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708A - 조적벽체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708A
KR20080005708A KR1020060064384A KR20060064384A KR20080005708A KR 20080005708 A KR20080005708 A KR 20080005708A KR 1020060064384 A KR1020060064384 A KR 1020060064384A KR 20060064384 A KR20060064384 A KR 20060064384A KR 20080005708 A KR20080005708 A KR 2008000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
holder
fix holder
release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선진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선진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06006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708A/ko
Priority to PCT/KR2007/002524 priority patent/WO2007136233A1/en
Priority to US12/227,588 priority patent/US20090260312A1/en
Priority to GB0821279A priority patent/GB2451787B/en
Publication of KR2008000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벽에 픽스를 압입하고 상기 픽스에 픽스홀더를 체결한 후 픽스홀더를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또다른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으로 연결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벽이 C형강으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은, 픽스가 압입될 건물의 높이 직전까지 벽돌을 조적하는 하부 벽돌 조적 과정, 건물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조적벽체 내측의 C형강을 천공하고 픽스를 압입 고정하는 과정, 상기 C형강에 압입된 픽스들의 후단에 픽스홀더를 체결하는 픽스홀더 체결 과정, 상기 픽스홀더들의 후단을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으로 연결하고 픽스 홀더의 중앙 부분에 또 다른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픽스 상하좌우연결 과정, 픽스가 압입된 건물의 높이 상부로 벽돌을 조적하는 상부 벽돌 조적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적벽체 보강 공법{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픽스의 일실시예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픽스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들의 형상도;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의 일실시예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 및 정투상도;
도 6은 도 2의 픽스홀더를 사용한 도 1의 픽스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2의 픽스홀더를 사용한 도 4의 이형도금철선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 및 도 2의 픽스홀더를 사용한 도 1의 픽스와 도 4의 이형도금철선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1의 픽스, 도 2의 픽스홀더, 도 4의 이형도금철선의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2의 픽스홀더와 도 5의 캡의 체결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하체결구의 실시예들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하체결구를 이용하여 픽스홀더와 픽스 또는 픽스홀더와 이형도금철선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공법 순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공법 순서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픽스 11: 심축
12: 날개
2, 2', 2'', 2''': 픽스홀더 21: 오목부
22: 날개수용부 23: 통형부
3, 3': 상하체결구 31, 31': 수용부
32, 32': 걸림부
4: 캡 41: 기저부
42: 측벽부 43: 삽입부
44: 리브부 45: 통기구멍
5: 이형도금철선
6: 와셔
B: 벽돌 BH: 구멍
C: C형강 IW: 내벽
M: 몰탈
G: 갭 S: 이격공간
T: 슬릿의 트여진 단부
본 발명은 내벽에 픽스를 압입하고 상기 픽스에 픽스홀더를 체결한 후 픽스홀더를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또다른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으로 연결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벽이 C형강으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조적 벽체는 돌, 벽돌,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 등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구조로서,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벽돌구조, 석조(石造), 콘크리트블록 구조를 순조적구조(純組積構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고, 특히 석조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구조적으로도 지진이 적은 서유럽 등에서는 각종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意匠的)으로도 뛰어난 아치(arch)나 돔(dome) 등이 오래 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도 벽돌구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 다.
벽돌구조는 단순히 벽돌만을 쌓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내벽의 외면에 벽돌을 쌓아올리는 것으로, 이 내벽과 벽돌간의 결합력이 매우 중요하다. 내벽과 벽돌벽 사이에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 지진이나 충격 또는 풍압에 의해 조적하였던 벽돌이 무너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 조적된 벽돌을 내벽과 긴밀히 결합하도록 하여 벽돌이 무너져버리거나 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종래부터 이러한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나, 그러한 방식들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부속품 또는 장비를 이용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보강 절차 역시 매우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적어 번거롭지 아니하도록 하면서, 내벽의 C형강에 픽스를 압입 고정하고 상기 픽스에 픽스홀더를 체결한 후 픽스홀더의 후방에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연결하여 압입된 픽스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고 픽스홀더의 중앙 부근에 픽스를 연결하여 압입된 픽스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여 간단한 공법만으로도 조적 벽돌벽의 보강을 시행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픽 스가 압입될 건물의 높이 직전까지 벽돌을 조적하는 하부 벽돌 조적 과정, 건물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조적벽체 내측의 C형강을 천공하고 픽스를 압입 고정하는 과정, 상기 C형강에 압입된 픽스들의 후단에 픽스홀더를 체결하는 픽스홀더 체결 과정, 상기 픽스홀더들의 후단을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으로 연결하는 픽스 좌우연결 과정, 픽스 좌우연결 과정 후에, 픽스가 압입된 건물의 높이 상부로 벽돌을 조적하는 상부 벽돌 조적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C형강에 박힌 픽스를 픽스홀더 및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의 간단한 부품에 의해 서로 좌우로 견고히 고정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픽스 좌우 연결 과정과 함께 상기 픽스 홀더의 중앙 부분에 또 다른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픽스 상하연결 과정을 수행하고, 상부 벽돌 