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510Y1 -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510Y1
KR200421510Y1 KR2020060010975U KR20060010975U KR200421510Y1 KR 200421510 Y1 KR200421510 Y1 KR 200421510Y1 KR 2020060010975 U KR2020060010975 U KR 2020060010975U KR 20060010975 U KR20060010975 U KR 20060010975U KR 200421510 Y1 KR200421510 Y1 KR 200421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
holder
fix holder
longitudinal directio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이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섭 filed Critical 이완섭
Priority to KR2020060010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7Building elements with the appearance of several bricks

Abstract

본 고안은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며 픽스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2 이상의 픽스를 길이방향 또는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픽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가 6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2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3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와도 체결 가능한 픽스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픽스홀더는,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픽스와 체결되는 픽스홀더로서, 상기 픽스홀더는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픽스의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상기 날개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져 있어서, 픽스홀더를 픽스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홀더를 픽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는 6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날개가 2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날개가 3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며, 6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이형도금철선과도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조적벽체 보강 공사에 사용되는 픽스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픽스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픽스와 도 2의 픽스홀더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2의 벽체 조적시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와 삼각투상도;
도 5는 도 2의 픽스홀더와 도 4의 캡의 체결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 도 2 및 도 4의 픽스, 픽스홀더 및 캡을 사용하여 조적벽체를 보강 신축하는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한 이형도금철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이형도금철선과 픽스홀더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픽스 11: 심축
12: 날개 2: 픽스홀더
21: 오목부 22: 날개수용부
24: 슬릿 3: 브라캣
31: 통공 32: 탄성체결부
4: 캡 41: 기저부
42: 양측부 43: 삽입부
44: 연결부 45: 통기 구멍
46: 방충망 5: 이형도금철선
B: 벽돌 BH: 구멍
C: 내벽 CH: 홀
G: 갭 S: 이격공간
T: 슬릿의 트여진 단부
본 고안은 심축과 심축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싸는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픽스와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픽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는 6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날개가 2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날개가 3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도록 한 픽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조적 벽체는 돌, 벽돌,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 등을 쌓아 올려서 벽 을 만드는 건축구조로서,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벽돌구조, 석조(石造), 콘크리트블록 구조를 순조적구조(純組積構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고, 특히 석조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구조적으로도 지진이 적은 서유럽 등에서는 각종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意匠的)으로도 뛰어난 아치(arch)나 돔(dome) 등이 오래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도 벽돌구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벽돌구조는 단순히 벽돌만을 쌓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내벽의 외면에 벽돌을 쌓아올리는 것으로, 이 내벽과 벽돌 간의 결합력이 매우 중요하다. 내벽과 벽돌벽 사이에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 지진이나 충격 또는 풍압에 의해 조적하였던 벽돌이 무너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 조적된 벽돌을 내벽과 긴밀히 결합하도록 하여 벽돌이 무너져버리거나 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들 벽돌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심축과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는 픽스를 내벽에 박아 벽돌벽과 내벽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픽스를 내벽에 박은 후, 픽스와 벽돌벽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품이 많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내벽에 박힌 픽스와 픽스를 서로 견고히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픽스의 날개 수에 따라 적용되는 부품이 달라져서 작업시 픽스의 날개 수에 맞는 부품을 준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벽에 압입된 픽스와 체결되면서 동시에 압입된 픽스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간편하게 연결하면서도, 압입된 픽스 간에 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 픽스홀더를 제공하며, 특히 2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3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여 작업 과정이 편리한 픽스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픽스와 체결되는 픽스홀더로서, 상기 픽스홀더는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픽스의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상기 날개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져 있어서, 픽스홀더를 픽스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홀더를 픽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는 6개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이 날개수용부를 소정 간격으로 6개 형성하면, 날개가 2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날개가 3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게 되어 픽스와 픽스홀더 체결에 매우 편리하고, 픽스의 날개가 수용되지 않은 날개수용부의 내부 면적이 통기공의 면적에 더해져 통기공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픽스홀더의 양단을 벽돌벽 의 외측과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였을 때 조적벽체에 있어서 더 넓은 통기공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갯수가 픽스의 날개의 갯수보다 많기 때문에 픽스의 날개 수와 동일한 날개수용부를 가지는 픽스홀더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픽스와 픽스홀더를 정렬시켜야 하는 부담이 줄어들어 체결시 더욱 편리하게 된다. 