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257A - 조립벽체 - Google Patents

조립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257A
KR20090049257A KR1020070115448A KR20070115448A KR20090049257A KR 20090049257 A KR20090049257 A KR 20090049257A KR 1020070115448 A KR1020070115448 A KR 1020070115448A KR 20070115448 A KR20070115448 A KR 20070115448A KR 20090049257 A KR20090049257 A KR 20090049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lock
mesh
wal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수
Original Assignee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filed Critical 장혁수
Priority to KR102007011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9257A/ko
Publication of KR2009004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51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볼팅고정되며, 고정홈 또는 고정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홈 또는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봉에 소정 간격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배면 상,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줄눈에 메꿔지는 모르타르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벽체 외측면 또는 벽체를 신축하여 조적식 벽체가 벽체의 외측면으로 일체로 구성됨을 표현하고자 할 때, 조적식 벽체의 구성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항하여 조적식 벽체가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균열 및 붕괴의 위험을 최소화함은 물론 시공기간이 단축되도록 하여 리모델링 비용 및 신축 시 벽체시공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시키며, 건물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조립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벽체{Consturction wall}
본 발명은 조립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 외측면 또는 벽체를 신축할 때, 조적식 벽체를 일체로 견고하게 구성시켜 수직 및 수평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항하여 조적식 벽체가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리모델링 비용 및 신축 시 벽체시공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시키며, 건물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조립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델링이라 함은 신축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기존 건축물의 유지,보수나 증축,개축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건축분야의 재활용 프로젝트를 뜻하는 신축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기존의 건축물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개보수의 모든 작업을 일컫는다
즉, 기존의 건축물을 손봐서 새 건물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작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축이나 재건축과 구별되며 현행 건축법에 따르면 증축,개축,대수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리모델링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대리석, 알루미늄 판넬, 범랑 판넬 등의 외벽면에 수성, 유성 페인트나 각종 도장재로 이루어진 외벽 코팅제를 입히거나, 또는 벽체 방수기능을 갖는 방수 시트 및 단열재를 시공한 후 외벽마감재를 별도로 재차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과다하게 지출되고 공사기간도 그만큼 길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외벽 코팅제는 단순히 밋밋하고 획일적인 리모델링 공법으로 건물의 미관을 개선 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건물의 벽체를 도 2와 같이 벽돌을 조적한 벽체로 리모델링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의 벽체의 외측면에 방수시트 또는 단열재를 시공한 후, 그 외측면에 벽돌을 하나하나 조적하여야만 조적식 벽체를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조적식 벽체가 구성될 경우, 단순하게 벽돌을 조적하는 것에 의존한 구조이므로 상기 조적식 벽체가 종래의 벽체와 완벽하게 일체화되지 못하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체하중과 지면의 미미한 진동 또는 지진 및 거동에 의하여 벽체에 균열이 발생하고, 결국에는 붕괴되는 위험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실상 리모델링에 있어서는 조적식 벽체의 리모델링 공법은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건물을 신축할 때, 건축물의 벽체 외측면이 조적식 벽돌의 외관을 갖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벽돌을 하나하나 조적하여야 하여야 하는바, 대부분의 시공은 숙련된 기술자에 의하여 벽돌이 조적되어야 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며, 하루에 조적하여야 할 높이가 대부분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기존의 벽체의 외관에 조적식 벽체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벽체를 신축하고자 할 경우에도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적식 벽체를 구성하되, 하루에 조적하는 벽돌의 개수 및 높이에 제한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게 하고, 시공 후 지면에서 진동 및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조적식 벽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견고한 구조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건물의 외벽체가 유지되게 하여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조립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벽면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볼팅고정되며, 고정홈 또는 고정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홈 또는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봉에 소정 간격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배면 상,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줄눈에 메꿔지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럭과 벽면사이에 시공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매쉬망과; 상기 매쉬망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향하여 소정간격으로 설치고정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을 매쉬망에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과; 상기 블럭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줄눈에 