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726B1 -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726B1
KR100444726B1 KR10-2002-0015190A KR20020015190A KR100444726B1 KR 100444726 B1 KR100444726 B1 KR 100444726B1 KR 20020015190 A KR20020015190 A KR 20020015190A KR 100444726 B1 KR100444726 B1 KR 10044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wall
stucco
wall
stopper
stucco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009A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남 filed Critical 이창남
Priority to KR10-2002-001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7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구조물의 벽돌벽은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 사이에 보온재(30)가 삽입되어 있어서 서로 완전히 격리되며 구조적으로도 외력에 일체로 저항할 수 없다. 또한 내부 벽(20)에 미리 꽂아둔 철선을 보온재(30)를 통과시켜 치장 벽돌벽(50)에 정착시키는 작업은 어려운 일이어서 부실시공이 많으며 공간(40)이 항상 습하고 환기도 되지 않아 철선이 부식하여 상대변위구속 기능을 상실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층수가 2층 이상인 건물에서도 치장 벽돌벽(50)을 전 층 한 면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므로 치장 벽돌벽(50)이 횡 좌굴을 일으켜 무너지거나 배가 나오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심하게는 재시공하기도 하고 치장 벽돌벽(50) 외부에다 별도의 철골 프레임을 짜 붙이는 경우도 있으나 미관상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치장 벽돌벽(50)의 배부름 현상을 저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법개발이 기술적 과제이며, 부수적으로는 보강을 위하여 내ㆍ외벽을 관통, 삽입하는 재래식 철제 앵커가 내외벽간의 히트브리지 역할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완조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적당한 간격으로 기존 건물의 치장 벽돌벽(50)과 보온재(30)를 관통하여 내부벽(20)의 적당한 깊이까지 드릴 홀(60)을 뚫고 구멍을 청소한 다음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가 스토퍼(15)로 정지될 때까지 삽입하고 마개못(16)을 뽑아. 주입관(13)을 통하여 접착제를 주입하면 사출구(14)와 주입관 끝(13a)을 통해 밀려난 접착제가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에 뚫은 드릴 홀(60)과 치장 벽돌벽(50)과 스페이서(10)의 빈틈을 따라 고르게 충전되어 고정시키게 하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에 관한 것이다. 마개못(16)은 주입된 접착제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히트브리지 역할을 방지하며 접착제는 응고하면서 체적이 팽창하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등을 사용한다. 또한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는 스토퍼 홀 벽돌(70)과 함께 신축공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Spacer of Ornamental Brick Wall}
붉은 벽돌은 시멘트벽돌에 비하여 값이 비싸므로 벽 전체를 붉은 벽돌로 쌓는 대신 내부벽(20)은 콘크리트벽이나 시멘트벽돌로 쌓고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만 반장(0.5B) 두께의 치장 벽돌벽(50)을 쌓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또한 결로 현상 방지와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치장 벽돌벽(50)과 내부 벽(20) 사이에 보온재(30)를 삽입함으로 인하여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 사이가 완전히 격리되어 있어서 구조적으로는 외력에 일체로 저항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또한 내부 벽(20)에 미리 꽂아둔 철선을 보온재(30)를 통과시켜 치장벽돌쌓기 모르터에 정착시키는 작업은 실제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될 것을 기대하는 것이 무리여서 다분히 형식적인 부실시공에 그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설사 도면대로 충실히 시공한다고 해도 공간쌓기 한 내부 공간(40)이 항상 습하고 환기도 되지 않아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환경이 장기화됨에 따라 철선이 부식하여 상대변위구속 기능을 상실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층수가 2층 이상인 집에서도 치장 벽돌벽(50)을 매 층 바닥마다 단절시켜 쌓는 대신 최하층부터 꼭대기까지 한 면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어서 각급 학교를 비롯한 많은 벽돌 건물의 치장 벽돌벽(50)이 무너지거나 배가 나오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심하게는 재시공하기도 하고 치장 벽돌벽(50) 외부에다 별도의 철골 프레임을 짜 붙이는 경우도 있으나 미관상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신축하는 건물에서의 치장 벽돌벽(50) 쌓기는 별도로 실용신안등록을 신청한 "치장 벽돌벽 보강구조"를 채택하면 되겠으나 문제가 된 기존 건물을 보강할 때 본 발명의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를 활용할 수 있다. 만약 앞에 제시한 "치장 벽돌벽 보강구조"가 번거롭거나 공사비의 부담이 된다면 신축건물에서도 스토퍼 홈 벽돌(70)과 더불어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실시공 되었거나 노후화한 공간 쌓기 치장 벽돌벽(50)을 헐어내지 않고서도 내부 벽(20)에 견고히 고정시키며, 그 작업으로 인하여 보온효과가 떨어지거나,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정착 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 사이 빈 공간(40) 일부에 스티로폼 등 보온재(30)를 삽입한 경우 위 내ㆍ외벽의 상대 거리를 유지시켜 주는 철선이 부실시공 되었거나 부식되면 외부 치장 벽돌벽(50)이 횡 좌굴을 일으켜서 배가 나오다가 급기야는 붕괴하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치장 벽돌벽(50)을 헐어 내고 다시 쌓거나, 외부에 흉측한 철골프레임을 추가하지 않으면서도 치장 벽돌벽(50)의 배부름 현상을 저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법개발이 기술적 과제이며, 부수적으로는 내ㆍ외벽을 관통하여 삽입하는 철제 앵커가 내외벽간의 히트브리지 역할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도 1은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간의 상대변위를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로 구속시킨 단면도이다.