또한 날개수용부가 6개인 것은 6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이형도금철선과도 길이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픽스홀더를 픽스와 체결하였을 때 상기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에는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의 진동 흡수가 가능한 갭이 존재하고, 상기 날개수용부 사이의 오목부와 심축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존재한다.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의 갭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정도의 차이를 흡수하여 구조물을 한층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격공간은 픽스홀더의 양단이 벽돌벽의 외측과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면 상기 날개가 수용되지 않은 날개수용부와 함께 조적벽체에 있어서 통기공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픽스홀더에는 픽스홀더의 일측으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의 일측으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픽스홀더는 픽스와 간단하게 결합되면서도 날개 수용부의 외관 특성상 몰탈과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픽스홀더만이 매설된 벽돌벽의 외부에서도 픽스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홀더는 픽스홀더에 형성된 슬릿 방향에서 삽입 및 분리 가능한 캡을 더 구비하여서, 슬릿 방향으로 캡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슬릿이 차폐되어 몰탈이 슬릿을 통해 필스홀더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캡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줄눈 두께의 양측부와; 상기 기저부의 중앙에서 슬릿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양측부와 삽입부를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진 연결부;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의 개구 방향이 벽돌벽의 좌우방향으로 되어 있을 때, 캡의 기저부를 좌우방향으로 정렬하여 픽스홀더에 삽입하면 픽스홀더의 슬릿에 연결부가 끼워져 캡의 양측부와 픽스홀더가 겹쳐지도록 캡이 픽스에 완전히 삽입되며, 캡의 기저부를 상하방향으로 정렬하여 픽스홀더에 삽입하면 캡의 연결부가 픽스홀더의 슬릿에 끼워지지 못하여 캡이 양측부가 픽스홀더와 겹쳐지지 않도록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캡에는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기저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의 기저부 쪽 단부의 개구에는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어서 캡을 픽스홀더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통기가 가능하며 벌레가 통기구멍을 통해 조적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도금철선은 단면이 정육각형 또는 정삼각형 형상이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픽스홀더의 피치와 대응하는 피치의 나사형상으로 감겨져 있어서, 상 기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픽스홀더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조적벽체 보강 공사에 사용되는 픽스(1)의 형상도(도 1a) 및 단면도(도 1b, 도 1c)이고, 도 2는 도 1의 픽스(1)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2)의 형상도(도 2a) 및 단면도(도 2b)이다.
픽스(1)는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아니하며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서, 중심을 이루는 심축(11)과 심축 둘레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개(12)는 심축(11)을 중심으로 픽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날개(12)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도 1c 참조) 또는 3개(도 1b 참조) 정도의 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강도와 구조의 단순화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
픽스홀더(2)는 습기 등에 부식되는 않는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황동 등,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픽스홀더(2)의 원통 형상의 둘레방향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수용부(22)가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픽스(1)의 날개(12)에 의한 피치(P)와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의한 피치(P)는 일치한다. 날개수용부(22)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면, 픽스홀더(2)는 2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도 체결 가능하고(도 3d 참조) 3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1)와도 체결 가능하다(도 3c 참조).
픽스홀더(2)의 일측에는 픽스홀더(2)의 단부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24)이 한 쌍 구비되어 있다. 슬릿(24)은 픽스(1)의 날개(12),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미도시)을 끼워 넣을 수 있을 정도의 간격(u)을 가진다.
도 3은 도 1의 픽스(1)와 도 2의 픽스홀더(2)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a는 픽스홀더(2)를 통해 픽스(1)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픽스홀더(2)를 통해 픽스(1)를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c 및 도 3d는 픽스(1)와 픽스홀더(2)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3a의 Z-Z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와 같이 픽스(1)는 픽스홀더(2)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도 3c 내지 3d를 참조하면 픽스(1)의 날개(12)는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약간의 갭(G)을 유지하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나사를 체결하듯이 픽스(1)와 픽스홀더(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픽스(1)는 픽스홀더(2)의 내부로 끼워져 들어갈 수 있다.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12)가 2개인 픽스(1)와 3개인 픽스(1) 모두 날개수용부(22)가 6개인 한 종류의 픽스홀더(2)와 체결 가능하다.
