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52Y1 -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52Y1
KR200423652Y1 KR2020060013924U KR20060013924U KR200423652Y1 KR 200423652 Y1 KR200423652 Y1 KR 200423652Y1 KR 2020060013924 U KR2020060013924 U KR 2020060013924U KR 20060013924 U KR20060013924 U KR 20060013924U KR 200423652 Y1 KR200423652 Y1 KR 200423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
release
wire
fix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선진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선진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2020060013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52Y1/ko
Priority to US12/227,588 priority patent/US20090260312A1/en
Priority to PCT/KR2007/002524 priority patent/WO200713623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2Replacing or add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형도금철선에 관한 것으로,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강성이 뛰어나고 몰탈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조적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할 때 픽스홀더의 슬릿에 삽입 가능하고,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한 이형도금철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형도금철선은, 단면이 대략 정삼각형 형상이며, 철선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나사형태로 감겨져 있고, 그 두께는 내벽에 박힌 픽스의 후방에 삽입되는 픽스홀더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으며, 그 피치는 3개 또는 6개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나사형태로 감겨져 있는 픽스홀더의 피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COATED WIRE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조적벽체 보강 공사에 사용되는 픽스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픽스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픽스, 픽스홀더 및 이형도금철선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a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4b의 b-b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픽스 11: 심축
12: 날개
2, 2': 픽스홀더 21: 오목부
22: 날개수용부 23: 공간부
24: 슬릿
5: 이형도금철선
C: 내벽 G: 갭
S: 이격공간 T: 슬릿의 트여진 단부
본 고안은 조적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픽스 및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강성이 뛰어나고 몰탈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조적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할 때 픽스홀더의 슬릿에 삽입 가능하고,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한 이형도금철선에 관한 것이다.
조적 벽체는 돌, 벽돌,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 등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구조로서,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벽돌구조, 석조(石造), 콘크리트블록 구조를 순조적구조(純組積構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고, 특히 석조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구조적으로도 지진이 적은 서유럽 등에서는 각종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意匠的)으로도 뛰어난 아치(arch)나 돔(dome) 등이 오래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도 벽돌구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벽돌구조는 단순히 벽돌만을 쌓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내벽의 외면에 벽돌을 쌓아올리는 것으로, 이 내벽과 벽돌 간의 결합력이 매우 중요하다. 내벽과 벽돌벽 사이에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 지진이나 충격 또는 풍압에 의 해 조적하였던 벽돌이 무너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 조적된 벽돌을 내벽과 긴밀히 결합하도록 하여 벽돌이 무너져버리거나 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들 벽돌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심축과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는 픽스를 내벽에 박아 벽돌벽과 내벽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고 있었다.
종래에는 픽스를 내벽에 박은 후, 픽스와 벽돌벽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품이 많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내벽에 박힌 픽스와 픽스를 서로 견고히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픽스의 날개 수에 따라 적용되는 부품이 달라져서 작업시 픽스의 날개 수에 맞는 부품을 준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자 픽스홀더를 고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제20-2006-0003799호, 제20-2006-0004630호, 제20-2006-0010975호)을 하였다.
앞서 출원한 고안에는 픽스홀더와 픽스홀더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이형도금철선이 사용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출원인은 픽스와 픽스홀더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 시 픽스홀더와 픽스홀더를 연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단순히 종래의 이형도금철선을 이용하는 경우 철선의 길이가 짧을 때 철선끼리 서로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픽스를 사용할 경우 철선보다 단가가 높아 비경제적일 수 있기 때문에, 값이 싸면서도 픽스홀더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이 용이하여 사용상에 더욱 편리함을 제공하는 이형도금철선을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 값이 싸고, 또한 몰탈과 잘 접착되면서도 굽힘 강성 등이 뛰어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이형도금 철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으로서, 단면이 대략 정삼각형 형상이며, 철선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나사형태로 감겨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동일한 양의 재료를 사용할 때 철선은 동일 면적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여러 단면 형상 중 정삼각형 단면 형상은, 그 형상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무게중심으로부터 단면적이 균형 있게 가장 멀리 분포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 측방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강한 굽힘 강성을 가질 수 있는 형상이다. 또한 정다각형 형상 중 정삼각형은 꼭지점 내각이 가장 작아 세 꼭지점 부분의 돌출 정도가 크고, 길이방향으로 나사형태로 감겨져 있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분이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나사형태로 감겨져 있지 않은 이형도금철선에 비해 몰탈과의 접착성도 매우 뛰어나다.