조적과정에서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이 벽돌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거나 벽돌과 벽돌 사이의 틈새를 관통하는 상태가 되도록 벽돌을 조적하면서 해당 구멍이나 틈새에 몰탈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C형강에 박힌 픽스를 좌우로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견고히 고정하여 조적벽체를 더욱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픽스가 압입될 건물의 높이 직전까지 벽돌을 조적하는 하부 벽돌 조적 과정, 건물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조적벽체 내측의 C형강을 천공하고 픽스를 압입 고정하는 과정, 상기 C형강에 압입된 픽스들의 후단에 픽스홀더를 체결하는 픽스홀더 체결 과정, 상기 픽스 홀더의 중앙 부분에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픽 스 상하연결 과정, 픽스 상하연결 과정 후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이 벽돌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거나 벽돌과 벽돌 사이의 틈새를 관통하는 상태가 되도록 벽돌을 조적하고 해당 구멍이나 틈새에 몰탈을 채우는 상부 벽돌 조적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C형강에 박힌 픽스를 픽스홀더 및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의 간단한 부품에 의해 서로 상하로 견고히 고정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것이다.
여기서, 픽스 상하연결 과정 후 상부 벽돌을 조적하기 전에 벽돌의 내측으로부터 대략 2/3 가량만 몰탈을 채우고 상부 벽돌을 조적한 후, 상기 픽스홀더들의 후단을 또 다른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으로 연결하는 픽스 좌우연결 과정을 수행하고 나머지 1/3 부분에 몰탈을 채워 넣게 하면, 픽스를 상하좌우로 연결하는 과정을 이원화하여 종래의 조적공들과 픽스홀더 전문가가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상기 픽스의 압입 고정은 C형강에 압입된 픽스의 전후방으로 와셔 및 픽스홀더를 끼워넣고 에폭시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픽스는 중심을 이루는 심축과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는 심축을 중심으로 픽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픽스홀더는 긴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나사처럼 감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형도금철선은 단면이 대략 정다각형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나사처럼 감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픽스, 픽스홀더 및 이형도금철선의 피치가 서로 일치하여 픽스와 픽스홀더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와 픽스홀더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부품간 결합을 편리하게 하고 호환성을 주어 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특히 상기 픽스의 날개는 2개 또는 3개이고,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는 6개이며, 상기 이형도금철선은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픽스홀더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호환성을 극대화하는 최상의 조합이다.
상기 픽스홀더를 픽스와 체결하였을 때, 상기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에는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의 진동 흡수가 가능한 갭이 존재하고, 상기 날개수용부 사이의 오목부와 심축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존재하여서, 픽스홀더가 몰탈에 매몰되도록 하여 줄눈을 형성할 때 픽스홀더의 후단부가 줄눈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하여 조적벽체의 내부와 외부가 통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적벽체의 외부와 내부의 통기는 일반적으로 조적벽체의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픽스홀더에는 픽스홀더의 일측으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 체결과정에서 슬릿이 형성된 쪽이 벽체의 외측을 향하고 슬릿이 트여진 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되도록 픽스홀더를 정렬함으로써, 픽스 좌우연결 시 상기 픽스홀더의 일측으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건물의 둘레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픽스홀더를 좌우로 연결할 때 매우 편리하도록 하며 이미 상부벽돌이 조적된 상태에서도 줄눈의 틈새로 이형도금철선을 집어넣어 픽스홀더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원화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픽스홀더는 픽스홀더의 슬릿이 형성된 방향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한 캡을 더 구비하여서, 벽돌 사이의 줄눈에 픽스홀더를 몰탈로 매립할 때, 픽스홀더의 슬릿 방향으로 캡을 삽입하여 슬릿을 차폐함으로써 몰탈이 슬릿을 통해 픽스홀더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네 둘레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중앙에서 전방 돌출되어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기저부와 삽입부를 좌우에서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 이하의 두께를 가진 리브부;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저부가 좌우로 길게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캡을 픽스홀더의 후방으로 끼우면 리브부가 슬릿에 수용되며 삽입부가 슬릿의 트여진 공간을 차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에는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기저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의 기저부 쪽 단부의 개구에는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어서, 캡을 끼운 상태에서도 픽스홀더를 통해 조적벽체의 내기와 외기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픽스 상하연결 과정에서 상하체결구가 사용되며, 상기 상하체결구는 픽스홀더의 중앙 부분에 탄성 체결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 부를 구비하고, 픽스 홀더와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의 상하방향 연결은, 픽스홀더의 중앙부분에 걸림부가 체결되고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이 수용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하체결구는 간단한 구조로 픽스홀더에 대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의 상하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상하체결구는 탄성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수용부는 와이어가 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가 상기 수용부를 이루는 평면에 대략 수직인 평면 상에서 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먼저 걸림부를 벌려 그 사이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끼워넣어 수용부에 삽입하고 다시 걸림부를 픽스홀더의 중앙부분에 끼워 넣음으로써 픽스 홀더와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픽스홀더와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이 이미 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체결이 가능하게 하여 상하연결을 매우 편리하게 해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 공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픽스(1)의 일실시예의 형상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그 a-a 단면도이다.
