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926Y1 - 슬리브 커버 - Google Patents

슬리브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926Y1
KR200454926Y1 KR2020080012886U KR20080012886U KR200454926Y1 KR 200454926 Y1 KR200454926 Y1 KR 200454926Y1 KR 2020080012886 U KR2020080012886 U KR 2020080012886U KR 20080012886 U KR20080012886 U KR 20080012886U KR 200454926 Y1 KR200454926 Y1 KR 200454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crete
formwork
closing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575U (ko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80012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92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양단을 막아 콘크리트 타설시 콘트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슬리브의 설치 위치를 빠르게 결정하고 콘크리트 타설 도중 슬리브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슬리브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슬리브(20)의 양단에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마감판(11)과, 마감판(11)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어 거푸집(30)에 접촉되며 마감판(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면부(12)와, 슬리브(20)에 결합되며 접촉면부(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13)와, 마감판(11)의 중앙에서 거푸집(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거푸집(3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슬리브(20)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는,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그 슬리브의 양단을 각각 차단하여 콘크리트 타설 도중 큰크리트가 슬리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리브 설치 부위의 미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슬리브 커버, 콘크리트벽체, 거푸집, 관통공, 스프링, 탄성고정부, 지지돌기

Description

슬리브 커버{Sleeve Cover}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양단을 막아 콘크리트 타설시 콘트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슬리브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리브의 설치 위치를 빠르게 결정하고 콘크리트 타설 도중 슬리브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슬리브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는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를 가로지르는 전선 등의 설치 및 보호를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관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히 경화된 콘크리트에 관통공을 형성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거푸집 사이에 슬리브를 설치하여 슬리브가 관통공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를 이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벽체에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그런데, 거푸집 사이에 슬리브를 설치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과 슬리브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나 물이 유입되어 슬리브의 내부가 지저분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의 양단을 테이프 등으로 마감하여 거푸집 사이에 설치하기도 하나, 콘크리트 벽체가 완성된 후에는 테이프 등으로 인하여 슬리브 주위가 지저분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 사이에 슬리브를 설치할 때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기가 쉽지 않다. 즉, 슬리브가 거푸집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슬리브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기가 어렵고, 슬리브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슬리브의 움직임을 막기가 쉽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리브의 양단을 막아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슬리브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의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로의 콘크리트 유입을 차단하는 슬리브 커버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양단에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에 접촉되며 상기 마감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면부와,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며 상기 접촉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마감판의 중앙에서 상기 거푸집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촉면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슬리브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측에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는 복수의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에 따르면, 상기 탄성 돌출부는, 상기 거푸집의 구멍에 삽입되는 일측 단부가 출몰하도록 상기 마감판에 설치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마감판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에 따르면, 상기 마감판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파괴 유도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는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그 슬리브의 양단을 각각 차단하여 콘크리트 타설 도중 큰크리트가 슬리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슬리브 설치 부위의 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슬리브의 설치 위치를 빠르게 결정하여 슬리브를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커버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커버와 슬리브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슬 리브 커버가 적용된 작업 현장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 결합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작업 현장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상세 단면도로서,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슬리브 커버가 슬리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점이며, 이 경우 슬리브 커버는 커푸집해체 이후 슬리부로부터 빼내어 다른 시공에서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커버(10)는, 한 쌍의 거푸집(30) 사이에 설치되는 슬리브(20)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20)의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20)로의 콘크리트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10)는, 상기 슬리브(20)의 양단에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마감판(11)과, 상기 마감판(11)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접촉되며 상기 마감판(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면부(12)와, 상기 슬리브(20)에 결합되며 상기 접촉면부(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13)와, 상기 마감판(11)의 중앙에서 상기 거푸집(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20)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접촉면부(12)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슬리브(20)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20)의 외측에서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 돌출부는, 상기 거푸집(30)의 구멍에 삽입되는 일측 단부가 출몰하도록 상기 마감판(12)에 설치되는 지지돌기(14)와, 상기 지지돌기(1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5)과, 상기 마감판(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5)을 지지하는 스프링 고정부(1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는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양단에 설치되어 슬리브의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슬리브 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콘크리트 벽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한 쌍의 거푸집(30)을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30) 사이에 설치하고자 하는 슬리브(20)를 결정하여 그 슬리브(20)의 양단에 각각 슬리브 커버(10)를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슬리브 커버(10)가 결합된 슬리브(20)를 상기 거푸집(30)에 직교하도록 거푸집(30)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30) 사이의 간격과 상기 슬리브 커버(10)의 접촉면부(12) 사이의 간격이 일치해야 함은 당연하며, 상기 슬리브 커버(10)의 지지돌기(14)는 스프링(15)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슬리브 커버(10)의 마감판(11)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슬리브(20)가 설치 위치에 다다르면, 상기 지지돌기(14)가 상기 스프링(15)에 의하여 돌출되어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20)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고 상기 슬리브(20)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30)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20)가 관통 설치된 콘크리트 벽체가 완성된다.
이후, 콘크리트 벽체가 완전히 경화되면, 상기 거푸집(30)을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20)의 양단에 설치된 슬리브 커버(10)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 고정구(10)의 결합부(13)가 상기 슬리브(20)와 콘크리트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결합부(10)까지 제거할 경우 상기 슬리브(20)의 양단부 외주면과 콘크리트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 틈을 제거하는 작업을 추가로 실시하게 되며, 그 결과 콘크리트 벽체에는 상기 슬리브(20)만 남아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슬리브(20)와 콘크리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13)를 제거하지 않고 남겨둘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상기 슬리브 커버(10)의 결합부(13)와 접촉면부(12)의 분리면을 께끗하게 하기 어려워 미관이 저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 커버(10)의 결합부(13)를 상기 슬리브(2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3)의 내측에 복수의 리브(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파괴 유도홈(11')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13)가 상기 슬리브(2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면, 상기 슬리브(20)의 양단부와 콘크리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결합부(13)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13)의 내측에 복수의 리브(17)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회전률이 저하될 수 있다.
또,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기 슬리브(20)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슬리브(20)로부터 슬리브 커버(10)를 분리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감판(11)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마감판(11)을 파괴 유도홈(11')을 따라 파괴한 후, 상기 슬리브(20)로부터 상기 슬리브 커버(10)의 잔해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커버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커버와 슬리브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커버가 적용된 작업 현장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슬리브 커버 결합부의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작업 현장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슬리브 커버
11: 마감판
12: 접촉면부
13: 결합부
14: 지지돌기
15: 스프링
16: 스프링 고정부
17: 리브
20: 슬리브
30: 거푸집

