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292A - 난방배관슬리브 - Google Patents

난방배관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292A
KR20210065292A KR1020190153849A KR20190153849A KR20210065292A KR 20210065292 A KR20210065292 A KR 20210065292A KR 1020190153849 A KR1020190153849 A KR 1020190153849A KR 20190153849 A KR20190153849 A KR 20190153849A KR 20210065292 A KR20210065292 A KR 2021006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oom
bathroom
living room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133B1 (ko
Inventor
이재욱
이영주
최승태
김명애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경동하이테크판매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1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따라 지지판 양측의 절취측판의 절취를 통해 슬리브지지대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지지대의 양측부에 장공 형상의 파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지지대의 지지고정을 위한 고정부재의 결합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으며 몰탈층에 대한 연접면적이 증대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방수층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는,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거치되고 몰탈층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직관부에 경사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직관부의 하부에는 제 1 거치다리가 일체로 구비되는 슬리브본체와, 상기 슬리브본체의 경사관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하측은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면접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방수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와, 하부에는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위치고정되도록 제 1 파공부가 형성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직관부를 지지하는 관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본체의 제 1 거치다리가 끼워지는 거치다리끼움부가 구비된 슬리브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배관슬리브{Heating pipe sleeve}
본 발명은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상응하게 구배가 형성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장소에 따라 지지판 양측의 절취측판의 절취를 통해 슬리브지지대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지지대의 양측부에 장공 형상의 파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지지대의 지지고정을 위한 고정부재의 결합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으며 몰탈층에 대한 연접면적이 증대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방수층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및 빌딩 등에는 난방과 급수 등을 등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배관이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관의 주위는 몰탈층에 의해 기밀적으로 폐쇄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난방배관은 그 내부를 관류하는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피로파괴에 의한 균열이 유발되고, 이렇게 유발된 균열은 바로 난방배관을 관류하는 유체의 누수로 이어지면서 건물의 벽이 약해짐은 물론 난방배관이 용이하게 부식됨에 따라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벽을 통과하는 난방배관의 누수없는 배열을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846호(2005.06.16. 공고)에는 배관이 관통되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파이프 형의 슬리브몸체와,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링과, 그 조임링의 선단에 위치하여 배관과 압착 밀폐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후단에는 축관되어 일정길이를 갖고 그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밀폐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몸체의 타측에는 선단에 역경사면이 형성된 끼움부와 그 외면에 지지링이 일정간극을 유지한 채 플랜지에 의해 연장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일측내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그 외면과 타측단 외면부에 각각 후렌지부가 다수개의 보강살과 일체로 된 연결슬리브가 끼워져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 슬리브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그 길이가 일치되는 것으로 교체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가 개시된다.
한편, 욕실의 바닥면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거실 또는 방과는 달리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방수층과 몰탈층이 차례로 적층시공되고 몰탈층에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거실과 방 등의 바닥면은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난방배관이 배열된 다음 몰탈층에 의해 마감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에 비해 50 내지 70mm 정도 낮게 형성되어 일종의 단턱이 형성됨에 따라, 난방배관의 설치시에 거실 또는 방과 욕실의 바닥면의 높이차로 인한 단턱으로 인해 전술한 직선형 슬리브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직선형 슬리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105893호(2004.12.17. 공개)에는 건축물의 벽면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배관을 보호토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경사지게 절곡구비되면서 내부가 관통되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의 외주연상에는 외향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전단의 외주연에 보강플랜지 및 일측은 좁고 타측은 넓은 간격의 면을 가지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패킹, 압착링 및 밀폐부재가 나사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후면의 내경에는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면서 안내관이 삽입체결되는 결합소켓과; 상기 안내관의 타측에 결합되고 약간 절곡되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면서 전단에는 안내관과 결합되는 결합플랜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경에는 안내관의 결합돌기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소켓과; 상기 결합소켓 및 연결소켓에 각각 억지끼움식으로 개폐가능토록 체결되고 소정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공이 천공되는 마개와; 상기 안내관과 결합소켓 및 연결소켓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욕실벽면의 두께와 바닥면의 높낮이에 따라 길이와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길이조절관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가 개시된다.