픽스(1)는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아니하며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서, 중심을 이루는 심축(11)과 심축 둘레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개(12)는 심축(11)을 중심으로 픽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날개(12)의 개수에는 제한 이 없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도 1c 참조) 또는 3개(도 1b 참조) 정도의 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강도와 구조의 단순화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
도 2는 도 1의 픽스(1)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들(2, 2', 2'', 2''')의 형상도로서, 도 2a는 픽스홀더(2)의 일반적인 형상도, 도 2b는 후술할 C형강에 압입 고정되는 픽스(1)의 후단에 삽입 연결하기 위해 도 2a의 픽스홀더(2)의 후단에 슬릿(24)을 형성한 제1픽스홀더(2')의 형상도, 도 2c 및 도 2d는 후술할 C형강에 압입 고정되는 픽스(1)의 전후로 끼워넣을 수 있도록 짧게 형성한 제2픽스홀더(2'') 및 제3픽스홀더(2''')의 형상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2)의 b-b 단면도로서, 도 3a는 날개수용부(22)가 6개 형성된 픽스홀더의 단면도, 도 3b는 날개수용부(22)가 3개 형성된 픽스홀더의 단면도, 도 3c는 날개수용부(22)가 2개 형성된 픽스홀더의 단면도이다.
픽스홀더(2)는 습기 등에 부식되는 않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황동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픽스홀더(2)의 원통 형상의 둘레방향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수용부(22)가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픽스(1)의 날개(12)에 의한 피치(P)와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의한 피치(P)는 일치한다.
제1픽스홀더(2')의 후단에는 소정 간격(u)을 가진 한 쌍의 슬릿(24)이 마련되어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T 방향으로 픽스(1)나 이형도금철선이 제1픽스홀더(2') 에 수직하게 끼워질 수 있다. 픽스홀더(2)를 자르면 제2픽스홀더(2'') 또는 제3픽스홀더(2''')와 같이 짧은 픽스홀더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2픽스홀더(2'') 제3픽스홀더(2''') 등은 별도의 부품이 아니라 픽스홀더(2)로부터 생성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부품의 가짓수를 대폭 줄여준다.
도 3a에는 날개수용부(22)가 6개로 이루어진 픽스홀더가 도시되어 있다. 날개수용부(22)는 60° 등간격으로 6개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날개수용부(22) 사이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된다. 6개의 날개수용부(22)를 가진 픽스홀더(2)는 2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도 체결 가능하고(도 6b 참조) 3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도 체결 가능하다(도 6c 참조).
도 3b에는 날개수용부(22)가 3개로 이루어진 픽스홀더가 도시되어 있다. 날개수용부(22)는 120°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날개수용부(22) 사이에는 통형부(23)가 배치되며 날개수용부(22)와 통형부(23) 사이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된다. 3개의 날개수용부(22)를 가진 픽스홀더(2)는 3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 체결 가능하다(도 6d 참조).
도 3c에는 날개수용부(22)가 2개로 이루어진 픽스홀더가 도시되어 있다. 날개수용부(22)는 180° 등간격으로 2개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수용부(22) 사이에는 통형부(23)가 배치되며 날개수용부(22)와 통형부(23) 사이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된다. 2개의 날개수용부(22)를 가진 픽스홀더(2)는 2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 체결 가능하다(도 6e 참조).
도 4a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5)의 일실시예의 형상도, 도 4b 및 도 4c는 그 c-c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공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5)은 대략 정삼각형(도 4b 참조) 또는 정육각형(도 4c 참조)의 단면을 가지는 철선을 길이방향으로 나사 형태로 일정 피치(P)를 가지고 꼬아 놓은 형상이다. 이형도금철선(5)의 피치(P)는 픽스(1) 및 픽스홀더(2)의 피치(P; 도 1a 및 도 2a 참조)와 일치하며, 그 두께(u)는 제1픽스홀더(2')의 슬릿(24)의 두께(u; 도 2b 참조)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캡(4)의 사시도 및 정투상도이다.