메꿔지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쉬망은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또는 메탈라스, 강화플라스틱망, 철망, 유리섬유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쉬망에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은, 상기 블럭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에 일단이 삽입 또는 볼팅결합되며, 타단은 매쉬망의 그물코 연결부 또는 그물선에 걸쳐지거나 결선되도록 'ㄱ'자로 성형된 고정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쉬망에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은, 상기 블럭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에 일단이 삽입 또는 볼팅결합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고정볼트와; 상기 매쉬망의 그물코로 관통되는 제1고정볼트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매쉬망의 그물코 또는 그물선의 배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와셔와; 상기 제1고정볼트의 타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매쉬망에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은, 상기 블럭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과; 상기 매쉬망의 그물코로 관통되어 요홈에 억지끼움되거나 볼팅되며, 매쉬망의 그물코 또는 그물선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제2고정와셔가 삽입된 제2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벽면에 리모델링되면서 시공되는 블럭(벽돌)을 슬림하게 성형하여 사용되게 하거나 벽체를 신축할 때 벽돌을 조적하지 않고도 조적식 벽체의 외관을 얻게 하고, 이때, 시공 시 하루에 시공할 수 있는 높이의 제한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시공기간이 단축되고,건축자재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리모델링 시 또는 신축 시 시공되는 블럭이 종래의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면서도 각각의 블럭은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의 힘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시공 후 블럭의 쳐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지면의 진동 및 지진발생 시 하중에 의한 균열 및 붕괴의 위험이 최소화되어 안전하고도 견고한 구조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블럭을 간편하게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봉에 끼우거나 매쉬망에 고정시킨 상태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로 제공되며, 도 3 내지 도 6은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과 도 8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와 도 10은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각 실시예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식 벽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100)에는 다수 개의 고정브라켓(101)이 가로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볼팅고정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로방향으로도 고정브라켓(101)이 일정간격으로 볼팅고정되는 바, 상 기 세로방향으로 볼팅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1)은 일렬로 나란히 고정되게 하는 것보다 지그재그로 교차되도록 설치되게 하여 하술하게 될 블럭(104)이 지그재그로 교차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0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01a) 또는 고정공(101b)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방향으로 설치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1)의 고정홈(101a) 또는 고정공(101b)에는 고정와이어(102) 또는 고정봉(103)이 삽입고정된다.
상기 고정봉(103)은 고정홈(101a) 또는 고정공(101b)에 삽입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고정력을 유지하게 되는 데, 이는 상기 고정봉(103)에 끼워지는 블럭(104)의 무게가 하부로 작용하기 때문에 블럭(104)의 무게에 의하여 고정봉(103)이 고정홈(101a) 또는 고정공(101b)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1)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봉(103)에 상기 블럭(104)의 걸림턱(104a)이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것이므로, 블럭(104)에 의해서 고정봉(103)이 고정브라켓(101)의 좌우측으로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정봉(103)이 더욱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고정브라켓(101)과 고정봉(103) 및 블럭(104)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조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므로, 실제로 리모델링 시공 또는 벽체를 신축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블럭(104)이 이동된 상태로 시공되어 도 5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01a) 또는 고정홈(101a)으로 관통되 는 고정와이어(102)의 끝단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구(105)를 삽입시켜 고정와이어(102)가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후, 상기 블럭(104)을 고정와이어(102)에 끼움으로써 블럭(104)이 고정와이어(102)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럭(104)의 배면 상, 하부에는 걸림턱(104a)이 형성되어 고정봉(103) 또는 고정와이어(102)에 상,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04a)이 끼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와이어(102)와 고정봉(103)에 끼워진 블럭(104)과 블럭(104)들 사이에 형성된 줄눈(106)에는 도 6과 같이 모르타르(107)를 시공하여 인접한 블럭(104)들간의 부착력이 강화되게 하며, 상기 블럭(104)과 벽면(100)사이에 시공되는 단열재(108)와의 부착력도 강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벽면(100)에 고정브라켓(101)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 볼팅고정시키고, 단열재(108)를 시공한 후 상기 고정브라켓(101)에 고정봉(103) 또는 고정와이어(10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봉(103) 또는 고정와이어(102)에 블럭(104) 배면에 형성된 걸림턱(104a)이 끼워질 수 있게 하며, 블럭(104)사이에 형성된 줄눈(106)에는 모르타르(107)를 시공함으로써, 기존의 벽면(100)에 블럭(104)이 일체로 시공되게 하되, 각각의 가로줄 방향에 시공된 블럭(104)은 그 상부에 시공된 블럭(104)의 하중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하중부담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정적인 구조상태를 갖게 되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시공된 블럭(104)간에는 줄눈(106)에 시공된 모르타 르(107)에 의하여 일체화된 상태이므로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조적식 