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153A - 외벽보강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벽보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153A
KR20060034153A KR1020040083304A KR20040083304A KR20060034153A KR 20060034153 A KR20060034153 A KR 20060034153A KR 1020040083304 A KR1020040083304 A KR 1020040083304A KR 20040083304 A KR20040083304 A KR 20040083304A KR 20060034153 A KR20060034153 A KR 2006003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wall
wall
masonry
heat insula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균
Original Assignee
최연수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수,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filed Critical 최연수
Priority to KR102004008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4153A/ko
Publication of KR2006003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력벽(1), 단열재(2), 단열공간(3)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4)를 갖는 외장벽체(4)가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이 외장벽체(4)의 하부에 고정되는 인방블럭(5)을 갖는 건물의 외벽에 대한 외벽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 사이에 개재된 신축조인트(J)가 외부온도에 의하여 신축하는 외장벽체(1)의 신축력을 흡수한다. 이때, 신축조인트(J) 양측의 조적부재(4a)는 동일체로 고정되고, 슬라이딩구에서 일단부가 슬라이딩하는 패스너(F)에 의하여 동일체로 신축한다. 따라서, 외장벽체(4)의 크랙은 방지된다. 한편, 지지부재(50)는 외장벽체(4) 및 인방블럭(5)의 접합부에서 외장벽체(4)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행거(60)에 의하여 인방블럭(5)을 현수한다. 따라서, 외장벽체(4) 및 인방블럭(5)은 지지부재(50) 및 행거(60)에 의하여 지탱된다. 또 한편, 앵커(70)의 고정봉(74)은 일단부가 결합부재에 의하여 외장벽체(4)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부는 단열재(2)를 관통하여 내력벽(1)에 고정된다. 따라서, 외장벽체(4) 및 단열재(2)는 내력벽(1)에 고정된다. 이때, 리테이너(76)는 고정봉(74)에 끼워져서 단열재(2)의 표면을 지지하여, 단열재(2)의 부분적인 함몰을 방지한다.
건물, 외벽, 기능, 보강, 시스템,

Description

외벽보강시스템 {REINFORCEMENT SYSTEM FOR OUTER WALL OF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외벽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이 외벽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외벽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스너 및 슬라이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재 및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그루브가 마련된 외벽의 종단면도,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앵커를 도시한 측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앵커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외벽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력벽 2 : 단열재 3 : 단열공간
4 : 외장벽체 4a : 조적부재 5 : 인방블럭
50 : 지지부재 52, 62 : 이형철근
54, 64, 74a : 헬리컬철근 55 : 그루브
56 : 철망판 58 : 블럭메쉬 60 : 행거
62a, 64a : 후크 70 : 앵커 72 : 커넥터
74 : 고정봉 76 : 리테이너 76a : 지지판
76b : 보스 76c : 클램프 76d : 리브
82 : 배수구 84 : 모르터스크린 86 : 통풍관
F : 패스너 J : 신축조인트 S : 슬리브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벽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벽의 기능을 보강하는 외벽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역할은 보온이나 통기, 차양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건물의 외벽에 대하여 후술되는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건물의 외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력벽(1), 단열재(2), 단열공간(3), 외장벽체(4), 상·하단에 복수개의 인방블럭(5)을 갖는 창틀고정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내력벽(1), 단열재(2), 단열공간(3) 및, 외장벽체(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순차 배치된다.
이때, 내력벽(1)은 콘크리트재의 구조물이고, 단열재(2)는 스티로폼이나 섬 유재, 또는 유리섬유 등이 적용된다. 그리고, 외장벽체(4)는 모르터와 같은 접착제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조적되는 조적부재(4a)에 의하여 벽체의 형상을 취한다. 이러한, 조적부재(4a)는 외장벽돌이나 석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방블럭(5)은 접착제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 하부에 부착되어, 외장블럭(5) 및 단열재(2)를 지지한다. 그리고, 인방블럭(5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복수개의 중공(5a)을 등간격으로 갖는다.
이러한, 인방블럭(5)의 중공(5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방블럭(5)을 지지하는 철근(5b)이 삽입된다. 그리고, 철근(5b)에는 아이볼트(8a)의 링이 끼워지며, 이 아이볼트(8a)는 플랜지너트(8b)에 의하여 내력벽(1)에 설치된 L형브래킷(7)에 고정된다. 이때, 아이볼트(8a)는 플랜지너트(8b)의 조임에 의하여 상부로 당겨진다. 철근은 긴장되면서 인방블럭(5)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물론,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는 인방블럭(5)에 의하여 철근(5b)에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인방블럭(5)의 하부에 위치한 창틀고정부(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창틀(W)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외벽은, 내력벽(1)이 건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동시에,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단열재(2)가 실외의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단열공간(3)이 외기 및 내기의 기온차를 절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장벽체(4)는 외기 및 빗물을 직접적으로 차단하고, 인방블럭(5)은 상부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창틀(W)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외벽은, 단열공간(3)이 밀폐되어, 단열공간(3)의 공기가 외기와 교류하지 못함에 따라, 단열공간(3) 및 외부의 기온차로 인하여, 단열공간(3)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결로는 인방블럭(3)에 스며들어서 창틀(W)로 흐른다. 이때, 인방블럭(3)은 스며든 결로에 의하여 내구성을 약화된다.
