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519B1 -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 Google Patents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519B1
KR100766519B1 KR1020060060794A KR20060060794A KR100766519B1 KR 100766519 B1 KR100766519 B1 KR 100766519B1 KR 1020060060794 A KR1020060060794 A KR 1020060060794A KR 20060060794 A KR20060060794 A KR 20060060794A KR 100766519 B1 KR100766519 B1 KR 10076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opening
masonry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혁
이완섭
Original Assignee
권기혁
이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혁, 이완섭 filed Critical 권기혁
Priority to KR102006006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조적벽체의 개구부 및 그 주변 벽체를 보다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는, 일부분이 개구부로 이루어지며 축조된 조적벽체, 상기 벽체의 침하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상부쪽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보강부, 상기 개구부의 상단을 콘크리트 보에 고정 지지시키는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부를 형성하며 개구부의 상부로 일정높이의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 상부의 벽체 위에 대략적인 수평방향으로 보강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쪽으로 일정 높이의 벽체를 더 축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 안착 및 일정높이의 벽체축조 과정을 반복하여 조적벽체의 개구부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부재를 매입하는 구조로 완성된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구축된 벽체의 모르타르가 경화된 후, 상기 보강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벽체 및 콘크리트 보에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구멍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가 완료된 후, 개구부 상단부 벽체 및 콘크리트 보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구멍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공법을 제공한다.
조적벽체,개구부,보강부재,제1보강부,제2보강부