벽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100)에 매쉬망(109)을 고정설치하되, 벽면(100)에는 방수시트 또는 단열재(108)를 시공하고, 그 외측면에 매쉬망(109)이 밀착될 수 있도록 매쉬망(109)을 벽면(100)에 볼팅고정시키는 바, 상기 매쉬망(109)은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또는 메탈라스, 강화플라스틱망, 철망, 유리섬유망 중 어느 하나이며, 통상적으로 건축 및 토목에 시공되는 망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건축자재도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쉬망(109)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향하여 소정간격으로 다수 개의 블럭(104)을 설치고정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와 하술하게 될 제3실시예는 매쉬망(109)에 블럭(104)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제2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4)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104b)에 'ㄱ'자로 성형된 고정부재(110)를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시키는 바,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볼팅될 수도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필요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110)가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쉬망(109)의 그물코 연결부(109a) 또는 그물선(109b)에 고정부재(110)의 'ㄱ'자 타단이 걸쳐지거나 결속되 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블럭(104)이 매쉬망(109)에 결합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고정부재(110)를 매쉬망(109)의 그물코 연결부(109a)에 걸쳐지게 할 경우에는 매쉬망(109)과 벽면(100)사이에 시공된 방수시트 또는 단열재(108)와 매쉬망(109)에 의하여 고정부재(110)가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블럭(104)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고정부재(110)가 매쉬망(109)에 결속될 수 있도록 더욱 절곡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블럭(104)사이에 형성된 가로/세로줄눈(106)에는 모르타르(107)를 시공하여 블럭(104)간 부착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매쉬망(109)에 블럭(104)을 간편하게 고정설치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블럭(104)은 벽돌을 조적한 것과 같은 외관을 갖게 되지만, 각각의 블럭(104)은 그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의 부담이 없으므로 수직적 하중에 대하여 균열 및 붕괴의 위험으로부터 안정된 구조를 가지며, 수평적으로는 모르타르(107)에 의하여 견고한 부착력을 갖게 되고, 매쉬망(109)에 블럭(104)을 걸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벽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의 벽면(100)에 매쉬망(109)을 고정설치하는 것이 동일하며, 도 10과 같이 방수시트 또는 단열재(108)를 시공하는 것도 동일하나, 매쉬망(109)에 블럭(104)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블럭(104)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104b)에는 타단에 나사 산이 형성된 제1고정볼트(111)의 일단을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시키거나 일단에도 나사산이 형성되게 한 후 제1고정볼트(111)의 일단을 볼팅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104)의 배면을 매쉬망(109)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볼트(111)가 매쉬망(109)의 그물코(109c)로 관통되면, 상기 매쉬망(109)의 그물코(109c)로 관통되는 제1고정볼트(111)의 타단으로 제1고정와셔(112)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시키고, 제1고정볼트(111)의 타단에 고정너트(113)를 체결시켜 고정너트(113)와 제1고정볼트(111)의 체결력에 의하여 제1고정와셔(112)가 매쉬망(109)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블럭(104)이 매쉬망(109)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제3실시예에서 응용가능한 또 다른 블럭(104)의 고정수단은, 상기 블럭(104)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104b)에 제2고정와셔(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고정와셔와 동일한 구조임)가 삽입된 제2고정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시키거나 볼팅고정시키되, 상기 매쉬망(109)의 배면에서 그물코(109c)로 제2고정볼트가 관통되게 하여 요홈(104b)에 억지끼움되거나 볼팅되게 함으로써 매쉬망(109)의 그물코 연결부(109a) 또는 그물선(109b)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제2고정와셔가 밀착되게 하여 제2고정볼트의 체결력으로 블럭(104)이 매쉬망(109)에 결합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매쉬망(109)에 블럭(104)이 고정되면, 블럭(104)간에 형성된 가로/세로줄눈(106)에는 모르타르(107)를 시공하여 각각의 블럭(104)이 모르타르(107)에 의하여 일체로 부착된 효과를 갖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제1고정볼트(111)와 제1고정와셔(112) 또는 제2고정볼트와 제2고정와셔에 의한 체결력을 이용하여 매쉬망(109)에 블럭(104)을 고정설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시공이 매우 간편하며 이에 따라 매쉬망(109)에 블럭(104)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시공 시 블럭(104)간의 가로/세로줄눈(106)의 거리조절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매쉬망(109)에 각각의 블럭(104)이 고정결합되는 것이므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의한 하중의 영향이 고려되지 않아도 안전한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줄눈(106)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줄눈(106)과 세로줄눈(106)이 있으며, 블럭(104)에 실린 힘 또는 하중이 골고루 널리 퍼져 전달되게 하려면 세로줄눈(106)의 아래위가 통하지 않고 엇갈리게 하는 것이 중요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의 블럭(104)만이 고정브라켓(101)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럭(104)이 매쉬망(109)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한 줄눈(106)에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모르타르(107)의 표면에 레진을 충진시킬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시공방법은 본 발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리모델링할 건물 또는 신축 건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리모델링된 건물 또는 조적식 벽체로 신축된 건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블럭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고정브라켓 102 : 고정와이어
103 : 고정봉 104 : 블럭
105 : 고정구 106 : 줄눈
107 : 모르타르 108 : 단열재
109 : 매쉬망 110 : 고정부재
111 : 제1고정볼트 112 : 제1고정와셔