또한, 일반적인 외벽은, 외부 온도에 따라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가 신축하므로, 외장벽체(4)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물론, 이를 방지하고자 수평으로 나란히 조적된 한쌍의 조적부재(4a)를 미도시된 철근으로 연결하기도 한다. 즉, 두개의 조적부재(4a)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 위에 두개의 조적부재(4a)를 이어주는 철근을 배치하여, 두개의 조적부재(4a)를 철근으로 연결한다. 물론, 철근은 접착제가 경화됨에 따라, 조적부재(4a)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조적부재(4a)를 연결한다. 하지만, 이러한 철근은 조적부재(4a) 및 접착제의 신축성과 상이하여, 조적부재(4a)의 신축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신축하는 조적부재(4a)로 인하여 외장벽체(4)에는 크랙이 발생된다.
게다가, 일반적인 외벽은, 인방블럭(5)을 철근(5b)에 지지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L형브래킷(7)을 내력벽(1)에 설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 L형브래킷(7)에 아이볼트(8a)를 L형브래킷(7)에 고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방블럭(5)을 철근(5b)에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작업이 요구된다.
게다가, 플랜지너트(8b)로 L형브래킷(7)에 아이볼트(8a)를 견고하게 고정하 지 못할 경우, 인방블럭(5)이 하부로 처지는 문제도 있다. 이렇게, 아이볼트(8a)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이유는, 외벽의 시공시 작업자가 플랜지너트(8b)를 종종 느슨하게 체결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방블럭(5)이 처지게 될 경우, 아이볼트(8a)가 인방블럭(5)의 하중을 극복하지 못하고 절단되는 문제도 있다. 이렇게, 아이볼트(8a)가 절단될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한 보수공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9는 방수를 위한 코킹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온도에 의하여 신축하는 외장벽체의 신축력을 흡수하는 동시에, 신축하는 외장벽체의 상태를 유지시켜서, 외장벽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외벽보강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L형브래킷과 아이볼트 및 플랜지너트를 생략하여도, 인방블럭을 외장벽체의 하부에 간편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방블럭이 외장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외벽보강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외장벽체 및 단열재를 내력벽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력벽에 고정되는 단열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벽보강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외장벽체의 외기가 단열공간으로 통풍되어, 단열공간의 결로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공간에 결로가 발생하여도, 이 결로를 외장벽 체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외벽보강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내력벽, 단열재, 단열공간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를 갖는 외장벽체가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이 외장벽체의 조적부재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인방블럭을 갖는 건물의 외벽에 있어서, 전술한 외장벽체의 외부 온도에 따른 신축시, 외장벽체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이 크랙방지부재는, 다수개로 구성된 전술한 외장벽체의 조적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외장벽체와 함께 신축하면서 외장벽체의 신축력을 흡수하는 신축조인트와; 이 신축조인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장벽체의 조적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패스너 및; 전술한 외장벽체의 신축시, 전술한 패스너의 일단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외벽의 내력벽은 예컨대,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 또는 경량철골, 시멘트벽돌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내력벽은 전술한 재질 이외의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내력벽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벽체의 형태를 취하는 재질 및 구조이면 만족한다.
그리고, 외벽의 단열재는 스티로폼이나 석면판, 유리섬유, 폴리에스터와 같은 섬유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장벽체의 조적부재는 예컨대, 벽돌이나 석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외장벽체는 벽돌이나 석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외장벽체는 벽돌로 구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여기서, 신축조인트는 예컨대, 신축이 가능한 신축모르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모르터는 판상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신축조인트는 탄성을 갖는 판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판재는 고무재나 우레탄재가 적당하다.
그리고, 패스너는 예컨대, 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철근 중에서 외주면에 복수개의 접촉돌기가 형성된 이형철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패스너는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Strap type)를 취하는 나선형으로 비틀린 헬리컬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패스너는 전술한 신축조인트의 양측에 위치한 조적부재의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조적부재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패스너는 전술한 철근이나 헬리컬철근으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금속재나 비금속재 재질의 막대형 부재는 패스너로 적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딩구는 예컨대, 신축조인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술한 조적부재의 접합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술한 패스너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패스너의 일단부가 조적부재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는 패스너의 일단부와 내주면이 약간 이격되고, 대략적으로 원통형을 취하면 만족하다. 물론, 슬리브는 사각형이나 육각, 또는 팔각의 원통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슬리브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다만, 슬리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을 취하면 된다.
이때, 슬리브는 패스너가 진입되는 반대편이 차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스너의 일단부는 슬리브의 반대편으로 유출되지 못한다. 이렇 게, 슬리브의 반대편을 차폐하는 이유는, 슬리브에 삽입되는 패스너의 일단부가 슬리브를 관통하면서, 전술한 조적부재의 접합부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슬리브를 관통하는 패스너의 일단부는, 조적부재의 접합부를 구성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하여 접합부에 고정된다. 이렇게, 패스너의 일단부가 조적부재의 접합부에 고정될 경우, 패스너는 슬리브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을 할 수 없다. 따라서, 패스너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슬리브의 일측편은 차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내력벽, 단열재, 단열공간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를 갖는 외장벽체가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이 외장벽체의 조적부재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인방블럭을 갖는 건물의 외벽에 있어서, 전술한 외장벽체 및 인방블럭을 지탱하는 지탱수단;을 포함하되, 이 지탱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외장벽체의 조적부재 및 전술한 인방블럭의 접합부에서 인방블럭을 따라서 수평상태로 개재되어, 조적부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에 전술한 인방블럭을 현수시키는 행거;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른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벽체의 조적부재 및 인방블럭 사이에 지지부재가 개재되는 것과, 이 지지부재에 인방블럭이 현수되는 것이 가장 커다란 특징이다.
