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47Y1 - 벽돌용 연결철물 - Google Patents

벽돌용 연결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47Y1
KR200158947Y1 KR2019970032049U KR19970032049U KR200158947Y1 KR 200158947 Y1 KR200158947 Y1 KR 200158947Y1 KR 2019970032049 U KR2019970032049 U KR 2019970032049U KR 19970032049 U KR19970032049 U KR 19970032049U KR 200158947 Y1 KR200158947 Y1 KR 200158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icks
protrusions
construction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367U (ko
Inventor
한봉현
Original Assignee
한봉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현 filed Critical 한봉현
Priority to KR2019970032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4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치장용 적벽돌을 쌓아 올려 외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치장용 적벽돌과 콘크리트 벽체가 서로 이완되는 것을 막고 치장용 벽돌의 상호결속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여 견고한 건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아연도 강판제 연결철물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1a)가 직각으로 돌출형성하여 그 가운데에 고정구멍(1b)이 길게 형성된 아연도철판제 연결철물(1)을 매립부(가)와 노출부(나)로 구분하여 매립부(가)선단에 구멍(101)을 뚫고 그 내측으로 횡요홈(102)을 형성하여 횡요홈 가운데에 구멍(2b)을 뚫어 그 상단전후에 마주보게 돌출편(2)(2a)을 형성하여 돌출편끝이 상향되게 하므로서 봉체로된 가로연결봉(3)을 관통할 수 있게 구성하고 고정부와 이어지는 노출부(나)표면에 일정높이(약 5mm정도)의 횡돌출부(4)를 형성시킨 연결철물로서 시공이 편리하고 매설의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적별돌의 시공을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되고 노출부의 길이를 길게하여 콘크리트벽(5)과 적별돌(6)사이에 보온재(9)를 넣고 시공할때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공장생산품이라 규격이 정밀하여 완벽한 연결철물이 되게한 것임.

