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324U -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324U
KR20220001324U KR2020210001717U KR20210001717U KR20220001324U KR 20220001324 U KR20220001324 U KR 20220001324U KR 2020210001717 U KR2020210001717 U KR 2020210001717U KR 20210001717 U KR20210001717 U KR 20210001717U KR 20220001324 U KR20220001324 U KR 202200013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ad distribution
plate
support device
stuc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환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1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324U/ko
Publication of KR20220001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로써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A)와, 상기 브라켓 본체(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t)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이나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와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4)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5)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형의 삽입장착공(5)에는 치장벽돌이 삽입되는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15)를 횡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 본체(A)의 외측으로 지지고정용 브라켓(B)을 구성하되, 상기 지지고정용 브라켓(B)은 장공형의 형상이나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a)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a)과, 상기 고정판(2a)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a)와, 상기 지지대(3a)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a)와 상기 지지대(3a)의 안착부(4a)하측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15)를 관통시켜 체결부재(16)로써 고정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 본체(A)와 지지고정용 브라켓(B)의 안착부(4)(4a)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지지부재(17)를 장착하여 구성함을 포함하는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수직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한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수평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한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그리고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와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내력벽의 폭 방향을 따라 정밀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어 벽돌 조적시 오차가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의 고정바를 사이즈별로 제작하여 단일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내구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넷째, 지지플레이트와 스틸와이어 등에 의해 치장벽돌의 조적 시공을 안정되고 정밀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조적 공사시 시간 단축과 시공이 편리한 등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Brick wall support system with high seismic stability, safety, and constructability}
본 고안은 내진성(耐震性, aseismicity)과 안전성(安全性, safety) 및 시공성(施工性, Constructability)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조적(masonry, 組積)한 치장벽돌이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해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전방으로 전도됨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벽돌의 조적상태를 항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역할은 보온이나 통기, 차양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건축물 외벽은 내력벽과, 상기 내력벽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내력벽에 연결된 상태로 시공되는 외부벽돌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벽돌벽은 다수의 벽돌들을 조적하여 형성되며 이러한 벽돌들은 내력벽에 설치되어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력벽은 통상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되는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내력벽의 평활도가 평평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력벽에 브래킷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브래킷이 동일평면상에 설치되지 않아 외부벽돌벽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되어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상기 브래킷은 앵커볼트를 통해 내력벽에 고정되는데, 상기 앵커볼트를 내력벽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내력벽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과 앵커볼트가 서로 간섭되어 브래킷을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계된 위치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지 않고 다른 부분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시공하게 됨으로써 브래킷의 정밀한 시공이 불가능하고 철근과 간섭되는 부분에는 앵커볼트를 설치하지 않거나 앵커볼트를 내력벽에 충분히 타입되도록 시공하지 않아 브래킷을 견고하게 설치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조적벽돌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내력벽의 폭 방향을 따라 정밀하게 설치하는 것이 번거롭고 어려워 벽돌 조적시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116909. 2.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034153. 3.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26387. 4.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032433.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한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수평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한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적 공사시 시간 단축과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는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실시예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로써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와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치장벽돌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장착 구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연결수단으로서 연결편과 체결부재로써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는 지지플레이트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구성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지지플레이트와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연결편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편에는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안착플레이트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에는 치장벽돌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장착 구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을 구성하고,
상기 입설편의 선단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편의 체결공과 함께 체결수단으로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와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형의 삽입장착공에는 치장벽돌이 삽입되는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를 횡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 본체의 외측으로 지지고정용 브라켓을 구성하되, 상기 지지고정용 브라켓은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과,
상기 지지대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와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 하측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를 관통시켜 체결부재로써 고정설치하며,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지지부재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와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 하측에 치장벽돌이 삽입 장착되는 스틸와이어가 삽입 결합되는 수직형 장공홈과 "┖"형 삽입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치장벽돌이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실시예는,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로써 치장벽돌이 전면으로 전도됨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어 이루어진 고정바 및 사다리형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 바로써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는 일측 선단부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장공이 형성되며 벽체와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타측부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리형의 고리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는 파형 형태나 일자형 또는 나선형으로 꼬은 형태의 스틸 와이어를 양측으로 구성하고 상기 파형 형태의 양측 스틸 와이어 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틸로 된 연결 와이어를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실시예는,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수직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와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수평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를 구성하고,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로써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와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치장벽돌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장착 구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연결수단으로서 연결편과 체결부재로써 결합구성하여 포함하고,