기하학적으로는 픽스(1)의 중심에서부터 날개(12)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날개(12)가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픽스(1)가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픽스(1)가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픽스(1)는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3b와 같이 콘크리트벽과 같은 내벽(C)에 픽스(1)를 압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픽스홀더(2)를 돌려 넣어 체결한 후, 픽스홀더(2)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24)의 트여진 단부(T)를 통해 또 다른 픽스(1)를 슬릿(24)의 안쪽으로 끼워넣음으로써 또 다른 픽스(1)를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 다른 픽스(1) 대신, 몰탈과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는, 먼저 내벽(C)의 외부에 쌓는 벽돌(B) 사이의 줄눈에 픽스홀더(2)를 매립시킨 상태에서(도 6(c) 참조), 픽스홀더(2)를 통해 드릴로 내벽(C)에 구멍을 뚫고 다시 픽스홀더(2)를 통해 그 구멍(CH)으로 픽스(1)를 압입해 넣은 후(도 6(d) 참조), 또 다른 픽스(1)를 픽스홀더(2)의 슬릿(24)으로 삽입해 넣는 것(e도 6(e) 참조)도 가능하다.
상기한 픽스(1)와 픽스홀더(2)는 각각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기계요소의 나사의 피치에 비해 본원의 픽스(1)와 픽스홀더(2)의 피치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픽스(1)와 픽스홀더(2)를 서로 1 피치 정도만 겹치게 체결하더라도 길이방향으로 매우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면 형상으로 보았을 때 픽스(1)와 픽스 홀더(2)에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부재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여 부재의 휨 강성을 크게 해준다.
게다가 위와 같은 픽스(1)와 픽스홀더(2)만 있으면 도 3a와 같이 픽스홀더(2)의 양측에 두 픽스(1)를 체결하여 픽스(1)의 길이를 쉽게 연장할 수 있으며, 도 3b와 같이 픽스(1)를 픽스홀더(2)의 슬릿(24)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픽스(1)와 픽스(1)가 서로 수직으로 체결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도 3c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듯이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G)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상기 픽스(1) 및 픽스홀더(2)를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갭(G)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픽스(1)의 심축(11)과 픽스홀더(2)의 오목부(21) 사이의 이격공간(S)은 습기나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게 하여 물고임 등으로 인한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날개수용부(22)가 6개이기 때문에, 날개(12)를 수용하지 않은 나머지 날개수용부(22)의 내부면적이 이격공간(S)에 가세되어 단면적이 더욱 넓은 통기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가 6개로 구성되는 것은 픽스홀더(2)의 외면에 굴곡을 더 많이 주기 때문에 슬릿(24)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효과를 낸다.
도 4는 도 2의 벽체 조적시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와 삼각투상도이고, 도 5는 도 2의 픽스홀더와 도 4의 캡의 체결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픽스홀더(2)를 먼저 벽돌(B) 사이의 줄눈에 매립한 후 내벽(C)에 픽스(1)를 박아넣는 순서로 조적벽체의 보강을 진행할 때에는 줄눈에 픽스 홀더(2)를 매립할 때 줄눈용 몰탈이 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서는 픽스홀더(2)와 세트로 사용할 수 있는 캡(4)을 안출하였다.
캡(4)은 픽스홀더(2)에 있어서 슬릿(24)이 형성된 단부(T)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며, 삽입되었을 때 슬릿(24)을 차폐해주어, 벽돌벽의 줄눈을 주입할 때 몰탈이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캡(4)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41)와, 상기 기저부(41)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줄눈 두께의 양측부(42)와, 상기 기저부(41)의 중앙에서 슬릿(24)의 길이(h; 도 2a 참조)에 대응하는 길이(h; 도 4b 참조)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43)와, 상기 양측부(42)와 삽입부(43)를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u; 도 2a 참조)에 대응하는 두께(u; 도 4b 참조)를 가진 연결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캡(4)에는 삽입부(43)의 선단부로부터 기저부(41)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기 구멍(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45)의 기저부 쪽 단부의 개구에는 방충망(46)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45)은 캡(4)을 픽스홀더(2)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방충망(46)은 벌레가 통기구멍(45)을 통해 조적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 상에서 통기 구멍(45)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구멍의 형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기 구멍의 형태를 네 모서리부가 라운드진 사각형의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크기도 캡(4)의 재질의 강성 등에 따라 더 크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캡(4)과 픽스홀더(2)의 체결방식은 두가지인데 이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를 참조한다. 픽스홀더(2)의 슬릿(24)이 좌우로 위치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캡(4)의 기저부(41)가 좌우로 길게 정렬된 상태로 캡(4)을 픽스홀더(2)의 슬릿(24) 형성부위로 삽입하면, 픽스홀더(2)의 슬릿(24)의 간격과 캡(4)의 연결부(44)의 두께가 모두 u로 같으므로, 캡(4)의 연결부(44)가 픽스홀더(2)의 슬릿(24)에 끼워진다. 그러면 픽스홀더(2)는 그 단부(T)가 캡(4)의 기저부(41)까지 닿도록 캡(4)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결과, 캡(4)의 삽입부(43)의 길이(h)가 픽스홀더(2)의 슬릿(24)의 길이와 같으므로, 픽스홀더(2)의 슬릿(24)은 삽입부(43)에 의해 차폐된다.