Description

벽돌용 연결철물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치장용 적벽돌을 쌓아 올려 외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치장용 적벽돌과 콘크리트 벽체가 서로 이완되는 것을 막고 치장용 벽돌의 상호결속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여 견고한 건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아연도 강판제 연결철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콘크리트 벽체외측에 치장용 적별돌을 구축할 때 적별돌이 이완되지 않도록 철사를 묶거나 결속쇠를 가설하여 공사를 하고 있는 폐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묶음용 철사나 결속쇠는 시공이 불편할 뿐 아니라 적벽돌상호간을 가로로 엮을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성능이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인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노출부를 길게한 예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철물 101 : 구멍
102 : 횡요홈 1a : 고정부
1b : 고정구멍 2, 2a : 돌출편
2b : 구멍 3 : 연결봉
4 : 돌출부 5 : 콘크리트벽
6, 6' : 적벽돌 7 : 콘크리트못
8 : 모르타르 가 : 매립부
나 : 노출부
도 1 내지 도 2내에 예시한 바와 같이 후측에 고정부(1a)가 직각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가운데에 고정구멍(1b)이 길게 형성된 아연도철판제 연결철물(1)을 매립부(가)와 노출부(나)로 구분하여 매립부(가) 선단에 구멍(101)을 뚫고 그 내측으로 횡요홈(102)을 형성하여 횡요홈 가운데에 구멍(2b)을 뚫어 그 상단전후에 마주보게 돌출편(2)(2a)을 형성하여 돌출편끝이 상향되게 하므로서 봉체로된 가로연결봉(3)를 관통할 수 있게 구성하고 고정부와 이어지는 노출부(나)표면에 일정높이(약 5mm정도)의 횡돌출부(4)를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벽(5)외측에 적벽돌(6)을 구축하면서 일측높이로 구축되면 일정간격에 도 3과 같이 연결철물(1)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철물(1)의 고정부(1a)를 콘크리트벽 표면에 밀착시키고 콘크리트못(7)을 고정구멍(1b)에 처서 연결철물의 매립부(가)가 적벽돌(6) 표면 모르타르(8)위에 위치하게 한 후 각 연결철물의 횡요홈(102)에 가로연결봉(3)을 관통시키고 그 위에 모르타르를 추가하여 적벽돌을 쌓아올리게 되면 적벽돌(6)과 적벽돌(6')사이에 연결철물(1)의 매립부(가)가 매설되고 동시에 적벽돌과 적벽돌의 가로방향으로 가로연결봉(3)이 가설되게 적벽돌과 적벽돌의 가로방향으로 가로연결봉(3)이 가설되게 적벽돌이 구축되므로 콘크리트벽 외측면으로 구축되는 적벽돌은 연결철물(1)과 가로연결봉(3)에 의하여 전후 좌우로 결속이 완벽하게 되어 높이 구축되어도 콘크리트벽과 이완될 염려가 없는 안전한 건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철물의 노출부(나)에는 횡돌출부(4)가 있어서 적벽돌을 통해 스며든 수분이 콘트리트벽으로 하달되는 것은 방지하게 되며 가로연결봉(3)은 횡요홈(102)에 삽입되어 그 상측 돌출편(2)(2a)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돌출편(2)(2a)의 밑에 구멍이 형성되어 모르타르가 관통되어 횡요홈에 채워지게 매립부선단의 구멍(101)과 함께 연결철물(1)의 확고한 매설을 보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결철물을 사용하게 되면 시공이 편리하고 매설의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적벽돌의 시공을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되고 노출부의 길이를 길게하여 콘크리트벽(5)과 적벽돌(6)사이에 보온재(9)을 넣어 시공할때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실리적이고 공장생산품이라 규격이 정밀하여 완벽한 연결철물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부(1a)가 직각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가운데에 고정구멍(1b)이 길게 형성된 아연도철판제 연결철물(1)을 매립부(가)와 노출부(나)로 구분하여 매립부(가) 선단에 구멍(101)을 뚫고 그 내측으로 횡요홈(102)을 형성하여 횡요홈 가운데에 구멍(2b)을 뚫어 그 상단전후에 마주보게 돌출편(2)(2a)을 형성하여 돌출편끝이 상향되게 하므로서 봉체로된 가로연결봉(3)을 관통할 수 있게 구성하고 고정부와 이어지는 노출부(나)표면에 일정높이(약 5mm정도)의 횡돌출부(4)를 형성시킨 벽돌용 연결철물
KR2019970032049U 1997-11-08 1997-11-08 벽돌용 연결철물 KR200158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49U KR200158947Y1 (ko) 1997-11-08 1997-11-08 벽돌용 연결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49U KR200158947Y1 (ko) 1997-11-08 1997-11-08 벽돌용 연결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367U KR19990018367U (ko) 1999-06-05
KR200158947Y1 true KR200158947Y1 (ko) 1999-10-15

Family

ID=1951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049U KR200158947Y1 (ko) 1997-11-08 1997-11-08 벽돌용 연결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77B1 (ko) 2005-08-09 2006-11-14 이광원 외벽보강철물을 이용한 조적시 균열방지를 위한 층별신축줄눈 구조 및 그 설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595B1 (ko) * 2012-07-27 2013-12-31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조적벽체 지지용 브래킷 및 그것을 사용한 조적벽체 시공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77B1 (ko) 2005-08-09 2006-11-14 이광원 외벽보강철물을 이용한 조적시 균열방지를 위한 층별신축줄눈 구조 및 그 설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367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4660342A (en) Anchor for mortarless block wall system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CA2023754A1 (en) Building block
KR200158947Y1 (ko) 벽돌용 연결철물
KR20010091455A (ko) 벽체용 패널의 접합구조 및 조립시공방법
KR100444726B1 (ko)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KR200158946Y1 (ko) 벽돌용 연결철물
KR200182732Y1 (ko) 벽돌용 연결철물
GB2103679A (en) Wall coping
KR200265956Y1 (ko) 외장용벽돌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344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20000015229U (ko) 조립식 콘크리트 단열블록
JPS60195256A (ja) レンガ張設構造
KR200215053Y1 (ko) 목재벽돌의 조적구조
KR200152623Y1 (ko) 복합페널
KR200265957Y1 (ko) 벽돌
KR200175230Y1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KR200187615Y1 (ko) 벽돌 벽체용 연결철물
RU34187U1 (ru) Стен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KR200274137Y1 (ko) 치장벽돌의 연결부재
KR200282443Y1 (ko) 벽체 연결용 연결철물
GB2212835A (en) Cavity wall tie
KR200261782Y1 (ko) 치장벽돌 연결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