상기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로써 치장벽돌이 전면으로 전도됨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어 이루어진 고정바 및 사다리형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 바로써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는 일측 선단부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장공이 형성되며 벽체와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타측부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리형의 고리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는 파형 형태나 일자형 또는 나선형으로 꼬은 형태의 스틸 와이어를 양측으로 구성하고 상기 파형 형태의 양측 스틸 와이어 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틸로 된 연결 와이어를 결합 구성된 것을 포함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4 실시예는,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으로서, 앵커볼트에 의해 십자형상 또는 경사진 형태의 앵커 공을 관통하여 고정판을 통해 브라켓 본체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안착부나 안착플레이트로 구성된 지지대 위에 지지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위에 치장벽돌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를 시공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한 치장벽돌 위에 고정 바의 고리형 고리부에 사다리형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조적한 치장벽돌 위에 안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의 고정편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내력벽에 소켓부와 나사부 및 고정대로써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 바의 고리형 고리부와 사다리형 고정부재 위에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다시 그 위에 치장벽돌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는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를 시공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이다.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를 시공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앵커볼트에 의해 십자형상 또는 경사진 형태의 앵커 공을 관통하여 고정판을 통해 브라켓 본체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지지대 하측에 형성된 삽입장착공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를 횡방향으로 삽입 장착하되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에 다수의 치장벽돌을 삽입장착하고 치장벽돌사이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외측으로 지지고정용 브라켓을 앵커볼트에 의해 벽체에 고정설하며 상기 지지고정용 브라켓의 고정판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부재로써 고정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치장벽돌위에 몰탈을 충진하고 그 위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를 고정판의 안착부에 횡방향으로 장착하고 다시 그 위에 몰탈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와 몰탈위에 치장벽돌을 조적하고 치장벽돌 사이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며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는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를 시공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수직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한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수평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한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그리고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와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내력벽의 폭 방향을 따라 정밀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어 벽돌 조적시 오차가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의 고정바를 사이즈별로 제작하여 단일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내구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넷째, 지지플레이트와 스틸와이어 등에 의해 치장벽돌의 조적 시공을 안정되고 정밀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조적 공사시 시간 단축과 시공이 편리한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의 실시예로서,
도 1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브라켓 본체에 대한 발췌도이며, 도 3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시공 설치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결합상태 측면도이며, 도 6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시공 설치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8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일부 시공상태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9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시공 설치 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은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1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브라켓본체에 대한 결합상태 측면도이며, 도 12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의 시공 설치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로서,
도 13은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조립 상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와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의 시공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실시예는,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수직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로써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A)와, 상기 브라켓 본체(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t)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을 일체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다.
상기 앵커 공(1)은 도 1에서와 같이 장공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t)로써 내력벽(벽체)(W)에 고정 할 때 벽체 내부에 배근된 수평 철근을 좌우로 회피하면서 체결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와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4)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5)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4)에는 치장벽돌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를 장착 구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6)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7)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7)의 양측단에는 연결수단으로서 연결편(8)과 체결부재(9)로써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앵커볼트(t)에 의해 고정판(2)을 통해 브라켓 본체(A)를 벽체(W)에 고정 설치하고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에 지지플레이트(6)를 장착한 다음 상기 지지플레이트(6) 위에 치장벽돌(S)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고 또한 다수 개의 치장벽돌 층 마다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를 시공 설치한다.
상기 벽체(W)와 치장벽돌(S) 간에는 단열재(b)와 통풍공간(d)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7)을 구성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6)의 단면적을 높여 더 한층 보강기능을 가지게 되어 지지력을 높여 줄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6) 위에 처음 치장벽돌(S)을 조적할 때 입설편(7)에 의해 치장벽돌을 받쳐주게 되어 횡방향으로 정확히 배열되게 조절할 수 있고 시공 작업 시 치장벽돌이 자칫 낙하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를 시공 설치함에 따라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의 양측단에는 연결수단으로서 연결편(8)과 체결부재(9)로써 결합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6)를 연속하여 횡방향으로 브라켓 본체(A)에 장착함에 따라 치장벽돌을 횡방향으로 조적하여 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A)와, 상기 브라켓 본체(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t)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2)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 위에는 지지플레이트(6)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구성하는 안착플레이트(10)를 구성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0)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지지플레이트(6)와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연결편(11)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편(11)에는 체결공(1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3)의 안착플레이트(10)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5)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0)에는 치장벽돌(S)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를 장착 구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6)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7)을 구성하고, 상기 입설편(7)의 선단부에는 관통공(7-1)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편(11)의 체결공(12)과 함께 체결수단으로서 볼트(13)와 너트(14)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 6에서와 같이 앵커볼트(t)에 의해 고정판(2)을 통해 브라켓 본체(A)를 벽체(W)에 고정 설치하고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플레이트(10)에 지지플레이트(6)를 장착한 다음 안착플레이트(10)의 연결편(11)과 지지플레이트(6)의 입설편(7)을 관통공(7-1)과 체결공(12)을 통해 체결수단으로서 볼트(13)와 너트(14)에 의해 결합한 다음 지지플레이트(6) 위에 치장벽돌(S)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고 또한 다수 개의 치장벽돌 층 마다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를 시공 설치한다.