여기서, 지지부재는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형철근이나 헬리컬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이형철근이나 헬리컬철근은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이 보다는 3 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 보다는 재료비의 절감 차원에서 2 개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2개로 구성하여도 3개로 구성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2개로 구성하여도 전술한 조적부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클립은 예컨대, 타단부가 지지부재를 감싸고, 일단부는 전술한 외장벽체나 인방블럭의 접합부에 고정되어, 지지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철심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는 예컨대,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철망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철망판은 철판을 블랭킹하여 철망판으로 제조한 메탈라스(Metal lath)가 적당하다. 물론,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다공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사다리 또는 트러스형태를 갖는 블럭메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럭메쉬는 전술한 사다리나 트러스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를 취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블럭메쉬는 링이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럭메쉬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 달리, 지지부재는 와이어나 복수개의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로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와이어는 강선이다.
그리고, 행거는 예컨대, 지지부재 및 전술한 인방블럭의 중공에 제각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를 양단에 갖는 이형철근, 또는 헬리컬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행거는 전술한 이형철근이나 헬리컬철근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양단에 후크를 갖는 막대형의 금속재일 경우 행거로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행거는 띠형태로 납작하게 형성된 막대형의 금속재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외벽시스템은, 지지부재의 위치를 결정 하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인방블럭상에 전술한 지지부재가 수용되는 그루브를 형성하여, 지지부재가 이 그루브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그루브는 지지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를 갖는다.
이때, 그루브는 지지부재가 지지부재가 철망판이나 메쉬블럭일 경우 보다는 이형철근이나 헬리컬철근, 또는 와이어나 와이어로프일 경우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철망판이나 메쉬블럭은 이형철근이나 헬리컬철근, 또는 와이어나 와이어로프 보다 폭이 넓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지부재의 폭이 넓을 경우, 그루브도 폭을 넓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루브의 형성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루브는 지지부재가 좁은 폭을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외벽시스템은, 내력벽, 단열재, 단열공간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를 갖는 외장벽체가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이 외장벽체의 조적부재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인방블럭을 갖는 건물의 외벽에 있어서, 전술한 단열재 및 외장벽체를 전술한 내력벽에 고정시키는 앵커;를 포함하되, 이 앵커는, 전술한 외장벽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술한 단열재를 관통하여 전술한 내력벽에 박히면서 결합됨에 따라, 전술한 외장벽체와 단열재를 내력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봉 및; 이 고정봉의 일단부를 전술한 외장벽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봉은 예컨대, 일단에서 타단까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의 헬리컬철근이나, 일단부측이 봉강형태를 취하고, 타단부측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는 헬리컬봉강철근 또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고,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분은 봉강형태를 취하는 헬리컬봉강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봉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전술한 조적부재 및 내력벽에 양단이 약 4cm 내지 10cm 정도씩 매립될 정도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고정봉은 축상의 결로를 하부로 유도하는 결로유도수단;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 결로유도부는 예컨대, 고정봉의 중간부분에 하향굴절부를 형성하여, 고정봉의 축상에 응결되는 결로가 고정봉의 중간부분에 결집되면서 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는 예컨대, 외장벽체의 조적된 조적부재 사이 접합부에 고정되고, 전술한 고정봉의 일단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파지하는 원통형의 커넥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도관이 적당하다. 이때, 커넥터는 일단부 내주면에 전술한 고정봉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돌기는 커넥터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비딩(Beading)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비딩을 위하여 스웨이징 작업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달리, 결합부재는 예컨대, 전술한 고정봉의 일단부를 수평상태로 관통하며, 전술한 외장벽체의 조적된 조적부재 사이 접합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앵커는 전술한 고정봉에 끼워진 상태로 전술한 단열재의 표면을 지지하여, 단열재의 고정봉 주변부위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의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예컨대, 전술한 단열재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을 가지며, 일측에는 이 관통공과 연결되어 전술한 고정봉의 유입을 허용하는 절개부가 마련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관통공 외측에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지지판의 상기 절개부와 연결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유입되는 전술한 고정봉을 감싸는 보스와; 이 보스에 감싸지는 고정봉의 축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클램프 및; 전술한 보스를 등간격으로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은 원판형이나 다각형 모양의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적으로 8각형 모양의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스는 전술한 고정봉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리브는 보스의 주변에서 방사형태를 취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는 예컨대, 전술한 보스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대향상태로 평행하게 마련되고, 중간부분은 절곡되어 서로 인접하며, 일단부 및 타단부는 보스의 내주면 및 전술한 지지판의 절개부에 연결되어, 보스에 삽입된 고정봉을 탄성가압하여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편 및; 이 파지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지편상에 돌출형성되어, 파지편에 파지된 전술한 고정봉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파지편은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대략적으로 '> <'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가압돌기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압돌기는 파지편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세레이션일 수 있다. 물론, 가압돌기는 이와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의 단면을 갖는 돌기일 수 있다. 