상기 이형도금철선의 두께는 내벽에 박힌 픽스의 후방에 삽입되는 픽스홀더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다. 이는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슬릿에 삽입 가능하게 하여 건물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내벽에 박힌 픽스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형도금철선의 피치는 3개 또는 6개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나 사형태로 감겨져 있는 픽스홀더의 피치와 일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이형도금철선의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 부분을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에 수용시키며 이형도금철선과 픽스홀더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서로 길이방향으로 체결 가능하게 하여 짧은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픽스홀더의 피치는 픽스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픽스 및 이형도금철선과 사용할 수 있는 픽스홀더의 호환성을 증대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 시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조적벽체 보강 공사에 사용되는 픽스(1)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픽스(1)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2)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2)와 함께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5)의 형상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픽스(1)는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아니하며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서, 중심을 이루는 심축(11)과 심축 둘레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개(12)는 심축(11)을 중심으로 픽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날개(12)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도 1b 참조) 또는 2개(미도시) 정도의 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강도와 구조의 단순화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픽스홀더(2)는 습기 등에 부식되는 않는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황동 등,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픽스홀더(2)의 원통 형상의 둘레방향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수용부(22)가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픽스(1)의 날개(12)에 의한 피치(P; 도 1a 참조)와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의한 피치(P)는 일치하여서 이들을 서로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날개수용부(22)는 2개(미도시), 3개(도 2c 참조), 6개(도 2b 참조) 등의 개수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날개수용부(22)가 6개인 픽스홀더(2)는 2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도 체결 가능하고(미도시) 3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도 체결 가능하다(도 5a 참조)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정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이형도금철선(5; 도 3 참조)과 함께 사용할 때에는 도 2b 및 도 2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6개 또는 3개의 날개수용부(22)가 형성된 픽스홀더(2)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들을 종합해본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수용부(22)가 6개인 픽스홀더(2)가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픽스홀더(2)의 일측에는 픽스홀더(2)의 단부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24)이 구비되어 있다. 슬릿(24)은 후술할 이형도금철선(5; 도 4a 참조)을 끼워 넣을 수 있을 정도의 간격(u)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이형도금철선(5)은 대략 정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철선을 길이방향으로 나사 형태로 일정 피치(P)를 가지고 꼬아 놓은 형상이다. 이형도금철선(5)의 피치(P)는 픽스홀더(2)의 피치(P; 도 2a 참조) 와 일치하며, 그 두께(u)는 픽스홀더(2)의 슬릿(24)의 두께(u; 도 2a 참조)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이하 상기한 픽스(1), 픽스홀더(2) 및 이형도금철선(5)의 사용례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픽스(1), 픽스홀더(2, 2') 및 이형도금철선(5)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a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4b의 b-b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조적벽체를 보강하고자 할 때 먼저 건물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내벽(C)에 픽스(1)를 박아 넣고, 슬릿(24)이 뒤로 가도록 픽스(1) 후방에 픽스홀더(2)를 회전시키어 끼워 넣고, 뒤에 위치한 슬릿(24)의 트여진 단부(T)를 통해 이형도금철선(5)을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끼워 넣게 된다. 이 때 삽입하는 이형도금철선(5)은 이웃하는 픽스홀더(2)의 슬릿(24)에도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이형도금철선(5)에 의해 이웃하는 픽스 및 픽스홀더(1, 2) 끼리 서로 연결된다. 픽스홀더(2)와 이형도금철선(5)에 해당하는 부분은 건물의 둘레를 따라 조적되는 벽돌의 줄눈 부분 즉 몰탈에 파묻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픽스홀더(2)와 이형도금철선(5)은 몰탈에 의해 벽돌벽 부분과 단단히 고정되고, 픽스(1)는 내벽에 압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며, 픽스(1)와 픽스홀더(2)가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적벽체가 내벽에 단단히 연결되는 방식으로 조적벽체의 보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6개 및 3개의 날개수용부(22)를 가지는 픽스홀 더(2)에 픽스(1)를 체결한 경우, 픽스(1)의 날개(12)는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약간의 갭(G)을 유지하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나사를 체결하듯이 픽스(1)와 픽스홀더(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픽스(1)는 픽스홀더(2)의 내부로 끼워져 들어갈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는 픽스(1)의 중심에서부터 날개(12)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날개(12)가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픽스(1)가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를 몰탈이 감싸게 되어 픽스홀더(2)를 강성지지하고 고정하기 때문에 픽스(1)가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거나 회전되지 않으므로, 픽스(1)는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되어 있듯이 날개(12)가 수용되지 아니한 날개수용부(22) 또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듯이 공간부(23)에 의해 허용되는 공간은 조적벽체의 내부와 외부의 통기공 역할을 하게 된다.