캡(4)과 픽스홀더(2)의 또다른 체결방식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픽스홀더(2)의 슬릿(24)이 좌우로 위치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캡(4)의 기저부(41)가 상하로 길게 정렬된 상태로 캡(4)을 픽스홀더(2)의 슬릿(24) 형성부위로 삽입하면, 캡(4)의 연결부(44)가 픽스홀더(2)의 단부(T)와 간섭되므로, 앞서 결합방식과 달리 픽스홀더(2)는 그 단부(T)가 캡(4)의 연결부(44)에 간섭될 때까지 캡(4)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결과, 픽스홀더(2)의 슬릿(24)은 최 내측이 t 만큼 개방된 채 삽입부(43)에 의해 차폐된다. 이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의 단부(T)와 간섭되는 연결부(44)의 높이가 t 이기 때문이다. 도 5b의 개방된 최 내측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한 픽스(1)를 위한 이격공간이다.
하기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픽스(1), 픽스홀더(2) 및 캡(4)을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 신축공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 도 2 및 도 4의 픽스, 픽스홀더 및 캡을 사용하여 조적벽체를 보강 신축하는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C)이 이미 세워져 있고, 그 외부에 벽돌(B)을 쌓는 과정에서, X1 번째 단에 벽돌을 쌓은 후, 그 위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캡(4)과 픽스홀더(2)를 올려 놓는다. 이 때 캡(4)의 기저부(41) 또는 픽스홀더(2)의 단부(T)가 대략적으로 벽돌(B)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며, 캡(4)의 기저부(41)가 좌우로 길게 놓여지도록 한다. 캡(4)의 기저부(41)의 두께(v; 도 4b 참조)는 대략 벽돌과 벽돌 사이의 줄눈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4)의 기저부(41)를 길게 한 이유는, 픽스홀더(2)와 캡(4)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조적공이 단순히 캡(4)의 기저부(41)를 좌우로 길게 향하도록 벽돌(B) 상에 정렬시키는 것만으로, 픽스홀더(2)의 슬릿(24)이 좌우로 트인 상태로 정렬된 채 벽돌(B) 상에 놓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픽스홀더(2)는 벽돌(B)의 구멍(BH) 위를 지나가도록 위치시키게 되며, 벽돌벽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예를 들면, 좌우로 벽돌(B) 5~6개 단위)마다 복수개 배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b)와 같이, 픽스홀더(2)의 구멍(BH) 상의 위치에 브라켓(3)을 끼워 넣는다. 브라켓(3)은 픽스홀더(2)와 체결되기 위한 탄성체결부(32)와 그 탄성체결부(32)의 일측으로 형성된 통공(31)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통공(31)은 구멍(BH)과 연통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c)와 같이, 브라켓(3)의 통공(31)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픽스(1)를 삽입한다. 픽스(1)를 삽입한 후, 픽스(1)가 삽입된 벽돌(B)의 구멍(BH)에는 몰탈을 주입한다. 계속해서 조적공은 이 X1 번째 단의 벽돌(B) 상에 놓여진 복수개의 픽스홀더(2)가 내벽쪽으로부터 2/3정도 매립되도록 몰탈을 놓고, 즉 픽스홀더(2)의 내측 단부로부터 슬릿(24) 전(m1 참조)까지 몰탈을 놓고, 상부단의 벽돌(미도시)을 쌓는다. 이때 상부단의 벽돌에 형성된 구멍으로, 앞서 브라켓(3)에 끼운 픽스(1)가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쌓아나간다. 관통되어 지나가는 벽돌의 구멍에 몰탈을 주입해 나감은 물론이다. 이렇게 X1 단 벽돌의 상부로 일정 단(예를 들면 벽돌 5~6단)이 쌓이면, 앞서 설명한 (a) 내지 (c)의 순서를 계속 반복하여 픽스홀더(2)를 일정 간격마다 매립하면서 벽돌을 조적해 나간다. 여기서 브라켓(3)과 픽스(1)의 결합 과정에서는, 이미 아랫 단에서 배설되어 올라오는 픽스(1)를 브라켓(3)의 통공(31)을 통해 넣으면 된다.