도 2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의 A-A평면도이다.
도 4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의 C-C단면도이다.
도 6은 스토퍼 홈 벽돌(7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토퍼 홈 벽돌(70)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11 : 코넥터
12 : 나사산 13 : 주입관
13a : 주입관 끝 14 : 사출구
15 : 스토퍼 16 : 마개못
17 : +자 홈 20 : 내부 벽
30 : 보온재 40 : 공간
50 : 치장 벽돌벽 60 : 드릴 홀
70 : 스토퍼 홈 벽돌 80 : 스토퍼 홈
도 2와 같이 직경 22mm정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로 된 원형단면 막대기 끝에 직경이 더 큰 원형의 스토퍼(15)가 부착되고 막대기 단면 중앙부에 전 길이를 통하여 직경 6mm정도의 주입관(13)이 조성되고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의 드릴 홀(60)과 만나는 부위에 나사산(12)을 조성하고 골짜기 부분 적당한 위치에 사출구(14)를 뚫어 주입관(13)을 통하여 주입된 접착제가 드릴 홀(60) 사이에 충전되도록 하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적당한 간격으로 기존 건물의 치장 벽돌벽(50)과 보온재(30)를 관통하여 내부 벽(20) 적당한 깊이까지 직경 22mm 정도의 드릴 홀(60)을 뚫고 압축공기로 구멍 내부를 청소한 다음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를 스토퍼(15)로 정지될 때까지 삽입한다. 마개못(16)을 뽑고 주입관(13)을 통하여 접착제를 주입하면 사출구(14)와 주입관 끝(13a)을 통해 밀려난 접착제가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에 뚫은 드릴 홀(60)과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에 조성한 나사산(12)으로 구획된 빈틈을 따라 고르게 충전되어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코넥터(11)는 나사산(12)이 없으므로 보온재(30)와 공간(40)으로는 접착제가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마개못(16)은 주입된 접착제가 응고하는 동안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 홈(17)을 이용하여 나사를 돌려 끼운다.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과의 히트브리지 역할을 하지 못하게 하고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과의 상대변위를 구속하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접착제는 응고하면서 체적이 팽창하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등을 사용하여 나사산(12) 주변에 고루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를 신축공사에서 사용하여 스토퍼(15)가 치장 벽돌벽(50)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사전에 스토퍼 홈 벽돌(70)을 제작하여 쌓을 수 있으며, 기존 건물에서도 필요하면 치장 벽돌벽(50) 표면에 현장에서 스토퍼(15)홈을 조성할 수도 있다.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를 사용하여 내부 벽(20)과 치장 벽돌벽(50)간의 상대변위를 구속하는 작업을 하면 치장 벽돌벽(50) 표면에 스토퍼(15)만 노출되어 미관상 저해요인이 되지 않으면서도 보강 효과가 확실하다. 또한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는 재질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이므로 하트브리지로의 역할을 하지 않아 보온상 손실을 보거나 결로가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치장 벽돌벽(50)과 보온재(30)를 관통하여 내부 벽(20) 적당한 깊이까지 드릴홀(60)을 뚫고 구멍 내부를 청소한 다음 설치한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 ;
    상기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는 스토퍼(15)를 삽입한 후 주입관(13)을 통해 접착제를 주입하면 사출구(14)와 주입관 끝(13a)을 통해 밀려난 접착제가 드릴홀(60)과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나사산(12)의 빈틈을 고르게 충전하여 내 외벽의 상대변위가 구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2. 제 1항에 있어서, 원형단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끝에 직경이 더 큰 원형 스토퍼(15)가 부착된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 ;
    상기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10)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주입관(13)과 골짜기 부분 적당한 위치에 사출구(14)를 뚫어 주입관(13)을 통하여 주입된 접착제가 드릴 홀(60) 사이에 충전되도록 구성하고 ;
    상기 사출구(14)는 스토퍼(15)에 주입된 접착제가 응고하는 동안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 홈(17)을 형성한 마개못(16)과 접착제가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코넥터(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3. 제 1항에 있어서, 스토퍼(15)가 치장 벽돌벽(50)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전에 스토퍼 홈(80)을 형성한 스토퍼 홈 벽돌(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4. 삭제
KR10-2002-0015190A 2002-03-20 2002-03-20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KR100444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190A KR100444726B1 (ko) 2002-03-20 2002-03-20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190A KR100444726B1 (ko) 2002-03-20 2002-03-20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009A KR20020029009A (ko) 2002-04-17