이 와 같은 가압돌기는 보스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단열공간의 하부에 집수되는 결로를, 전술한 외장벽체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구 및; 전술한 외장벽체에서 박리되는 모르터가, 이 배수구를 차폐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르터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술한 내력벽에 고정된 전술한 외장벽체 외부의 외기 및, 전술한 단열공간의 내기를 소통시키는 통풍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구는 전술한 복수개의 인방블럭을 연결하는 접합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구멍은 전술한 단열공간의 하단에 연결된다. 하지만, 인방블럭을 연결하는 접합부에 튜브를 고정시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르터스크린은 전술한 단열공간에 경사지게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르터스크린은 외장벽체에서 박리되는 모르터가 단열공간의 하부로 낙하되지 못하게 방해한다. 즉, 박리되는 모르터는 모르터스크린에 집진된다. 이때, 모르터스크린은 지그제그의 경사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지그제그의 형태로 모르터스크린을 구성할 경우, 외장벽체에서 박리되는 모르터를 여러 단계로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는 외장벽체에서 박리되는 모르터에 의하여 차폐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모르터스크린은 모르터를 집진하므로, 모르터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통풍관은 벨로우즈형태의 튜브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풍관은 양단을 절곡하여 양단에 수평을 형성한 다음, 전술한 복수개의 조적부재 사이의 접합부에 경사지게 고정한다. 즉, 통풍관은 대략적으로 알파벳의 'Z'자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통풍관의 내부로 빗물은 소통되지 못하고, 오로지 공기만이 소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벽보강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이 외벽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외벽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스너 및 슬라이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재 및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그루브가 마련된 외벽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앵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스너 및 슬라이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앵커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바 및 행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을 도시하는 외벽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을 도시하는 외벽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외벽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력벽(1), 단열재(2), 단열공간(3)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4)를 갖는 외장벽체(4)가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중공(5a)이 형성되어 이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인방블럭(5)이 상·하단에 마련된 창틀고정부(6)를 갖는다.
여기서, 다수개의 조적부재(4a)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축모르터스크린으로 구성된 신축조인트(J)를 개재한다. 그리고, 신축조인트(J)의 양측에 위치하는 조적부재(4a)상에는 모르터로 구성된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어서, 신축조인트(J)의 일측에 위치하는 조적부재(4a)상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리브(S)를 배치한다. 이때, 슬리브(S)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스너(F)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물론, 패스너(F)는 신축조인트(J)를 관통하면서, 신축조인트(J)의 양측에 위치하는 조적부재(4a)상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패스너(F) 및 슬리브(S)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다른 조적부재(4a)를 적층한다. 따라서, 적층된 조적부재(4a)는 접착제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결합한다. 물론, 적층된 조적부재(4a)의 접합부에 내장되는 패스너(F) 및 슬리브(S)는 접착제의 경화에 의하여, 조적부재(4a) 사이에 고정된다. 이때, 신축조인트(J)의 양측에 위치하는 조적부재(4a)는 패스너(F)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슬리브(S)에 일단부가 삽입된 패스너(F)는 외부온도에 의하여 외장벽체(4)가 신축할 경우, 일단부가 슬리브(S) 내에서 슬라이딩한다. 즉, 외부온도에 의하여 조적부재(4a) 및 접합부가 신축할 경우, 패스너(F)의 일단부는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외장벽체(4)에는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패스너(F)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개의 접촉돌기 를 갖는 이형철근(F1)이나,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의 헬리컬철근(F2)으로 구성한다. 이때, 헬리컬철근(F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부(M)와 골부(G)를 갖는다. 이와 같은, 헬리컬철근(F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코어(Co)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코어(Co)는 헬리컬철근(F2)에 보다 강력한 강성을 제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벽체(1)의 조적부재(4a) 및 인방블럭(5) 사이의 접합부에는, 조적부재(4a)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개재한다. 이때, 지지부재(50)는 조적부재(4a) 및 인방블럭(5)을 결합시키는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부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형철근(52)이나 헬리컬철근(54) 또는, 철망판(56)이나 블럭메쉬(58)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한다.
이때, 이형철근(52)이나 헬리컬철근(5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50a)에 의하여 유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클립(5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이형철근(52)이나 헬리컬철근(54)을 감싼다. 그리고 일단부는 경화하는 접착제에 고정된다. 여기서, 접착제는 조적부재(4a) 사이의 접합부나 인방블럭(5) 사이의 접합부를 구성하는 모르터와 같은 접착제이다. 따라서, 클립(50a)은 지지부재(5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방블럭(5)상에 형성된 그루브(55)에 의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그루브(55)는 지지부재(5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재(50)는 헬리컬철근(54)이다. 따라서, 철망판(56)이나 블럭메쉬(58)로 지지부재(50)를 구성할 경우, 그루 브(55)를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지지부재(50)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행거(60)를 고정한다. 이러한, 행거(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후크(62a, 64a)를 갖는 이형철근(62)이나, 헬리컬철근(64) 중에서 선택한다. 이때, 양단의 후크(62a, 6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 및 인방블럭(5)의 중공(5a)에 제각각으로 걸린다. 물론, 행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방블럭(5)의 중공(5a)에서부터 지지부재(50)까지 이르는 높이를 갖는다. 즉, 후크(62a, 64a)를 제외한 행거(60)의 높이는, 중공(5a)에서부터 지지부재(50)까지이다. 따라서, 행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상에 인방블럭(5)을 현수시킨다. 물론, 행거(60)의 높이는 행거(60)의 길이이다. 이러한, 행거(60)는 외벽의 시공전에 이미 필요한 길이로 준비되어야 한다. 하지만, 시공시 절단기나 절곡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길이로 조절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재(50) 및 행거(60)는, 외장벽체(4) 및 인방블럭(5)을 동시에 지탱한다. 즉, 지지부재(50)는 외장벽체(4)를 지지하면서 지탱하는 동시에, 인방블럭(5)을 현수하면서 지탱한다.
