수용시트지(19)등을 연결부위에 부착 할 시 방음성의 향상과 우수한 방수성을 기대하게된다.
또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접착제를 사용하여 불연단열판재(10)를 벽면(3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21)를 구성하는 불연단열판재(10)의 하단부에 액상이나 방수용시트지등의 방수제(19)를 사용하여 견고한 부착력과 방음의 효과는 물론 바닥의 물로부터 덕트를 보호하게된다.
상기 마그네슘보드는 산화마그네슘에 염화마그네슘, 펄라이트, 목분과 소량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다양한 두께의 판상으로 제작한 것으로 난연 1급 불연제로 고온에서 견디는 내화성을 갖는다. 또한 석고보드나 합판에 비해 방습성이 뛰어나 다습한 곳에서도 변형없이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한 천연 광물질인 마그네슘과 무기물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단열판재이며 기존의 밤라이트나 석고보드, 합판, MDF의 단점을 일부 해결하며, 특히 톱이나 칼, 타카등의 작업공구로 작업이 용이하며 석고보드에 비해 파손율이 적어 보관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한 단열판재이다.
상기 CRC보드라고 통상 약칭되는 무석면`섬유강화 시멘트판(Cellulous fiber Reinforced Cerment Board)은, 천연펄프인 셀룰로우스 직물(Cellulous fiber)와 포틀랜드시멘트, 규사 등을 물에 혼합하여 고압으로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양생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건축자재로, 온도편차에 따른 길이 변화가 적고 내수성, 내화성, 차음성이 우수한 친환경적 건축자재이다.
특히, 포틀랜드시멘트와 규사를 주원료로 하며 오토클레이브 양생과정을 거쳐 제조 됨으로, 높은 강도와 내충격성을 갖는다.
또한 표면 평활성 및 내수성이 뛰어나 도장이나 벽지 또는 타일 등이 용이하게 부착되어 어떠한 마감재도 처리가 가능하며, 시공성이 용이한 특성을 갖게된다.
이와 같이 마그네슘보드나 CRC보드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와 같은 환경호르몬 제재를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소재로,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등의 질병을 초래하지 않는 소재이며, 작업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건축자재이다.
종래 건물을 발코니나 욕실에 설치되는 배수관이나,환기통로인 에어덕트는 콘크리트 및 벽돌등을 이용한 습식공사를 통하여 배수관 주변을 감싸는 덕트를 구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은 습식덕트 구축공법은 시공이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오래걸리며, 전문가에 의한 인력확보가 어려우며, 인건비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많이 들어 비 경제적이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건식공법으로 덕트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로 노출된 배수관을 감싸도록 하여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결로를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덕트를 구성하는 재질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아닌 발포 폴리스티렌 폼보드의 표면에 마그네슘보드나 CRC보드를 결합한 불연단열판재는 경량체이어서 건물의 전체중량 감량에 크게 기여하게 되며, 시공이 용이하며, 공정 또한 단순하여 공기를 줄일수가 있는 것이며, 비전문가라도 쉽게 시공을 행할 수 있어 인력확보가 용이한 것이며, 대량으로 공장 생산이 가능하여 품질 향상 및 자재보관, 자재공급이 용이하여 전체적인 시공 비용도 줄일 수가 있는 대단히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1 - 본 고안의 시공후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시공후 사시도
도3 - 본 고안에 사용되는 불연 단열 판재로
(가)는 단면도
(나)는 사시도
(다)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4 - 본 고안에 사용되는 타실시예의 불연 단열 판재로
(가)는 단면도
(나)는 사시도
(다)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5- 본 고안의 종 단면도
도6-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종 단면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불연단열 판재 11. 발포폴리스티렌폼보드
13. 마그네슘보드 또는 CRC보드
14. 유리섬유직물 15. 몰탈
16. 연결부재 19. 방수제
21. 파이프덕트 또는 에어턱트
31.측벽 41. 배수관