캡(4)은 제1픽스홀더(2')에 있어서 슬릿(24)이 형성된 단부(T)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며, 삽입되었을 때 슬릿(24)을 차폐해주어, 제1픽스홀더(2')가 몰탈에 매립될 때 또는 벽돌벽의 줄눈을 주입할 때 몰탈이 슬릿(24)을 통해 제1픽스홀더(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캡(4)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41)와, 상기 기저부(41)의 네 둘레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부(42)와, 상기 기저부(41)의 중앙에서 슬릿(24)의 길이와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43)와, 상기 기저부(41)와 삽입부(43)를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u; 도 2a 참조) 이하의 두께를 가진 리브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캡(4)에는 삽입부(43)의 선단부로부터 기저부(41)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기 구멍(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45)의 기저부 쪽 단부의 개구에는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45)은 캡(4)을 픽스홀더(2)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픽스홀더(2)를 통한 벽체 내외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방충망은 벌레가 통기구멍(45)을 통해 조적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측벽부(42)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어서 빗물을 막아주어 빗물이 통기 구멍(4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a은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1의 픽스(1)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b 내지 도 6e는 그 d-d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와 픽스(1)는 그 피치(P)가 일치하기 때문에 서로 나사방향으로 돌리면서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픽스홀더(2)의 양단부로 픽스(1)를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두개의 픽스(1)를 연결하는 데에 픽스홀더(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b 및 6c를 참조하면, 6개의 날개수용부(22)가 형성된 픽스홀더(2)에는 3개의 날개(12)를 가진 픽스(1)도 체결 가능하고(도 6b), 2개의 날개(12)를 가진 픽스(1)도 체결 가능하다(도 6c). 도 6d를 참조하면 3개의 날개수용부(22)가 형성된 픽스홀더(2)에는 3개의 날개(12)를 가진 픽스(1)가 체결 가능하고, 도 6e를 참조하면, 2개의 날개수용부(22)가 형성된 픽스홀더(2)에는 2개의 날개(12)를 가진 픽스(1)가 체결 가능하다.
픽스(1)의 날개(12)는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약간의 갭(G)을 유지하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다. 기하학적으로는 픽스(1)의 중심에서부터 날개(12)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 게 되어, 날개(12)가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픽스(1)가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픽스(1)가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픽스(1)는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픽스(1)와 픽스홀더(2)는 각각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기계요소의 나사의 피치에 비해 본원의 픽스(1)와 픽스홀더(2)의 피치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픽스(1)와 픽스홀더(2)를 서로 1 피치 정도만 겹치게 체결하더라도 길이방향으로 매우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면 형상으로 보았을 때 픽스(1)와 픽스 홀더(2)에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부재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여 부재의 휨 강성을 크게 해준다.
또한 도 6b 내지 도 6e에 도시되어 있듯이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G)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상기 픽스(1) 및 픽스홀더(2)를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갭(G)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픽스(1)의 심축(11)과 픽스홀더(2)의 오목부(21) 내지 통형부(23) 사이의 이격공간(S)은 습기나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게 하여 물고임 등으로 인한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날개수용부(22)가 6개인 경우에는, 날 개(12)를 수용하지 않은 나머지 날개수용부(22)의 내부면적이 이격공간(S)에 가세되어 단면적이 더욱 넓은 통기공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픽스홀더(2)의 외면에 굴곡을 더 많이 주기 때문에 슬릿(24)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효과를 내고, 특히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방향을 굳이 맞추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날개(12)가 날개수용부(22)로 유도되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도 7a는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4의 이형도금철선(5)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 도 7b 내지 도 7d는 그 e-e 단면도, 그리고 도 7e는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1의 픽스(1)와 도 4의 이형도금철선(5)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형도금철선(5)의 피치도 픽스홀더(2)의 피치와 일치하므로, 픽스(1)와 픽스홀더(2)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였듯이, 이형도금철선(5)과 픽스홀더(2)도 도 7a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가 6개인 경우에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삼각형 단면의 이형도금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고 정육각형 단면의 이형도금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다.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가 3개인 경우에는 정삼각형 단면의 이형도금철선(5)과 체결 가능하다.