Claims (5)

  1. 한 쌍의 거푸집(30) 사이에 설치되는 슬리브(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20)의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20)로의 콘크리트 유입을 차단하는 슬리브 커버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의 양단에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파괴 유도홈(11')을 구비한 마감판(11)과;
    상기 마감판(11)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30)에 접촉되며 상기 마감판(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면부(12)와;
    상기 슬리브(20)에 결합되며 상기 접촉면부(12)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개구되는 결합부(13)와; 그리고
    상기 마감판(11)의 중앙에서 상기 거푸집(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3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20)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접촉면부(12)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슬리브(20)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20)의 외측에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슬리브(2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결합 부(13)의 내측에는 복수의 리브(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는, 상기 거푸집(30)의 구멍에 삽입되는 일측 단부가 출몰하도록 상기 마감판(12)에 설치되는 지지돌기(14)와, 상기 지지돌기(1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5)과, 상기 마감판(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5)을 지지하는 스프링 고정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커버.
  5. 삭제
KR2020080012886U 2008-09-25 2008-09-25 슬리브 커버 KR200454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886U KR200454926Y1 (ko) 2008-09-25 2008-09-25 슬리브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886U KR200454926Y1 (ko) 2008-09-25 2008-09-25 슬리브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75U KR20100003575U (ko) 2010-04-02
KR200454926Y1 true KR200454926Y1 (ko) 2011-08-04

Family

ID=4929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886U KR200454926Y1 (ko) 2008-09-25 2008-09-25 슬리브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826B1 (ko) * 2016-04-22 2018-11-02 노연식 띠장 좌굴방지용 후크봉 및 이의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498B1 (ko) * 2012-02-15 2013-03-13 하철상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는 설치가 용이한 관통슬리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96U (ja) * 1994-01-17 1995-06-02 隆傳 久保田 コンクリート孔形成用円筒体
KR200229362Y1 (ko) * 2000-12-28 2001-07-19 박광용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JP2006169918A (ja) * 2004-12-20 2006-06-29 Kyodo Valve Shoji Kk 配管設置用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96U (ja) * 1994-01-17 1995-06-02 隆傳 久保田 コンクリート孔形成用円筒体
KR200229362Y1 (ko) * 2000-12-28 2001-07-19 박광용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JP2006169918A (ja) * 2004-12-20 2006-06-29 Kyodo Valve Shoji Kk 配管設置用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826B1 (ko) * 2016-04-22 2018-11-02 노연식 띠장 좌굴방지용 후크봉 및 이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75U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875B1 (ko)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KR20190101312A (ko) 자력식 매입형 앵커 및 이 앵커를 이용한 시설물 시공방법
KR200454926Y1 (ko) 슬리브 커버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113476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20043226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부 시공장치
KR101041490B1 (ko) 개선된 구조의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JP5973369B2 (ja) 水切り部材及び水切り構造の施工方法
KR200414770Y1 (ko) 교량배수용 소켓형 집수구조체
KR101385991B1 (ko)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20190101313A (ko) 자력식 매입형 앵커 및 이 앵커를 이용한 시설물 시공방법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200439943Y1 (ko) 점자 보도블록
KR100865523B1 (ko) 신축이음부용 배수로 시공방법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101124498B1 (ko) 오폐수 배수관용 슬리브
KR10070419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부 시공장치
KR100720619B1 (ko) 콘크리트 외벽용 거푸집 및 콘크리트 외벽 형성방법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1006840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0415413Y1 (ko) 세면대의 벽면 매설용 배수배관
KR200226634Y1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KR200426060Y1 (ko) 거푸집의 콘크리트 누수방지장치
KR200246054Y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고정구
JP2007254951A (ja) 水切溝用形成治具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水切溝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