KR100444726B1 true KR100444726B1 (ko) 2004-08-16

Family

ID=1971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190A KR100444726B1 (ko) 2002-03-20 2002-03-20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7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96B1 (ko) 2007-08-21 2007-12-21 안병진 긴결철물 및 에폭시를 이용한 조적벽 보강공법
KR200496733Y1 (ko) 2021-11-11 2023-04-12 이영희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용 스페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19B1 (ko) * 2006-06-30 2007-10-12 권기혁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KR101054668B1 (ko) * 2009-07-31 2011-08-08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제 유출방지 캡이 구비된 케미컬 앵커
KR101137221B1 (ko) * 2011-11-16 2012-04-26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결로 발생 방지용 인방 벽돌 구조체
KR101357075B1 (ko) * 2011-12-19 2014-02-03 최영길 앵커
KR102197879B1 (ko) * 2019-02-08 2021-01-06 김정인 지하벽체 유지보수 구조 및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3794A (en) * 1986-03-15 1988-09-27 International Intec Co. Injection anchors for placement in pre-drilled holes
EP0399165A1 (de) * 1989-05-22 1990-11-28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Injektionsbefestigungsanker
WO1994018461A1 (fr) * 1993-02-01 1994-08-18 Jacques Delooz Cheville de fixation dans une paroi avec apport d'une matiere de scellement
EP0635646A2 (de) * 1993-07-20 1995-01-25 Fischerwerke Arthur Fischer GmbH & Co. KG Verblendanker
JPH08284263A (ja) * 1995-04-11 1996-10-29 Yoshino Seiki:Kk アンカー部材
KR100361960B1 (ko) * 2000-11-22 2002-11-23 (주)태창 에스엠에스 다목적 앙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3794A (en) * 1986-03-15 1988-09-27 International Intec Co. Injection anchors for placement in pre-drilled holes
EP0399165A1 (de) * 1989-05-22 1990-11-28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Injektionsbefestigungsanker
WO1994018461A1 (fr) * 1993-02-01 1994-08-18 Jacques Delooz Cheville de fixation dans une paroi avec apport d'une matiere de scellement
EP0635646A2 (de) * 1993-07-20 1995-01-25 Fischerwerke Arthur Fischer GmbH & Co. KG Verblendanker
JPH08284263A (ja) * 1995-04-11 1996-10-29 Yoshino Seiki:Kk アンカー部材
KR100361960B1 (ko) * 2000-11-22 2002-11-23 (주)태창 에스엠에스 다목적 앙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96B1 (ko) 2007-08-21 2007-12-21 안병진 긴결철물 및 에폭시를 이용한 조적벽 보강공법
KR200496733Y1 (ko) 2021-11-11 2023-04-12 이영희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용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009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EP1941109B1 (en) Building block
KR100444726B1 (ko)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US20100065716A1 (en) Device for anchoring concrete to an insulating panel and form employing device
JP4440136B2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NZ539980A (en) Masonry wall system including blocks with tongues which form furring ridges
JP2009174249A (ja) 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09167778A (ja) 外構塀
KR20100018923A (ko) 건축용 조립식 보온 벽돌 세트의 형성방법
KR200392177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0436284B1 (ko) 지하구조물의 외단열방법 및 배수용 단열패널을 갖는지하구조물
JP3423885B2 (ja) スリット目地の遮音構造とその施工方法
CN206521848U (zh) 预制墙体及其保温结构
JP2010059621A (ja) 地中構造物、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JP4627593B2 (ja) 水平スリット材用支持具
CN204456505U (zh) 一种抗震保温建筑砌体墙结构
CN215594523U (zh) 装配式预制外挂墙板结构
KR200158947Y1 (ko) 벽돌용 연결철물
CN216616314U (zh) 一种施工缝防水结构
JP2012172317A (ja) 空間形成物
KR20042274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200363655Y1 (ko) 배수공 설치용 옹벽거푸집구조
JP2018135658A (ja) 建築構造物
JPS6032248Y2 (ja) コンクリ−トスラブ用埋込材
KR200345102Y1 (ko) 건축용 조립식 석고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