통상 난방배관슬리브를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거치한 후 몰탈층으로 매립고정한 다음에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는 욕실에서 발생되는 누수 문제의 해소를 위해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난방배관슬리브의 경우에는 슬리브지지대의 폭이 고정됨에 따라, 설치장소에 따라 슬리브지지대의 폭이 조절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슬리브지지대의 양측부에 단순 관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설치장소에 따라 슬리브지지대의 지지고정위치가 조절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난방배관슬리브의 경우에는 단순히 난방배관의 관통을 위한 원형단면의 절곡파이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방수층을 형성할 때 욕실 측을 향하는 난방배관슬리브의 단부가 몰탈층에 연접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방수층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846호(2005.06.16.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105893호(2004.12.1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따라 슬리브본체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지지대를 포함하도록 하고, 지지판 양측의 절취측판의 절취를 통해 슬리브지지대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지지대의 양측부에 장공 형상의 파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지지대의 지지고정을 위한 고정부재의 결합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으며 몰탈층에 대한 연접면적이 증대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방수층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거치되고 몰탈층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직관부에 경사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직관부의 하부에는 제 1 거치다리가 일체로 구비되는 슬리브본체와, 상기 슬리브본체의 경사관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하측은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면접되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와, 하부에는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위치고정되도록 제 1 파공부가 형성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직관부를 지지하는 관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본체의 제 1 거치다리가 끼워지는 거치다리끼움부가 구비된 슬리브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형성이 용이한 난방배괸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지지대의 지지판 양측에는 제 2 파공부가 각각 형성된 절취측판이 절취 가능하게 연접형성되어 폭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본체가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거치되도록 상기 제 1 거치다리는 상기 경사관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거치다리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몰탈층에 대한 연접면적을 증대시켜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방수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방수층의 견고한 부착을 유도하는 홈, 돌기 또는 스크래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부착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의 타면 하측에는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의 하단길이가 욕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의 바닥 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다수의 절취유도라인이 이격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경사관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 및 상기 제 2 파공부는 고정부재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난방배관슬리브는 설치장소에 따라 슬리브본체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지지대를 포함하도록 하고, 지지판 양측의 절취측판의 절취를 통해 슬리브지지대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지지대의 양측부에 장공 형상의 파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지지대의 지지고정을 위한 고정부재의 결합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어 시공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난방배관슬리브는 욕실 측을 향하는 슬리브본체의 경사관부의 단부에 방수층면접플레이트가 구비됨에 따라 몰탈층에 대한 연접면적이 증대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방수층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방수층면접플레이트의 일면에 다수의 부착유도부가 이격형성됨에 따라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적층되는 방수층이 홈 또는 돌기 형태의 부착유도부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난방배관슬리브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의 타면 하측에 다수의 절취유도라인이 이격형성됨에 따라 방수층면접플레이트의 하단길이가 욕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의 바닥 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정면도 및 측면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측면상세도
도 4는 슬리브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정면도 및 측면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측면상세도이고, 도 4는 슬리브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는,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거치되고 몰탈층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직관부에 경사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직관부의 하부에는 제 1 거치다리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관부의 하부에는 제 2 거치다리가 구비되는 슬리브본체와, 상기 슬리브본체의 경사관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하측은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에 면접되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와, 하부에는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위치고정되도록 제 1 파공부가 형성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직관부를 지지하는 관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본체의 제 1 거치다리가 끼워지는 거치다리끼움부가 구비된 슬리브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관부(11)에 경사관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10)와, 슬리브본체(10)의 경사관부(12)의 단부에 구비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방수층(5)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와,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위치고정되어 슬리브본체(10)의 직관부(11)를 지지하되 지지판(31) 양측의 절취측판(34)의 절취를 통해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 슬리브지지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리브본체(10)는 난방배관(2)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유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실 또는 방 측을 향하는 직관부(11)와 욕실 측을 향해 개방되는 경사관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슬리브본체(1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거치되어 몰탈층(4)에 의해 매립고정되도록 직관부(11)의 하부에 제 1 거치다리(13)가 일체로 구비되고 경사관부(12)의 하부에 제 2 거치다리(14)가 구비되되, 제 1 거치다리(13)는 제 2 거치다리(14)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다.
이 때 슬리브본체(10)의 직관부(11)는 난방배관(2)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거실 또는 방을 향해 점차 확관되는 형상을 가지며, 슬리브본체(10)의 경사관부(12)도 난방배관(2)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욕실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되 전차 확관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슬리브본체(10)에서 욕실측을 향하는 경사관부(12)의 단부에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가 구비된다.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는 몰탈층(4)에 대한 슬리브본체(10)의 단부 연접면적을 증대시켜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방수층(5)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슬리브본체(10)의 경사관부(1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하측은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면접된다.
