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060Y1 -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060Y1
KR200379060Y1 KR20-2004-0036090U KR20040036090U KR200379060Y1 KR 200379060 Y1 KR200379060 Y1 KR 200379060Y1 KR 20040036090 U KR20040036090 U KR 20040036090U KR 200379060 Y1 KR200379060 Y1 KR 200379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ox
support bar
fixed
hold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희
Original Assignee
한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희 filed Critical 한동희
Priority to KR20-2004-0036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bar extending between two separate studs of a wall fra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지지바를 중공의 관으로 형성하여 그 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지바에 결합된 다수개의 아웃트렛 박스는 용이하게 위치 조정 및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는 벽아웃트렛 박스가 벽체를 이루는 철근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렛 박스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되고, 파지홈의 내면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파지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 외면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아웃트렛 박스 몸체가 홀더를 통해 지지바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걸림부가 고정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OUTLET BOX}
본 고안은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트렛 박스를 철근구조물에 고정하는 지지바를 중공의 관으로 형성하여 그 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지바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아웃트렛 박스는 용이하게 위치 조정 및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웃트렛 박스는 건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 전화선 및 케이블선등을 각 실내로 배선하기 위해 벽체에 매설되는 것으로, 건물의 축조과정에서 아웃트렛 박스를 벽체 내부의 철근에 고정하고 각종 케이블을 배선한 다음,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정을 거쳐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트렛 박스에 콘센트를 장착함으로써, 실내에서 각종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아웃트렛 박스의 일례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0093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아웃트렛 박스(옥내 배선용 접속함)는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배선처리를 위한 인입구가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콘센트가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평철근에 결합되는 홀더가 구비된다. 그리고 홀더의 일부분에는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끼움구멍과 직교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구멍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이 반복 형성된 막대형상의 간격유지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며, 홀더와 간격유지부재는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되는 나사를 통해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아웃트렛 박스를 철근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의 홀더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관통하도록 간격유지부재를 끼워 넣고, 각각의 아웃트렛 박스의 위치를 조절한 후, 체결공을 통해 나사를 체결하여 아웃트렛 박스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아웃트렛 박스 유닛을 홀더를 통해 철근에 끼워 넣은 후, 이 철근을 철근구조물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아웃트렛 박스 고정구조는 통상의 철근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아웃트렛 박스를 그 철근에 끼워 철근구조물에 고정시켰는데, 현장에서 철근을 필요한 길이에 맞게 절단하는 작업을 하다보니 그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철근이 고가이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가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간격유지부재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격유지부재를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는 작업 또한 불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웃트렛 박스를 철근 구조물에 고정할 때 고가이면서 절단 작업이 어려운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이면서 절단 작업이 용이한 지지바를 사용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그 비용을 절감시킨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바를 따라 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아웃트렛 박스가 벽체를 이루는 철근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렛 박스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되고, 파지홈의 내면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파지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 외면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아웃트렛 박스 몸체가 홀더를 통해 지지바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걸림부가 고정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원형이나 각형의 기둥이고,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도 3은 본 고안에서 지지바가 홀더에 체결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는 내부에 전선들이 배선될 수 있도록 수용부(112)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는 전면으로 개방되며, 상면와 하면에는 내부에 배선을 위한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구(111)가 형성된 몸체(110)를 갖는다. 물론, 몸체(110)이 전면에는 콘센트가 결합되는 커버(113)가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홀더(120)가 마련되며, 이 홀더(120)에는 지지바(130)가 결합되며, 이 지지바(130)가 철근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홀더(120)는 일부분이 개구된 파지홈(121)이 형성되고, 이 파지홈(121)의 내면에는 돌기형상의 걸림부(123)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121) 일부분에는 체결공(122)이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이 체결공(122)에는 후술하는 지지바(130)를 가압하여 홀더를 지지바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나사(S)가 체결된다. 물론, 이러한 홀더(120)는 몸체(110)와 일체로 사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고, 홀더(120)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몸체(110)에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바(130)는 탄성력을 갖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절개된 슬릿(132)을 갖는 중공의 원형 기둥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는 홀더(120)를 이용하여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 몸체(110)를 지지바(130)에 끼워 넣는다. 이때, 지지바(130)는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아웃트렛 박스 몸체(110)는 지지바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바(1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31)이 형성되고, 홀더(120)에는 요홈과 대응되는 돌기의 걸림부(12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웃트렛 박스 몸체(110)는 걸림부가 고정부에 걸리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아웃트렛 박스 몸체(110)가 지지바(130)의 상에서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지지바(130)를 철근 구조물(140)에 통상의 철사등으로 고정하여 아웃트렛 박스를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지지바(130)를 먼저 철근 구조물(140)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를 끼워 넣고, 그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바(130) 상에서 아웃트렛 박스의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경우에 따라 그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더(120)의 체결공(122)에 나사(S)를 체결하여 그 나사(S)가 지지바(130)의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철근에 비해 저렴한 저가의 지지바를 이용하여 아웃트렛 박스를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중공의 지지바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할 때 철근에 비해 그 절단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간격유지부재 없이 아웃트렛 박스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 및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홀더에 형성된 돌기가 지지바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면서 걸리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서 홀더의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지바가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힘이 가해지면 홀더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간격유지부재가 필요없기 때문에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약간의 힘을 가하면 아웃트렛 박스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물론,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의 위치를 서로 변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홀더의 걸림부와 지지바의 고정부는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홀더의 걸림부는 돌기로 형성하고 지지바의 고정부는 요홈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의 걸림부(123)는 파지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으로 형성하고, 지지바(130)의 고정부(131)는 홀더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되는 돌기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홀더에 형성된 파지홈의 형상과 지지바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형,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파지홈과 지지바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의 각형상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돌기와 요홈의 형상은 지지바의 외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에만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만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에 형성된 파지홈은 일부분이 개구되지 않고 막혀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지지바를 홀더에 결합시킬 때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끼워 넣는 방식으로 결합시키면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웃트렛 박스를 철근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지지바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작업이 용이하고 철근에 비해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간격유지부재 없이 홀더의 걸림부와 탄성력을 갖는 지지바의 고정부를 통해 지지바 상에서 다수의 아웃트렛 박스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간격유지부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지지바가 홀더에 체결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바가 홀더에 고정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홀더와 지지바의 다른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홀더와 지지바의 또 다른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11 : 인입구
112 : 수용부 113 : 커버
120 : 홀더 121 : 파지홈
122 : 체결공 123 : 걸림부
130 : 지지바 131 : 고정부
132 : 슬릿 140 : 철근구조물
S: 나사

