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004U -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 Google Patents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004U
KR20090009004U KR2020080002869U KR20080002869U KR20090009004U KR 20090009004 U KR20090009004 U KR 20090009004U KR 2020080002869 U KR2020080002869 U KR 2020080002869U KR 20080002869 U KR20080002869 U KR 20080002869U KR 20090009004 U KR20090009004 U KR 200900090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ismic
wall
base plate
masonry
floo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옥
한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국세라믹
한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국세라믹, 한상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국세라믹
Priority to KR202008000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004U/ko
Publication of KR20090009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진설계되는 내력벽이나 칸막이벽, 마감벽 등을 시공하기 위한 브라켓에 대한 것으로, 특히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고정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내진벽돌의 살빼기공으로 삽입되기 위한 수직결속핀을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내진벽돌을 쌓아 조적벽체가 시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극히 취약한 바닥슬래브와 조적벽체 간의 결합부에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이로부터 상기한 바닥슬래브와 조적벽체를 견고하게 결속시키므로 다방향으로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바닥슬래브와 조적벽체 간의 균열이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우수한 내진 설계에 의한 시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베이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내진설계, 조적벽체, 브라켓, 베이스, 수직결속핀, 바닥슬래브

Description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Base bracket for constructing earthquake-proof brick wall}
본 고안은 내진설계되는 내력벽이나 칸막이벽, 마감벽 등을 시공하기 위한 브라켓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시공된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들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내진벽돌이 조적되게 함으로써, 조적된 시공벽체와 바닥슬래브 간의 우수한 결합 상태를 갖게 하여 내진벽체의 하부가 다방향 진동으로부터 비교적 우수한 내진성을 갖게 한 베이스 브라켓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건축구조물은 벽돌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모르타르로 점착하여 쌓는 구조로서, 주택이나 창고 및 빌라 등과 같은 건물의 벽체축조에 쓰이고, 내습 및 내구성이 좋으며 내화구조이고 경제적이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식으로 평가된다.
또한, 조적식으로 축조된 벽체의 강도는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 벽체의 두께 및 높이, 길이에 의해 결정되므로 벽체의 구조적인 강도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벽돌 자체의 강도와 모르타르의 강도뿐만 아니라 벽체의 두께, 벽량 등이 합리적으로 계산되어 시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조적식 벽돌은 평면상 직사각의 육면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벽돌을 이용하여 각종 벽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벽돌 위에 모르타르를 얹어 놓은 후 그 모르타르 위에 하측 벽돌과 어긋나는 위치에 새로운 벽돌을 쌓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조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벽돌의 조적구조로부터 얻어진 건물 외벽 또는 마감벽은 통상적으로 옹벽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바, 진동이나 지진 등이 발생하게 되면 옹벽과의 결합력이 상실되면서 조적된 외장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무너져 내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벽돌을 내진설계 방식으로 조적하게 되는데, 내진설계에 의한 벽돌의 조적구조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하 적층되는 벽돌의 사이에 옹벽(100)으로부터 고정되는 브라켓(101)의 단부가 위치하게 하고, 수평방향으로 조적된 벽돌에는 횡상의 이음대(102)를 올려놓아 상기 이음대(102)에 의해 조적벽(103)의 수직 균열을 방지하고, 상기 브라켓(101)에 의해서는 옹벽(100)과 조적벽(103)의 전,후 결합력이 상승되게 하여 횡방향의 균열을 방지하게 한 내진설계 방식의 조적구조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라켓과 이음대의 구조가 특정한 방향 즉, 종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안정성을 갖거나 횡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안정성만을 갖고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벽체용 브라켓 장치가 개발되어 적용 및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개선된 상태의 브라켓 장치는 조적된 내진 벽체의 종방향 및 횡방향과 상,하방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비교적 안정된 시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벽체 시공용 브라켓 장치들은 조적벽체 자체에 부여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견디기 위한 것이므로 이들 조적벽체가 설치되기 위한 바닥부인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결합성은 고려되지 않는 부적합한 설계인 것이다.