Claims (3)

  1. 본 고안은 욕실이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보호하는 파이프덕트나 에어덕트(21)를 구축함에 있어서, 발포 폴리스티렌 폼보드(11) 일측표면이나 양측표면에 마그네슘 보드(13)를 조합 경량의 불연단열판재(10)로 덕트를 조성하며, 상기 덕트(21) 내부에 건축물의 측벽(31) 및 천정에 연결부속재(16) 접착제나 볼트등의 고정수단으로 연결고정하여 비 내력벽인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21)를 구성하며 상기 덕트(21)벽체의 하부와 바닥면과의 접합부는 방수제(19)를 도포하여 욕실, 발코니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 벽체를 건식으로 구축토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에 있어 경량의 불연단열판재(10)는 발포 폴리스티렌 폼판재(11) 일측표면이나 양측 표면에 유리섬유직물(Glass Fiber Mesh)(14)을 포설하고 그 위에 몰탈(15)을 1-3mm로 도포하여 표면 보강층을 형성하고 그위에 마그네슘보드(13)를 부착한 경량의 불연 단열 판재(10)를 사용하여 욕실, 발코니의 에어덕트나 파이프덕트벽체를 구축토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연단열판재(10)을 구성하는 발포폴리스티렌 폼보드(11)의 일측표면이나 양측표면에 부착하여 불연성을 제공하며 판을 보강하는 마그네슘보드(13) 대신에. CRC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KR20-2005-0018000U 2005-06-22 2005-06-22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KR200396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00U KR200396362Y1 (ko) 2005-06-22 2005-06-22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00U KR200396362Y1 (ko) 2005-06-22 2005-06-22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897A Division KR100730239B1 (ko) 2005-06-22 2005-06-22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및 그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62Y1 true KR200396362Y1 (ko) 2005-09-21

Family

ID=4369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000U KR200396362Y1 (ko) 2005-06-22 2005-06-22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026B1 (ko) 2005-10-13 2007-0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층간 소음차단용 소음챔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차음공법
KR100716065B1 (ko) 2005-12-17 2007-05-09 최혁수 방화용 문틀과 도어
KR102199875B1 (ko) 2020-08-04 2021-01-08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욕실 층간 소음 방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026B1 (ko) 2005-10-13 2007-0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층간 소음차단용 소음챔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차음공법
KR100716065B1 (ko) 2005-12-17 2007-05-09 최혁수 방화용 문틀과 도어
KR102199875B1 (ko) 2020-08-04 2021-01-08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욕실 층간 소음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368B1 (ko)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US20150118393A1 (en)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and high energy-efficient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amal Analysis of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blocks with reference to its potential and sustainability
MX2007007675A (es) Paneles para pared a prueba de vapor para habitaciones humedas.
CN107859213A (zh) 一种适用于建筑的装配式轻钢龙骨墙体及施工工艺
KR200415142Y1 (ko) 건축용 복합보드
KR200396362Y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KR20090086733A (ko) 무석면 섬유강화 시멘트 보드와 경량 기포콘크리트 패널을이용한 건식 벽체 시공방법
US20170292265A1 (en) Insulated Concrete Masonry System
CN106958358A (zh) 节能环保的工业化商品住宅
KR100730239B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및 그시공방법
CN206681418U (zh) 节能环保的工业化商品住宅
KR200397738Y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1374807B1 (ko) 불연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0944523B1 (ko) 건축물 내외벽용 경량패널 및 그 제조방법
RU2361985C1 (ru) Способ теплоизоляции и облицовки поверхности стен плитками
GB2518154A (en) A Stay-in-place concrete forming system
WO2020046226A1 (en) Application method of insulated exterior cladding
JP362792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RU163417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KR200335136Y1 (ko)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
KR200334341Y1 (ko) 건축물의 내외부면용 경량복합패널 및 경량복합패널조립체
RU2597038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