상기 벽체(W)와 치장벽돌(S) 간에는 단열재(b)와 통풍공간(d)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7)을 구성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6)의 단면적을 높여 더 한층 보강기능을 가지게 되어 지지력을 높여 줄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6) 위에 처음 치장벽돌(S)을 조적할 때 입설편(7)에 의해 치장벽돌을 받쳐주게 되어 횡방향으로 정확히 배열되게 조절할 수 있고 시공 작업 시 치장벽돌이 자칫 낙하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를 시공 설치함에 따라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3) 위에 안착플레이트(10)를 구성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6)를 용이하고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6)와 안착플레이트(10)의 고정 결합 또한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어 횡방향으로 지지플레이트(6)의 연장을 연속하여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6)를 횡방향으로 브라켓 본체(A)에 장착함에 따라 치장벽돌을 횡방향으로 조적하여 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A)와, 상기 브라켓 본체(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t)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2)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와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4)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5)을 형성한다.
상기 장공형의 삽입장착공(5)에는 치장벽돌이 삽입되는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15)를 횡방향으로 삽입 설치한다.
상기 브라켓 본체(A)의 외측으로 지지고정용 브라켓(B)을 구성하되, 상기 지지고정용 브라켓(B)은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a)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a)과, 상기 고정판(2a)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a)와, 지지대(3a)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a)와 상기 지지대(3a)의 안착부 (4a)하측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15)를 관통시켜 체결부재(16)로써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4)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지지부재(17)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앵커볼트(t)에 의해 고정판(2)을 통해 브라켓 본체(A)를 벽체(W)에 고정 설치하고 지지대(3)의 삽입장착공(5)에는 다수의 치장벽돌을 삽입시킨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15)를 횡방향으로 삽입 설치한 다음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15)는 상기 지지고정용 브라켓(B)에 고정한다.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15)에 삽입시킨 치장벽돌 사이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그리고 치장벽돌 위에 몰탈을 적층한 다음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4)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지지부재(17)를 장착한 후 그 위에 치장벽돌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고 또한 다수 개의 치장벽돌 층 마다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를 시공 설치한다.
상기 벽체(W)와 치장벽돌(S) 간에는 단열재(b)와 통풍공간(d)이 구성된다.
그리고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15)에 다수의 치장벽돌을 삽입시켜 조적함에 따라 시공 작업 시 치장벽돌이 낙하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는 건물외벽에서 창문 위에 시공할 때 주로 적용하여 사용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를 시공 설치함에 따라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A)와, 상기 브라켓 본체(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t)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를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와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 하측에 치장벽돌이 삽입 장착되는 스틸와이어(18)가 삽입 결합되는 수직형 장공홈(19)과 "┖"형 삽입 장착홈(20)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4)에는 치장벽돌이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6)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2에서와 같이 앵커볼트(t)에 의해 고정판(2)을 통해 브라켓 본체(A)를 벽체(W)에 고정 설치하고 지지대(3)의 수직형 장공홈(19)과 "┖"형 삽입 장착홈(20)에 다수의 치장벽돌을 삽입시킨 스틸와이어(18)를 횡방향으로 삽입 설치한 다음 치장벽돌 사이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또한 치장벽돌 위에 몰탈을 적층한 다음 그 위에 치장벽돌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고 또한 다수 개의 치장벽돌 층 마다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를 시공 설치한다.
상기 벽체(W)와 치장벽돌(S) 간에는 단열재(b)와 통풍공간(d)이 구성된다.