즉, 지진 등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조적벽체와 바닥슬래브에 진동이 부여되면 상기한 조적벽체의 하단부인 바닥슬래브와의 결합부가 가장 먼저 균열되거나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기한 벽체용 브라켓에 의해 그 조적벽체가 옹벽 등에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그 조적벽체의 하부는 바닥슬래브로부터 균열에 의한 파괴상태가 되므로 완전한 내진 설계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힘든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지진이나 충돌 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바닥슬래브와 조적벽체의 경계부가 가장 우선하여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균열이 점차 진행하면서 조적벽체의 하단부로부터 각각의 벽돌이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내진 설계되는 조적벽체의 하부를 그 바닥슬래브와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시공법 또는 시공장치나 브라켓 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내진벽돌의 살빼기공으로 삽입되게 한 수직결속핀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함에 따라, 내진설계되는 조적벽체의 시공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바닥슬래브와 조적벽체가 더욱 견고한 결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 내진설계용 조적벽체 시공용 베이스 브라켓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고정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내진벽돌의 살빼기공으로 삽입되기 위한 수직결속핀을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바닥슬래브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내진벽돌을 쌓아 조적벽체가 시공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극히 취약한 바닥슬래브와 조적벽체 간의 결합부에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이로부터 상기한 바닥슬래브와 조적벽체를 견고하게 결속시키므로 다방향으로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바닥슬 래브와 조적벽체 간의 균열이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우수한 내진 설계에 의한 시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을 바닥슬래브에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상부에 내진벽돌을 조적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상부에 내진벽돌을 조적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0)는 내진벽돌(30)(30')을 조적하고자 하는 방향의 바닥슬래브(10) 상에 미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금속 판재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50)에는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는 수직결속핀(51)(51')과 역시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는 고정공(52)(5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수직결속핀(51)(51')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측으로 조적되는 내진벽돌(30)(30')과의 체결력을 위한 것이고, 고정공(52)(52')은 베이스 플레이트(50)와 바닥슬래브(10)를 견고하게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50)를 조적하고자 하는 방향의 바닥 슬래브(10)에 고정 형성하되, 베이스 플레이트(50)의 고정공(52)(52')에 별도의 고정앵커(60)를 바닥슬래브(10)를 향해 삽입하면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50)가 바닥슬래브(10) 상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50)는 별도의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바닥슬래브(10)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바닥슬래브(10)의 타설 과정에서 앵커볼트가 돌출되도록 매설한 상태에서 그 앵커볼트의 노출 단부에 베이스 플레이트(50)의 고정공(52)(52')을 삽입한 후 이에 별도의 체결너트를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슬래브(10) 상에 베이스 플레이트(50)가 고정 설치되면 그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측으로 내진벽돌(30)(30')을 순차적으로 조적하여 시공하면 되는 것인데, 이들 내진벽돌(30)(30')의 사이사이 또는 내진벽돌(30)(30') 자체의 살빼기공(31)(31')으로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수직결속핀(51)(51')이 각각 삽입하여 관통되도록 순차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수직결속핀(51)(51')의 길이는 적어도 내진벽돌(30)(30')의 3장을 합한 두께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안정적인데, 상기와 같은 길이를 갖는 수직결속핀(51)(51')의 상측으로 내진벽돌(30)(30')에 의해 조적된 장식 또는 마감벽체는 그 하부 전체가 베이스 플레이트(50)에 결합된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때, 상기한 수직결속핀(51)(51')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은 경우에는 단일의 내진벽돌(30)(30')의 수직 상하 단면에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부분 균열이나 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수직결속핀(51)(51')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조적벽체 자체의 자중에 의한 휨 현상이 발생하여 상응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측으로 시공되는 조적벽체는 개개의 내진벽돌(30)(30')을 결합하기 위한 모르타르의 경화와 동시에 조적벽체와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한 조적벽체가 바닥슬래브(10)와 견고한 일체의 결합성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진이나 진동과 같이 전방위적인 물리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한 바닥슬래브(10)와 조적벽체가 베이스플레이트(50) 및 수직결속핀(51)(51')에 의해 견고한 고정 및 결합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이들 바닥슬래브(10)와 조적벽체 간의 경계 결합부의 균열이나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내진벽돌(30)(30')의 조적에 의해 시공되는 조적벽체는 기존의 옹벽과 같은 벽체(20)의 측부로부터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의 벽체브라켓(40)으로 내진 설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마감벽이나 장식벽체로 시공되는 조적벽체의 경우 다방향에서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조적벽체 자체는 물론 바닥슬래브와의 경계부 역시 안전하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진구조의 조적벽체를 보인 시공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을 바닥슬래브에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상부에 내진벽돌을 조적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상부에 내진벽돌을 조적한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슬래브 20 : 벽체
30,30' : 내진벽돌 31,31' : 살빼기공
40 : 벽체브라켓
50 : 베이스 플레이트 51,51' : 수직결속핀
52,52' : 고정공
60 : 고정앵커

Claims (4)