Description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BRICKS STRUCTURE OF BRICKS WALL WITH AN OPENING AND METHOD FOR THE LAY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조적벽체를 축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축조된 조적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축조된 조적벽체의 주요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에 제공된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에 보강부재가 삽입된 후 외벽의 마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적벽체의 개구부 및 그 주변 벽체를 보다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구조물을 이루는 벽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건축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벽돌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벽돌을 이용한 조적벽체는 내부벽체나 치장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적공사시 창호 등이 설치될 부분은 개구부로 형성하여 축조한 다음, 벽체의 축조가 완료되면 개구부에 창호 등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개구부의 상부쪽의 벽돌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하여 조적벽체를 축조한다.
이렇게 구축된 조적벽체는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변화나 비바람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균열은 개구부의 주변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조적벽체의 축조시 개구부의 인방부위에는 보강부재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보강부재는 철재 앵글 및 철제앵글을 인방부에 고정 지지시키는 연결철물(반생)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방부에 제공되는 보강부재는 앵글의 중량이 무거워 시공 및 설치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설재 및 앵커와 같은 별도의 부품 등이 필요하다.
또한 앵글이 그 상부벽체의 전체하중을 다 받아야 하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강도가 떨어져 보강부재의 역할을 못하거나 약화로 인한 처짐이 발생하며, 연결철물(반생)은 존치기간 증가에 따라 부식되어 기능을 상실해 개구부 및 그 주변 벽체 의 균열발생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적벽체의 개구부 주변을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는,
일부분이 개구부로 이루어지며 축조된 조적벽체, 상기 벽체의 침하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상부쪽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보강부, 상기 개구부의 상단을 콘크리트 보에 고정 지지시키는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보강부는 벽체에 대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매입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수평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콘크리트 보에 고정되며, 상기 제2보강부는 벽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콘크리트 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2보강부를 구성하는 보강부재는 일정한 굵기를 갖고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는 본체를 따라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가 매입된 후 구멍 끝단부에는 하이본드로 이루어진 그라우딩재 및 벽체와 동일한 재질의 마감재가 충진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부를 형성하며 개구부의 상부로 일정높이의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 상부의 벽체 위에 대략적인 수평방향으로 보강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쪽으로 일정 높이의 벽체를 더 축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 안착 및 일정높이의 벽체축조 과정을 반복하여 조적벽체의 개구부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부재를 매입하는 구조로 완성된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구축된 벽체의 모르타르가 경화된 후, 상기 보강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벽체 및 콘크리트 보에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구멍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가 완료된 후, 개구부 상단부 벽체 및 콘크리트 보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구멍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천공단계에서는 보강부재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부재이 외경보다 작은 구멍으로 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조적벽체를 축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축조된 조적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축조된 조적벽체의 주요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적공법 및 구조는, 개구부(2)를 갖는 조적벽체의 축조시 적용될 수 있으며, 조적벽체는 일정한 크기로 성형된 벽돌(4)을 모르 타르(6)를 이용하여 한 층씩 쌓아 형성함으로써 축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축조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적벽체는 건물의 내측으로 축조되는 내부벽체(8)와, 이 내부벽체(8)와 약간의 간격을 띄우고 건물의 외측으로 축조되는 치장벽체(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벽체(8)와 치장벽체(10) 사이에는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적벽체의 축조시 개구부(2) 상부쪽의 벽돌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개구부(2)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인방보(14)를 설치하면서 조적벽체를 축조한다.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 축조시 개구부(2)의 상부로 일정높이의 벽체가 축조되면, 상기 개구부(2) 상부의 치장벽체(10) 위에 대략적인 수평방향으로 보강부재(16)를 안착시켜 제1보강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부의 상부쪽으로 벽돌(4)을 쌓아 보강부재(16)를 벽돌(4) 사이에 매입시키면서 일정 높이의 벽체를 더 축조하고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16)를 안착시키는 공정을 반복하여 벽체의 구축이 완료되면, 조적벽체의 개구부(2) 상부에는 개구부(2)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략적인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부재(16)가 매입되어 제1보강부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는 벽체의 침하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를 구성하는 보강부재(16)는 그 길이는 개구부(2)의 폭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굵기를 갖고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18)와, 이 본체(18)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20)로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20)는 본체(18)를 따라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16)는 충분한 강도를 같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은 녹슬지 않아 그 강성에 변화가 없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16)는 벽돌(4) 사이에 매입되어 벽체의 수직하중을 부담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보강부재(16)는 날개부(20)가 본체(18)이 외측면을 따라서 방사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나선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표면적이 넓으므로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보강부재(16)는 벽체에 대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매입되어 개구부(2)의 상부 하중을 지지하지만,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장벽체(10) 및 콘크리트 보(2)에 드릴링을 하여 구멍(22)을 천공하고, 이 구멍(22)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보강부재(16)를 더 삽입하여 추가 보강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추가 보강부의 구멍(22) 천공시 보강부재(16)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끼워 질 수 있도록 구멍(22)의 내경은 보강부재(16)의 외경보다 작게 천공한다.
이때 구멍(22)에 삽입되는 보강부재(16)는 끝단부를 뽀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좋고, 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구멍(22)에 삽입하거나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삽입할 수 있는데, 삽입된 보강부재(16)는 도 5에서와 같이 벽돌(4) 내부로 완전히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하이본드(24)로 그라우팅하고 벽체를 이루는 벽돌(4)과 동일한 재질의 마감재(26)를 충진하여 벽체의 외관이 동일한형상과 구조를 갖도록 마감한다.
상기와 같이 제공된 제1보강부는 보강부재(16)가 개구부(2)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추가 보강부가 벽돌(4)을 통하여 콘크리트 보(14)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따라서 이러한 제1보강부는 격자구조로 형성되어 개구부(2) 상부의 벽체의 수직하중을 충분하게 감당하면서 또한 개구부(2) 주변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완전히 억제한다.
이와 같은 제1보강부를 통하여 개구부(2) 상부의 수직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지만, 이를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개구부(2)의 상단을 이루는 벽돌(4)을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16)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14)에 고정 지지시키는 제2보강부를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는 개구부(2)의 최상부에 조적된 벽돌(4)에서 상부쪽으로 드릴링을 하여 벽돌(4) 및 콘크리트 보(14)에 구멍(28)을 천공하고, 이 구멍(28)에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16)를 삽입하여 제2보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보강부의 형성은 상기 추가 보강부의 설치작업과 동일한 작업으로 할 수 있으며, 구멍(28) 천공시 보강부재(16)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끼워 질 수 있도록 구멍(28)의 내경은 보강부재(16)의 외경보다 작게 천공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으로 구멍(28)에 보강부재(16)를 억지끼움방식으로 벽돌(4) 내부로 완전히 삽입한 다음, 구멍(28)의 끝단부에는 하이본 드(24)로 그라우팅하고 벽체를 이루는 벽돌(4)과 동일한 재질의 마감재(26)를 충진하여 벽체의 외관이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도록 마감한다.
이렇게 설치된 제1보강부 및 제2보강부는 벽체의 줄눈보강 및 인방보강 역할을 수행하면서 벽체의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충분히 감당하면서 벽체 및 개구부(2) 주변의 균열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조적벽체를 축조하면서 제1보강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미 축조된 조적벽체의 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줄눈부분의 모르타르를 일정깊이로 파낸 후, 그 내부에 보강부재(16)를 삽입하고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줄눈을 메꾸는 방법으로 보강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된 보강부는 모르타르가 경화되면 보강부재가 줄눈 내부에 고정되어 벽체 균열의 진전을 막거나 억제한다.
이때 보강부재(16)의 길이는 벽체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적조의 벽체 코너 부위에 적정길이의 보강부재를 줄눈 속에 매입시킴으로서 지진에 대한 조적조의 내진 보강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 하부에도 창문틀 등을 떼어내고서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보강부 및 제2보강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은, 제1보강부 및 제2보강부가 벽체의 줄눈 및 인방부에 설치되어 벽체의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충분히 감당하게되므로 개구부 및 그 주변 벽체의 균열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다.