기하학적으로는 이형도금철선(5)의 중심에서부터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이형도금철선(5)의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이형도금철선(5)이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 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이형도금철선(5)이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이형도금철선(5)은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이형도금철선(5)과 픽스홀더(2) 모두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기계요소의 나사의 피치에 비해 그 피치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서로 1 피치 정도만 겹치게 체결하더라도 길이방향으로 매우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7b 내지 도 7d에도 도시되어 있듯이 이형도금철선(5)과 픽스홀더(2) 체결시 둘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이들을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이러한 갭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1)와 이형도금철선(5)을 픽스홀더(2)로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1의 픽스, 도 2의 픽스홀더, 도 4의 이형도금철선의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콘크리트벽과 같은 내벽(IW)에 픽스(1)를 압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제1픽스홀더(2')를 픽스(1)의 후단부에 돌려 넣어 체결한 후, 제1픽스홀더(2')의 단부에 형성된 슬릿(24)을 통해 T방향으로 또 다른 픽스(1)를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도 8a). 선택적으로, 또 다른 픽스(1) 대신, 도 8b와 같이 이형도금철선(5)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픽스홀더를 사용하면 픽스(1) 및 이형도금철선(5)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측방향)으로도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제1픽스홀더(2')와 도 5의 캡(4)의 체결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하였듯이, 제1픽스홀더(2')의 슬릿(24)이 형성된 단부로 캡(4)을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캡(4)의 리브부가 슬릿(24)에 끼워지도록 끼울 수 있으며, 캡(4)이 끼워진 후에는 삽입부(43)가 슬릿(24)에 의해 트여진 부분을 차폐하기 때문에 픽스홀더를 몰탈에 매립할 때 슬릿(24)을 통해 몰탈이 침투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서서는 픽스홀더에 대한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대한 측방향으로의 연결에 대해 설명하였다. 후술할 상하체결구를 사용하게 되면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으로도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상하체결구의 실시예들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상하체결구(3, 3')를 이용하여 픽스홀더와 픽스(1) 또는 픽스홀더와 이형도금철선(5)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하체결구로서는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 형상의 상하체결구(3)를 이용할 수 있다. 상하체결구(3)는 대략 원통형상의 픽스홀더를 길이방향으로 끼워 걸 수 있는 탄성변형 가능한 걸림부(32)와 그 측면에 형성되어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이 상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31)가 형성되어 있 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하체결구(3)의 수용부(31)에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에 끼운 상태에서 걸림부(32)를 제1픽스홀더(2')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반대로 상하체결구(3)의 걸림부(32)를 제1픽스홀더(2')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수용부(31)를 통해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에 끼울 수도 있다. 걸림부(32)는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1픽스홀더(2')의 위에서 아래로 강하게 누르면 찰칵하며 끼워질 수 있다.
또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이어 스프링 형상의 상하체결구(3')를 이용할 수 있다. 상하체결구(3')는, 수용부(31')의 경우 와이어가 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부(32')의 경우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가 상기 수용부를 이루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먼저 두 걸림부(32')를 서로 벌려 그 사이로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을 끼워넣어 수용부(31')에 삽입하고(벌린 걸림부(32')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간다), 다음으로 걸림부(32')를 제1픽스홀더(2')의 중앙부분에 위에서 아래로 밀어 끼워 넣음으로써 제1픽스홀더(2')와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하체결구(3')는 탄성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체결을 하면 수용부(31')와 걸림부(32')의 Ω 형상의 둥근 내부에 제1픽스홀더(2')와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이 잘 고정되게 된다.
와이어스프링 방식의 상하체결구(3')의 경우, 제1픽스홀더(2')와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을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시킨 상태에서 걸림부(32')를 벌려 픽스(1) 또는 이형도금철선(5)을 수용부(31')에 끼우고 이어서 걸림 부(32')를 제1픽스홀더(2')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 방식의 상하체결구(3)에 비해 더 편리한 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픽스(1), 픽스홀더(2, 2', 2'', 2'''), 상하체결구(3, 3'), 캡(4), 이형도금철선(5)을 사용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 14a는 도 13의 A-A단면도, 도 14b는 도 13의 B-B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벽돌벽 내에 C형강(C)이 배치되고, C형강과 C형강 사이, 그리고 C형강과 벽돌벽 사이의 공간에 방수성 단열재 등(미도시)이 내장된 벽체에 있어서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그리고 건물의 높이를 따라 일정간격 C형강(C)에 픽스(1)를 압입 고정하고, 그 후방에 제1픽스홀더(2')를 끼워 넣은 후, 이형도금철선(5)을 이용하여 상기 제1픽스홀더(2')를 상하 좌우로 연결하고, 이것이 벽돌 벽체 내부에 몰탈(M)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제1픽스홀더(2')를 상하로 연결할 때에는 상하체결구(3)를 사용하였으며, 좌우로 연결할 때에는 제1픽스홀더(2')의 슬릿(24)을 이용하였다. 제1픽스홀더(2')를 상하 좌우로 연결할 때에 또 다른 픽스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하체결구(3')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벽돌을 신축하며 보강하는 경우 벽돌을 쌓으며 픽스와 픽스홀더(2)를 벽돌 단 사이에 개지하는 순서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건물의 둘레방향으로 픽스(1)를 압입할 높이인 X1단까지 벽돌을 쌓는다.