  1. 바닥슬래브(10) 상에 시공된 벽체(20)의 일측에 조적되는 내진벽돌(30)(30')을 별도의 벽체브라켓(40)에 의해 상기 벽체(20)와 결속되게 시공하는 내진설계용 조적벽체에 있어,
    상기 바닥슬래브(10) 상에 고정되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50)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부면에는 상기 내진벽돌(30)(30')을 관통하는 수직결속핀(51)(51')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내진벽돌(30)(30')이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측으로 조적되게 함에 따라 내진벽돌(30)(30')에 의한 조적벽체가 바닥슬래브(10)와 견고한 결합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50)에는 등간격의 고정공(52)(52')을 관통 형성하여, 이들 고정공(52)(52')을 통해 바닥슬래브(10)와 앵커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수직결속핀(51)(51')의 길이는, 조적되는 단일의 내진벽돌(30)(30') 두께보다 2 내지 4배가 길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4.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수직결속핀(51)(51')은, 내진벽돌(30)(30')에 형성되는 살빼기공(31)(31')으로 각각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KR2020080002869U 2008-03-04 2008-03-04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KR200900090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869U KR20090009004U (ko) 2008-03-04 2008-03-04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869U KR20090009004U (ko) 2008-03-04 2008-03-04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04U true KR20090009004U (ko) 2009-09-09

Family

ID=4129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869U KR20090009004U (ko) 2008-03-04 2008-03-04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004U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10B1 (ko) * 2013-07-12 2014-04-17 박영택 폭이 좁은 벽돌과 조립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CN105382724A (zh) * 2015-10-10 2016-03-09 无为县华标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八孔空心砖定位装置
KR101639996B1 (ko) 2016-02-29 2016-07-18 에이앤유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950678B1 (ko) 2018-10-18 2019-02-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보강장치
KR102000400B1 (ko) 2018-08-07 2019-07-15 키움건설 주식회사 빗장걸기 방식이 적용되는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13696B1 (ko) 2019-09-20 2020-05-21 송유석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2203307B1 (ko) 2020-08-12 2021-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2599307B1 (ko) * 2022-12-14 2023-11-07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사방블럭 구조물 시공방법
EP4283068A1 (de) * 2022-05-25 2023-11-29 Leviat GmbH Wand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andanordnung
KR102615348B1 (ko) 2023-04-10 2023-12-19 주식회사 솔빛엔지니어링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2632510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10B1 (ko) * 2013-07-12 2014-04-17 박영택 폭이 좁은 벽돌과 조립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CN105382724A (zh) * 2015-10-10 2016-03-09 无为县华标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八孔空心砖定位装置
KR101639996B1 (ko) 2016-02-29 2016-07-18 에이앤유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2000400B1 (ko) 2018-08-07 2019-07-15 키움건설 주식회사 빗장걸기 방식이 적용되는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950678B1 (ko) 2018-10-18 2019-02-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보강장치
KR102113696B1 (ko) 2019-09-20 2020-05-21 송유석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2203307B1 (ko) 2020-08-12 2021-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EP4283068A1 (de) * 2022-05-25 2023-11-29 Leviat GmbH Wand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andanordnung
KR102599307B1 (ko) * 2022-12-14 2023-11-07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사방블럭 구조물 시공방법
KR102632510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2615348B1 (ko) 2023-04-10 2023-12-19 주식회사 솔빛엔지니어링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9004U (ko)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KR200438912Y1 (ko) 내진설계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조적용 브라켓 장치
KR101899039B1 (ko) 경계 보강기술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조적 벽체 시공방법
KR102111337B1 (ko) 중앙에 기둥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KR200438913Y1 (ko)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KR20190135671A (ko) 코너부에 접합철물을 갖는 박스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시공방법
KR102107066B1 (ko)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방법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184782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0623581B1 (ko)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KR102079964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JP2018003556A (ja) 耐火構造
RU108473U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KR102137915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3축 홀더유닛을 이용한 치장벽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68986B1 (ko) 개량형 벽돌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적구조
KR100688448B1 (ko) 건축물 내부 조적구조
KR102249058B1 (ko) 조립식 벽체
KR102505922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JP5321972B2 (ja) レンガ積み建築物のレンガ壁面耐震配筋方法
KR100511594B1 (ko) 건축물의 티형 결속 블록 결합 구조
KR102069289B1 (ko) 공동주택의 안전도를 향상시킨 내진 설계장치
JP6660724B2 (ja) 柱接合構造
KR100430532B1 (ko)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
KR102649999B1 (ko)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