또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벽체(4) 및 단열재(2)는 내력벽(1)에 고정된다. 이러한, 외장벽체(4) 및 단열재(2)는 도시된 바와 같은 앵커(70)에 의하여, 내력벽(1)에 고정된다.
앵커(7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74) 및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고정봉(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벽체(4)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단열재(2)를 관통하여 내력벽(1)에 박힌다. 따라서, 외장벽체(4) 및 단열재(2)는 내력 벽(1)에 고정된다. 이때, 결합부재는 고정봉(74)을 외장벽체(4)에 결합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고정봉(74)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의 헬리컬철근(74a)이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측이 봉강형태를 취하고, 타단부측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는 헬리컬봉강철근(74b), 또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고,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분은 봉강형태를 취하는 헬리컬봉강철근(74c)으로 구성한다.
이때, 고정봉(74)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에 하향굴절부(BD)를 형성하여, 고정봉(74)의 축상에 응결되는 결로가 고정봉(74)의 중간부분에 결집되면서 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벽체(4)의 조적된 조적부재(4a) 사이 접합부에 고정되고, 고정봉(74)의 일단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파지하는 원통형의 커넥터(72),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74)의 일단부를 수평상태로 관통하며, 외장벽체(4)의 조적된 조적부재(4a) 사이 접합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72')로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앵커(7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테이너(76)를 더 포함한다. 리테이너(7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봉(74)에 끼워진 상태로 단열재(2)의 표면을 지지하면서, 단열재(2)의 고정봉(74) 주변부위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앵커(70)는 커넥터(72)를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벽체(4)의 조적된 조적부재(4a) 사이의 접합부에 고정하고, 커넥터(72)에 고정봉(74)의 일단부가 삽입하여 고정한 다음, 고정봉(74)에 리테이너(76)를 끼워서 고정한다. 그리고, 내력벽(1)에 고정봉(74)의 타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드릴로 구멍을 뚫은 다음, 고정봉(74)의 타단부를 이 구멍에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봉(74)이 헬리컬철근(74a)이나 헬리컬봉강철근(74b, 74c)일 경우, 고정봉(74)의 타단부는 내력벽(1)에 나사결합한다.
이때, 커넥터(7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2)측 단부에 고정돌기(72a)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돌기(72a)는 비딩으로 형성한다. 고정돌기(7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74)의 일단부를 파지한다. 따라서, 고정봉(74a)의 일단부는 커넥터(72)에 고정된다.
만약, 커넥터(72)가 전술한 바와 같은 크로스바(72')일 경우, 고정봉(74)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측이 봉강형태로 형성된 헬리컬봉강(74b)을 적용하여야 한다. 이때, 헬리컬봉강(72b)의 일단은 크로스바(72')가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납작(70a)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테이너(76)는 플라스틱재 성형물이며, 도 7a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지지판(76a)과; 보스(76b)와; 클램프(76c) 및; 리브(76d);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판(76a)은 대략 7cm가 정도의 외경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판(76a)의 외경은 지지판(76a)이 단열재(2)를 파고들지 않도록 고려한 것이다. 지지판(76a)은 도시된 바와 같은 절개부(C)를 일 측에 갖는다. 고정봉(74)은 이러한 절개부(C)를 통하여 지지판(76a)의 관통공에 삽입된다.
보스(7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76a)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보스(76b)는 지지판(76a)의 절개부(C)와 연결되는 개방된 일측을 갖는다. 보스(76b)의 내경은 고정봉(74) 보다 약간 크다. 고정봉(74)은 지지판(76a)의 절개부(C) 및 보스(76b)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보스(76b)에 삽입된다. 보스(7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형성된 리브(76d)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클램프(76c)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76b)의 내주면에서 보스(76a)에 삽입된 고정봉(74)을 파지한다. 따라서, 고정봉(74)은 클램프(76c)에 의하여 축방향 움직임이 제어된다. 클램프(76c)는 도시된 바와 같은, 한쌍의 파지편(78a) 및; 이 파지편(78a)에 마련되는 가압돌기(78b);를 포함한다. 파지편(78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76b)의 내주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대향상태로 평행하게 마련되며, 중간부분은 절곡되어 서로 인접한다. 그리고, 파지편(78a)의 타단부는 지지판(76a)의 절개부(C)와 일체를 이루고, 타단부는 반대편에 위치한 보스(76b)의 내주면과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한쌍의 파지편(78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76b)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보스(76b)에 고정봉(74)이 삽입될 경우,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고정봉(74)을 가압한다. 따라서, 고정봉(74)은 보스(76b)의 내부에 고정된다.