그 다음 픽스(1)를 C형강(C)에 박아 고정하고, 그 후단에 제1픽스홀더(2')를 끼워 넣은 후, 제1픽스홀더(2')의 상하방향으로 상하체결구(3)를 사용하여 이형도금철선(5)을 연결하고, 제1픽스홀더(2')의 좌우방향으로 슬릿(24)을 통하여 이형도금철선(5)을 끼워 넣어 연결한 후, 다시 X2 단에서 다음 픽스 압입 높이인 X8 단까지 벽돌(B)을 조적한다. 이 때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이형도금철선(5)이 벽돌(B)에 형성된 구멍(BH)을 관통하거나 벽돌과 벽돌 사이의 틈새를 관통하는 상태가 되도록 벽돌을 조적하면서 해당 구멍이나 틈새에 몰탈(M)을 채운다.
그 다음에는 앞서 설명한 픽스 압입과 픽스홀더 연결, 픽스 상하 좌우 연결과정을 거치고 다시 벽돌을 쌓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조적을 하면 된다.
그러면 벽돌벽이 픽스나 픽스홀더, 이형도금철선에 의해 C형강(C)에 단단히지지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구멍(BH)이 3개 형성된 벽돌(B)이 한단 한단 엇갈려 쌓이기 때문에, 상하 연결시킨 이형도금철선(5)이 모든 단에서 벽돌 구멍(BH)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도 14a 참조) 줄눈과 벽돌 구멍(BH)을 한단씩 번갈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도 14b 참조).
앞서 상하 연결과정 또는 좌우 연결과정에서 픽스나 이형도금철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 도 6a, 도 7a,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를 사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공법 순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내벽의 C형강(C)에 픽스(1)를 박을 높이까지 벽돌(B)을 조적한 후,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강(C)에 픽스(1)를 압입 고정한다. 픽스(1)의 압입 고정 방식은, 먼저 C형강(C)에서 픽스(1)가 박힐 위치를 천공하고 픽스(1)를 압입한 후, 픽스(1)의 전방(C형강의 내측)으로는 와셔(W)와 제3픽스홀더(2''')를 차례로 넣으며, 픽스(1)의 후방(C형강의 외측)으로는 와셔(W)와 제2픽스홀더(2'')를 차례로 넣는다. 이 때 와셔(W)와 픽스홀더(2'', 2''')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분리형일 수도 있으며 와셔(W)를 생략할 수도 있다. 픽스홀더(2'', 2''')를 넣을 때에는 나사방향으로 돌려 넣는다. 이 픽스홀더(2'', 2''')의 내부, 특히 제3픽스홀더(2''')의 내부에는 에폭시를 넣어 픽스(1)와 픽스홀더(2'', 2''')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접착한다.
다음,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1)의 후방으로 제1픽스홀더(2')를 돌려서 제1픽스홀더(2')의 후단이 벽돌의 외측 단부에서 약간 들어간 위치까지 들어가도록 끼워 넣는다. 이때 제1픽스홀더(2')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24)이 좌우방향으로 트여진 위치가 되도록 정렬시킨다.
다음,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픽스홀더(2')의 대략 중간부분에 상하체결구(3)를 사용하여 이형도금철선(5)을 제1픽스홀더(2')에 연결한다. 상하체결구는 와이어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형도금철선(5) 대신 또 다른 픽스를 사용하여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픽스홀더(2')의 후단부에 캡(4)을 앞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리브부가 슬릿에 넣어지도록 끼운 후, 도 15e와 같이 벽돌(B)의 내측으로부터 대략 2/3 가량만 몰탈(M)을 채운 후, 상부 벽돌을 조적한다(상부 벽돌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도시).
이와 같이 일단 픽스(1)를 C형강(C)에 고정하고 제1픽스홀더(2')를 상하방향으로만 연결하면서 조적을 하면, 조적벽체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건물의 둘레를 따라 덜 채워진 줄눈에 일정 간격 캡(4)이 노출된 것이 보일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되어 보이는 캡(4)을 제거하고 이형도금철선(5)을 제1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밀어 넣는다. 이형도금철선(5) 대신 또 다른 픽스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캡(4)을 씌운 후, 도 1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직 채워지지 않은 나머지 1/3 부분에 몰탈을 주입한다. 이 때 캡(4)은 측벽부(42) 부분이 줄눈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해 비가 내릴 때 물이 통기구멍(45)을 통해 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은 제1픽스홀더(2')의 좌우연결과정을 벽체 조적 후 나중에 수행하는데 그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벽돌을 신축 조적할 때, 조적공들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조적공들은 픽스와 픽스홀더에 대한 사용과 시공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신축 현장마다 매번 조적공들에게 픽스와 픽스홀더의 사용법을 설명해야 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고, 또한 설명을 하더라도 공구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을 하는 것은 작업 효율성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조적공들은 픽스와 픽스홀더에 대한 최소한의 작업만 해주고, 나머지 작업은 전문적으로 픽스와 픽스홀더를 다룰 수 있는 훈련된 작업자들이 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앞서 도 15와 관련하여 설명한 작업 방식은 조적공과 픽스홀더 작업자의 작업을 전문 이원화할 수 있는 방안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의 보강공법의 공법 순서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방식은 작업을 이원화하지 않고 일거에 조적하는 방식이다.