여기서 브라켓(3)의 통공(31)에 픽스(1)가 아닌,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사용하여 넣더라도 상하 방향으로 픽스홀더(2)들이 연결되는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렇게 하면 조적공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완료된 것이다.
다음으로는 내벽에 픽스 작업을 하는 전문 작업자들이 투입된다.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기 직전의 조적벽체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의 브라켓(3)을 통해 연결된 픽스(1)가 픽스홀더(2)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고 있고, 픽스홀더(2)가 단부(T)에 캡(4)이 가로방향으로 씌워진 채 벽돌 사이의 줄눈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6의 (d)는 X1 단의 상부에 조적된 벽돌을 생략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d)를 참조하면 작업자들은 벽돌들 사이로 보이는 캡(4)을 찾아 이를 뽑아낸 후, 픽스홀더(2)의 단부(T)로 드릴을 집어넣어 픽스홀더(2)를 통해 내벽(C)에 홀(CH)을 천공한다. 홀(CH)의 직경은 내벽(C)에 박힐 후술할 픽스(1)의 직경보다 1.5~2 mm 작은 정도이다. 그리고 이 픽스홀더(2)를 통해 공구(미도시)를 사용하여 픽스(1)를 홀(CH)에 박아 넣는다. 그러면 픽스홀더(2)는 이제 내벽(C)에 단단히 고정된다.
다음으로,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픽스(1)를 슬릿(24)의 최 내측에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면 픽스홀더(2)들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슬릿(24)에 픽스(1)가 아닌,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사용하여 넣더라도 좌우 방향으로 픽스홀더(2)들이 연결되는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제 캡(4)을 픽스홀더(2)의 단부(T)에 대해 세로로 꽂은 후(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아직 몰탈이 채워지지 않은 몰탈부분(m2)에 몰탈을 주입하여 넣는다. 여기서 캡(4)을 끼움으로써 몰탈이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몰탈이 주입되었으면, 마지막으로 캡(4)을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벽돌의 몰탈에 매몰되어 벽돌과 단단히 연결된 픽스홀더(2)들이 내벽(C)에도 강하게 연결되며, 또한 픽스홀더(2)들끼리도 서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 픽스(1)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픽스, 픽스홀더, 캡 등을 사용하여 조적한 벽체는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앞서 도 6의 (a) 단계에서 픽스홀더(2)에 끼워둔 캡(4)은 픽스홀더(2)의 슬릿(24)의 방향을 정렬함과 동시에 (c) 과정에서 픽스홀더(2) 내부로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d) 단계에서 작업자들이 매립된 픽스홀더(2)의 위치를 매우 쉽게 찾도록 해준다. 또한 (f) 단계에서 픽스홀더(2)에 끼워둔 캡(4)은 픽스홀더(2) 내부로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위치의 픽스홀더(2)는 이미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어 주는 지표가 된다. 따라서 픽스홀더(2)와 함께 사용되는 캡(4)은 픽스홀더(2)의 내부 이격공간(S)이 통기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작업상 굉장한 편의를 제공한다.
앞선 조적 순서는 (a)~(c) 까지는 조적공들이 하고, (d)~(f)는 픽스홀더 전문 작업자들이 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는 픽스홀더를 다루는데 서투르며 기술이 부족한 조적공들의 부담과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픽스홀더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사람들이 마무리작업을 하여 작업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순서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 가능한 이형도금철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이형도금철선(5)은 단면이 6각 또는 3각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 방향으로 감겨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6각 기둥 또는 3각 기둥 형상의 철선을 길이방향을 따라 꼰 형상이다. 이형도금철선(5)은 단면이 각형 형상이기 때문에 표면에 돌출 형상이 있어 몰탈과의 결합이 단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도금철선(5)의 피치는 픽스홀더(2)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와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하다. 따라서 이형도금철선(5)은 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과 같이 픽스홀더(2)에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하며 픽스홀더(2)를 이용하여 이러한 이형도금철선(5)을 도 8b와 같이 길이방향으로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를 참조하면 이형도금철선(5)의 중심으로부터 단면형상의 꼭지점까지의 거리가 이형도금철선(5)의 중심으로부터 픽스홀더(2)의 오목부(21)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이형도금철선(5)이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픽스홀더는 건물의 둘레를 따라 내벽에 고정된 픽스를 다른 픽스와 서로 연결함으로써 조적벽체가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보강 보수 또는 보강 신축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픽스홀더만으로 두 픽스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부품이 필요 없이 보강을 시행할 수 있어 시공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한다. 게다 가 날개수용부가 6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2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와, 그리고 3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여 더욱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며 픽스와 체결시 날개를 수용하지 않은 날개수용부의 내부면적은 통기공의 면적을 더욱 증대시켜준다. 또, 날개 수용부의 외관 특성상 몰탈과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픽스홀더의 날개 수용부와 픽스의 날개 사이에 갭을 주어 열팽창 차이에 따른 간섭을 극복하고 작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에 통기 가능한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부식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픽스홀더의 일측에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픽스홀더의 단부로 트인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여서,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픽스홀더에 연결할 때 상기 픽스홀더의 단부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여 픽스홀더가 벽돌과 벽돌 사이의 줄눈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픽스 또는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가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캡은 픽스홀더의 내부 이격공간이 통기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작업 지표로 사용될 수 있어 굉장한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의 경우, 6각 또는 3각의 단면을 가지는 철선을 길이방향으로, 픽스홀더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도록 나사와 같이 꼬아 줌으로써, 이형도금철선이 픽스홀더의 슬릿을 통해 픽스홀더와 수직으로 연결될 수도 있도록 하고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도 체결될 수 있는 편리함 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수 있는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픽스와 체결되는 픽스홀더로서,