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이형도금철선(5)으로 픽스홀더(2)들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이형도금철선(5)이 짧거나 하여 이형도금철선(5)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이형도금철선(5, 5)을 또 다른 픽스홀더(2')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6개 및 3개의 날개수용부(22)를 가지는 픽스홀더(2)에 이형도금철선(5)을 길이방향으로 체결한 경우, 이형도금철선(5)의 삼각형 단면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은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끼워질 수 있는 형 상이다. 따라서 나사를 체결하듯이 이형도금철선(5)과 픽스홀더(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이형도금철선(5)은 픽스홀더(2')의 내부로 끼워져 들어갈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는 이형도금철선(5)의 중심에서부터 꼭지점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 또는 공간부(23)의 외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이형도금철선(5)의 꼭지점 부분이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이형도금철선(5)이 픽스홀더(2')에 고정된다.
이형도금철선(5)은 그 단면형상과 길이방향으로 나사형태로 꼬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작을 쉽게 할 수 있고 강성이 뛰어나며 몰탈과의 접착력도 우수하고, 특히 픽스(1)와 픽스홀더(2, 2')를 사용하는 조적벽체 보강시 픽스홀더(2, 2')와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매우 편리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형도금철선은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어느 방향으로 측방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강한 굽힘 강성을 가지며, 몰탈과의 접착성도 매우 뛰어나다. 또 이형도금철선은 픽스홀더의 슬릿에 삽입 가능하여 픽스홀더를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으며,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하여 두개의 이형도금철선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 시 매우 편리하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으로서,
    단면이 대략 정삼각형 형상이며,
    철선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나사형태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도금철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도금철선의 두께는 내벽에 박힌 픽스의 후방에 삽입되는 픽스홀더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아서 슬릿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도금철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도금철선의 피치는 3개 또는 6개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나사형태로 감겨져 있는 픽스홀더의 피치와 일치하여서, 이형도금철선의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 부분을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에 수용시키며 이형도금철선과 픽스홀더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서로 길이방향으로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도금철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의 피치는 픽스의 피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도금철선.
KR2020060013924U 2006-05-24 2006-05-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KR200423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24U KR200423652Y1 (ko) 2006-05-24 2006-05-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US12/227,588 US20090260312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PCT/KR2007/002524 WO2007136233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24U KR200423652Y1 (ko) 2006-05-24 2006-05-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52Y1 true KR200423652Y1 (ko) 2006-08-09

Family

ID=4177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924U KR200423652Y1 (ko) 2006-05-24 2006-05-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6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08Y1 (ko) * 2021-07-19 2021-11-12 한덕구 스크류 보강부재, 연결캡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류 보강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08Y1 (ko) * 2021-07-19 2021-11-12 한덕구 스크류 보강부재, 연결캡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류 보강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0312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EP1517774B1 (en) Method for providing attachments between a concrete part to a further part
KR101371098B1 (ko) 조적벽체 보강 구조
US20140096476A1 (en) Large Scale Concrete Girder Using UHPC Member as Form and Structur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70056242A1 (en) Connector for concrete panels
KR200415963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423652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KR100948670B1 (ko) 벽돌
CN104482011B (zh) 一种双固锚栓
US20220018133A1 (en) Sleeve for connecting steel bar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US4351139A (en) Connecting element for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members that are to be cast one after the other
KR200421510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790018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102392467B1 (ko)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JP649241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EP2543785A1 (en) A method and a dowel system for securing insulation in concrete elements
KR200419852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CN219240184U (zh) 一种传力杆固定装置
KR100711243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2141231B1 (ko) 선조립 보 스트립과 탄성 고정구를 이용한 합성보 시공 방법
KR200459170Y1 (ko)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WO2010002049A1 (en) Reinforcing rod, reinforcing rod coupler and coupling method thereby
CN218933843U (zh) 曲面异形孔洞的模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