도 16a와 도 16b 까지는 도 15a와 도 15b와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내벽의 C형강(C)에 픽스(1)를 박을 높이까지 벽돌(B)을 조적한 후,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강(C)에 픽스(1)를 압입 고정한다. 픽스(1)의 압입 고정 방식은 이미 앞서 설명하였다.
다음,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1)의 후방으로 제1픽스홀더(2')를 돌려서 제1픽스홀더(2')의 후단이 벽돌의 외측 단부에서 약간 들어간 위치까지 들어가도록 끼워 넣는다. 이때 제1픽스홀더(2')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24)이 좌우방향으로 트여진 위치가 되도록 정렬시킨다.
다음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픽스홀더(2')의 대략 중간부분에 상하체결구(3)를 사용하여 이형도금철선(5)을 제1픽스홀더(2')에 상하로 연결하고 또 제1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이형도금철선(5)을 제1픽스홀더(2')에 좌우로 연결한다. 상하체결구는 와이어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형도금철선(5) 대신 또 다른 픽스를 사용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다음,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픽스홀더(2')의 후단부에 캡(4)을 앞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리브부가 슬릿에 넣어지도록 끼운 후, 도 16e와 같이 몰탈(M)을 채운 후, 상부 벽돌을 조적한다(상부 벽돌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도시). 이 때 캡(4)은 측벽부(42) 부분이 줄눈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해 비가 내릴 때 물이 통기구멍(45)을 통해 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은 건물의 둘레를 따라 픽스를 내벽의 C형강에 강하게 고정하고 이들을 픽스홀더와 다른 픽스에 의해 강하게 서로 연결함으로써 조적벽체가 강건하게 보강될 수 있으며, 특히 많은 부품이 필요 없이 단지 픽스, 픽스홀더, 상하체결구만으로 보강을 시행할 수 있어 시공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며, 픽스의 날개와 픽스홀더의 날개 수용부의 외관 특성상 몰탈과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픽스의 날개와 픽스홀더의 날개 수용부 사이에 갭을 주어 열팽창 차이에 따른 간섭 극복과 통기 현상으로 인한 부식 및 균열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예를 들면 제1픽스홀더를 상하방향으로만 연결하고 좌우 연결은 생략한다든지 좌우방향으로만 연결하고 상하 연결 은 생략한다든지 하는 것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픽스가 압입될 건물의 높이 직전까지 벽돌을 조적하는 하부 벽돌 조적 과정,
    건물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조적벽체 내측의 C형강을 천공하고 픽스를 압입 고정하는 과정,
    상기 C형강에 압입된 픽스들의 후단에 픽스홀더를 체결하는 픽스홀더 체결 과정,
    상기 픽스홀더들의 후단을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으로 연결하는 픽스 좌우연결 과정,
    픽스 좌우연결 과정 후에, 픽스가 압입된 건물의 높이 상부로 벽돌을 조적하는 상부 벽돌 조적과정,
    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 좌우 연결 과정과 함께 상기 픽스 홀더의 중앙 부분에 또 다른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픽스 상하연결 과정을 수행하고,
    상부 벽돌 조적과정에서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이 벽돌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거나 벽돌과 벽돌 사이의 틈새를 관통하는 상태 가 되도록 벽돌을 조적하면서 해당 구멍이나 틈새에 몰탈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3.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픽스가 압입될 건물의 높이 직전까지 벽돌을 조적하는 하부 벽돌 조적 과정,
    건물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조적벽체 내측의 C형강을 천공하고 픽스를 압입 고정하는 과정,
    상기 C형강에 압입된 픽스들의 후단에 픽스홀더를 체결하는 픽스홀더 체결 과정,
    상기 픽스 홀더의 중앙 부분에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픽스 상하연결 과정,
    픽스 상하연결 과정 후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이 벽돌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거나 벽돌과 벽돌 사이의 틈새를 관통하는 상태가 되도록 벽돌을 조적하고 해당 구멍이나 틈새에 몰탈을 채우는 상부 벽돌 조적과정,
    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픽스 상하연결 과정 후 상부 벽돌을 조적하기 전에 벽돌의 내측으로부터 대략 2/3 가량만 몰탈을 채우고 상부 벽돌을 조적한 후,
    상기 픽스홀더들의 후단을 또 다른 별도의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으로 연결하는 픽스 좌우연결 과정을 수행하고 나머지 1/3 부분에 몰탈을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의 압입 고정은 C형강에 압입된 픽스의 전후방으로 와셔 및 픽스홀더를 끼워넣고 에폭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공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는 중심을 이루는 심축과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는 심축을 중심으로 픽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픽스홀더는 긴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나사처럼 감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형도금철선은 단면이 대략 정다각형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나사처럼 감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픽스, 픽스홀더 및 이형도금철선의 피치가 서로 일치하여 픽스와 픽스홀더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와 픽스홀더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의 날개는 2개 또는 3개이고,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는 6개이며, 상기 이형도금철선은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를 픽스와 체결하였을 때, 상기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에는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의 진동 흡수가 가능한 갭이 존재하고, 상기 날개수용부 사이의 오목부와 심축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존재하여서,
    픽스홀더가 몰탈에 매몰되도록 하여 줄눈을 형성할 때 픽스홀더의 후단부가 줄눈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하여 조적벽체의 내부와 외부가 통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벽체 보강 공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에는 픽스홀더의 일측으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 체결과정에서 슬릿이 형성된 쪽이 벽체의 외측을 향하고 슬릿이 트여진 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되도록 픽스홀더를 정렬함으로써,