또한 몰탈층(4)에 대한 연접면적을 증대시켜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방수층(5)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수층(5)에 대향하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일면에는 홈 또는 돌기 형태의 다수의 부착유도부(21)가 이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유도부(21)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일면에 함입형성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부위에 도포되는 방수층(5)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해당 방수층 내로 파고들어감으로써 방수층(5)의 견고한 부착을 유도하는 역힐을 하는 것으로, 사각홈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홈, 육각홈 등 다양한 형상의 홈이나 다양한 형상의 돌기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도 3과 같이 격자형 스크래치 형태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부착유도부(21)는 방수층(5)에 대향하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일면에 열과 행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타면 하측에는 다수의 절취유도라인(22)이 이격형성된다. 절취유도라인(22)은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하단길이가 욕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3c)의 바닥 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하단 일부가 용이하게 절취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내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좁아지는 삼각형 단면의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슬리브본체(10)의 직관부(11)는 슬리브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지지대(30)는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예를 들어 바닥고정나사 또는 바닥고정못과 같은 고정부재(6) 등에 의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직관부(11)를 지지함에 따라 몰탈층(4) 또는 방수층(5)의 형성 시에 슬리브본체(1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슬리브지지대(30)의 하부에는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위치고정되도록 제 1 파공부(31a)가 형성되는 지지판(31)이 구비되고, 슬리브지지대(30)의 상부에는 슬리브본체(10)의 직관부(11)를 지지하도록 상단이 호 형상을 가지는 관지지부재(32)가 돌출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슬리브본체(10)의 제 1 거치다리(13)가 끼워지는 홈 형태의 거치다리끼움부(33)가 구비된다.
또한, 슬리브지지대(30)는 설치장소에 따라 지지판(31) 양측의 절취측판(34)의 절취를 통해 전체 폭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판(31)의 양측에는 제 2 파공부(34a)가 각각 형성된 절취측판(34)이 절취가능하게 연접형성된다. 절취측판(34)은 지지판(31) 양측에 1개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개수로 절취가능하게 연접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판(31)의 제 1 파공부(31a)와 절취측판(34)의 제 2 파공부(34a)는 슬리브지지대(30)의 지지고정을 위한 고정부재(6)의 결합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도록 단순 원형공이 아니라 장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설치 순서와 전체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거실 또는 방 등의 바닥면은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몰탈층(4)이 일부시공된 후 그 상부에 난방배관(2)이 배열된 다음 몰탈층(4)에 의해 마감시공되는 반면에,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과는 달리 콘크리트슬래브(3a)보다 더 낮게 단차진 콘크리트슬래브(3c)의 상부면과 단차면(3b)에 방수층(5)이 적층된 후 몰탈층(4)에 의해 난방배관(2)이 매립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에 비해 50 내지 70mm 정도 낮게 형성되어 일종의 단턱(단차부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는 난방배관(2)의 배열을 위해 전술한 구조적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턱에 설치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경우에는, 설치장소에 따라 지지판(31) 양측의 절취측판(34)의 절취를 통해 슬리브지지대(30)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지지대의 양측부, 즉 지지판(31)과 절취측판(34)에 장공 형상의 제 1 및 제 2 파공부(31a, 34a)가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지지대의 지지고정을 위한 고정부재(6)의 결합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어 시공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경우에는, 욕실 측을 향하는 슬리브본체(10)의 경사관부(12)의 단부에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가 구비됨에 따라 몰탈층(4)에 대한 연접면적이 증대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방수층(5)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일면에 홈 또는 돌기 형태의 다수의 부착유도부(21)가 이격형성됨에 따라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적층되는 방수층(5)이 부착유도부(21)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타면 하측에 다수의 절취유도라인(22)이 이격형성됨에 따라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하단길이가 욕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3c)의 바닥 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난방배관슬리브
2 : 난방배관
3a, 3c : 콘크리트슬래브
3b : 단차면
4 : 몰탈층
5 : 방수층
6 : 고정부재
10 : 슬리브본체
11 : 직관부
12 : 경사관부
13 : 제 1 거치다리
14 : 제 2 거치다리
20 : 방수층면접플레이트
21 : 부착유도부
22 : 절취유도라인
30 : 슬리브지지대
31 : 지지판
31a : 제 1 파공부
32 : 관지지부재
33 : 거치다리끼움부
34 : 절취측판
34a : 제 2 파공부

Claims (7)

  1.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2)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거치되고 몰탈층(4)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직관부(11)에 경사관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직관부(11)의 하부에는 제 1 거치다리(13)가 일체로 구비되는 슬리브본체(10);
    상기 슬리브본체(10)의 경사관부(12)의 단부에 구비되고 하측은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면접되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방수층(5)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 및