가압돌기(78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지편(78a)상에 위치한다. 가압 돌기(78b)는 리테이너(76)의 성형시 형성되므로, 파지편(78a)과 동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가압돌기(78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이며, 삼각형 형태를 취한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76)는, 고정봉(74)이 내력벽(1)에 고정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74)에 끼워진 상태로 단열재(2)의 표면을 지지한다. 이때, 리테이너(76)의 지지판(76a)이 단열재(2)의 표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고정봉(74)의 고정시, 리테이너(76)는 단열재(2)를 파고들지 못한다. 이에 따라, 단열재(2)는 함몰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방블럭(5)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튜브형태의 배수구(82)를 갖는다. 이러한, 배수구(82)는 단열공간(3)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외장벽체(1)의 외부로 배수시킨다. 따라서, 단열공간(3)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공간(3)의 일측에 위치한 외장벽체(1)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모르터가 박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박리되는 모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의 모르터스크린(84)에 집진된다. 이때, 모르터스크린(8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60)를 소통가능하게 차폐하면서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배수구(60)는 박리되는 모르터에 의하여 밀폐되지 않는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조적된 조적부재(4a) 사이의 접합부에 경사상태로 고정되는 밸로우즈형태의 통풍관(86)을 갖는다. 이러한, 통풍관(8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절곡된 상·하단부를 갖는다. 이때,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공간(3)을 향하고, 하단은 조적부재(4a)의 외부를 향한다. 따라서, 공기 이외의 이물질은 통풍관(86)을 통하여 단열공간(3)에 유입되지 못한다. 특히, 연직이동성을 갖는 빗물은 강제가 아닌 이상 단열공간(3)에 절대로 유입되지 못한다.
단열공간(3)의 공기는 통풍관(86)에 의하여 외장벽체(4)의 외부로 소통된다. 따라서, 단열공간(3)은 건물의 외부 및 내부의 중간 온도를 유지한다. 즉, 단열공간(3)은 건물의 외부 및 내부 온도를 절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단열공간(3)은 건물의 외부온도와 극심하게 차이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단열공간(3)에는 결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 부호 WP는 인방블럭(5)을 물기로부터 보호하는 방수부재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방수지이다. 즉, 전술한 본 발명은 방수지(W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방수지(WP)를 마련할 경우, 단열공간(3)에 결로가 집수되어도 이 결로가 인방블럭(5)에 스며들지 않는다. 물론, 방수지(WP)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공간(3)의 하부면에 마련하여야 함은 자명하다. 또한, 방수지(WP)는 전술한 배수구(82)를 차폐하지 않아야 함은 자명하다. 또한, 도면상 미설명 부호 9는 방수를 위한 코킹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벽체(4)가 외부온도에 의하여 신축할 경우, 신축조인트(J)가 외장벽체(4)의 신축력을 흡수한다. 따라서, 신축조인트(J)는 신축하는 외장벽체(4)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외장벽체(4)가 신축할 경우, 스패너(F)는 일 단부가 슬리브(S)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를 지지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조적부재(4a)는 패스너(F)에 의하여 동일한 수직선상에 계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가 외장벽체(4)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외장벽체(4)의 도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방블럭(5)이 행거(60)에 의하여 지지부재(50)에 견고하게 현수됨에 따라, 인방블럭(5)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부재(50)를 클립(50a)으로 고정하거나, 그루브(55)에 삽입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5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행거(60)가 후크(62a, 64a)에 의하여 지지부재(50)에 용이하게 고정되므로, 인방블럭(5)을 지지부재(50)에 고정하는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외장벽체(4) 및 단열재(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74) 및 결합부재를 갖는 앵커(70)에 의하여 내력벽(1)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외벽의 도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봉(74)은 커넥터(72)의 고정돌기(72a)나 크로스바(72') 및 내력벽(1)에 양단부가 견고히 고정됨에 따라, 외벽에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 외장벽체(4) 및 단열재(2)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때, 고정봉(74)에 리테이너(76)를 설치할 경우, 단열재(2)는 리테이너(76)의 지지판(76a)에 의하여 손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고정봉(74)에 결로유도수단을 마련할 경우, 결로는 고정봉(74)의 하부로 유도되어 배수구(82)로 배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모르터스크린(84)에 의하여 보호되는 배수구(82)에 의하여 단열공간(3)에 결로가 잔존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장벽체(4)에 고정된 통풍관(86)에 의하여, 단열공간(3)에 결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외벽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인방블럭(5)을 갖는 외벽에 전술한 본 발명의 외벽보강시스템을 결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배수구(82)는 수평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모르터스크린(84)은 전술한 바와 달리, 측면상 지그제그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즉, 도 8은 이러한 인방블럭(5)과 배수구(82) 및 모르터스크린(84)이 전술한 바와 상이하다. 하지만,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기능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요소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외벽보강시스템은, 신축조인트와 스패너 및 슬 라이딩구가 외부온도에 의하여 신축하는 외장벽체의 신축력을 흡수하는 동시에, 신축하는 외장벽체의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외장벽체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가 지지부재 및 행거에 의하여 인방블럭 및 외장벽체를 지탱하므로, 외장벽체의 도괴 및 인방블럭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의 행거가 후크형태로 지지부재에 걸림에 따라, 인장블럭을 지지부재에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물론, 지지부재 및 행거에 의하여 종래의 L형브래킷과 아이볼트 및 플랜지너트를 생략하여도, 인방블럭을 외장벽체의 하부에 간편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앵커에 리테이너를 끼울 경우, 이 리테이너가 단열재의 고정봉 주변부위를 보호하므로, 고정봉에 의하여 단열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통기구를 통하여 외장벽체의 외기가 단열공간으로 통풍되어, 단열공간의 결로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단열공간에 결로가 발생하여도, 배수구를 통하여 단열공간의 결로를 외장벽체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르터스크린이 배수구를 보호하여,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5)

  1. 내력벽(1), 단열재(2), 단열공간(3)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4)를 갖는 외장벽체(4)가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중공(5a)이 형성되어 이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인방블럭(5)을 갖는 건물의 외벽에 있어서,
    상기 외장벽체(4)의 외부 온도에 따른 신축시, 외장벽체(4)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크랙방지부재는, 다수개로 구성된 상기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 사이에 개재되어, 외장벽체(4)와 함께 신축하면서 외장벽체(4)의 신축력을 흡수하는 신축조인트(J)와;
    상기 신축조인트(J)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를 서로 연결하는 패스너(F) 및;