113 : 고정너트

Claims (7)

  1. 벽면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볼팅고정되며, 고정홈 또는 고정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홈 또는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봉에 소정 간격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배면 상,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줄눈에 메꿔지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과 벽면사이에 시공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
  3.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매쉬망과;
    상기 매쉬망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향하여 소정간격으로 설치고정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을 매쉬망에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과;
    상기 블럭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줄눈에 메꿔지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망은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또는 메탈라스, 강화플라스틱망, 철망, 유리섬유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망에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은,
    상기 블럭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에 일단이 삽입 또는 볼팅결합되며, 타단은 매쉬망의 그물코 연결부 또는 그물선에 걸쳐지거나 결선되도록 'ㄱ'자로 성형된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망에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은,
    상기 블럭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에 일단이 삽입 또는 볼팅결합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고정볼트와;
    상기 매쉬망의 그물코로 관통되는 제1고정볼트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매쉬망의 그물코 또는 그물선의 배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와셔와;
    상기 제1고정볼트의 타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망에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의 고정수단은,
    상기 블럭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홈과;
    상기 매쉬망의 그물코로 관통되어 요홈에 억지끼움되거나 볼팅되며, 매쉬망의 그물코 또는 그물선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제2고정와셔가 삽입된 제2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벽체.
KR1020070115448A 2007-11-13 2007-11-13 조립벽체 KR20090049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448A KR20090049257A (ko) 2007-11-13 2007-11-13 조립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448A KR20090049257A (ko) 2007-11-13 2007-11-13 조립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257A true KR20090049257A (ko) 2009-05-18

Family

ID=4085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448A KR20090049257A (ko) 2007-11-13 2007-11-13 조립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92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120A (zh) * 2018-06-28 2018-11-30 中国冶集团有限公司 无砂浆螺栓连接砌块及其施工方法
CN109057087A (zh) * 2018-07-23 2018-12-21 王恩厚 环保墙体及制作方法
KR20230031691A (ko) * 2021-08-27 2023-03-07 엄병구 온열판넬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120A (zh) * 2018-06-28 2018-11-30 中国冶集团有限公司 无砂浆螺栓连接砌块及其施工方法
CN109057087A (zh) * 2018-07-23 2018-12-21 王恩厚 环保墙体及制作方法
KR20230031691A (ko) * 2021-08-27 2023-03-07 엄병구 온열판넬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9536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RU2011143756A (ru)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анели из цементного раствора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ой двухосной арматурой
KR100542429B1 (ko) 건축용 외장재를 사용한 건조물
US20130333318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ITTO20130918A1 (it) Pannello modulare prefabbricato per costruzioni, in particolare per abitazioni.
RU2557269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а и теплоизоляции с плиты межэтаж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KR102142230B1 (ko)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RU2585330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домо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KR101002354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20090049257A (ko) 조립벽체
RU79304U1 (ru) Стен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варианты)
EP2930280A1 (en)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U2021237982B2 (en) Prefabricated wall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CN103758256A (zh) 一种装饰保温复合墙体及其制作方法
RU2692055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живучести крупнопанельного строения при экстремальных воздействиях путём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грессирующего разрушения
KR200298636Y1 (ko) 벽돌현가 시공용 지지앵커
KR102302442B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200497673Y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EA034682B1 (ru) Модуль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CN219316194U (zh) 一种钢混结构装配式房屋构造
KR100430532B1 (ko)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
KR200497674Y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WO2010012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RU2479702C1 (ru) Многоэтажный панельный дом повышенной стойкости к ударным и сейсмическим воздействия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