    하부에는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위치고정되도록 제 1 파공부(31a)가 형성되는 지지판(3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직관부(11)를 지지하는 관지지부재(3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제 1 거치다리(13)가 끼워지는 거치다리끼움부(33)를 구비된 슬리브지지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지지대(30)의 지지판(31) 양측에는 제 2 파공부(34a)가 각각 형성된 절취측판(34)이 절취 가능하게 연접형성되어 폭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본체(10)가 거실 또는 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3a) 상에 거치되도록 상기 제 1 거치다리(13)는 상기 경사관부(12)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거치다리(14)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탈층(4)에 대한 연접면적을 증대시켜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면(3b)에 방수층(5)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일면에는 상기 방수층(5)의 견고한 부착을 유도하는 홈, 돌기 또는 스크래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부착유도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타면 하측에는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의 하단길이가 욕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슬래브(3c)의 바닥 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다수의 절취유도라인(22)이 이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면접플레이트(20)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경사관부(1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공부(31a) 및 상기 제 2 파공부(34a)는 고정부재(6)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공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KR1020190153849A 2019-11-27 2019-11-27 난방배관슬리브 KR102260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49A KR102260133B1 (ko) 2019-11-27 2019-11-27 난방배관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49A KR102260133B1 (ko) 2019-11-27 2019-11-27 난방배관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292A true KR20210065292A (ko) 2021-06-04
KR102260133B1 KR102260133B1 (ko) 2021-06-16

Family

ID=7639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49A KR102260133B1 (ko) 2019-11-27 2019-11-27 난방배관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1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62Y1 (ko) * 2000-12-28 2001-07-19 박광용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KR20040105893A (ko) 2003-06-09 2004-12-17 김대현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200386846Y1 (ko) 2005-03-22 2005-06-16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JP2015078741A (ja) * 2013-10-17 2015-04-23 未来工業株式会社 壁貫通スリーブ装置、スペーサ、壁貫通スリーブの設置方法及び壁貫通スリーブ設置構造
KR20150135000A (ko) * 2014-05-23 2015-12-02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KR20160001971U (ko) * 2014-12-01 2016-06-09 김대현 배관보호 슬리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62Y1 (ko) * 2000-12-28 2001-07-19 박광용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KR20040105893A (ko) 2003-06-09 2004-12-17 김대현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200386846Y1 (ko) 2005-03-22 2005-06-16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JP2015078741A (ja) * 2013-10-17 2015-04-23 未来工業株式会社 壁貫通スリーブ装置、スペーサ、壁貫通スリーブの設置方法及び壁貫通スリーブ設置構造
KR20150135000A (ko) * 2014-05-23 2015-12-02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KR20160001971U (ko) * 2014-12-01 2016-06-09 김대현 배관보호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133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6593B2 (en) Adjustable drain
JP5802679B2 (ja) 水洗トイレフランジの封止
US70247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water from escaping a shower area
US20100116359A1 (en) Faucet Mounting Sleeve
US7694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stopping around a water closet drain pipe in a vertical floor opening
US11319698B2 (en) Shower drain with a clamping collar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ES2751051T3 (es) Conexión de desagüe
US11639756B1 (en) Unitary stub out and rough-in plumbing valve cylinder including a rear mounting plate with an integral conduit member extending there from with support and leveling flange members in cooperation therewith
US9777871B1 (en) Hinged pipe mounting fixture
KR101580954B1 (ko)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377943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US20180209125A9 (en) Sillcock for Robust Re-Installation
KR200321241Y1 (ko)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187820Y1 (ko) 입상관 고정구
JPH08232308A (ja) 配管構造
KR2005011202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CA2636578C (en) Faucet mounting sleeve
KR100750344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KR200325927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100832503B1 (ko) 난방 배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