    상기 픽스홀더는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픽스의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상기 날개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져 있어서, 픽스홀더를 픽스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홀더를 픽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는 6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날개가 2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날개가 3개인 픽스와도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를 픽스와 체결하였을 때, 상기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에는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의 진동 흡수가 가능한 갭이 존재하고, 상기 날개수용부 사이의 오목부와 심축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에는 픽스홀더의 일측으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의 일측으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 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는 픽스홀더에 형성된 슬릿 방향에서 삽입 및 분리 가능한 캡을 더 구비하여서,
    슬릿 방향으로 캡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슬릿이 차폐되어 몰탈이 슬릿을 통해 픽스홀더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줄눈 두께의 양측부와;
    상기 기저부의 중앙에서 슬릿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양측부와 삽입부를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진 연결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기저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의 기저부 쪽 단부의 개구에는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도금철선은 단면이 정육각형 또는 정삼각형 형상이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픽스홀더의 피치와 대응하는 피치의 나사형상으로 감겨져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도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
KR2020060010975U 2006-04-24 2006-04-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421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75U KR200421510Y1 (ko) 2006-04-24 2006-04-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75U KR200421510Y1 (ko) 2006-04-24 2006-04-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010A Division KR100711243B1 (ko) 2006-05-03 2006-05-03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510Y1 true KR200421510Y1 (ko) 2006-07-14

Family

ID=4177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975U KR200421510Y1 (ko) 2006-04-24 2006-04-24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5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18B1 (ko) 2007-02-23 2008-01-02 선진산업개발(주)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100857930B1 (ko) * 2007-03-29 2008-09-09 이완섭 철근 및 철근 커플러와 그들을 이용한 철근의 연결 방법
WO2010002049A1 (en) * 2008-07-04 2010-01-07 Yan Sup Lee Reinforcing rod, reinforcing rod coupler and coupling method thereb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18B1 (ko) 2007-02-23 2008-01-02 선진산업개발(주)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100857930B1 (ko) * 2007-03-29 2008-09-09 이완섭 철근 및 철근 커플러와 그들을 이용한 철근의 연결 방법
WO2010002049A1 (en) * 2008-07-04 2010-01-07 Yan Sup Lee Reinforcing rod, reinforcing rod coupler and coupling method thereb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759B1 (ko)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US20090260312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US80696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ishing a penetration in a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KR100895033B1 (ko)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시공방법
KR200421510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415963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JP4440136B2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KR101061015B1 (ko) 조적벽체 단열 및 보강 공법
US6443418B1 (en) Ultra thin-type form panel, a form employ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KR200419852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0711243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2197212B1 (ko) 조적체 보강 구조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JP2008057257A (ja) 柱緊結具、それを覆う化粧カバー及びそれらを用いた柱緊結構造
JP2004190350A (ja) 鉄筋籠並びに鉄筋籠組込鋼管及び充填型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
KR102137915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3축 홀더유닛을 이용한 치장벽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1965754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55455Y1 (ko) 지수판
KR102247640B1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2197213B1 (ko) 조적체 보강 구조
KR200408599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JPH11270148A (ja) 柱及び梁部材の耐震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