    상기 외장벽체(4)의 신축시, 상기 패스너(F)의 일단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F)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가지며, 상기 신축조인트(J)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조적부재(4a)의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이형철근(F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F)는,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며, 상기 신축조인트(J)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조적부재(4a)의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헬리컬철근(F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는,
    상기 신축조인트(J)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조적부재(4a)의 접합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패스너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패스너의 일단부가 조적부재(4a)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S)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5. 내력벽(1), 단열재(2), 단열공간(3)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4)를 갖는 외장벽체(4)가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중공(5a)이 형성되어 이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인방블럭(5)을 갖는 건물의 외벽에 있어서,
    상기 외장벽체(4) 및 인방블럭(5)을 지탱하는 지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지탱수단은, 상기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 및, 상기 인방블럭(5)의 접합부에서, 인방블럭(5)을 따라서 수평상태로 개재되어, 조적부재(4a)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0) 및;
    상기 지지부재(50)에 상기 인방블럭(5)을 현수시키는 행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이형철근(52)으로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는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는 복수개의 헬리컬철근(5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50)를 감싸고, 일단부는 상기 외장벽체(4)나 인방블럭(5)의 접합부에 고정되어, 지지부재(50)의 유동을 방지하는 철심재 클립(50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철망판(56)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는 사다리나 트러스형태의 블럭메쉬(58, 5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60)는,
    상기 지지부재(50) 및 상기 인방블럭(5)의 중공(5a)에 제각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62a)를 양단에 갖는 이형철근(6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60)는,
    상기 지지부재(50) 및 상기 인방블럭(5)의 중공(5a)에 제각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64a)를 가지며,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의 헬리컬철근(6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인방블럭(5)상에 상기 지지부재(50)가 수용되는 그루브(55)를 형성하여, 지지부재(50)가 이 그루브(55)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4. 내력벽(1), 단열재(2), 단열공간(3)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4)를 갖 는 외장벽체(4)가 외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중공(5a)이 형성되어 이 외장벽체(4)의 조적부재(4a)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인방블럭(5)을 갖는 건물의 외벽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2) 및 외장벽체(4)를 상기 내력벽(1)에 고정시키는 앵커(70);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70)는, 상기 외장벽체(4)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단열재(2)를 관통하여 상기 내력벽(1)에 박히면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외장벽체(4)와 단열재(2)를 내력벽(1)에 고정시키는 고정봉(74) 및;
    상기 고정봉(74)의 일단부를 상기 외장벽체(4)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74)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의 헬리컬철근(74a)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74)은, 일단부측이 봉강형태를 취하고, 타단부측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는 헬리컬봉강철근(74b)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74)은 일단부 및 타단부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트랩형태를 취하고,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분은 봉강형태를 취하는 헬리컬봉강철근(74c)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외장벽체(4)의 조적된 조적부재(4a) 사이 접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봉(74)의 일단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파지하는 원통형의 커넥터(7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19.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봉(74)의 일단부를 수평상태로 관통하며, 상기 외장벽체(4)의 조적된 조적부재(4a) 사이 접합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7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74)은 축상의 결로를 하부로 유도하는 결로유도수단;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로유도부는, 상기 고정봉(74)의 중간부분에 하향굴절부(BD)를 형성하여, 고정봉(74)의 축상에 응결되는 결로가 고정봉(74)의 중간부분에 결집되면서 낙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74)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단열재(2)의 표면을 지지하여, 단열재(2)의 고정봉(74) 주변부위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의 리테이너(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76)는,
    상기 단열재(2)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을 가지며, 일측에는 이 관통공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봉(74)의 유입을 허용하는 절개부(C)가 마련되는 지지판(76a)과;
    상기 지지판(76a)의 관통공 외측에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지지판(76a)의 상기 절개부(C)와 연결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고정봉(74)을 감싸는 보스(76b)와;
    상기 보스(76b)에 감싸지는 상기 고정봉(74)의 축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클램프(76c) 및;
    상기 보스(76b)을 등간격으로 지지하는 리브(76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76c)는,
    상기 보스(76b)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대향상태로 평행하게 마련되고, 중간부분은 절곡되어 서로 인접하며, 일단부 및 타단부는 보스(76b)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판(76a)의 절개부(C)에 연결되어, 보스(76b)에 삽입된 상기 고정봉(74)을 탄성가압하여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편(78a) 및;
    상기 파지편(78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지편(78a)상에 돌출형성되어, 파지편(78a)에 파지된 상기 고정봉(74)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7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24.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공간(3)의 하부에 집수되는 결로를, 상기 외장벽체(4)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구(82) 및;
    상기 외장벽체(4)에서 박리되는 모르터가, 상기 배수구(60)를 차폐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르터스크린(8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25.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력벽(1)에 고정된 상기 외장벽체(4) 외부의 외기 및, 상기 단열공간(3)의 내기를 소통시키는 통풍관(8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보강시스템.