Claims (9)

  1. 일부분이 개구부로 형성되며 이 개구부의 상부쪽의 벽돌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하여 축조된 조적벽체;
    상기 조적벽체의 침하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상부 벽체 내부에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제1보강부;
    상기 개구부의 상단을 콘크리트 인방보에 고정 지지시키는 제2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부는 개구부 상부의 벽돌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매입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벽돌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인방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보강부는 조적벽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벽돌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인방보에 고정 설치된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보강부는 일정한 굵기를 갖고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본체를 따라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는 조적벽체 개구부 상부의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제2보강부는 조적벽체 개구부 상부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보강부가 삽입된 구멍 끝단부에는 하이본드로 이루어진 그라우딩재 및 벽체와 동일한 재질의 마감재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8. 개구부를 형성하며 개구부의 상부로 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하여 개구부를 갖는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 상부에 일정높이의 벽체가 형성되면 이 벽체 위에 수평방향으로 보강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쪽으로 일정 높이의 벽체를 더 축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 안착 및 일정높이의 벽체축조 과정을 반복하여 조적벽체의 개구부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부재를 매입하는 구조로 완성된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구축된 벽체의 모르타르가 경화된 후, 개구부 상단부 벽체 및 콘크리트 인방보에 보강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수평방향으로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가 완료된 후, 개구부 상단부 벽체 및 콘크리트 인방보에 보강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상하방향으로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공법.
  9. 삭제
KR1020060060794A 2006-06-30 2006-06-30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KR100766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794A KR100766519B1 (ko) 2006-06-30 2006-06-30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794A KR100766519B1 (ko) 2006-06-30 2006-06-30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519B1 true KR100766519B1 (ko) 2007-10-12

Family

ID=3942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794A KR100766519B1 (ko) 2006-06-30 2006-06-30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51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66B1 (ko) * 2014-08-29 2015-04-17 이장희 조적벽체의 보강공법
KR102079964B1 (ko) 2019-03-18 2020-02-27 주식회사 이현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20200075515A (ko) 2018-12-18 2020-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량형 벽돌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적구조
KR102137910B1 (ko) * 2019-09-04 2020-07-27 모전산업 (주) 치장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 및 크랙 보수 구조와 그 시공 방법
KR102197213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197212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343762B1 (ko) 2021-04-27 2021-12-29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102505922B1 (ko) 2022-02-21 2023-03-06 김도곤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09A (ko) * 2002-03-20 2002-04-17 이창남 치장벽돌벽스페이서
KR20030028123A (ko) * 2001-09-27 2003-04-08 고대석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간의 연결 시공방법
KR100538759B1 (ko) 2005-01-21 2005-12-23 이광원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20060034153A (ko) *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KR200415963Y1 (ko) 2006-02-10 2006-05-09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123A (ko) * 2001-09-27 2003-04-08 고대석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간의 연결 시공방법
KR20020029009A (ko) * 2002-03-20 2002-04-17 이창남 치장벽돌벽스페이서
KR20060034153A (ko) *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KR100538759B1 (ko) 2005-01-21 2005-12-23 이광원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200415963Y1 (ko) 2006-02-10 2006-05-09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66B1 (ko) * 2014-08-29 2015-04-17 이장희 조적벽체의 보강공법
KR20200075515A (ko) 2018-12-18 2020-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량형 벽돌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적구조
KR102079964B1 (ko) 2019-03-18 2020-02-27 주식회사 이현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102137910B1 (ko) * 2019-09-04 2020-07-27 모전산업 (주) 치장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 및 크랙 보수 구조와 그 시공 방법
KR102197213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197212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343762B1 (ko) 2021-04-27 2021-12-29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20220148071A (ko) 2021-04-27 2022-11-04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102505922B1 (ko) 2022-02-21 2023-03-06 김도곤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519B1 (ko)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JP5239190B2 (ja) 既設rc部材の補強方法及び既設rc部材の補強用パネル
US5158399A (en) Method for erecting a below grade wall
KR102107066B1 (ko)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방법
JP4914062B2 (ja) 二段山留め壁とその構築方法
JP5865567B2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396786B1 (ko) 기존 지하 외벽의 보강을 통한 신설 건물의 지하 증축 및 역타 공법
KR20190101513A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76621B1 (ko) 지하층 연장 운행을 위한 지하 기초 시공 방법
KR100975855B1 (ko) 철근 피복 조절장치
KR20210083316A (ko) 지중 모듈식 조립체
JP6172501B2 (ja) 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工法
JP6230272B2 (ja) 耐震壁、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1138499B1 (ko) 마이크로 파일의 두부 정착방법 및 그 장치
JP4228308B2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AU2020100004A4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A Subterranean Structure, And A Structure Made From The Method
KR20090108880A (ko) 이중강관이 구비된 콘크리트충전기둥 및 이를 이용한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20100136900A (ko) 구조물의 기초 보강방법
KR102426927B1 (ko) 기존 조적조 구조물의 트러스형 내진보강을 위한 트라이앵글관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KR20110043976A (ko) 사전 제작된 기둥을 사용하는 역타 공법 및 이에 의한 건물 구조체
JP6895740B2 (ja) 水平力拘束構造
KR102229347B1 (ko) 내진 보강 구조체 및 내진 보강 구조체 시공 방법
KR101143553B1 (ko) 건물 리모델링용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리모델링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 연결구조
US10689869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tructural repair
JP7373383B2 (ja) 既存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