그리고 스틸와이어(18)로 다수의 치장벽돌을 삽입시켜 조적함에 따라 시공 작업 시 치장벽돌이 낙하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4)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치장벽돌이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6)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를 사용할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를 시공 설치함에 따라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실시예로서 도 13 내지 도 14를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로써 치장벽돌이 전면으로 전도됨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어 이루어진 고정바(21) 및 사다리형 고정부재(22)를 구성한다.
상기 고정바(21) 및 사다리형 고정부재(22)는 금속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바(21)로써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23)는 일측 선단부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장공(24)이 형성되며 벽체와 고정하는 고정편(25)과, 상기 고정편(25)과 대응되는 타측부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22)와 결합되는 고리형의 고리부(26)를 형성하되, 고리형의 고리부(26)에는 몰탈이 투입 통과되는 관통공(26-1)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26)는 파형 형태나 일자형 또는 나선형으로 꼬은 형태의 스틸 와이어(27)를 양측으로 구성하고 상기 파형 형태의 양측 스틸 와이어(27) 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틸로 된 연결 와이어(28)를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고정 바(21)의 고리형 고리부(26)에 사다리형 고정부재(22)를 결합하여 조적한 치장벽돌(S) 위에 안치시키고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23)의 고정편(25)에 형성된 장공(24)을 관통하여 내력벽에 소켓부(29)와 나사부(30)로써 고정 설치한다.
위와 같이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가 설치되면 상기 고리형 고리부(26)와 사다리형 고정부재(22) 위에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다시 그 위에 치장벽돌(S)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S)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한다.
상기 고정바(21)를 사이즈별로 제작하여 단일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내구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를 설치하여 치장벽돌을 조적함에 따라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 (Q)와 수평 하중 분산 지지를 위한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 (R)를 벽체에 결합 구성한다.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로써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A)와, 상기 브라켓 본체(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t)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2)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와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 하측에 장공형의 삽입장착공(5)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4)에는 치장벽돌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를 장착 구성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는 일측선단을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치장벽돌을 받쳐주는 입설편(7)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6)의 양측단에는 연결수단으로서 연결편(8)과 체결부재(9)로써 결합구성하여 포함한다.
상기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로써 치장벽돌이 전면으로 전도됨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어 이루어진 고정바(21) 및 사다리형 고정부재(22)를 구성한다.
상기 고정 바(21)로써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23)는 일측 선단부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장공(24)이 형성되며 벽체와 고정하는 고정편(25)과, 상기 고정편(25)과 대응되는 타측부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22)와 결합되는 고리형의 고리부(26)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22)는 파형 형태나 일자형 또는 나선형으로 꼬은 형태의 스틸 와이어(27)를 양측으로 구성하고 상기 파형 형태의 양측 스틸 와이어(27) 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틸로 된 연결 와이어(28)를 결합 구성된 것을 포함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와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는 도 15에서와 같이 먼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를 벽체의 가장 하측에 시공설치하고 그 위에 다수 개의 치장벽돌 층을 조적하며 그 위에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R)를 시공설치한다.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와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R)는 건물의 벽체 높이에 따라 반복해서 시공 설치되고 시공 설치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한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에 의해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와 함께 구성되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도 7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 또 다른 실시예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따라 설명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하여 실시할 수 도 있음 물론이다.
다음,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4 실시예는,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으로서, 앵커볼트(t)에 의해 십자형상나 경사진 형태의 앵커 공(1)을 관통하여 고정판(2)을 통해 브라켓 본체(A)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 본체(A)의 안착부(4)나 안착플레이트(10)로 구성된 지지대(3) 위에 지지플레이트(6)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 위에 치장벽돌(S)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는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를 시공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한 치장벽돌 위에 고정 바(21)의 고리형 고리부(26)에 사다리형 고정부재(22)를 결합하여 조적한 치장벽돌 위에 안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23)의 고정편(25)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내력벽에 소켓부(29)와 나사부(30)로써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 바(21)의 고리형 고리부(26)와 사다리형 고정부재(22) 위에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다시 그 위에 치장벽돌을 조적하며 조적하는 벽돌 간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고 이러한 치장벽돌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는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를 시공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시공 설치는 건물 외벽의 높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은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에 의한 건물외벽에 조적되는 치장벽돌의 수직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에 의한 치장벽돌의 수평 하중에 따른 전방으로의 수평 하중 분산 효과를 증대시켜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조적 공사시 시간 단축과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며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나다.