    픽스 좌우연결 시 상기 픽스홀더의 일측으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 또는 이 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건물의 둘레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는 픽스홀더의 슬릿이 형성된 방향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한 캡을 더 구비하여서,
    벽돌 사이의 줄눈에 픽스홀더를 몰탈로 매립할 때, 픽스홀더의 슬릿 방향으로 캡을 삽입하여 슬릿을 차폐함으로써 몰탈이 슬릿을 통해 픽스홀더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공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네 둘레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중앙에서 전방 돌출되어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기저부와 삽입부를 좌우에서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 이하의 두께를 가진 리브부;
    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저부가 좌우로 길게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캡을 픽스홀더의 후방으로 끼우 면 리브부가 슬릿에 수용되며 삽입부가 슬릿의 트여진 공간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기저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의 기저부 쪽 단부의 개구에는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어서,
    캡을 끼운 상태에서도 픽스홀더를 통해 조적벽체의 내기와 외기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3.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 상하연결 과정에서 상하체결구가 사용되며,
    상기 상하체결구는 픽스홀더의 중앙 부분에 탄성 체결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픽스 홀더와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의 상하방향 연결은, 픽스홀더의 중앙부분에 걸림부가 체결되고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이 수용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체결구는 탄성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수용부는 와이어가 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가 상기 수용부를 이루는 평면에 대략 수직인 평면 상에서 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먼저 걸림부를 벌려 그 사이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끼워넣어 수용부에 삽입하고 다시 걸림부를 픽스홀더의 중앙부분에 끼워 넣음으로써 픽스 홀더와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20060064384A 2006-05-24 2006-07-10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080005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84A KR20080005708A (ko) 2006-07-10 2006-07-10 조적벽체 보강 공법
PCT/KR2007/002524 WO2007136233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US12/227,588 US20090260312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GB0821279A GB2451787B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84A KR20080005708A (ko) 2006-07-10 2006-07-10 조적벽체 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08A true KR20080005708A (ko) 2008-01-15

Family

ID=3921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84A KR20080005708A (ko) 2006-05-24 2006-07-10 조적벽체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7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754B1 (ko) * 2012-08-16 2013-02-12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20180029530A (ko) * 2016-09-12 2018-03-21 정정일 황토블럭을 사용한 외벽의 시공구조
KR102639032B1 (ko) * 2023-02-01 2024-02-20 주식회사 아이지건업 균열된 조적부재의 외장벽체의 보강지지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지지보강된 외장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754B1 (ko) * 2012-08-16 2013-02-12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20180029530A (ko) * 2016-09-12 2018-03-21 정정일 황토블럭을 사용한 외벽의 시공구조
KR102639032B1 (ko) * 2023-02-01 2024-02-20 주식회사 아이지건업 균열된 조적부재의 외장벽체의 보강지지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지지보강된 외장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US20090260312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948670B1 (ko) 벽돌
KR200421510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415963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CN107313516B (zh) 蒸压加气混凝土墙板与钢梁连接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KR20010091455A (ko) 벽체용 패널의 접합구조 및 조립시공방법
KR200419852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0711243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408599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CN211229046U (zh) 连接件及alc条板安装节点结构
CN209817215U (zh) 叠合楼板与墙体的连接组件
KR102268986B1 (ko) 개량형 벽돌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적구조
KR20030009834A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0790018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200443542Y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KR200350167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관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KR200423652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KR200158947Y1 (ko) 벽돌용 연결철물
KR102364921B1 (ko) 앵커 어셈블리
KR200354388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