Claims (5)

  1. 아웃트렛 박스가 벽체를 이루는 철근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렛 박스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되고, 파지홈의 내면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파지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 외면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아웃트렛 박스 몸체가 홀더를 통해 지지바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걸림부가 고정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원형이나 각형의 기둥이고,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돌기이고, 상기 고정부는 지지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부분에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체결공에는 나사가 체결되어 지지바를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5. 아웃트렛 박스가 벽체를 이루는 철근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렛 박스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홀더가 형성되고, 이 홀더에는 탄성력을 갖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절개된 중공의 관으로 형성된 지지바가 결합되며, 이 지지바가 철근 구조물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KR20-2004-0036090U 2004-12-20 2004-12-20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KR200379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90U KR200379060Y1 (ko) 2004-12-20 2004-12-20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90U KR200379060Y1 (ko) 2004-12-20 2004-12-20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060Y1 true KR200379060Y1 (ko) 2005-03-17

Family

ID=4368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090U KR200379060Y1 (ko) 2004-12-20 2004-12-20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0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278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대
KR100760639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20140000615U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200379060Y1 (ko)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KR100711503B1 (ko) 슬리브하우징 일체형 덕트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200421843Y1 (ko) 슬리브하우징 일체형 덕트
KR101413039B1 (ko)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KR200345877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100662080B1 (ko) 통합전선용 매립덕트
KR20090008585U (ko) 배관 고정 장치
KR100344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JP3201518B2 (ja) 設備工事用スリーブ支持金具
KR200398640Y1 (ko)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장치
KR101347193B1 (ko)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KR200274275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KR970004486Y1 (ko)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0273535Y1 (ko)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402541Y1 (ko) 도관 설치구
KR200300938Y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400350Y1 (ko) 수직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