KR1020040083304A 2004-10-18 2004-10-18 외벽보강시스템 KR20060034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304A KR20060034153A (ko) 2004-10-18 2004-10-18 외벽보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304A KR20060034153A (ko) 2004-10-18 2004-10-18 외벽보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53A true KR20060034153A (ko) 2006-04-21

Family

ID=3714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304A KR20060034153A (ko) 2004-10-18 2004-10-18 외벽보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4153A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19B1 (ko) * 2006-06-30 2007-10-12 권기혁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KR100790018B1 (ko) * 2007-02-23 2008-01-02 선진산업개발(주)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100790019B1 (ko) * 2007-03-21 2008-01-02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989218B1 (ko) * 2010-08-10 2010-10-20 이정우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101010073B1 (ko) * 2010-09-16 2011-01-24 이정우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KR101448097B1 (ko) * 2013-08-29 2014-10-08 주식회사 대도인더스트리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KR101532709B1 (ko) * 2015-03-10 2015-07-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치장벽돌 고정용 단열 앵커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114597A (ko) 2017-04-11 2018-10-19 윤홍노 외부벽돌벽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단연결용 벽돌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31058A (ko) 2017-05-31 2018-12-10 윤홍노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16909B1 (ko) 2019-12-23 2020-05-29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20200075515A (ko) * 2018-12-18 2020-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량형 벽돌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적구조
KR102302442B1 (ko) 2020-11-30 2021-09-16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CN114382195A (zh) * 2021-10-11 2022-04-22 浙江鸿创建设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节能墙体及其施工方法
KR20220001322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3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4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6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5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CN115142584A (zh) * 2022-07-13 2022-10-04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古建筑镂空景墙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EP4202139A1 (fr) * 2021-12-27 2023-06-28 Gabriel Razvan Tepes Systeme d'isolation mur en pierre sur l'entraxe et procédé d'isolation d'un mur en pierre déjà existant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19B1 (ko) * 2006-06-30 2007-10-12 권기혁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KR100790018B1 (ko) * 2007-02-23 2008-01-02 선진산업개발(주)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100790019B1 (ko) * 2007-03-21 2008-01-02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989218B1 (ko) * 2010-08-10 2010-10-20 이정우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101010073B1 (ko) * 2010-09-16 2011-01-24 이정우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KR101448097B1 (ko) * 2013-08-29 2014-10-08 주식회사 대도인더스트리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KR101532709B1 (ko) * 2015-03-10 2015-07-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치장벽돌 고정용 단열 앵커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114597A (ko) 2017-04-11 2018-10-19 윤홍노 외부벽돌벽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단연결용 벽돌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31058A (ko) 2017-05-31 2018-12-10 윤홍노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75515A (ko) * 2018-12-18 2020-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량형 벽돌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적구조
KR102116909B1 (ko) 2019-12-23 2020-05-29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102302442B1 (ko) 2020-11-30 2021-09-16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20220076272A (ko) 2020-11-30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20220001326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3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4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2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5U (ko)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CN114382195A (zh) * 2021-10-11 2022-04-22 浙江鸿创建设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节能墙体及其施工方法
CN114382195B (zh) * 2021-10-11 2023-07-14 浙江鸿创建设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节能墙体及其施工方法
EP4202139A1 (fr) * 2021-12-27 2023-06-28 Gabriel Razvan Tepes Systeme d'isolation mur en pierre sur l'entraxe et procédé d'isolation d'un mur en pierre déjà existant
FR3131338A1 (fr) * 2021-12-27 2023-06-30 Gabriel Razvan Tepes Système d’isolation mur en pierre sur l’entraxe
CN115142584A (zh) * 2022-07-13 2022-10-04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古建筑镂空景墙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34153A (ko) 외벽보강시스템
RU23558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предохранителя от падения
KR100985829B1 (ko)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KR100538759B1 (ko)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TW200835831A (en) Compression post assembly for wind up-lift of suspension soffits
KR100877180B1 (ko)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외벽
US8091296B2 (en) Storm collar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6890212B2 (ja) 建築用部材
JP4754506B2 (ja) バルコニー
KR200406601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100885110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JP4731249B2 (ja) 外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FI82739B (fi) Kanalkonstruktion.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0435039Y1 (ko) 투명패널을 이용한 해양/수중 구조물 보수 보강 구조
KR200233705Y1 (ko) 건축용 안전망
JP7043331B2 (ja) 梁とその施工方法
KR100311724B1 (ko) 건축물 외벽의 치장벽돌 조적시공방법 및 그 조적구조
KR200235131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FI130394B (fi) Parvekekaivo, rakennusosa ja parvekkeen vedenpoistojärjestelmä
KR102700972B1 (ko) 천장 지지장치
KR20090109174A (ko) 아파트 발코니 브래킷
KR200485889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1939169B1 (ko) 단일 스팬 모듈러 주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