상기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Q)를 시공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앵커볼트(t)에 의해 십자형상나 경사진 형태의 앵커 공(1)을 관통하여 고정판(2)을 통해 브라켓 본체(A)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 본체(A)의 지지대(3) 하측에 형성된 삽입장착공(5)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15)를 횡방향으로 삽입 장착하되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15)에 다수의 치장벽돌(S)을 삽입장착하고 치장벽돌사이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 본체(A)의 외측으로 지지고정용 브라켓(B)을 앵커볼트(t)에 의해 벽체에 고정설하며 상기 지지고정용 브라켓(B)의 지지대(3a)에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15)를 관통하여 체결부재(16)로써 고정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치장벽돌(S) 위에 몰탈을 충진하고 그 위에 스틸와이어로 된 사다리형 고정부재(17)를 지지대(3a)의 안착부(4a)에 횡방향으로 장착하고 다시 그 위에 몰탈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사다리형 고정부재(17)와 몰탈위에 치장벽돌(S)을 조적하고 치장벽돌 사이에는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하며 이러한 치장벽돌(S)은 다수 개의 층으로 조적하고 조적된 다수개의 치장벽돌(S) 위에는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를 시공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시공 설치는 건물 외벽의 높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와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水平荷重分散支持裝置)(R)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 또는 지진 등에 의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지진 등에 의한 전면으로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조적 공사시 시간 단축과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며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나다.
A: 브라켓 본체 B: 지지고정용 브라켓
Q: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 R: 수평하중분산지지장치
S: 치장벽돌 W: 내력벽(벽체)
b: 단열재 d: 통풍공간
t: 앵커볼트
1: 앵커 공 2: 고정판
3,3a: 지지대 4,4a: 안착부
5: 삽입장착공 6: 지지플레이트
7: 입설편 8: 연결편
9: 체결부재 10: 안착플레이트
11: 연결편 12: 체결공
13: 볼트 14: 너트
15: 사다리형 고정부재 16: 체결부재
18: 사다리형 지지부재 19: 수직형 장공홈
20: "┖"형 삽입 장착홈 21: 고정바
22: 사다리형 고정부재 23: 벽체고정 설치용 고정바
24: 장공 25: 고정편
26: 고리부 27: 스틸 와이어
28: 연결 와이어

Claims (1)

  1. 수직하중분산지지장치(垂直荷重分散支持裝置)(Q)로써 판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 본체(A)와,
    상기 브라켓 본체(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볼트(t)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장공형의 형상이나 경사진 형상의 앵커공(1)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 위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안착부(4)와 상기 지지대(3)의 안착부(4) 하측에 치장벽돌이 삽입 장착되는 스틸와이어(18)가 삽입 결합되는 수직형 장공홈(19)과 "┖"형 삽입 장착홈(20)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4)에는 치장벽돌이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6)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구성함을 포함하는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0210001717U 2021-05-31 2021-06-01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17U KR20220001324U (ko) 2021-05-31 2021-06-01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42 2021-05-31
KR2020210001717U KR20220001324U (ko) 2021-05-31 2021-06-01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42 Division 2021-05-31 2021-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24U true KR20220001324U (ko) 2022-06-08

Family

ID=8197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17U KR20220001324U (ko) 2021-05-31 2021-06-01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324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153A (ko)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KR20090126387A (ko)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KR20180032433A (ko)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2116909B1 (ko) 2019-12-23 2020-05-29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153A (ko)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KR20090126387A (ko)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KR20180032433A (ko)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2116909B1 (ko) 2019-12-23 2020-05-29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909B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TWI326321B (en) Wall structure of building
KR100991851B1 (ko)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56330B1 (ko)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한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전단보강철근 배근구조
US20080163581A1 (en) Structural hanger
KR101754188B1 (ko) 조립식 지붕용 연결체와 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지붕 시스템 그리고 지붕 시공방법
CA3068962C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eismic retrofitting method
KR200438912Y1 (ko) 내진설계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조적용 브라켓 장치
KR20090009004U (ko)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JP4931490B2 (ja) 構面補強構造及び構面の補強方法
US20110247291A1 (en) Reinforcement Bar Support Device
JP2013181285A (ja) 間仕切り壁の耐震構造
EP0683282A1 (en) A Light weight wall structure for use in buildings
KR102302442B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20220001324U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3U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2U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5U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6U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102137915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3축 홀더유닛을 이용한 치장벽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8138493A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
KR20090049257A (ko) 조립벽체
JP2000073480A (ja) 外壁材の取付構造
JP4395030B2 (ja) 戸建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